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597B1 -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한 삼각대 - Google Patents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한 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597B1
KR101109597B1 KR1020050098715A KR20050098715A KR101109597B1 KR 101109597 B1 KR101109597 B1 KR 101109597B1 KR 1020050098715 A KR1020050098715 A KR 1020050098715A KR 20050098715 A KR20050098715 A KR 20050098715A KR 101109597 B1 KR101109597 B1 KR 101109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od
connector
digital device
assembl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2761A (ko
Inventor
김태훈
정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8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597B1/ko
Publication of KR20070042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는, 디지털 기기가 안착되며 디지털 기기의 피매일(female)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는 매일(male) 커넥터부가 구비된 상면부, 삼각대 체결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면부, 양 측면부에 형성된 2개의 제1관통홀, 및 매일 커넥터의 양 측단부에서 상면부와 하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2개의 제2관통홀을 갖는 삼각대 어댑터 본체; 상단부에 훅크가 형성되어 있고, 제2관통홀을 통하여 삼각대 어댑터 본체의 하면부에서 상면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매일 커넥터의 양 측단부에 밀착되면서 조립되며, 하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측면부를 내측으로 누르면 제2관통홀에 지지되어 훅크가 매일 커넥터이 양 측단부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된 2개의 잠금 부재; 및 제2관통홀에 삽입되어 잠금 부재의 측면부를 누름/해제하도록 조립되는 버튼 부재를 구비하여, 버튼 부재를 누르면 잠금 부재의 상단부가 매일 커넥터부의 양 측단부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져서 훅크가 디지털 기기의 피매일 인터페이스 커넥터의 내측에 걸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에 의하면 피메일 인터페이스가 하단면에 구비된 디지털 기기를 그 두께에 관계없이 삼각대에 단단히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한 삼각대{Tripod adaptor for digital device and tripod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b는 도 1의 삼각대 어댑터가 조립된 상태의 하면 사시도이다.
도 3a, b는 도 1의 삼각대 어댑터가 조립된 상태의 상면 사시도로서, 잠금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각각 도 2a, b의 상태에 대응한다.
도 4는 도2b에서 하부 덮개가 조립된 상태의 하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전면 격벽의 내측에서 다이얼 스크류의 타단에 홀더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b는 도 6a에서 다이얼 스크류가 격벽 내측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고 이에 따라 홀더 부재도 내측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에 디지털 카메라(10)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를 삼각대에 결합하기 위한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기기 하단에 구비된 나사 체결홈과 삼각대의 거치대에 구비된 나사가 결합되는 방식에 의해 디지털 기기가 삼각대에 장착된다. 그러나 최근의 디지털 기기가 슬림(slim)화 되어감에 따라 나사 체결홈 설치가 어려워지고 있다.
최근의 슬림화된 디지털 기기의 하단면에는 피메일 인터페이스 커넥터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디지털 기기를 삼각대에 장착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메일 커넥터가 설치된 크래들(cradle)에 삽입하고, 크래들을 삼각대에 나사 결합하는 구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이동시에 커넥터 결합이 헐거워져서 디지털 기기가 크래들에서 분리되어 손상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메일 인터페이스가 하단면에 구비된 디지털 기기를 장착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한 삼각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 댑터는,
디지털 기기가 안착되며 상기 디지털 기기의 피매일(female)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는 매일(male) 커넥터부가 구비된 상면부, 삼각대 체결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면부, 양 측면부에 형성된 2개의 제1관통홀, 및 상기 매일 커넥터의 양 측단부에서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2개의 제2관통홀을 갖는 삼각대 어댑터 본체;
상단부에 훅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삼각대 어댑터 본체의 하면부에서 상면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매일 커넥터의 양 측단부에 밀착되면서 조립되며, 하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측면부를 내측으로 누르면 상기 제2관통홀에 지지되어 상기 훅크가 상기 매일 커넥터이 양 측단부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된 2개의 잠금 부재; 및
상기 제2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 부재의 측면부를 누름/해제하도록 조립되는 버튼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버튼 부재를 누르면 상기 잠금 부재의 상단부가 상기 매일 커넥터부의 양 측단부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져서 상기 훅크가 상기 디지털 기기의 피매일 인터페이스 커넥터의 내측에 걸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개의 잠금부재는, 하단부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삼각대 어댑터 본체는, 상기 상면부의 전후 단부에 전면 격벽과 후면 격벽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격벽에 장착되어 상기 디지털 기기의 전면과 후면을 밀착 하여 고정하는 기기 고정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면 격벽을 관통하여 너트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기 고정부재는 상기 너트홀에 관통하여 조립되며 외측 일단에 다이얼 부재가 부착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가 상기 너트홀에 관통하여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의 타단에 고정된 홀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는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 및 상기 삼각대 체결 고정부재에 조립되는 삼각대 다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로서, 삼각대 어댑터 본체(100)와 2개의 잠금부재(113, 114), 2개의 버튼 부재(110, 111)을 구비한다.
삼각대 어댑터 본체(100)는 디지털 기기(미도시)가 안착되며 디지털 기기의 피매일(female) 인터페이스 커넥터(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는 매일(male) 커넥터부(104)가 구비된 상면부(101), 삼각대 체결 고정부재(112)가 구비된 하면부(도 2a 참조), 양 측면부에 형성된 2개의 제1관통홀(106), 및 매일 커넥터(104)의 양 측단부에서 상면부와 하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2개의 제2관통홀(105)를 구비한다.
2개의 잠금 부재(113, 114)는 상단부에 훅크(113-5, 114-5)가 형성되어 있 다. 그리고 제2관통홀(105)을 통하여 삼각대 어댑터 본체(100)의 하면부(도 2참조)에서 상면부(101) 방향으로 삽입되어 매일 커넥터(104)의 양 측단부에 그 상부(113-4, 114-4)가 밀착되면서 조립된다. 잠금 부재(113, 114)는 하단부(113-1, 114-1)가 지지된 상태에서 측면(113-3, 114-3)을 내측으로 누르면 제2관통홀(105)에 지지되어 훅크(113-5, 114-5)가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러한 잠금 부재의 동작에 대하여는 도 3a 및 도 3b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버튼 부재(110, 111)는 좌후 측면의 제2관통홀(106)에 삽입되어, 버튼부재(110, 111)의 누름봉(110-2, 111-2)이 잠금 부재(113, 114)의 측면부(113-3, 114-3)를 누름/해제하도록 조립된다.
이 때 누름봉(110-2, 111-2)과 잠금 부재 측면부(113-3, 114-3)의 접촉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버튼 부재(110, 111)에는 단부(110-3, 111-3)가 더 형성되고, 잠금 부재(113, 114)의 측면부에는 안내홀(113-3, 114-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조립시 버튼 부재(110, 111)의 단부(110-3, 111-3)가 잠금 부재(113, 114)의 안내홀(113-3, 114-3)에 삽입된다.
도 2a, b는 도 1의 삼각대 어댑터가 조립된 상태의 하면 사시도이다.
도 2a는 버튼 부재(110-3, 111-3)가 본체 측면의 외측으로 튀어나와 있는 상태로서, 누름봉(110-2, 111-2)이 잠금 부재(113)의 측면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2b는 버튼 부재(110-3, 111-3)가 참조번호 118 방향으로 눌려진 상태로서, 누름봉(110-2, 111-2)이 잠금 부재(113)의 측면을 누른 상태이다.
도 1 및 도 2a,b에서는 잠금부재(113, 114)가 분리된 형태로 되어 있으나, 잠금부재의 하단부(113-1, 114-1)이 보스(120)의 둘레를 도피하여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a, b는 도 1의 삼각대 어댑터가 조립된 상태의 상면 사시도로서, 잠금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각각 도 2a, b의 상태에 대응한다.
도 3a는 버튼 부재(110, 111)가 본체 측면의 외측으로 튀어나와 있는 상태로서, 잠금 부재의 측면(113-3, 114-3)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잠금 부재(113, 114)의 훅크(113-5, 114-5)가 매일 커넥터(104)의 양측단부에 밀착된 상태이다.
도 3b는 버튼 부재(110-3, 111-3)가 참조번호 118 방향으로 눌려진 상태로서, 누름봉(도 2b의 110-2, 111-2)이 잠금 부재의 측면(113-3, 114-3)을 누른 상태이다. 이렇게 되면 잠금 부재의 하단부(113-1, 114-1)가 삼각대 고정부재(112)가 삽입된 보스(120)에 지지되고 잠금 부재의 상부(113-4, 114-4)의 하단이 관통홀(105)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훅크(113-5, 114-5)가 매일 커넥터(104)의 양측단부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된다.
만일 디지털 기기(미도시)의 피매일 인터페이스 커넥터가 매일 커넥터(104)에 삽입되어 있다면, 피매일 인터페이스 커넥터 내측에 훅크(113-5, 114-5)가 걸리게 되어 단단히 고정된 상태가 된다.
도 4는 도2b에서 하부 덮개(115)가 조립된 상태의 하면 사시도이다.
하부 덮개(115)가 조립용 보스(116)에 나사 등을 이용하여 조립된 상태에서 삼각대 고정부재(112)가 노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로서, 삼각대 어댑터 본체(200)와 2개의 잠금부재(113, 114), 2개의 버튼 부재(110, 111)을 구비한다.
삼각대 어댑터 본체(200)는 상면부의 전후 단부에 전면 격벽(202-1, 202-2)과 후면 격벽(203)을 구비한다.
그리고 기기 고정부재(222, 226)이 전면 격벽(202-2)에 장착되어 디지털 기기(도 7의 10 참조)의 전면과 후면을 밀착하여 고정한다.
기기 고정부재(222, 226)는 예컨대 다이얼 스크류(222)와 홀더부재(226)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면 격벽(202-2)을 관통하여 너트홀(207)이 형성되어 있고, 너트홀(207)에 인서트 너트(203)가 삽입되어 성형된다.
다이얼 스크류(222)는 너트(203)에 관통하여 조립되며 외측 일단에 다이얼 부재(220)가 부착된 스크류(221)로서 구비된다.
그리고 스크류(221)가 너트(203)에 관통하여 조립된 상태에서 스크류(221)의 타단에 홀더(225)가 구비된다.
도 5에서 홀더(225)를 스크류(107)의 타단에 고정하는 부재로서 e-링(224)이 사용될 수 있다. 스크류(221)의 타단이 e-링(224)에 끼워진 상태에서 홀더(225)의 삽입구(227)에 압입되게 된다. 다이얼 스크류(222)와 홀더 부재(226)가 조립된 상태가 도 6a,b에 도시되어 있다.
도 6a는 전면 격벽(202-1)의 내측에서 다이얼 스크류(222)의 타단에 홀더(226)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다. 버튼 부재(110)는 눌려지지 않은 상태로서, 훅크(113-5)가 매일 커넥터(204) 양측단에 밀착되어 있다.
도 6b는 도 6a에서 다이얼 스크류(222)가 격벽 내측방향(230)으로 회전 이동하고 이에 따라 홀더 부재(226)도 내측방향(231)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그리고 버튼 부재(110)가 참조번호 218 방향으로 눌려져서 매일 커넥터(204) 양측단에 밀착되어 있던 잠금 부재 상부(113-4)와 훅크(113-5)가 외측(219)으로 벌어지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에 디지털 카메라(10)가 장착되고 삼각대 다리(2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에 의하면 피메일 인터페이스가 하단면에 구비된 디지털 기기를 그 두께에 관계없이 삼각대에 단단히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디지털 기기가 안착되며 상기 디지털 기기의 피매일(female)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는 매일(male) 커넥터부가 구비된 상면부, 삼각대 체결 고정부재가 구비된 하면부, 양 측면부에 형성된 2개의 제1관통홀, 및 상기 매일 커넥터의 양 측단부에서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2개의 제2관통홀을 갖는 삼각대 어댑터 본체;
    상단부에 훅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삼각대 어댑터 본체의 하면부에서 상면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매일 커넥터의 양 측단부에 밀착되면서 조립되며, 하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측면부를 내측으로 누르면 상기 제2관통홀에 지지되어 상기 훅크가 상기 매일 커넥터이 양 측단부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된 2개의 잠금 부재; 및
    상기 제2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 부재의 측면부를 누름/해제하도록 조립되는 버튼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버튼 부재를 누르면 상기 잠금 부재의 상단부가 상기 매일 커넥터부의 양 측단부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져서 상기 훅크가 상기 디지털 기기의 피매일 인터페이스 커넥터의 내측에 걸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잠금부재는
    하단부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대 어댑터 본체는
    상기 상면부의 전후 단부에 전면 격벽과 후면 격벽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격벽에 장착되어 상기 디지털 기기의 전면과 후면을 밀착하여 고정하는 기기 고정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격벽을 관통하여 너트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기 고정부재는 상기 너트홀에 관통하여 조립되며 외측 일단에 다이얼 부재가 부착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가 상기 너트홀에 관통하여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의 타단에 고정된 홀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 및
    상기 삼각대 체결 고정부재에 조립되는 삼각대 다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KR1020050098715A 2005-10-19 2005-10-19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한 삼각대 KR101109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715A KR101109597B1 (ko) 2005-10-19 2005-10-19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한 삼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715A KR101109597B1 (ko) 2005-10-19 2005-10-19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한 삼각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761A KR20070042761A (ko) 2007-04-24
KR101109597B1 true KR101109597B1 (ko) 2012-01-31

Family

ID=3817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715A KR101109597B1 (ko) 2005-10-19 2005-10-19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한 삼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5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596B1 (ko) * 2005-10-19 2012-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한 삼각대
KR101032209B1 (ko) * 2010-09-27 2011-05-02 (주)지오투정보기술 탈부착식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량기의 높이를 측정하는 장치
KR101108375B1 (ko) * 2011-02-16 2012-01-30 (주)지오투정보기술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량기의 높이를 측정하는 장치
KR101478522B1 (ko) * 2013-07-18 2015-01-05 이문희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6297B2 (ja) * 1995-08-18 1999-03-31 光英 星 パイプ溶接用固定治具
KR20050072850A (ko) * 2004-01-06 2005-07-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촬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74769A (ko) * 2004-01-14 2005-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삼각대
KR20050095188A (ko) * 2004-03-25 2005-09-2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 거치용 삼각대 홀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6297B2 (ja) * 1995-08-18 1999-03-31 光英 星 パイプ溶接用固定治具
KR20050072850A (ko) * 2004-01-06 2005-07-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촬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74769A (ko) * 2004-01-14 2005-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삼각대
KR20050095188A (ko) * 2004-03-25 2005-09-2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 거치용 삼각대 홀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761A (ko) 200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4851B (zh) 具有外接式影像擷取模組之電子裝置
US7441813B2 (en) Battery cover latching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094439B2 (en) Latch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7009847B1 (en) Connector concealment mechanism for computer peripheral device
CN101404860B (zh) 可安装带的便携设备
US7314383B1 (en) Plug connector
US8068334B2 (en) Electronic device
US8231994B2 (en) Battery cover mechanism
US6173843B1 (en) Computer expansion card latching and retention mechanism
US10422966B2 (en) Optical fiber connection system
KR101109597B1 (ko)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한 삼각대
KR102046867B1 (ko) 전자 장치 및 그 결합 구조
US8500485B2 (en) Fixing apparatus for connector
KR20050098078A (ko) 전기접속용 커넥터
US20100165552A1 (en) Battery cover latching mechanism
US865762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10723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latching assembly
US7841874B2 (en) Socket protector
US7648288B2 (en) Optical transmission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with use thereof
US7995338B2 (en) Cover latch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40377981A1 (en) Cable binding device
KR101109596B1 (ko) 디지털 기기용 삼각대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한 삼각대
US20050123247A1 (en) Optical fiber connector
US20110195594A1 (en) Rj-45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0566493B1 (ko) 전기접속용 커넥터의 셔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