KR102028343B1 - 체결부재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체결부재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343B1
KR102028343B1 KR1020170107139A KR20170107139A KR102028343B1 KR 102028343 B1 KR102028343 B1 KR 102028343B1 KR 1020170107139 A KR1020170107139 A KR 1020170107139A KR 20170107139 A KR20170107139 A KR 20170107139A KR 102028343 B1 KR102028343 B1 KR 102028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assembly plate
delete delete
washer assembl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834A (ko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7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3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21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28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positioning or withdrawing resilient bushin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체결부재 조립장치가 개시된다. 상면에서 하면으로 볼트와 와셔가 삽입되는 와셔 조립부가 복수 개 형성된 와셔 조립 플레이트; 및 상기 와셔 조립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을 덮도록 상기 와셔 조립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덮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체결부재 조립장치{ASSEMBLY APPARATUS OF FASTENING MEMBER}
본 발명은 체결부재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는 2개의 부품을 체결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도부와 축부로 이루어져 있다. 두부의 모양에 따라 둥근 볼트, 4각 볼트, 6각 볼트 등이 있고, 그 축부에는 나사가 절삭되어 있어 이것에 너트를 끼워 체결한다.
또한, 볼트머리에는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자나 +자형의 드라이버 홈이 형성된 것도 있으며, 스크류 볼트와 같이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날카로운 스크류가 형성된 축부가 대상물에 직접 파고들어 체결되는 것도 있다.
이러한 볼트는 사용함에 있어서 보다 안정된 체결상태를 유지하거나 볼트머리부가 대상물로 파고드는 현상을 방지하거나 체결된 후 느슨해짐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와셔를 구비하여 사용하게 된다.
와셔는 너트 또는 볼트 머리 밑에 까는 고리로서, 연강을 프레스 가공하여 만들어지고 또 너트나 볼트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와셔로서 스프링 와셔, 발톱붙이 와셔, 혀붙이 와셔, 고무 와셔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와셔의 가장 큰 역할은 체결된 상태의 너트나 볼트가 진동 등에 의해 풀어지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할 것이고, 이를 위한 와셔는 텐션을 발휘하는 스프링와셔가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볼트와 와셔, 또는 너트와 와셔가 서로 분리 구성으로 되어 있어 와셔의 사용이 꼭 필요한 경우 그 와셔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또한 사용할 때에도 역시 별도로 구비된 와셔를 취급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예를 들어 와셔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와셔를 체결구멍 위치에 놓은 후 다음으로 볼트를 구 와셔구멍을 통해 삽입시켜 죄거나, 미리 와셔를 볼트의 축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체결시키거나 하는 등으로 매우 조심성있는 볼트 작업이 요구되고, 잘못하면 와셔가 고정되지 않고 미끄러지거나 이탈 되어지는 현상으로 재작업이 요구되며, 또한 A/S시 등의 체결해제를 요하거나 다시 체결시킬 경우 풀어놓은 와셔를 잃어버리지 않도록 잘 보관하여야 하고 만약에 분실되는 경우 작업이 매우 곤란하게 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작업자가 볼트를 만들기 전 단계인 리벳에 와셔를 일일이 끼워 결합시킴으로서 작업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고 수작업 생산에 따른 대량생산이 불가능함과 생산량에 비하여 와셔와 리벳을 결합하는 수작업 수가 많아 생산원가의 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994-0008805호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볼트와 복수 개의 와셔를 한 번에 조립할 수 있는 체결부재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면에서 하면으로 볼트와 와셔가 삽입되는 와셔 조립부가 복수 개 형성된 와셔 조립 플레이트; 및 상기 와셔 조립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을 덮도록 상기 와셔 조립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덮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체결부재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을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길이만큼 연장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의 가상의 중심축과 동축이며 상면에서 하면으로 와셔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오목한 홈들이 상기 가이드 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된 복수 개 형성된 와셔 조립 플레이트; 및 상기 와셔 조립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을 덮도록 상기 와셔 조립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덮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체결부재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되 제1 일측면으로부터 제1 타측면을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1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홀의 가상의 중심축과 동축이며 제1 상면에서 제1 하면으로 제1 와셔의 횡단면과 대응되도록 오목한 제1 홈들이 상기 제1 가이드 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되 제2 일측면으로부터 제2 타측면을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2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이드 홀의 가상의 중심축과 동축이며 제2 상면에서 제2 하면으로 제2 와셔의 횡단면과 대응되도록 오목한 제2 홈들이 상기 제2 가이드 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의 상측 또는 하측에 결합되는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 중 상측에 위치하는 와셔 조립 플레이트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와셔 조립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덮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체결부재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을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길이만큼 연장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의 가상의 중심축과 동축이며 상면에서 하면으로 와셔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오목한 홈들이 상기 가이드 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된 복수 개 형성되고 복수 개가 적층 구비되는 와셔 조립 플레이트들; 및 복수 개의 상기 와셔 조립 플레이트들 중 최상층의 와셔 조립 플레이트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최상층의 와셔 조립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덮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체결부재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 조립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와셔와 볼트가 체결된 상태의 체결부재를 대량으로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덮개 플레이트의 하면에 볼트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헤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와셔 조립 플레이트와 덮개 플레이트를 반전시킨 후 와셔 조립 플레이트를 분리하면 볼트가 쓰러지지 않고 볼트에 와셔가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 조립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체결부재 조립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체결부재 조립장치 중 덮개 플레이트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체결부재 조립장치에 볼트와 와셔들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체결부재 조립장치의 정면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체결부재 조립장치가 반전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체결부재 조립장치에서 와셔 조립 플레이트들이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 조립장치(100)는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 및 덮개 플레이트(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 및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는 볼트(1)와 결합될 와셔(3, 5)가 각각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의 제1 상면(111)에서 제1 하면(113)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의 제2 상면(131)에서 제2 하면(113)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 및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 중 어느 하나는 평 와셔(3)가 삽입되고,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 및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 중 다른 하나는 스프링 와셔(5)가 삽입된다.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는 제1 와셔 조립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와셔 조립부(120)는 제1 가이드 홀(121) 및 제1 와셔 홈(123)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 홀(121)은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되, 제1 일측면으로부터 제1 타측면을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의 폭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볼트(1)는 상기 제1 가이드 홀(121)을 관통 삽입하며, 상기 볼트(1)와 상기 제1 와셔(3)를 결합하여 체결부재가 조립되면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가 상기 덮개 플레이트(150)와 분리될 때 상기 제1 가이드 홀(121)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와셔 홈(123)은 상기 제1 가이드 홀(121)의 가상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와셔 홈(123)은 상기 제1 상면(111)에서 상기 제1 하면(113)으로 와셔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단, 상기 제1 와셔 홈(123)의 횡단면의 크기는 상기 제1 와셔 홈(123)에 삽입되는 와셔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와셔 홈(123)은 상기 제1 가이드 홀(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에는 평 와셔가 조립되므로, 횡단면이 원형이며 상기 평 와셔의 횡단면의 크기에 대응되는 횡단면의 크기를 갖는 상기 제1 와셔 홈(123)들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는 제1 가이드 측면(115)들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 측면(115)들은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의 폭 방향 양 측에 상기 제1 상면(111)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는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와 마찬가지로 상기 볼트(1)가 삽입되는 동시에 제2 와셔(5)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 와셔가 삽입된다.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에도 제2 와셔 조립부(140)가 포함된다. 상기 제2 와셔 조립부(140)는 제2 가이드 홀(141) 및 제2 와셔 홈(143)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가이드 홀(141)은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되 제2 일측면으로부터 제2 타측면을 향해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의 폭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가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와 결합되면, 상기 제2 가이드 홀(141)은 상기 제1 가이드 홀(121)과 동축 상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와셔 홈(143)은 상기 제2 가이드 홀(141)의 가상의 중심축과 동축 상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와셔 홈(143)은 상기 제2 상면(131)에서 상기 제2 하면(133)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와셔 홈(143)의 횡단면은 상기 제2 와셔(5)의 횡단면과 동일하며, 상기 제2 와셔 홈(143)의 횡단면의 크기는 상기 제2 와셔(5)의 횡단면의 크기와 대응된다. 상기 제2 와셔 홈(143)은 상기 제2 가이드 홀(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도 제2 가이드 측면(135)들 및 제2 슬라이드 돌기(137)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가이드 측면(135)은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의 폭 방향 양 측에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의 제2 상면(131)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라이드 돌기(137)들은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의 제2 하면(133)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라이드 돌기(137)들은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의 폭 방향 양 측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2 하면(133)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가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결합될 때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의 상기 제2 슬라이드 돌기(137)들의 외측이 상기 제1 가이드 측면(115)의 내측에 접한다. 즉,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는 상기 제2 슬라이드 돌기(137)들이 상기 제1 가이드 측면(115)들에 안내되어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상기 덮개 플레이트(150)는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 및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 중 어느 하나의 와셔 조립 플레이트의 상측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 및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 중 상측에 위치하는 와셔 조립 플레이트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덮개 플레이트(150)가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와 결합될 때에는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의 상기 제1 상면(111)을 덮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와 결합될 때에는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의 상기 제2 상면(131)을 덮도록 결합된다.
상기 덮개 플레이트(150)는 가이드 돌기(155)들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돌기(155)들은 상기 덮개 플레이트(150)의 제3 하면(153)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155)들은 상기 덮개 플레이트(150)의 폭 방향 양 측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겨된 위치의 상기 제3 하면(153)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덮개 플레이트(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상기 덮개 플레이트(150)가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와 결합될 때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55)의 외측이 상기 제1 가이드 측면(115)의 내측에 접하고,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와 결합될 때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55)의 외측이 상기 제2 가이드 측면(135)의 내측에 접한다.
즉, 상기 덮개 플레이트(150)는 상기 가이드 돌기(155)가 상기 제1 가이드 측면(115)에 안내되어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에 슬라이드 결합되거나, 상기 가이드 돌기(155)가 상기 제2 가이드 측면(135)에 안내되어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작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체결부재 조립장치(100)를 이용하여 볼트(1)와 와셔(3, 5)를 결합하여 체결부재를 조립할 수 있다. 먼저, 볼트(1)와 결합할 와셔를(3, 5) 선정한다. 선정된 와셔가 제1 와셔(3, 평와셔)인 경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의 제1 와셔 홈(123)에 상기 제1 와셔(3)를 삽입한다. 선정된 와셔가 제2 와셔(5, 스프링 와셔)인 경우,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의 상기 제2 와셔 홈(143)에 상기 제2 와셔(5)를 삽입한다.
상기 제1 와셔(3)와 상기 제2 와셔(5)가 모두 선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와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 각각에 상기 제1 와셔(3)와 상기 제2 와셔(5)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1)를 상기 제1 와셔(3)를 관통하거나, 상기 제2 와셔(5)를 관통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와셔(3) 및 상기 제2 와셔(5)를 모두 관통하여 삽입한다.
특히, 상기 제1 와셔(3) 및 상기 제2 와셔(5)를 모두 관통하여 삽입할 때에는 먼저,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110)와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130)를 먼저 결합하고, 상기 볼트(1)를 결합한다.
상기 볼트(1)가 결합되면, 상기 볼트(1)의 헤드부(미표기)가 위치한 와셔 조립 플레이트의 상측에 상기 덮개 플레이트(150)를 결합하고 이들을 반전시킨다. 상기 와셔 조립 플레이트와 상기 덮개 플레이트(150)가 반전되면, 상기 볼트(1)의 헤드부(미표기)는 상기 덮개 플레이트(150)에 형성된 상기 헤드 삽입홈(152)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와셔 조립 플레이트를 분리하면 상기 볼트(1)에 상기 와셔(3, 5)가 결합되어 조립된 상기 체결부재를 취득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체결부재 조립장치
1: 볼트 3: 제1 와셔, 평 와셔
5: 제2 와셔, 스프링 와셔 110: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
120: 제1 와셔 조립부 121: 제1 가이드 홀
123: 제1 와셔 홈 130: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
140: 제2 와셔 조립부 141: 제2 가이드 홀
143: 제2 와셔 홈 150: 덮개 플레이트

Claims (23)

  1.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되 제1 일측면으로부터 제1 타측면을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상기 제1타측면 방향으로 개구된 제1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홀의 가상의 중심축과 동축이며 제1 상면에서 제1 하면으로 제1 와셔의 횡단면과 대응되도록 오목한 제1 홈들이 상기 제1 가이드 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제1홈에 상기 제1와셔가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되 제2 일측면으로부터 제2 타측면을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상기 제2타측면 방향으로 개구된 제2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이드 홀의 가상의 중심축과 동축이며 제2 상면에서 제2 하면으로 제2 와셔의 횡단면과 대응되도록 오목한 제2 홈들이 상기 제2 가이드 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제2홈에 상기 제2와셔가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제2와셔 조립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볼트의 헤드부가 삽입되도록 제3 하면에서 제3 상면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헤드 삽입홈들이 형성되는 덮개 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는,
    폭 방향 양 측에 상기 제1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와셔 조립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가이드 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는,
    폭 방향 양 측에 상기 제2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가이드 측면과, 폭 방향 양 측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제2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와셔 조립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외측이 상기 제1 가이드 측면의 내측과 접촉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상면과 상기 제2하면 사이에 상기 제1 와셔의 횡단면 높이 이상의 간격을 형성하는 슬라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 플레이트는,
    폭 방향 양 측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제3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덮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외측이 상기 제2 가이드 측면의 내측과 접촉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상면과 상기 제3하면 사이에 상기 제2와셔의 횡단면 높이 이상의 간격을 형성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1와셔 조립 플레이트 및 상기 제2와셔 조립 플레이트가 겹쳐지고, 상기 제1홈에 삽입된 상기 제1와셔 및 상기 제2홈에 삽입된 상기 제2와셔에 상기 볼트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 플레이트를 상기 제2와셔 조립 플레이트 상에 결합한 뒤, 상기 제1와셔 조립 플레이트, 상기 제2와셔 조립 플레이트 및 상기 덮개 플레이트를 반전시킴에 따라 상기 볼트의 헤드부가 상기 헤드 삽입홈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1와셔는 상기 제1상면과 상기 제2하면 사이의 간격에, 상기 제2와셔는 상기 제2상면과 상기 제3하면 사이의 간격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1와셔 조립 플레이트 및 상기 제2와셔 조립 플레이트를 슬라이드시켜 분리함에 따라 상기 볼트에 상기 제1와셔 및 상기 제2와셔가 조립된 체결부재를 취득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재 조립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70107139A 2017-08-24 2017-08-24 체결부재 조립장치 KR102028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139A KR102028343B1 (ko) 2017-08-24 2017-08-24 체결부재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139A KR102028343B1 (ko) 2017-08-24 2017-08-24 체결부재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834A KR20190021834A (ko) 2019-03-06
KR102028343B1 true KR102028343B1 (ko) 2019-10-04

Family

ID=6576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139A KR102028343B1 (ko) 2017-08-24 2017-08-24 체결부재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343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368B1 (ko) 1992-10-06 1995-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볼트와 와셔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834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02008007632U1 (de) Befestigungselement zum Befestigen an einem Bolzen
US9546000B2 (en) Fixing structure for fixing a seat of a vehicle
WO2006012928A1 (de) Spreizniet
DE202013105584U1 (de) Lager für eine Unterkonstruktion, beispielsweise einer Terrasse
EP3106826A1 (de) Adapterstück und handfeuerwaffe mit einem solchen adapterstück
DE202010013008U1 (de) Spannvorrichtung eines Antriebswerkzeugs
US20170190031A1 (en) Magnetic Socket
DE102010011986B4 (de) Handgeführtes Arbeitsgerät
DE102019127165B4 (de) Drehbefestigungsvorrichtung
EP1923181B1 (de) Druckvorrichtung zur Klemmung von Teilen
EP2198170B1 (de)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anbauteiles an einem trägerteil
DE102016012586B4 (de) Lösbare Stielbefestigungskupplung für Arbeitsgeräte
KR102028343B1 (ko) 체결부재 조립장치
EP3060818B1 (en) Fastening nut
DE102010028084B4 (de) Elastisches Lager zur Aufhängung einer Abgasanlage mit einer einfach zu montierenden Grundplatte
DE102013102198A1 (de) Gewehrschaft
DE102007036922A1 (de) Clip
KR102028344B1 (ko) 체결부재 조립방법
KR20210066412A (ko) 체결부재 조립방법
US7614835B2 (en) Simple fastening device
KR101187022B1 (ko) 볼트를 이용한 조립구조
WO2004111471A1 (de) Hochlastverbindungselement für wände
DE102009047056A1 (de) Befestigungsbaugruppe, insbesondere zur Festlegung einer Wasserpumpe an einem Fahrzeugaufbau
DE2701833A1 (de) Verbindungsbeschlag fuer moebelteile
DE102009029105B4 (de) Abstandshül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