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929Y1 - 핸들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핸들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929Y1
KR900005929Y1 KR2019870016973U KR870016973U KR900005929Y1 KR 900005929 Y1 KR900005929 Y1 KR 900005929Y1 KR 2019870016973 U KR2019870016973 U KR 2019870016973U KR 870016973 U KR870016973 U KR 870016973U KR 900005929 Y1 KR900005929 Y1 KR 900005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older
fixing
fixing devic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6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624U (ko
Inventor
김대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16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929Y1/ko
Publication of KR8900076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6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9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핸들 고정장치
제1도는 종래의 핸들 고정장치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핸들 고정장치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핸들 3a : 핀삽입구멍
4a : 핸들 수납홈 7 : 절개부
8 : 홀더 고정리브 9 : 홀더
10 : 널핀(knurl pin)
본 고안은 핸들(handle) 고정장치, 특히 휴대용(portable) 음향기기의 핸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핸들은 그 홀더가 전,후부 캐비넷 사이에 끼워 고정되므로 잘 빠질뿐만 아니라, 핸들이 자중에 의해 쉽게 쓰러지게 되어 취급이 불편하였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목적은 잘 빠지지 않을뿐만 아니라, 임의 각도로 세워 놓을 수 있는 핸들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통상적인 음향기기의 핸들 고정장치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음향기기의 전부 캐비넷(1)의 상부에는 핸들(3)이 그 일단에서 힌지 결합되어 수납될 수 있는 핸들 수납홈(4a, 4b)이 각각 형성된다.
핸들(3)은 ㄷ자 형상으로 구성된 홀더(5)의 양 핀 삽입구멍(5a)와 핸들(3) 일단의 힌지핀 삽입구멍(3a)을 관통하는 힌지핀(6)에 의해 홀더(5)와 결합된다.
핸들(3)을 결합한 홀더(5)는 핸들 수납홈(4a)내에 끼워져서 후부 캐비넷(1)의 단벽(1a)과 전부 캐비넷(2)의 돌출부(2a)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고정되며, 핸들 수납홈(4b)의 상부에 형성된 턱에 의해 상하 방향 고정된다.
이와같은 종래의 핸들 고정장치는 핸들(3)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면 핸들(3)이 전,후부 캐비넷(1, 2) 사이로 빠지게 된다.
또한 핸들(3)의 자증에 의한 쓰러짐은 힌지핀(6)의 칫수를 크게 하여 핸들(3)의 힌지핀 삽입구멍(3a)과 억지끼워 맞춤시킴으로써 방지하지만 이 칫수 맞춤이 어려운 난점이 있어서 설계상 많은 제약이 있었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라 구성된 핸들 고정장치의 구조를 보이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 장치는 핸들 수납홈(4a)과 단벽(1a)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후술하는 홀더(9)의 형상에 대응하는 절개부(7)와, 홀더(9)가 끼워 맞춤된 후 홀더(9)의 상판을 눌러 지지하는 탄성 부재로 된 홀더고정리브(holder fixing rib : 3)로 구성된다.
홀더(9)의 폭은 결합시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절개부(7)의 폭보다 0.1~0.3mm정도 크게 형성되며, 널핀(10)은 그 외주에 널(knurl) 가공되어 형성된 돌기를 구비하며 돌기간의 직경은 핸들(3)의 핀 삽입구멍(3a)의 지름보다 0.1~0.2mm정도 크게 된다.
본 고안 장치를 이용하여 핸들(3)을 고정하려면, 먼저 핸들(3)을 핸들 수납홈(4a)을 통해 삽입한뒤 홀더고정리브(8)를 아래로 누르고 홀더(9)를 절개부(7)의 측방으로 부터 끼워넣는다.
이때 널핀(10) 외주의 돌기는 강제 변형되면서 핸들(3)의 핀 삽입구멍(3a)에 삽입되어 상호 단단히 결합된다.
결합이 완료된 후 홀더고정리브(8)에 가한 강제력을 제거하면 홀더고정리브(8)는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홀더(9)의 상면을 눌러 결합을 유지시킨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핸들고정장치를 사용하면, 핸들이 후부 캐비넷(구성에 따라서는 전부 캐비넷)에 의해서만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핸들이 이탈될 염려가 없으며, 핸들과 널핀이 단단하게 고착되므로 핸들이 자중에 의하여 쓰러지지 않고 임의 위치에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부재의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여 제작비 및 공수절감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예시일 뿐이며 본 고안은 이에 극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을 핸들 수납홈의 양면에 복수 구비하는 구성 등은 당연히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

  1. 일단에 핀 삽입구멍(3a)을 구비한 핸들(3)과 상기 핸들(3)을 수납하는 핸들 수납홈(4a)과, 상기 핸들 수납홈(4a)의 일단을 막고 있는 단벽(1a)과, 상기 핸들(3)과 결합되어 지지하는 홀더로 구성되는 핸들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9)가 판상으로 형성되어, 외주에 널 가공된 돌기가 형성된 널핀(10)을 구비하며, 상기 핸들 수납홈(4a)이 단벽(1a)의 측단부에 상기 홀더(9)에 대응하는 절개부(7)가 구비되며, 상기 핸들 수납홈(4a)의 측방에 탄성 부재로 구성된 홀더고정리브(8)가 구비되어 상기 홀더고정리브(8)를 하방으로 강제로 누른 상태에서, 상기 홀더(9)를 상기 절개부(7)에 끼우면 상기 널핀(10)의 돌기가 강제 변형되며 상기 핸들(3)의 핀 삽입구멍(3a)에 삽입되고 상기 홀더고정리브(8)에 가한 강제력을 제거하면 상기 홀더고정리브(8)가 탄성력에 의해 복귀하여 상기 홀더(9)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고정장치.
KR2019870016973U 1987-09-30 1987-09-30 핸들 고정장치 KR900005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6973U KR900005929Y1 (ko) 1987-09-30 1987-09-30 핸들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6973U KR900005929Y1 (ko) 1987-09-30 1987-09-30 핸들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624U KR890007624U (ko) 1989-05-17
KR900005929Y1 true KR900005929Y1 (ko) 1990-06-30

Family

ID=19268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6973U KR900005929Y1 (ko) 1987-09-30 1987-09-30 핸들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9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624U (ko) 198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7315B1 (en) Portable computer with detachable display module
US5178556A (en) Computer plug connector fastening mechanism
US5953473A (en) Connector
US6082842A (en) Separate type computer housing support frame structure
US5716228A (en) Computer plug connector fastening mechanism
EP1228721B1 (en) Ouick-on shelf support for furniture and the like
JP2910542B2 (ja) L型バルブソケット
KR900005929Y1 (ko) 핸들 고정장치
KR101109597B1 (ko)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한 삼각대
US5301250A (en) Optical fiber terminator
JPH0617345Y2 (ja) ジャックの取付け装置
US6471536B1 (en) Zero Insertion Force socket having mechanical fastening device
KR900003119Y1 (ko) 전기,전자제품의 캐비네트 분리장치
US5284079A (en) Tambourine
JP3422265B2 (ja) コンセント取付装置
JP2529986Y2 (ja) 信号線雑音防止装置
KR930000349Y1 (ko) 모니터의 스탠드 고정구조
KR910003456Y1 (ko) 턴테이블의 디스크판 고정용 어댑터의 고정장치
EP0573422A1 (en) INDICATOR SIGN AND CORRESPONDING ACCESSORIES.
KR200149491Y1 (ko) 기판 고정용 홀더
KR890007791Y1 (ko) Crt 받침대 고정장치
KR910003621Y1 (ko) 비디오비젼의 vcr과이면조립판 사이의 전면 갭 방지장치
KR0116638Y1 (ko) 캠코더의 배터리 결합장치
KR200160973Y1 (ko) 도어부재의 버튼부 탄발장치
JPH051791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