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867B1 - 전자 장치 및 그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867B1
KR102046867B1 KR1020130041810A KR20130041810A KR102046867B1 KR 102046867 B1 KR102046867 B1 KR 102046867B1 KR 1020130041810 A KR1020130041810 A KR 1020130041810A KR 20130041810 A KR20130041810 A KR 20130041810A KR 102046867 B1 KR102046867 B1 KR 102046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lider
bracket
rear hous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4272A (ko
Inventor
박승화
김병선
정현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1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867B1/ko
Priority to US14/243,216 priority patent/US9915980B2/en
Publication of KR20140124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결합되고, 다수의 전자 부품들이 고정되는 브라켓 및 레일에서 이탈되지 않고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전자 장치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결합 구조{ELECTRONIC DEVICE AND ASSEMBLY STRUCTURE THEREO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탈부착 가능한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그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이동 통신 단말기(셀룰러폰), 전자수첩, 개인 복합 단말기, TV(Television), 랩 탑 컴퓨터 등의 전자 장치는 현대사회의 필수품이 되어가면서, 빠르게 변 화하는 정보 전달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을 통해 사용자의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웹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멀티 미디어들을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최근, 휴대성이 강조되는 전자 장치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자 장치는 더 얇고 더 가벼운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큰 터치스크린의 전자 장치를 선호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터치스크린이 커지게 되면 전자 장치의 부피 또한 커지게 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전자 장치의 테두리(예 : 베젤) 두께를 줄여 사용자에게 화면에 대한 몰임감을 극대화하고, 우아함을 부여하고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들 간의 기계적 결합력을 높여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들 사이의 결합 부분에 틈이 벌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의 탈부착 가능한 하우징을 단순 조작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부품(예: 터치스크린, PCB 등)을 지지하도록 전자 장치에 수용되는 금속 또는 비금속의 브라켓과 전자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결합되고, 다수의 전자 부품들이 고정되는 브라켓 및 레일에서 이탈되지 않고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전자 장치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탈부착 가능한 하우징을 전자 장치에 높은 결합력으로 결합할 수 있고, 반대로 전자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리어 하우징을 분리한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과 리어 하우징 사이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리어 하우징의 내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리어 하우징 및 슬라이더의 결합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 및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과 리어 하우징의 결합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브라켓과 리어 하우징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단면도;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브라켓과 리어 하우징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의 리어 하우징의 평면도;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브라켓과 리어 하우징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3 및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슬라이더의 복귀 제지 수단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슬라이더의 복귀 제지 수단의 동작에 따른 브라켓과 리어 하우징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슬라이더의 복귀 제지 수단의 동작에 따른 리어 하우징의 평면도;
도 1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슬라이더의 복귀 제지 수단의 동작에 따른 브라켓과 리어 하우징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브라켓과 리어 하우징 사이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리어 하우징의 내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리어 하우징의 내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리어 하우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2는 도 21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2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과 리어 하우징 간의 체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4는 도 23의 실시예에 따른 축의 걸림부 및 이탈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25 및 2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과 리어 하우징 사이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7은 도 25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지지대와 링크들 사이의 연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28은 도 25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들 사이의 연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29는 도 25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0은 본 25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사시도;
도 31은 도 25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 및 덮개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2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는 영상을 표시하고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스크린(101)과,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 세서(102) 및 촬영용 카메라(103)가 탑재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하단에는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104)과, USB(Universal Serial Bus) 연결 및 충전용 포트(105)가 탑재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양측단에는 전기 신호를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106,107)가 각각 탑재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우측 상단에는 DMB(Digital Multimedia Brocasting)용 안테나(108)가 탑재될 수 있고, 이 안테나(108)는 외부로 꺼내져 신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단에는 유심(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를 삽입시킬 수 있는 소켓(109)이 탑재될 수 있고, 소켓(109)은 사용되지 않을 경우 덮개로 덮여질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단에는 이어폰, 이어셋 등의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잭(110)이 탑재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단에는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버튼(111)이 탑재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단에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는 버튼(112)이 탑재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는 촬영용 카메라(113) 및 촬영용 플래시(114)가 탑재될 수 있다. 상술한 전자 부품들은 미도시된 PCB(Printed Circuit Boar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PCB(Printed Circuit Board)는 기본 회로와 다수의 전자 부품들이 실장된 기판으로, 전자 장치(100)의 실행 환경을 설정하고 그 정보를 유지해 주고 전자 장치(100)를 안정적으로 구동되게 해주며, 전자 장치(100)의 모든 장치들의 데이터 입출력 교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미도시된 배터리는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자 장치(100)의 구동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자 부품들은 PCB에 실장되거나, 또는 케이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매개로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고, 전자 부품들을 포용할 수 있는 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전자 장치(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하우징(210)과, 전자 장치(100)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하우징(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프론트 하우징(210)과 리어 하우징(220) 사이에 개재되는 브라켓(bracket)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은 비금속 또는 금속 재질의 구조물을 말하며, 프론트 하우징(210)에 결합되고 다수의 전자 부품들을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리어 하우징(220)은 브라켓에 탈부착 가능하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01)은 브라켓(230)의 상부(301)에 형성된 홈(3011)에 안착될 수 있다. 브라켓(230)은 나사(240)를 이용하여 프론트 하우징(210)에 결합되고, 터치스크린(101)은 브라켓(230)과 프론트 하우징(210)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PCB(Printed Circuit Board)(310)는 나사(330)를 이용하여 브라켓(230)의 하부(302)에 형성된 홈(3021)에 고정될 수 있다. 배터리(320)는 금속판(3201)에 부착될 수 있고, 배터리(320)가 부착된 금속판(3201)은 나사(340)를 이용하여 브라켓(23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배터리(320)가 부착된 금속판(3201)은 브라켓(230)에 형성된 중공(303)에 배치될 수 있고, 배터리(320)의 일부는 중공(303)에 끼워질 수 있다. 터치스크린(101)은 PCB(310) 및 배터리(320)와 중첩될 수 있다. PCB(310)는 배터리(320)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210)은 브라켓(230)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보스(211)를 가질 수 있다. 보스(211)는 나사와 체결되는 나사홀이 형성된 나사 체결부(212)를 가질 수 있다. 나사 체결부(212)는 금속이고, 사출 성형시 보스(21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230)은 프론트 하우징(210)의 보스(211)와의 나사 체결을 위한 홀(231)을 가질 수 있다. 나사(240)는 브라켓(230)의 홀(231)을 관통하고, 프론트 하우징(210)의 보스(211)에 체결됨으로써, 프론트 하우징(210)과 브라켓(230)은 결합될 수 있다. 보스(211) 및 홀(231)은 전자 장치(100)의 테두리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220)은 브라켓(230)에 탈부착될 수 있는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리어 하우징을 분리한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PCB(310)는 나사(330)를 이용하여 브라켓(230)에 형성된 홈(3021)에 고정될 수 있다. 배터리(320)가 부착된 금속판(3201)은 나사(340)를 이용하여 브라켓(230)에 형성된 개구(303)에 고정될 수 있다. 부품들(105, 106, 107, 109, 111, 112, 113, 114 등)은 브라켓(230)에 형성된 홈(304)에 끼워 맞춰져 고정될 수 있다. PCB(310)와 금속판(3201)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브라켓(230)의 왼쪽 테두리(410) 및 아래쪽 테두리(420)에는 후크암들(451), 체결 돌기들(452) 및 후크 걸림턱들(453)이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230)의 오른쪽 테두리(430) 및 위쪽 테두리(440)에는 체결 돌기들(452) 및 후크 걸림턱들(453)이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후크암들(451) 및 체결 돌기들(452)은 브라켓(230)의 표면(302)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크 걸림턱들(453)은 테두리 바깥으로 개구된 형상일 수 있다. 체결 돌기들(452) 사이에는 후크 걸림턱들(453)들이 배치될 수 있다. 후크암들(451) 사이에는 체결 돌기들(452) 및 후크 걸림턱들(453) 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후크암들(451)은 왼쪽 테두리(410)와 아래쪽 테두리(420)가 연결되는 모퉁이(corner)(450) 기준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브라켓과 리어 하우징 사이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브라켓(230)의 상부(301)에는 터치스크린(101)을 안착시킬 수 있는 홈(3011)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230)에는 배터리(320)가 부착된 금속판(3201)이 고정되는 개구(303)가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230)의 4개의 테두리(410, 420, 430, 440)의 하부(도 3의 302)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후크암들(도 4의 451) 및 체결 돌기들(도 4의 452)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230)의 테두리에는 바깥으로 개구된 형상의 후크 걸림턱들(453)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220)은 바닥(561)과 측벽(562)으로 이루어진 사각 용기 형상일 수 있다. 바닥(561)과 측벽(562) 사이의 연결 부분은 매끄러운 형상일 수 있다. 측벽들(562) 사이의 연결 부분은 둥근 형태의 매끄러운 모퉁이일 수 있다. 측벽(562)은 바닥(561)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져 있거나 또는 수직으로 세워져 있지 않을 수 있다.
리어 하우징(220)의 4개의 테두리(510, 520, 530, 540) 내측에는 브라켓(230)의 체결 돌기들(452)과 결합 가능한 체결 리브들(552)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220)과 브라켓(230)이 결합되는 경우, 브라켓(230)의 체결 돌기들(452)은 리어 하우징(220)의 체결 리브들(552)의 홈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체결 리브들(552)은 리어 하우징(220)의 바닥(561) 및 측벽(562)에 연결되어 있고, 측벽(562)은 체결 리브들(552)에 의해 일정 이상 바깥으로 벌어질 수 없다.
리어 하우징(220)의 측벽(562) 내측에는 브라켓(230)의 후크 걸림턱들 (453)과 후크 결합 가능한 후크 돌기들(553)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리어 하우징(220)과 브라켓(230)이 결합되는 경우, 후크 돌기들(553)은 측벽(562)의 탄성 휨 변형 하에 후크 걸림턱들(453)을 타고 넘고 후크 걸림턱들(453)에 의해 이탈을 제지 받을 수 있다. 리어 하우징(220)의 교차하는 테두리(510, 520) 바닥(561)에는 레일(rail)(60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레일(600)은 대체로 직육면체의 수평 부재일 수 있다. 레일(600)의 상부(610)에는 압축 스프링(800)을 수용할 수 있는 압축 스프링 수용부(611)와, 나사들(900)과의 체결을 위한 나사 체결부들(612)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600)의 상부(610)에는 브라켓(230)의 후크암들(451) 단부에 형성된 후크(도 12의 4511)를 수용할 수 있는 후크 수용부들(614)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600)의 측부(630)와 리어 하우징(220)의 측벽(562)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700)는 레일(600)에 안착되고, 압축 스프링(800)의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레일(600)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더들(700)은 레일(600)의 상부(610)와 접촉하는 상부 벽(710), 레일(600)의 안쪽 측부(620)와 접촉하는 안쪽 측부 벽(720) 및 레일(600)의 바깥쪽 측부(630)와 접촉하는 바깥쪽 측부 벽(730)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하우징(220)의 바깥쪽 측부 벽(730)은 레일(600)의 바깥쪽 측부(630)와 리어 하우징(220)의 측벽(56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슬라이더(700)의 안쪽 측부 벽(720)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슬라이더(700)의 상부 벽(710)에는 슬라이더(700)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홀들(712)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600)의 나사 체결부들(612)은 수직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더(700)의 가이드 홀들(712)을 관통할 수 있다. 슬라이더(700)가 이동되는 경우, 슬라이더(700)의 가이드 홀들(712) 상에서의 레일(600)의 나사 체결부들(612)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슬라이더(700)는 레일(600)의 압축 스프링 수용부(611)로 삽입되는 지지대(도 12의 713)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 스프링(800)의 일단은 지지대(713)에 맞닿아 있고, 그 타단은 압축 스프링 수용부(611)의 내측에 맞닿아 있을 수 있다. 슬라이더(700)는 지지대(713)에 의해 압축 스프링(800)의 탄성 지지를 받을 수 있다. 슬라이더(700)는 압축 스프링(80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700)의 상부 벽(710)에는 브라켓(230)의 후크암들(451)과 후크 결합할 수 있는 후크 걸림 홀들(714)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230)의 후크암들(451)의 후크(4511)는 말단으로 상대적으로 얇은 형상으로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700)의 후크 걸림 홀들(714)의 테두리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230)의 후크암들(451)의 후크(도 12의 4511)는 슬라이더(700)의 후크 걸림 홀들(714)을 통과하는 경우, 슬라이더(700)의 후크 걸림 홀들(714)의 테두리를 가압하게 되고, 슬라이더(700)는 미끄럼 이동될 수 있다. 브라켓(230)의 후크암들(451)의 후크(4511)는 레일(600)의 후크 수용부들(614)로 완전히 수용되는 경우, 슬라이더(700)는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레일(600)의 후크 수용부들(614)에 수용된 브라켓(230)의 후크암들(451)의 후크(4511)는 원위치로 복귀된 슬라이더(700)의 후크 걸림 홀들(714)의 테두리에 걸려 수직으로 이탈될 수 없다.
슬라이더(700)의 안쪽 측부 벽(720)의 아래쪽 단부에는 숫후크(721)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220)의 바닥(561)에는 슬라이더(700)의 숫후크(721)와 후크 체결될 수 있는 암후크(640)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700)가 압축 스프링(800)을 압축하면서 임계 거리 이상 이동된 경우, 슬라이더(700)의 숫후크(721)는 리어 하우징(220)의 암후크(640)에 결합될 수 있고, 슬라이더(700)는 압축 스프링(800)의 탄성에 의해 복귀될 수 없다.
나사들(900)의 목(912)에는 소정 피치(pitch)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나사들(900)의 목은 슬라이더(700)의 가이드 홀(712)을 관통한 레일(600)의 나사 체결부들(612)에 체결될 수 있다. 슬라이더(700)의 상부 벽(710)은 나사들(900)의 머리(911)와 레일(600)의 상부(6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나사들(900)의 머리(911)는 슬라이더(700)의 가이드 홀들(712)보다 넓은 너비를 가지므로, 슬라이더(700)는 나사들(900)의 머리(911)에 의해 수직으로 이탈될 수 없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리어 하우징의 내측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체결 리브들(552)은 리어 하우징(220)의 바닥(561) 및 측벽(562)에 연결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측벽(562)이 일정 이상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체결 리브들(552)는 브라켓(230)의 체결 돌기들(452)을 끼워 맞출 수 있는 홈(5521)을 형성할 수 있다. 후크 돌기들(553)은 리어 하우징(220)의 측벽(562)에 형성될 수 있고, 체결 리브들(5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리어 하우징과 슬라이더의 결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슬라이더들(700)은 리어 하우징(220)의 바닥(561)에 형성된 레일(600)에 안착되고, 레일(600)의 나사 체결부들(612)은 슬라이더들(700)에 형성된 가이드 홀들(712)을 관통할 수 있다. 나사들(900)은 레일들(600)의 나사 체결부들(612)에 체결될 수 있다. 슬라이더(700)의 상부 벽(710)은 나사들(900)의 머리(911)와 레일(600)의 상부(6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나사들(900)의 머리(911)는 슬라이더(700)의 가이드 홀들(712)보다 넓은 너비를 가지므로, 슬라이더(700)는 나사들(900)의 머리(911)에 의해 수직으로 이탈될 수 없다. 슬라이더들(700)의 상부 벽(710)에는 브라켓(230)의 후크암들(451)과 후크 결합할 수 있는 후크 걸림 홀들(714)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220)에는 브라켓(230)의 후크암들(451)의 후크(4511)를 수용할 수 있는 후크 수용부(614)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일(600)에는 압축 스프링(800)을 수용할 수 있는 압축 스프링 수용부(611)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700)는 레일(600)의 압축 스프링 수용부(611)에 수용된 압축 스프링(800)의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레일들(60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 8 및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브라켓과 리어 하우징의 결합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리어 하우징(220)의 레일(600)에 형성된 나사 체결부(612)는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상단부(6121)는 슬라이더(700)의 가이드 홀(712)을 관통할 수 있다. 나사(900)의 목(912)은 나사 체결부(612)에 체결되고, 나사(900)의 머리(911)는 나사 체결부(612)의 상단부(6121)와 맞닿을 수 있다. 브라켓(230)의 후크암들(451)의 후크(4511)는 말단으로 상대적으로 얇은 형상으로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700)의 후크 걸림 홀들(714)의 테두리(7141)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230)의 후크암들(451)의 후크(4511)는 슬라이더(700)의 후크 걸림 홀들(714)을 통과하는 경우, 슬라이더(700)의 후크 걸림 홀들(714)의 테두리(7141)를 가압하게 되고, 슬라이더(700)는 미끄럼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더(700)의 가이드 홀들(712)은 슬라이더(700)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놓여져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700)의 이동 시 슬라이더(700)의 가이드 홀들(712) 상에서의 레일(600)의 나사 체결부(612)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브라켓과 리어 하우징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의 동작에 이어 브라켓(230)이 리어 하우징(200)에 완전히 밀착되는 경우, 브라켓(230)의 후크암들(451)의 후크(4511)는 슬라이더(700)의 후크 걸림 홀들(714)을 벗어나게 되고, 레일(600)의 후크 수용부들(614)에 수용될 수 있다. 브라켓(230)의 후크암들(451)의 후크(4511)는 레일(600)의 후크 수용부들(614)로 완전히 수용되는 경우, 후크암들(451)의 목 부분(4512)이 슬라이더(700)의 후크 걸림 홀들(714)에 배치되고, 슬라이더(700)는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레일(600)의 후크 수용부들(614)에 수용된 브라켓(230)의 후크암들(451)의 후크(4511)는 원위치로 복귀된 슬라이더(700)의 후크 걸림 홀들(714)의 테두리에 걸려 수직으로 이탈될 수 없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브라켓과 리어 하우징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의 리어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브라켓과 리어 하우징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브라켓(230)이 리어 하우징(200)에 완전히 밀착되는 경우, 브라켓(230)의 후크암들(451)의 후크(4511)는 슬라이더(700)의 후크 걸림 홀들(714)을 벗어나게 되고, 레일(600)의 후크 수용부(614)에 수용될 수 있다. 브라켓(230)의 후크암들(451)의 후크(4511)가 레일(600)의 후크 수용부(614)에 수용되는 경우, 슬라이더(700)의 후크 걸림 홀들(714)은 탄성 스프링(80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슬라이더(700)의 후크 걸림 홀들(714)은 브라켓(230)의 후크암들(451)의 후크(4511)의 이탈을 저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700)는 레일(600)의 압축 스프링 수용부(611)로 삽입되는 지지대(713)를 포함하고, 압축 스프링(800)의 일단은 지지대(713)에 맞닿고, 그 타단은 압축 스프링 수용부(611)의 내측(223)에 맞닿을 수 있다. 슬라이더(700)는 지지대(713)에 의해 압축 스프링(800)의 탄성을 지지 받고,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도 13 및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슬라이더의 복귀 제지 수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및 14를 참조하면, 슬라이더(700)의 내측 측부 벽(720)의 아래쪽 단부에는 숫후크(721)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220)의 바닥(561) 내측에는 슬라이더(700)의 숫후크(721)와 후크 결합할 수 있는 암후크(640)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700)가 압축 스프링(800)을 압축하면서 임계 거리 이상 이동된 경우, 슬라이더(700)의 숫후크(721)는 리어 하우징(220)의 암후크(640)에 결합될 수 있고, 슬라이더(700)는 압축 스프링(800)의 탄성에 의해 복귀될 수 없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슬라이더의 복귀 제지 수단의 동작에 따른 브라켓과 리어 하우징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슬라이더의 복귀 제지 수단의 동작에 따른 리어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슬라이더의 복귀 제지 수단의 동작에 따른 브라켓과 리어 하우징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17을 참조하면, 복귀 제지 수단(640, 721)은 압축 스프링(800)의 탄성 반발력에 대항하여 슬라이더(70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지 않을 수 있다. 복귀 제지 수단에 의해 브라켓(230)의 후크암들(451)의 후크(4511)는 슬라이더(700)의 후크 걸림 홀들(714)의 제지를 받지 않게 되고, 분리 가능하다. 사용자는 리어 하우징(220)과 브라켓(230) 사이의 틈에 핀(pin)을 삽입하고, 삽입한 핀을 이용하여 슬라이더(700)의 바깥쪽 측벽(730)에 힘을 가하여 복귀 제지 수단(640, 721)을 이용할 수 있다. 바깥쪽 측벽(730)은 리어 하우징(220)과 브라켓(230)의 사이의 틈으로 보이지 않도록, 어두운 색깔로 후가공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브라켓과 리어 하우징 사이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브라켓(1230)의 상부(1301)에는 터치스크린(101)을 안착시킬 수 있는 홈(13011)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230)에는 배터리(320)가 부착된 금속판(3201)이 고정되는 개구(1303)가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230)의 4개의 테두리(1410, 1420, 1430, 1440)의 하부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후크암들 및 체결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230)의 테두리에는 바깥으로 개구된 형상의 후크 걸림턱들(1453)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1220)은 바닥(1561)과 측벽(1562)으로 이루어진 사각 용기 형상일 수 있다. 바닥(1561)과 측벽(1562) 사이의 연결 부분은 매끄러운 형상일 수 있다. 측벽들(1562) 사이의 연결 부분은 둥근 형태의 매끄러운 모퉁이일 수 있다. 측벽(1562)은 바닥(1561)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져 있거나 또는 수직으로 세워져 있지 않을 수 있다.
리어 하우징(1220)의 4개의 테두리(1510, 1520, 1530, 1540) 내측에는 브라켓(1230)의 체결 돌기들과 결합 가능한 체결 리브들(1552)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1220)과 브라켓(1230)이 결합되는 경우, 브라켓(1230)의 체결 돌기들은 리어 하우징(1220)의 체결 리브들(1552)의 홈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체결 리브들(1552)은 리어 하우징(1220)의 바닥(1561) 및 측벽(1562)에 연결되어 있고, 측벽(1562)은 체결 리브들(1552)에 의해 일정 이상 바깥으로 벌어질 수 없다.
리어 하우징(1220)의 측벽(1562) 내측에는 브라켓(1230)의 후크 걸림턱들 (1453)과 후크 결합 가능한 후크 돌기들(1553)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리어 하우징(1220)과 브라켓(1230)이 결합되는 경우, 후크 돌기들(1553)은 측벽(1562)의 탄성 휨 변형 하에 후크 걸림턱들(1453)을 타고 넘고 후크 걸림턱들(1453)에 의해 이탈을 제지 받을 수 있다.
리어 하우징(1220)의 일측 테두리(1520) 바닥(1561)에는 레일(rail)(1600)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1600)은 대체로 직육면체의 수평 부재일 수 있다. 레일(1600)의 상부에는 압축 스프링(1800)을 수용할 수 있는 압축 스프링 수용부(1611)와, 나사들(1900)과의 체결을 위한 나사 체결부들(1612)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1600)의 상부에는 브라켓(1230)의 후크암들 단부에 형성된 후크를 수용할 수 있는 후크 수용부들(1614)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1600)의 측부(1630)와 리어 하우징(1220)의 측벽(1562)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1700)는 레일(1600)에 안착되고, 압축 스프링(1800)의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레일(1600)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더들(1700)은 레일(1600)의 상부와 접촉하는 상부 벽(1710), 레일(1600)의 안쪽 측부와 접촉하는 안쪽 측부 벽(1720) 및 레일(1600)의 바깥쪽 측부와 접촉하는 바깥쪽 측부 벽(1730)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하우징(1220)의 바깥쪽 측부 벽(1730)은 레일(1600)의 바깥쪽 측부와 리어 하우징(1220)의 측벽(156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슬라이더(1700)의 안쪽 측부 벽(1720)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슬라이더(1700)의 상부 벽(1710)에는 슬라이더(1700)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홀들(1712)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1600)의 나사 체결부들(1612)은 수직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더(1700)의 가이드 홀들(1712)을 관통할 수 있다. 슬라이더(1700)가 이동되는 경우, 슬라이더(1700)의 가이드 홀들(1712) 상에서의 레일(1600)의 나사 체결부들(1612)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슬라이더(1700)는 레일(1600)의 압축 스프링 수용부(1611)로 삽입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 스프링(1800)의 일단은 지지대에 맞닿아 있고, 그 타단은 압축 스프링 수용부(1611)의 내측에 맞닿아 있을 수 있다. 슬라이더(1700)는 지지대에 의해 압축 스프링(1800)의 탄성 지지를 받을 수 있다. 슬라이더(1700)는 압축 스프링(180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1700)의 상부 벽(1710)에는 브라켓(1230)의 후크암들과 후크 결합할 수 있는 후크 걸림 홀들(1714)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230)의 후크암들의 후크는 말단으로 상대적으로 얇은 형상으로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1700)의 후크 걸림 홀들(1714)의 테두리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230)의 후크암들의 후크는 슬라이더(1700)의 후크 걸림 홀들(1714)을 통과하는 경우, 슬라이더(1700)의 후크 걸림 홀들(1714)의 테두리를 가압하게 되고, 슬라이더(1700)는 미끄럼 이동될 수 있다. 브라켓(1230)의 후크암들의 후크는 레일(1600)의 후크 수용부들(1614)로 완전히 수용되는 경우, 슬라이더(1700)는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레일(1600)의 후크 수용부들(1614)에 수용된 브라켓(1230)의 후크암들의 후크는 원위치로 복귀된 슬라이더(1700)의 후크 걸림 홀들(1714)의 테두리에 걸려 수직으로 이탈될 수 없다.
슬라이더(1700)의 안쪽 측부 벽(1720)의 아래쪽 단부에는 숫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1220)의 바닥(1561)에는 슬라이더(1700)의 숫후크와 후크 체결될 수 있는 암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1700)가 압축 스프링(1800)을 압축하면서 임계 거리 이상 이동된 경우, 슬라이더(1700)의 숫후크는 리어 하우징(1220)의 암후크에 결합될 수 있고, 슬라이더(1700)는 압축 스프링(1800)의 탄성에 의해 복귀될 수 없다.
나사들(1900)의 목(1912)에는 소정 피치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나사들(1900)의 목은 슬라이더(1700)의 가이드 홀들(1712)을 관통한 레일(1600)의 나사 체결부들(1612)에 체결될 수 있다. 슬라이더(1700)의 상부 벽(1710)은 나사들(1900)의 머리(1911)와 레일(1600)의 상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나사들(1900)의 머리(1911)는 슬라이더(1700)의 가이드 홀들보다 넓은 너비를 가지므로, 슬라이더(1700)는 나사들(1900)의 머리(1911)에 의해 수직으로 이탈될 수 없다.
도 1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리어 하우징의 내측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체결 리브들(1552)은 리어 하우징(1220)의 바닥(1561) 및 측벽(1562)에 연결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측벽(1562)이 일정 이상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체결 리브들(1552)는 브라켓(1230)의 체결 돌기들을 끼워 맞출 수 있는 홈(15521)을 형성할 수 있다. 후크 돌기들(1553)은 리어 하우징(1220)의 측벽(1562)에 형성될 수 있고, 체결 리브들(15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리어 하우징의 내측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리어 하우징(1220)의 내측 바닥(1561)로부터 연장된 후크암(1580)이 설치될 수 있다. 후크암(1580)은 리어 하우징(1220)의 바닥(1561) 및 측벽(1562)에 연결될 수 있고, 측벽(1562)이 일정 이상 벌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후크암(1580)은 리어 하우징(1220)의 바닥(1561)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582)와, 연장부(1582)의 상부에 형성되는 후크(1581)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암(1580)의 후크(1581)는 브라켓(11230)의 후크 걸림 홀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후크암(1580)은 레일(1600)이 형성되는 테두리와 이웃하는 테두리(1510)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후크암들(1580) 사이에는 상술한 체결 리브들(1552) 및 후크 돌기들(1553)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리어 하우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리어 하우징(2220)의 테두리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샤프트(2230)가 설치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2220)의 테두리 내측에는 바닥(2225)과 측벽(2226)에 연결되는 다수의 리브들(2221)이 형성될 수 있다. 리브들(2221)은 홀(2223)을 가질 수 있고, 샤프트(2230)는 리브들(2221)의 홀(2223)에 관통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2220)의 테두리 내측에는 바닥(2225)과 측벽(2226)에 연결되고, 압축 스프링(2240)을 수용할 수 있는 압축 스프링 수용부(2227)가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2230)의 단부에는 지지대(2233)가 마련되고, 이 지지대(2233)은 리어 하우징(2220)의 압축 스프링 수용부(2227)에 수용될 수 있다. 압축 스프링(2240)의 일단은 샤프트(2230)의 지지대(2233)에 맞닿고, 그 타단은 압축 스프링 수용부(2227)의 내측에 맞닿을 수 있다. 샤프트(2230)의 표면에는 돌기들(2232)이 형성될 수 있다. 돌기들(2232)은 샤프트(2230)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리어 하우징(2220)의 테두리 내측에는 바닥(2225)으로부터 연장되는 후크들(2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2230)의 이동이 있는 경우, 샤프트(2230)의 돌기들(2232)은 후크들(2222)과 중첩되게 되고, 후크들(2222)은 돌기들(2232)에 의해 탄성 휨 변형될 수 있다.
도 22는 도 21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샤프트(2230)의 이동으로 인하여 돌기들(2232)과 후크들(2222)이 겹치는 정도는 커지게 되는데, 샤프트(2230)의 돌기들(2232)은 경사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후크들(2222)의 탄성 휨 변형 정도는 서서히 커질 수 있다. 후크들(2222)과 돌기들(2232)이 중첩되는 경우, 샤프트(2232)는 후크들(2222)로부터 역으로 가압 받을 수 있는데, 샤프트(2232)는 리브들(2221)의 홀(2223)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휘어지지 않을 수 있다. 샤프트(2230)의 지지대(2233)는 압축 스프링(2240)으로부터 탄성 지지되고, 외력이 없는 경우 샤프트(2230)는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샤프트(2230)의 이동에 의해 후크들(2222)이 휘어지는 경우, 후크들(2222)은 미도시된 브라켓의 후크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브라켓은 리어 하우징(22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과 리어 하우징 간의 체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미도시된 브라켓의 테두리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샤프트(3240)가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의 테두리 내측에는 다수의 리브들(3231)이 형성될 수 있다. 리브들(3231)은 홀(3232)을 가질 수 있고, 샤프트(3240)는 리브들(3231)의 홀(2223)에 관통될 수 있다. 브라켓의 테두리 내측에는 압축 스프링(3250)을 수용할 수 있는 압축 스프링 수용부(3233)가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3240)의 단부에는 지지대(3244)가 마련되고, 이 지지대(3244)는 브라켓의 압축 스프링 수용부(3233)에 수용될 수 있다. 압축 스프링(3250)의 일단은 샤프트(3240)의 지지대(3243)에 맞닿고, 그 타단은 압축 스프링 수용부(3233)의 내측에 맞닿을 수 있다. 샤프트(3240)의 지지대(3243)는 압축 스프링(3250)으로부터 탄성 지지되고, 외력이 없는 경우 샤프트(3240)는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리어 하우징(2220)의 테두리에는 바닥(3225)으로부터 연장되는 후크들(3221)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3240)의 이동이 없는 경우, 후크들(3221)은 샤프트(3240)에 형성된 걸림부(3243)에 걸려 분리될 수 없다. 샤프트(3240)가 적소로 이동되는 경우, 후크들(3221)은 샤프트(3240)에 형성됨 이탈부(3242)를 통해 분리될 수 있다.
도 24는 도 23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의 걸림부 및 이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샤프트(3240)의 걸림부(3243) 및 이탈부(3232)는 길이 방향으로 맞붙어 있는 두 개의 반원기둥들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반원기둥들은 90도 회전 각도 차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3240)의 이동에 의해 리어 하우징(3220)의 후크들(3221)은 샤프트(3240)의 걸림부(3243)에서 이탈부(3242)에 위치하게 되며, 리어 하우징(3220)은 미도시된 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5 및 2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과 리어 하우징 사이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5 및 26을 참조하면, 리어 하우징(4220)의 네 개의 테두리들 내측의 바닥(4221)에는 후크 지지대(260)가 고정될 수 있다. 후크 지지대(260)는 리어 하우징(4220)에 고정되는 고정부(261)와, 고정부(261)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후크들(26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61)에는 나사 체결을 위한 홀들(2611)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4220)의 바닥(4221)에는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 체결홈들(4223)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들(4240)은 후크 지지대(260)의 고정부(261)의 홀들(2611)을 관통하고, 리어 하우징(4220)의 나사 체결홈들(4223)에 체결될 수 있다. 후크 지지대(260)는 리어 하우징(4220)과 함께 인서트 사출로 성형될 수도 있다. 후크 지지대(260)의 후크들(262)은 리어 하우징(4220)에 고정된 고정부(261)의 지지 하에 탄성 휨 변형할 수 있다.
브라켓(4230)에는 후크 지지대(260)의 후크들(262) 각각과 후크 결합할 수 있는 후크 걸림턱들(4231)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 지지대(260)의 후크들(262)은 브라켓(4230)의 후크 걸림턱들(4231)을 통과하는 경우 안쪽으로 탄성 휨 변형될 수 있다. 후크 지지대(260)의 후크들(262)은 브라켓(4230)의 후크 걸림턱들(4231)을 완전히 관통하는 경우, 원래대로 복귀하게 되고, 브라켓(4230)의 후크 걸림턱들(4231)에 의해 이탈될 수 없다.
리어 하우징(4222)의 네 개의 테두리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들(280)이 설치될 수 있다. 링크들(280)은 후크 지지대(260)와 리어 하우징(4220)의 측벽(4222) 사이(290)에 배치될 수 있다. 특정 링크(280-1)에는 링크(280-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조작하는데 쓰이는 돌기(2801)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하나의 링크(280-1)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나머지 다른 링크들(280-2, 280-3, 280-4) 또한 이와 연동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링크들(280)의 단부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리어 하우징(4220)의 측벽(4222)에 형성된 개구(4241)을 통해 특정 도구, 예를 들어, 핀(pin), 지그(jig) 등을 이용하여 돌기(2801)에 힘을 가하여 링크(280-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리어 하우징(422)의 측벽(4222)에 형성된 개구(4241)는 덮개(4240)로 막을 수 있다.
도 27은 도 25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지지대와 링크들 사이의 연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링크들(280)에는 링크들(280)의 이동시 후크 지지대(260)의 후크들(262)을 탄성 휨 변형시킬 수 있는 돌기들(281)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들(280)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돌기들(281)은 후크 지지대(260)의 후크들(262)과 고정부(261)를 연결하는 연결부(263)로 이동되고, 후크들(262)은 안쪽으로 처질 수 있다. 링크들(280)의 돌기들(281)에 의해 안쪽으로 이동된 후크들(262)은 브라켓(4230)의 후크 걸림턱들(423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도 28은 도 25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들 사이의 연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9는 도 25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공통적으로, 링크들(280)은 일단(281)에 원기둥 돌기(2810)를 가지고, 타단(282)에는 링크들(28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길게 놓인 개구(2820)를 가질 수 있다. 개구(2820)는 원기둥 돌기(2810)의 너비에 상응하는 너비를 가지고, 직선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2820)는 일측이 바깥으로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첫 번째 링크(280-1)가 이동되는 경우, 첫 번째 링크(280-1)의 원기둥 돌기(2810)에 적용되는 힘(291)은 두 번째 링크(280-2)의 개구(2820) 내면을 따라 미끄러지려는 힘(2910)과, 두 번째 링크(280-2)의 개구(2820) 내면을 수직으로 가압하는 힘(2920)으로 분해될 수 있다. 두 번째 링크(280-2)의 개구(2820) 내면을 수직으로 가압하는 힘(2920)으로부터 두 번째 링크(280-2)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힘(29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링크들(280)은 길이 방향으로의 병진 운동(translational motion)을 연동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장치는 4절 링크일 수 있다.
도 30은 본 25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사시도이고, 도 31은 도 25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 및 덮개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0 및 31을 참조하면, 덮개(4240)는 바디(4241)와, 바디(4241)의 양 옆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424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4242)는 바디(4241)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리어 하우징(4220)의 측벽(4222)에는 덮개(4240)의 바디(4241)를 끼울 수 있는 개구(4251)와, 덮개(4240)의 연장부(4242)를 끼울 수 있는 홈(4242)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4204)의 후방에는 노치(4243)가 형성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덮개(4204)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노치(4243)에 의해 덮개(4204)는 파손되기 쉬울 수 있다. 사용자는 리어 하우징(4220)를 분리하기 위하여 덮개(4204)를 파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20 : 리어 하우징 552 : 체결 리브들
553 : 후크 돌기들 600 : 레일
611 : 압축 스프링 수용부 612 : 나사 체결부들
614 : 후크 수용부들 700 : 슬라이더
712 : 가이드 홀들 714 : 후크 걸림 홀들
800 : 압축 스프링 900 : 나사
230 : 브라켓 453 : 후크 걸림턱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하우징;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결합되고, 다수의 전자 부품들이 고정되는 브라켓; 및
    레일에서 이탈되지 않고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전자 장치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단부에 후크(hook)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암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홀을 가지되,
    상기 후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 홀을 관통하는 동안, 상기 걸림 홀의 테두리는 상기 후크에 의해 가압 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는 이동되며,
    상기 후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 홀을 완전히 관통 후 상기 레일에 형성된 홈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는 원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 홀에 걸려 이탈될 수 없는 전자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말단으로 얇아지는 형상으로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 홀의 테두리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전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는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홀들을 가지고,
    상기 레일은 상기 가이드 홀들을 관통하는 나사 체결부를 가지되,
    상기 나사 체결부의 단부는 나사와 체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는 상기 나사에 의해 상기 레일로부터 이탈될 수 없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홀들 상에서의 상기 나사 체결부의 위치는 변경되는 전자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는,
    상기 레일에 수용된 압축 스프링의 일측에 맞닿아 있고, 상기 압축 스프링으로부터 탄성 지지되는 지지대를 가지는 전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는 단부에 숫후크를 가지고,
    상기 리어 하우징은 내측면에 암후크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가 임계 거리 이상 이동된 경우, 상기 숫후크는 상기 암후크에 체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의 위치는 고정되는 전자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하우징은 바닥과 다수의 측벽들로 이루어진 용기 형상이고,
    상기 레일은 상기 바닥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자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하우징은 상기 바닥과 상기 측벽에 연결되는 다수의 체결 리브들을 가지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체결 리브들에 형성된 홈에 끼워 맞춰질 수 있는 체결 돌기들을 가지는 전자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하우징은 상기 다수의 체결 리브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다수의 후크 돌기들을 가지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후크 돌기들과 결합 가능한 후크 걸림턱들을 가지는 전자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041810A 2013-04-16 2013-04-16 전자 장치 및 그 결합 구조 KR102046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810A KR102046867B1 (ko) 2013-04-16 2013-04-16 전자 장치 및 그 결합 구조
US14/243,216 US9915980B2 (en) 2013-04-16 2014-04-02 Electronic device and assembly structur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810A KR102046867B1 (ko) 2013-04-16 2013-04-16 전자 장치 및 그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272A KR20140124272A (ko) 2014-10-24
KR102046867B1 true KR102046867B1 (ko) 2019-11-20

Family

ID=51686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810A KR102046867B1 (ko) 2013-04-16 2013-04-16 전자 장치 및 그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15980B2 (ko)
KR (1) KR1020468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2057B2 (en) 2011-09-27 2014-09-23 Z124 Detail on triggers: transitional states
USD743961S1 (en) * 2013-08-27 2015-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N107750105B (zh) * 2017-11-07 2024-04-02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用的外壳
CN108761800B (zh) * 2018-08-16 2024-02-06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设备及其快速拆装装置
US11301003B2 (en) * 2019-09-24 2022-04-12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Eletronic device with anti-shock function
JP2023008539A (ja) * 2021-07-06 2023-01-19 オムロン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0297A1 (en) * 2000-12-27 2002-06-27 Ki-Hyub Sung Display apparatus
US20040061997A1 (en) * 2002-09-30 2004-04-01 Skinner David N. Light-emitting lock device control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070217140A1 (en) * 2006-03-15 2007-09-2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atch mechanism
US20100091454A1 (en) * 2008-10-13 2010-04-15 Degner Brett W Portable computer latch structures
US20120050639A1 (en) * 2011-01-12 2012-03-01 Kim Cheolsoo Display apparatus
US20120314346A1 (en) * 2011-06-08 2012-12-1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replaceable rear cov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707B1 (ko) * 2001-07-13 200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컴퓨터
KR100642296B1 (ko) 2004-07-06 200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의 래치장치
CN2821641Y (zh) * 2005-07-09 2006-09-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卡钩装置
US7609514B2 (en) 2007-04-11 2009-10-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 locking system
JP4960204B2 (ja) 2007-11-29 2012-06-27 京セラ株式会社 筐体ケース
CN102376914B (zh) * 2010-08-24 2013-07-0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盖锁持结构
CN202617551U (zh) * 2012-04-16 2012-12-1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盖体结构及具有该盖体结构的电子装置
CN103458646B (zh) * 2012-05-31 2016-08-03 宁波景和电子科技有限公司 电子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0297A1 (en) * 2000-12-27 2002-06-27 Ki-Hyub Sung Display apparatus
US20040061997A1 (en) * 2002-09-30 2004-04-01 Skinner David N. Light-emitting lock device control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070217140A1 (en) * 2006-03-15 2007-09-2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atch mechanism
US20100091454A1 (en) * 2008-10-13 2010-04-15 Degner Brett W Portable computer latch structures
US20120050639A1 (en) * 2011-01-12 2012-03-01 Kim Cheolsoo Display apparatus
US20120314346A1 (en) * 2011-06-08 2012-12-1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replaceable rear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07393A1 (en) 2014-10-16
US9915980B2 (en) 2018-03-13
KR20140124272A (ko) 2014-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867B1 (ko) 전자 장치 및 그 결합 구조
US20130235538A1 (en) Electronic apparatus
KR101442622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US11221650B2 (en) Electronic devic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EP2897022B1 (en) Display device
US9713274B2 (en) Electronic apparatus
JP5634361B2 (ja) 電気装置
US20130221812A1 (en) Television
US8238119B2 (en) Electronic device
US20130222706A1 (en) Television
KR101658003B1 (ko) 전기 커넥터
JP2009231960A (ja) 情報通信装置
US7153155B1 (en) Receptacle connector
US8779289B2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lid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JP5626053B2 (ja) 電子装置
CN106909199B (zh) 终端设备
US9380137B2 (en) Electronic device
US9507377B2 (en) Electronic device
US9557777B2 (en) Electronic device and harness guide
JP2018180142A (ja) 端子キャップ部材
US20140004733A1 (en) Television receiver, electronic apparatus, and connector
KR20150081070A (ko) 컨넥터 장치
KR101954434B1 (ko) 단말기
KR20150007769A (ko) 전장 장치
KR20130047317A (ko) 쉴드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