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598B1 - 전자카메라 시스템의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카메라 시스템의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598B1
KR930005598B1 KR1019910000340A KR910000340A KR930005598B1 KR 930005598 B1 KR930005598 B1 KR 930005598B1 KR 1019910000340 A KR1019910000340 A KR 1019910000340A KR 910000340 A KR910000340 A KR 910000340A KR 930005598 B1 KR930005598 B1 KR 930005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signal
recording
convert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0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856A (ko
Inventor
이영만
김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0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598B1/ko
Publication of KR920015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04N5/920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sound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카메라 시스템의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기록재생장치
제1도는 종래의 전자카메라의 시스템 블럭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전자카메라의 시스템 블럭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오디오신호기록재생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제4도는 제2도에서의 메모리카드내의 기록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5도는 제2도의 오디오신호기록재생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시스템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메모리카드 80 : 시스템제어수단
90 : 오디오신호입력수단 100 : 제2 A/D변환기
110 : 제3버퍼메모리 120 : 제4버퍼메모리
130 : 제2 A/D변환기 140 : 오디오신호출력수단
본 발명은 비디오 및 음성신호를 기록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신호를 디지탈데이터화하여 기록재생하는 전자카메라(Digital Still Video Camera) 시스템에 있어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동시에 기록재생할 수 있는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카메라 시스템은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소자를 통해 광전변환시킨 비디오신호를 디지탈데이터화한 뒤 버퍼메모리에 일시 저장시키고, 다시 일반 카메라의 필름과 같은 메모리카드에 기록한다. 그리고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비디오신호를 판독하여 재생측의 버퍼메모리에서 일시 저장시킨 뒤 아날로그데이터화한 촬영된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재생한다.
제1도는 종래의 전자카메라의 시스템블럭도로서 전자카메라와 재생기로 대별된다. (A)부분이 전자카메라측이고 (B)부분이 재생기측으로 메모리카드(40)와 시스템제어수단(80)은 공유된다. 전자카메라의 작동은, 렌즈 및 촬상소자등으로 이루어진 비디오신호입력수단(10)에서 피사체의 상을 비디오신호로 광전변환시켜 출력하면 A/D변환기(20)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디지탈비디오신호는 시스템제어수단(8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1버퍼메모리(30)에 1화면분을 기록시킨다. 시스템제어수단(80)에서 메모리카드(40)의 존재유무 및 메모리용량등을 체크하고 제1버퍼메모리(30)에서 판독된 비디오신호가 기록될 번지를 지정하면, 제1버퍼메모리(30)는 판독된 비디오신호를 메모리카드(40)로 기록되도록 출력한다. 재생기측의 작동은, 메모리카드(40)에서 기록된 비디오신호중 시스템제어수단(80)에 의해 지정된 번지의 비디오신호를 제2버퍼메모리(50)로 판독 출력한다. 제2버퍼메모리(50)는 시스템제어수단(80)의 제어신호에 의해 인가된 화면분의 비디오신호를 기록하여 일시 저장하고, 판독하여 D/A변환기(60)로 출력한다. D/A변환기(60)는 인가된 비디오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켜 표시장치(70)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사용자는 촬영된 비디오신호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전자카메라시스템은 비디오신호에 대한 기록 및 저장, 재생이 가능할 뿐 오디오신호에 대해서는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카메라시스템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비디오신호와 동시에 음성신호에 대한 기록 및 저장, 재생이 가능한 비디오 및 음성신호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입되는 비디오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전자카메라와, 상기 전자카메라에 기록된 비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기로 구성된 전자카메라시스템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 시스템의 전기능을 제어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제어수단과 ; 오디오신호입력수단과 ; 상기 오디오입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A/D변환기와 ; 상기 A/D변환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시스템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일시 저장하기 위한 기록용 버퍼메모리와 ; 상기 기록용 버퍼메모리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시스템제어수단(80)에 제어되어 기록 및 판독하기 위한 메모리카드와 ; 상기 시스템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메모리카드에서 판독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재생용 버퍼메모리와 ; 상기 재생용 버퍼메모리에서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D/A변환기와 ; 상기 D/A변환기의 출력신호를 오디오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비디오신호 뿐 아니라 일반 오디오신호까지 기록 및 저장, 재생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면 본 발명에 대해 예시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전자카메라의 시스템블럭도로서, 비디오신호 뿐 아니라 오디오신호까지 기록 및 저장, 재생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제2도의 구성은, 전자카메라시스템의 기록 및 저장, 재생에 대한 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제어수단(80)과 피사체의 영상을 광전변환시켜 출력하는 비디오신호입력수단(10)과,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디오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입력수단(90)과, 비디오신호입력수단(10)의 출력단에 입력단을 접속한 제1 A/D변환기(20)와, 오디오신호입력수단(90)의 출력단에 접속한 입력단을 접속한 제2 A/D변환기(100)와, 제1 A/D(20)의 출력단과 시스템제어수단(80)의 일측 출력단을 입력단에 접속한 제1버퍼메모리(30)와, 제2 A/D변환기(100)의 출력단과 시스템제어수단(80)의 일측 출력단을 입력단에 접속한 제3버퍼메모리(110)와, 시스템제어수단(80)의 다른 일측 출력단과 제1버퍼메모리(30) 및 제3버퍼메모리(110)의 출력단에 각각의 입력단을 접속한 메모리카드(40)와, 메모리카드(40) 및 시스템제어수단(80)의 일측 출력단들을 각각의 입력단에 접속한 제2버퍼메모리(50) 및 제4버퍼메모리(120)와, 제2버퍼메모리(50)의 출력단에 입력단을 접속한 제1 D/A변환기(60)와, 제1 D/A변환기(60)의 출력단에 입력단을 접속한 표시수단(70)과, 제4버퍼메모리(120)의 출력단을 입력단을 접속한 제2 D/A변환기(130)와, 제2 D/A변환기(130)의 출력단에 입력단을 접속한 오디오신호출력수단(140)으로 이루어진다.
제3도는 제2도의 전자카메라시스템의 블럭도에서 오디오신호의 기록 재생에 대한 좀더 구체적인 제2 A/D변환기(100)사이에 실시예이다.
제3도의 구성은, 제2도의 오디오신호입력수단(90)과 오디오신호입력수단(90)의 출력단과 시스템제어수단(80)의 일측 출력단에 입력단을 접속한 아날로그스우치(150)와, 아날로그스위치(150)의 출력단에 입력단을 접속한 저역필터(160), 제2 A/D변환기(100)의 입력단에 출력단을 접속한 프리앰프(170)가 접속되고, 제2도의 제2 D/A변환기(130)와 오디오신호출력수단(140) 사이에 출력앰프(180)를 접속되도록 이루어진다.
제4도는 제2도에서의 메모리카드내의 기록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4a도는 메모리카드의 데이터버스를 나타낸 것이고, 제4b도는 메모리 카드내의 번지할당 맵(Map)이다. 제4c도는 제4b도의 번지할당맵에 대한 번지버스를 나타낸 것이다. 제4d도는 시스템제어수단(80)에서 메모리 카드로의 번지발생에 대한 블럭도이다.
제5도는 제2도의 오디오신호기록재생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시스템제어수단(80)에서 아날로그스위치(150)로 출력하는 X신호와 번지발생기(200)로 출력하는 Y신호의 상태도이다.
이어서 제시된 제2∼5도를 통해 본 발명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입되는 비디오신호에 대한 기록 및 저장, 재생처리를 위한 전자시스템내의 구성요소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1도의 종래 회로도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유입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한 기록 및 저장, 재생처리만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제2도에 있어서, 오디오신호입력수단(90)은 마이크로폰등으로 구성되어 유입되는 오디오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제2 A/D변환기(100)로 출력한다. 제2 A/D변환기(100)는 오디오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켜 제3버퍼메모리(110)로 출력한다. 제3버퍼메모리(110)는 시스템제어수단(8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예를 들면
Figure kpo00001
제어신호)에 따라 제2 A/D변환기(100)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오디오신호를 일정시간동안 기록하고 일시저장한 뒤 판독하여 메모리카드(40)로 출력한다. 메모리카드(40)는 시스템제어수단(80)에 의해 제어되는 제3버퍼메모리(1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별도로 할당되어 있는 오디오정보영역에 일정시간동안 기록하고, 저장, 재생한다. 메모리카드(40)에서 재생된 오디오 신호는 제4버퍼메모리(120)로 인가된다. 제4버퍼메모리(120)는 시스템제어수단(80)에 의해 제어되어 유입된 오디오신호를 기록하고 일시적으로 보관한 뒤 제2 D/A변환기(130)로 판독출력한다. 제2 D/A변환기(130)는 아날로그변환된 오디오신호를 오디오신호출력수단(140)인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제3도는 제2도의 오디오신호기록재생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오디오신호입력수단(90)과 제2 A/D변환기(100), 제3버퍼메모리(110), 메모리카드(40), 제4버퍼메모리(120), 제2 D/A변환기(130) 및 오디오신호출력수단(140) 등의 작동상의 유기적인 관계는 동일하다.
그러나 시스템제어수단(80)의 제어신호에 의해 유입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한 기록재생상태를 제어하는 작동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즉 아날로그스위치(150)는 오디오신호입력수단(90)의 출력단에 제1접점(S1)을 접속하고, 저역필터(16)의 입력단에 제2접점(S2)을 접속하도록 하여 시스템제어수단(8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기록여부에 대한 제어신호(X)의 논리상태에 따라 스위칭제어된다. 제어신호(X)는 오디오신호를 기록하고자 할 때에는 하이논리상태이고 기록하지 않을 때는 로우논리상태이다. 따라서 제어신호(X)가 로우논리상태이면 스위치(150)는 OFF상태가 된다.
현재는 오디오신호를 기록하고자 할 때이므로 제어신호(X)는 하이논리상태로 출력되어 아날로그스위치(150)는 ON되고, 오디오신호입력수단(90)에서 출력된 오디오신호는 스위치(150)를 통해 저역필터(160)로 인가된다. 저역필터(160)는 인가된 오디오신호에 대해 고역제한하여 프리앰프(170)로 출력한다. 프리앰프(170)는 제2 A/D 변환기(100)에서 동작될 수 있는 범위까지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제2 A/D변환기(100)는 유입된 오디오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켜 제2버퍼메모리(110)에 인가하고, 제2버퍼메모리(1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유기적인 제어관계에 의해 인가된 오디오신호를 메모리카드(120)로 출력한다.
메모리카드(120)는 제4a도와 같이 8비트의 비디오데이터라인(VD0∼VD7)과 4비트의 오디오데이터라인(AD∼AD3)을 갖고, 제4b도의 번지할당맵과 같이 각 화면당 비디오정보와 오디오정보가 차지하는 영역을 구분한다. 예를들어 메모리카드(40)가 제4b도와 같이 16화면분의 정보를 기록, 저장, 재생할 경우, A7 A6 A5 A4는 화면지정용(1화면∼16화면) 4비트번지이고, A3 A2 A2 A0는 비디오정보용 16비트(4비트×4)번지이고, C1 C0는 오디오정보용 8비트(4비트×2)번지이다. 따라서 만약 1화면이 선택되었다면 화면지정용 A7 A6 A5 A4번지는 0000가 되고, 비디오정보는 0000-FFFFH번지에서 기록 및 판독되며, 오디오정보는 00∼FFH번지에서 기록 및 판독된다. 메모리카드(40)는 어드레스버스는 제4c도와 같다. 이러한 메모리카드(40)의 어드레스버스를 통해 시스템 제어수단(80)의 제어신호가 전달되는 통로는 제4d도와 같이 비디오용 번지발생기(190) 및 오디오용 번지발생기가 이용된다. 비디오용 번지발생기(190)는 총 16비트(4비트×4 ; A0∼A3)번지발생기이고, 오디오용 번지발생기(200)는 총 8비트(2비트×4 ; C0, C1)번지발생기이다. 오디오신호는 상술한 제3도에서와 같이 항상 유입되는 것이 아니므로 기록/판독작동을 계속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시스템제어수단(80)에서 오디오신호용 번지발생기(200)로 인에이블(Enable)신호인 제어신호(Y)를 발생하여 오디오신호용 번지발생기(2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시스템제어수단(80)에서 발생되는 인에티블제어신호(Y)가 하이논리일 경우에만 오디오신호용 번지발생기(200)가 작동하게 되어 메모리카드상에 오디오신호기록 및 판독번지를 지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록측 버퍼메모리(30)에서 유입되는 오디오신호를 기록하고 판독하여 재생측버퍼메모리(50)로 출력한다.
한편 오디오신호의 기록 및 재생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4d도의 (Y)신호와 제3도의 (X)신호에 대한 시스템제어수단(80)의 출력상태를 제5도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1단계에서 시스템제어수단(80)은 오디오신호기록모드가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 기록모드가 설정되었으면 제2단계에서 (X)제어신호를 하이논리로 출력하고, 제3단계에서 (Y)제어신호를 하이논리로 출력한다. (X), (Y)제어신호가 하이논리상태이므로 일차적으로 기록용 버퍼메모리(30)에 일정시간동안 인가된 오디오신호를 기록하고, 일시 저장한뒤 판독하여 번지발생기(20)에 의해 지정된 메모리카드(40)의 오디오용 영역에 기록한다. 이러한 과정은 소정시간(예를 들어 약 5초)동안 반복수행되도록 (X), (Y)제어신호는 하이논리상태를 유지한다.
소정시간 경과여부는 제4단계에서 체크된다.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시스템제어수단(80)에서 출력되는 (X), (Y)제어신호는 로우논리로 변환되고, 아날로그 스위치(15)를 OFF상태로 제어하여 오디오신호입력수단(90)을 통해 유입되는 오디오신호를 차단시키고, 오디오용 번지발생기(20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
제1단계에서 오디오신호기록모드가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오디오신호재생모드가 설정되었는지를 체크한다(제7단계). 오디오신호재생모드가 설정되었으면, (Y)제어신호는 하이논리상태로 (X)제어신호는 로우논리상태로 시스템제어수단(80)에서 출력된다(제8단계). 따라서 오디오신호입력수단(90)에서 유입되는 오디오신호는 차단되고, 오디오용 번지발생기(200)는 작동되어 메모리카드(40)로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신호의 번지지정신호를 출력한다. 메모리카드(40)는 지정된 번지의 오디오신호를 재생측 버퍼메모리(50)로 재생한다. 반면에 재생모드도 설정되지 않았으면(제7단계), (X), (Y)제어신호는 로우논리상태로 출력된다(제5단계, 제6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카메라와 재생기로 구성되어 비디오신호를 기록재생하는 전자카메라시스템에 있어서, 비디오신호 뿐 아니라 오디오신호에 대한 기록재생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유입되는 비디오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전자카메라와 ; 상기 전자카메라에 기록된 비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기로 구성된 전자카메라시스템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 시스템의 전기능을 제어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제어수단(80)과 ; 오디오신호입력수단(90)과 ; 상기 오디오신호입력수단(9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A/D변환기(100)와 ; 상기 A/D변환기(100)의 출력신호를 상기 시스템제어수단(80)에 의해 제어되어 일시 저장하기 위한 기록용 버퍼메모리(100)와 ; 상기 기록용 버퍼메모리(1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시스템제어수단(80)에 제어되어 기록 및 판독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40)와 ; 상기 시스템제어수단(8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메모리카드(40)에서 판독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재생용 버퍼메모리(120)와 ; 상기 재생용 버퍼메모리(12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D/A변환기(130)와 ; 상기 D/A변환기(130)의 출력신호를 오디오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비디오신호 뿐 아니라 일반 오디오신호까지 기록 및 저장,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기록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카메라시스템은 상기 시스템제어수단(8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오디오신호입력수단(10)에서 상기 제2 A/D변환기(100)로 오디오신호의 유입여부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기록재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카드(40)의 메모리맵은 화상지정용 번지와 비디오정보영역 및 오디오정보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기록재생장치.
KR1019910000340A 1991-01-11 1991-01-11 전자카메라 시스템의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기록재생장치 KR930005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0340A KR930005598B1 (ko) 1991-01-11 1991-01-11 전자카메라 시스템의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기록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0340A KR930005598B1 (ko) 1991-01-11 1991-01-11 전자카메라 시스템의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기록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856A KR920015856A (ko) 1992-08-27
KR930005598B1 true KR930005598B1 (ko) 1993-06-23

Family

ID=19309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0340A KR930005598B1 (ko) 1991-01-11 1991-01-11 전자카메라 시스템의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5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856A (ko) 199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6657A (en) Electronic still camera for recording and regenerating image data and sound data
KR100197585B1 (ko) 영상(image)/오디오정보(information)를 반도체메모리에 기록/재생하기 위한 장치
US5274457A (en) Digital electronic still camera having removable record means
JP3548245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KR930005598B1 (ko) 전자카메라 시스템의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기록재생장치
JP2658236B2 (ja) 情報処理装置
KR19990049718A (ko) 음성 녹음/재생이 가능한 디지탈카메라
EP0446674A2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JPH07322195A (ja) 画像記録再生装置及び画像・音声記録再生装置
JP3316344B2 (ja) 音声信号再生装置
JP3332667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2925281B2 (ja) 情報信号制御システム
JP3316340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2801383B2 (ja) 情報信号制御システム
JPH01218188A (ja) 画像信号記録装置
JPH05308607A (ja) スチルカメラ
JPH03209984A (ja) 映像・音声デジタル記録装置及びその再生装置
JP2684698B2 (ja) 情報処理装置
JP265944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EP0385767A2 (en) Video phone system
JP2692800B2 (ja) データ記憶装置
JPH01227287A (ja) 画像信号記録装置
JP2943546B2 (ja) 画像記憶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映像処理装置
JPH0327686A (ja) スチルビデオ装置
JPH04323982A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