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070A - 컨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컨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070A
KR20150081070A KR1020140000664A KR20140000664A KR20150081070A KR 20150081070 A KR20150081070 A KR 20150081070A KR 1020140000664 A KR1020140000664 A KR 1020140000664A KR 20140000664 A KR20140000664 A KR 20140000664A KR 20150081070 A KR20150081070 A KR 20150081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electronic device
case frame
protective cov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0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1070A/ko
Publication of KR20150081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를 수용하는 장치 장착면을 갖는 제1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과 결합되어 보호 커버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2케이스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자치 장착면에 일부가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넥터 및 상기 컨넥터를 상기 전자 장치의 컨넥터 포트가 초기에 접속되는 위치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컨넥터 장치 및 이러한 컨넥터 장치에 장착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하여, 전자 장치와의 접속 동작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컨넥터 또는 컨넥터 포트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작동 신뢰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컨넥터 장치{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의 컨넥터 포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컨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는 기능이 다양화되어가는 반면에 휴대성이 유리한 장치가 좀더 높은 경쟁력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휴대용 전자 장치이더라도 좀더 슬림하고 경박 단소화된 전자 장치를 선호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 장치 제조자들은 동일하거나 좀더 우수한 기능을 가지면서 타 제품에 비해 더욱 슬림하고 경박 단소화된 전자 장치를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상술한 전자 장치들은 전원 공급 수단으로 내장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팩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터리 팩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들은 외부 기기(예를 들어, pc 등)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충전 동작이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위하여 전자 장치에는 컨넥터 포트가 외부에 노출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충전 장치 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의 컨넥터가 컨넥터 포트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술한 컨넥터를 포함하는 컨넥터 장치는 단순히 케이블의 단부에 컨넥터가 돌출되어 설치된 형태에서부터 전자 장치가 소정의 크래들(cradle)에 장착되어 충전 또는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도킹 스테이션 형태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전자 장치와 결합되는 컨넥터 장치는 전자 장치의 장착 형태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적용되는 전자 장치의 장착 형태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여 동작하는 컨넥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와의 접속 동작 중에 발생될 수 있는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컨넥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작동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컨넥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프레임 및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 부분적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넥터를 포함하는 컨넥터 장치 및 컨넥터 장치에 장착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를 수용하는 장치 장착면을 갖는 제1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과 결합되어 보호 커버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2케이스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자치 장착면에 일부가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넥터 및 상기 컨넥터를 상기 전자 장치의 컨넥터 포트가 초기에 접속되는 위치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컨넥터 장치 및 이러한 컨넥터 장치에 장착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와의 접속 동작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작동 신뢰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보호 커버에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에 적용된 컨넥터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컨넥터 모듈 장착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 모듈 장착부에 컨넥터 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 모듈을 포함하는 보호 커버에 전자 장치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통신용 휴대용 전자 장치에 대하여 도시하고 이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를 갖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를 갖지 않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도 역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컨넥터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컨넥터 포트를 갖는 다양한 전자 장치, 예를 들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네비게이션, MP3,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 등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상술한 전자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보호 커버에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는 전자 장치의 측면 및 배면만을 감싸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는 전자 장치의 배면만을 감싸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는 전자 장치의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 커버로써 적용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는 전자 장치의 배면, 측면 및 적어도 전면의 일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의 컨넥터 포트에 접속될 수 있는 컨넥터가 외부로 노출되는 컨넥터 장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장치들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전자 장치 전용 크래들, 외장형 스피커 시스템을 포함하는 도킹 장치 등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보호 커버에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컨넥터 모듈(장치)을 포함하는 보호 커버에 대하여 도시하고 기술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컨넥터 모듈을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가능하다.
도 1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보호 커버(10)에 장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보호 커버(10)에 마련된 장치 장착면(11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전면에 디스플레이(101)가 설치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101)의 상측으로는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스피커 장치(102)가 설치되고, 디스플레이(101)의 하측으로는 상대방에게 전자 장치 사용자의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장치(103)가 설치됨으로써 기본적인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1)는 입력과 출력을 동일 영역에서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스피커 장치(102)가 설치되는 주변에는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component)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부품들로는 상대방과의 화상 통화(VT; Video Telephony)를 위한 화상 통신용 카메라 장치(10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주변 환경에 따라 전자 장치(100)를 가변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04)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모듈(104)은 주변의 조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조도값에 따라 디스플레이(101)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조도 센서 및/또는 통화 중 사용자의 두부(head portion)에 취부되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101)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근접 센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측면에는 복수의 키 버튼(107)이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전자 장치(100)의 대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버튼(107)은 메탈돔 또는 택트 스위치로 동작하는 기계식 버튼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하측에는 컨넥터 포트(106)가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컨넥터 포트(106)는 데이터 케이블의 컨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거나, TA와 같은 충전 장치의 컨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배터리 팩의 충전을 도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 포트(106)는 전자 장치(100)를 위한 전용 크래들 또는 도킹 장치에 구비된 컨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10)는 전자 장치(100)가 안착될 수 있는 장치 장착면(111)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장착면(111)은 전자 장치(100)의 배면 및 적어도 측면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10)의 측면에는 다수의 커버 버튼(113)이 설치될 수 있다. 커버 버튼(113)은 전자 장치(100)의 측면에 형성된 키 버튼(107)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가압 동작에 의해 장치 장착면(111)에 장착된 전자 장치(100)의 대응 키 버튼(107)을 물리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10)의 하측 외면에는 커버 컨넥터 포트(1411)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컨넥터 포트(1411)에 상술한 충전 장치 또는 데이터 케이블의 컨넥터를 접속시키면, 전자 장치(100)를 보호 커버(10)에서 탈거시켜 별도로 접속시키는 불편함 없이 바로 전자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도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컨넥터 포트(1411)의 일측에는 마이크 도파홀(1013)이 형성될 수 있다. 역시 마이크 도파홀(1013)은 전자 장치(100)의 마이크로폰 장치(103)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외부의 유입되는 음(음성 또는 음향)을 마이크 도파홀(1013)을 통하여 전자 장치(100)의 마이크로폰 장치(103)로 전달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10)의 상측 일부에는 이어 플러그 관통홀(10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 플러그 관통홀(1012)은 전자 장치(100)의 이어잭 홀(미도시 됨)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자 장치(100)가 보호 커버(10)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전자 장치(100)를 보호 커버(10)에서 탈거시켜 별도로 접속시키는 불편함 없이,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또는 헤드셋)의 이어 플러그를 보호 커버(10)의 이어 플러그 관통홀(1012)을 통하여 전자 장치(100)의 이어잭 홀에 직접 삽입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10)는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보호함과 동시에 다양한 부가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10)는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인가받아 보호 커버(1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들에 의한 대응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부품은 전자 장치의 제어를 받아 실행될 수 있는 각종 센서 모듈, 스피커 모듈, 마이크로폰 모듈, 바이브레이터, 안테나 모듈, 프로젝터 모듈, 데이터 송수신 및 충전을 위한 컨넥터 모듈 등 다양한 부품들이 적소에 배치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종 센서 모듈로는 초음파 센서, 온도 센서, 기압 센서, 냄새 센서, 조도 센서, 근접 센서 등 다양한 센서 모듈이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 모듈의 커버 컨넥터가 보호 커버의 장치 장착면 내측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보호 커버의 장치 장착면에 장착됨과 동시에 커버 컨넥터가 전자 장치의 컨넥터 포트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10)에 장착된 컨넥터 모듈의 커버 컨넥터는 도시된 z-축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에 의해 전자 장치(100)는 장착 과정 또는 탈거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수직 방향(z축 방향)의 유동에 따른 커버 컨넥터 또는 컨넥터 포트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커버 컨넥터가 항상 전자 장치가 최종적으로 장착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방식에 비해 상당히 유리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보호 커버(10) 및 컨넥터 모듈(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구성도로써,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는 보호 커버의 정면도이며, 도 2b는 보호 커버의 배면도이고, 도 2c는 보호 커버의 평면도이며, 도 2d는 보호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면들을 참고하면, 보호 커버(10)의 전면에는 개구(101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1011)는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이 노출되도록 유도하거나, 전자 장치(100)의 제조자 로고 등이 노출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10)는 장치 장착면(111) 방향으로 돌출된 커버 컨넥터(141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컨넥터(1412)는 전자 장치(100)가 보호 커버(10)의 장치 장착면(111)에 장착될 때, 전자 장치(100)의 컨넥터 포트(106)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전자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컨넥터(1412)는 소정의 탄성 수단에 의해 장치 장착면 방향(하측 방향)으로 가압받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수직 방향(도 1의 z-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10)의 저부에는 커버 컨넥터 포트(1411)가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커버 컨넥터 포트(1411)는 보호 커버(10)의 내부에서 커버 컨넥터(14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컨넥터 포트(1411)에 외부의 데이터 케이블의 컨넥터 또는 충전 장치의 컨넥터가 접속되면, 커버 컨넥터(1412)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컨넥터 포트(1411)의 일측에는 마이크 도파홀(10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10)의 상부에는 센서 모듈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센서 모듈로는 초음파 센서 모듈(13)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로 운용 가능한 다양한 센서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의 일측으로 이어 플러그 관통홀(1012)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1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들(컨넥터 모듈, 센서 모듈 등)은 모두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으며, 전자 장치(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커버(10)에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원 및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각 전자 부품들로 전달시킬 수 있는 전기적 연결 부재(도 3의 15)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 부재로는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보호 커버(10)는 제1케이스 프레임(11)과, 제1케이스 프레임(11)과 결합되는 제2케이스 프레임(12)과, 제1케이스 프레임(11)과 제2케이스 프레임(12)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의 전자 부품들(13, 14) 및 전자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며, 최종적으로 전자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적 연결 부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케이스 프레임(11)은 보호 커버(100의 개구(1011)를 구성하기 위하여 제2케이스 프레임(12)의 제2개구(122)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 장착면(111)의 상측으로는 이어 플러그 관통홀(1012)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10)의 하부 외측으로는 포트 노출홀(116)이 형성되어 장착되는 컨넥터 모듈(14)의 커버 컨넥터 포트(1411)가 노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케이스 프레임(11)의 외측면을 따라 다수의 커버 버튼(113)이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커버 버튼(113)은 전자 장치(100)의 측면에 형성된 키 버튼(107)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가압 동작에 의해 장치 장착면(111)에 장착된 전자 장치(100)의 대응 키 버튼(107)을 물리적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케이스 프레임(12)은 보호 커버(10)의 개구(1011)를 구성하기 위하여 제1케이스 프레임(11)의 제1개구(1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개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케이스 프레임(12)은 제1케이스 프레임(11)과 결합되면서,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의 전자 부품들(13, 14) 및 전기적 연결 부재(15)를 단속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전자 부품들(13, 14) 및 전기적 연결 부재(15)가 모두 제1케이스 프레임(11)에 설치되고, 제2케이스 프레임(12)이 제1케이스 프레임(11)에 설치된 다수의 전자 부품들(13, 14) 및 전기적 연결 수단(15)을 단속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다수의 전자 부품들(13, 14) 및 전기적 연결 부재(15)가 제2케이스 프레임(12)에 설치되고, 제1케이스 프레임(11)이 제2케이스 프레임(12)과의 조립에 의해 이를 단속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부재(15)는 제1케이스 프레임(11)의 프레임 결합면(도 5의 114)에 배치될 수 있다. 전기적 연결 부재(15)는 각 전자 부품들(13, 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세선 케이블 등 다양한 공지의 전기적 연결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1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초음파 센서 모듈(13) 및 컨넥터 모듈(1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보호 커버(10)의 종방향으로 횡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연결 부재(15)가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부재(15)의 바디(151)가 보호 커버(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단부(152)는 초음파 센서 모듈(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단부(153)는 컨넥터 모듈(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서로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다수개의 전기적 연결 수단이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부품(13, 14)은 전자 장치(100)를 제어를 받아 운용될 수 있는 각종 센서 모듈, 스피커 모듈, 마이크로폰 모듈, 바이브레이터, 안테나 모듈, 프로젝터 모듈, 데이터 송수신 및 충전을 위한 컨넥터 모듈 등 다양한 부품들이 적소에 배치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종 센서 모듈로는 초음파 센서, 온도 센서, 기압 센서, 냄새 센서, 조도 센서, 근접 센서 등 다양한 센서 모듈이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센서 모듈(13)은 초음파 센서(131)와, 초음파 센서(131)와 일정 거리로 이격된 센서 기판(132) 및 초음파 센서(131)와 센서 기판(13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센서 모듈(13)은 보호 커버(10)의 상측에 초음파 센서(131)가 노출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초음파 센서 모듈(13)은 보호 커버(10)의 노출 가능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기판(132)에는 한 쌍의 쉴드 캔(133, 134)이 노이즈 차폐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에 적용된 컨넥터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4b를 참고하면, 컨넥터 모듈(14)은 커버 컨넥터 포트(1411)가 실장되는 제1기판(141)과, 커버 컨넥터(1421)가 실장되는 제2기판(142) 및 제1기판(141)과 제2기판(14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며, 두 개의 기판(141, 142)을 상대적으로 유동가능하게 배치시킬 수 있는 가요성 인쇄회로(14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컨넥터 포트(1411)는 보호 커버(10)의 제1케이스 프레임(11)에 형성된 포트 노출홀(116)에 노출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커버 컨넥터(1421)는 보호 커버(10)의 제1케이스 프레임(11)에서 장치 장착면(111) 방향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 모듈(14)은 외부의 데이터 케이블 또는 충전 장치를 보호 커버(10)에 장착된 전자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커버(10)는 컨넥터 모듈(14)을 제1케이스 프레임(11)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SUS 재질의 브라켓(1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는 커버 컨넥터(1421)를 가압하기 위한 탄성 부재(예를 들어, 스프링)(14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컨넥터 포트(1411) 및 커버 컨넥터(1421)는 제1기판(141) 및 제2기판(142)상에 SMD(Surface Mounted Device) 공정 또는 솔더링 공정에 의해 각각 실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케이스 프레임(11)과 제2케이스 프레임(12) 사이에는 양면 테이프(16)가 적용될 수 있다. 양면 테이프(16)는 제1케이스 프레임(11)과 제2케이스 프레임(12)의 결합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제1케이스 프레임(11)의 프레임 결합면(117)에 배치된 전기적 연결 부재(15)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케이스 프레임(11)과 제2케이스 프레임(12)은 대체적으로 연성 재질의 합성 수지로 사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2케이스 프레임(11, 12)은 러버, 우레탄 및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PC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부품들을 고정시키는 제1케이스 프레임(11)의 해당 영역(예를 들어, 도 5의 115)은 제1케이스 프레임(11)보다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로는 PC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제1케이스 프레임(11)과 전자 부품 장착 영역(115)은 이중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좀더 단단한 재질로 전자 부품 설치 영역(115)을 1차 사출한 후, 제1케이스 프레임(11)을 2차 사출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부호화되었으나, 각각의 전자 부품들(13, 14)을 제1케이스 프레임(11)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스크류 및 스크류 또는 스폰지 와셔가 적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부호화되었으나, 보호 커버(10)에는 완충, 보강, 데코 등을 목적으로 각종 시트류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컨넥터 모듈 장착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 모듈 장착부에 컨넥터 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케이스 프레임(11)의 프레임 결합면(114) 일측에는 컨넥터 모듈 장착 영역(115)이 배치될 수 있다. 컨넥터 모듈 장착 영역(115)에는 탄성 부재 장착부(115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부재 장착부(1151)의 양측으로는 각각 일정 높이로 신장된 격벽(1152)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격벽(1152)은 장착되는 컨넥터 모듈(14)의 커버 컨넥터(1421)가 좌우 방향(도 1의 y-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 모듈 장착 영역(115)에는 다수의 스크류홀(1153)이 신장되어 컨넥터 모듈(14)이 장착된 후 소정의 스크류에 의해 컨넥터 모듈(14)을 컨넥터 모듈 장착 영역(115)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탄성 부재 장착부(1151)에 탄성 부재를 장착한 후, 그 상부에 컨넥터 모듈(14)이 장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판(141)과 제2기판(142)은 서로 직교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판(141)은 컨넥터 모듈 장착 영역(115)과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기판(142)은 컨넥터 모듈 장착 영역(115)과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제2기판(142)의 커버 컨넥터(1421)는 한 쌍의 격벽(1152)의 안내를 받아 커버 컨넥터(1421)가 제1케이스 프레임(11)에 형성된 컨넥터 관통구(1154)에 관통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컨넥터(1421)는 격벽(1152)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 컨넥터(1421)의 몸체를 회전축으로 하여 z-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격벽(1152)과 커버 컨넥터(1421)는 소정의 힌지축이 더 형성 또는 설치되어 원활한 회전을 도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격벽(1152)에 힌지축이 돌출되고, 커버 컨넥터(1421)에 이를 수용하기 위한 힌지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컨넥터(1421)가 한 쌍의 격벽(1152) 사이에 배치된 후, 그 상부에 브라켓(144)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마감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144)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144)은 SUS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145)로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 적용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탄성 부재 장착부(1151)가 허여된다면, 판형 스프링 등 다양한 탄성 부재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 모듈을 포함하는 보호 커버에 전자 장치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컨넥터 모듈(14)이 제1케이스 프레임(11)의 컨넥터 모듈 장착 영역(115)에 설치된 후, 제2케이스 프레임(12)과 조립된 상태에서, 컨넥터 모듈(14)의 커버 컨넥터(1421)는 탄성 부재(145)에 의해 하측(도 7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받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컨넥터 모듈(14)의 커버 컨넥터(1421)는 장치 장착면(111) 방향으로 돌출되되, 수평면으로부터 각도 θ를 갖도록 하측으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를 장치 장착면(111)에 장착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0)의 컨넥터 포트에 커버 컨넥터(1421)를 삽입시킬 경우, 하측으로 기울어진 커버 컨넥터(1421)는 전자 장치(100)의 컨넥터 포트에 유연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를 보호 커버(10)의 장치 장착면(111)에 완전히 장착시킨 상태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컨넥터 포트는 장치 장착면(111)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커버 컨넥터(1421) 역시 탄성 부재(145)의 가압을 받으며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 모듈(14)의 커버 컨넥터(1421)는 전자 장치(100)의 장착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컨넥터 포트의 가변 각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장착되는 전자 장치(100)의 컨넥터 포트뿐만 아니라 커버 컨넥터(1421)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10: 보호 커버 11: 제1케이스 프레임
12: 제2케이스 프레임 13: 초음파 센서 모듈
14: 컨넥터 모듈(장치) 15: 전기적 연결 부재
100: 전자 장치 141: 제1기판
142: 제2기판 143: 가요성 인쇄회로
144: 브라켓 145: 브라켓

Claims (19)

  1. 컨넥터 장치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프레임; 및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 부분적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넥터를 포함하는 컨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를 상기 전자 장치의 컨넥터 포트가 초기에 접속되는 위치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컨넥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형 스프링, 판형 스프링 및 선형 스프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넥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는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기판에 실장되며, 상기 컨넥터 및 상기 제1기판이 함께 유동되도록 설치되는 컨넥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호 유동 가능하도록 가요성 인쇄회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넥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에는 상기 컨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 연결용 컨넥터 포트가 실장되되,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 노출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컨넥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컨넥터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컨넥터에 접속되는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넥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보호 커버인 컨넥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전자 장치를 수용하는 장치 장착면을 갖는 제1케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과 결합되어 보호 커버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컨넥터 장치는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과 제2케이스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컨넥터가 상기 장치 장착면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컨넥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 장치가 배치되는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 또는 제2케이스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상기 보호 커버의 재질보다 단단한 재질로 이중 사출되는 컨넥터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장착되는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는 컨넥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 장치는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보호 커버,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크래들 및 전자 장치의 기능을 보조하여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을 포함하는 도킹 장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넥터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컨넥터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통신용 이동 단말기인 전자 장치.
  15. 컨넥터 장치에 있어서,
    전자 장치를 수용하는 장치 장착면을 갖는 제1케이스 프레임;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과 결합되어 보호 커버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 프레임;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2케이스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자치 장착면에 일부가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넥터;
    상기 컨넥터를 상기 전자 장치의 컨넥터 포트가 초기에 접속되는 위치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컨넥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는 상기 제1케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기판에 실장되며, 상기 컨넥터 및 상기 제1기판이 함께 유동되도록 설치되는 컨넥터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은 상기 제1, 2케이스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호 유동 가능하도록 가요성 인쇄회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넥터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 장치는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보호 커버,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크래들 및 전자 장치의 기능을 보조하여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을 포함하는 도킹 장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넥터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장착되는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는 컨넥터 장치.
KR1020140000664A 2014-01-03 2014-01-03 컨넥터 장치 KR20150081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664A KR20150081070A (ko) 2014-01-03 2014-01-03 컨넥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664A KR20150081070A (ko) 2014-01-03 2014-01-03 컨넥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070A true KR20150081070A (ko) 2015-07-13

Family

ID=5379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664A KR20150081070A (ko) 2014-01-03 2014-01-03 컨넥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10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4921B2 (en) * 2019-09-26 2022-11-29 Apple Inc. Audio return channel data loopba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4921B2 (en) * 2019-09-26 2022-11-29 Apple Inc. Audio return channel data loopb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138B1 (ko) 이동 단말기
US11221650B2 (en) Electronic devic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8260382B2 (en) Portable slid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850632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ith sealed connectors
KR102194305B1 (ko) 곡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전자 장치
KR101437991B1 (ko) 휴대 단말기
JP5127840B2 (ja) 表示パネル構造体、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および携帯型情報機器
EP3448056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part and earphone jack assembly
KR102192148B1 (ko) 보호 커버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JP2009017377A (ja) 携帯電子機器
JP2007143086A (ja) 無線通信端末
EP2843913B1 (en) Mounting structure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20150081070A (ko) 컨넥터 장치
KR20140026106A (ko) 키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
KR101474440B1 (ko) 휴대 단말기
KR101850387B1 (ko) 이동 단말기
JP2009290600A (ja) アンテナ素子及び無線通信装置
KR101604801B1 (ko) 휴대 단말기
JP2010193182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KR101789536B1 (ko) 이동 단말기
JP6665081B2 (ja) 電子機器
KR20160034576A (ko) 이동 단말기
JP2009265185A (ja) 電子機器
KR100598122B1 (ko)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
KR20130049090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