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174Y1 - 자동차의 능동 현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능동 현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174Y1
KR930005174Y1 KR2019900022035U KR900022035U KR930005174Y1 KR 930005174 Y1 KR930005174 Y1 KR 930005174Y1 KR 2019900022035 U KR2019900022035 U KR 2019900022035U KR 900022035 U KR900022035 U KR 900022035U KR 930005174 Y1 KR930005174 Y1 KR 930005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control valve
hydraulic
active contro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2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675U (ko
Inventor
황철순
Original Assignee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filed Critical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22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174Y1/ko
Publication of KR9200116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6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1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02Retarders, delaying means, dead zones, threshold values, cut-off frequency, timer interru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18Automatic control means
    • B60G2600/181Signal modulation; pulse-width, frequency-ph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18Automatic control means
    • B60G2600/182Active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능동 현가 장치
제1도는 종래 능동 현가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본 고안 능동 현가장치의 블럭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지연보상기의 상세회로도.
제4도는 종래의 능동 현가장치의 능동 제어밸브의 주파파형도.
제5도는 본 고안 능동 현가장치의 능동 제어밸브의 주파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압현가실린더 2 : 유압원
3, 3a : 유로 4 : 능동제어밸브
5 : 감쇄밸브 6 : 가스스프링
7 : 콘트롤러 7a : 지연보상기
Q : 액큐뮬레이터 T : 유류통
본 고안은 자동차의 능동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4개의 차륜 각에 설치된 유압 현가실린더의 능동제어밸브를 통해서 유압펌프에 연결되는 능동 현가장치에 지연보상기를 부가하여 능동 제어주파수 영역을 넓힘으로써 상기 능동제어밸브의 위상지연을 보상할수 있도록한 자동차의 능동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능동 현가장치의 능동제어밸브는 동적 응답을 함으로써 위상지연현상을 발생새켜 능동현가장치의 제어영역을 제한하게 되는바, 종래의 능동 현가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압원(2)에 능동제어밸브(4)를 통해서 연결된 유압현가실린더(1)가 스프링의 무게와스링 밑무게의 진동을 제어할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능동제어밸브(4)는 도시되지 않은 가속도센서, 차고센서, 등의 소위 스프링위 무게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유압 현가실린더(1)와 능동제어밸브(4)간을 연결하는 유로(3)를 통해서 압력을 입력해서 연산처리하는 콘트롤러(7)로 부터 제어지령으로 개폐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감쇄밸브(5)는 유압현가실린더(1)의 신축작용에 따라 작동유가 가스스프링(6)으로 공급배출될때 소정의 간쇄력을 발생하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능동현가장치는 차량이 주행중에 노면에 대한 충격이나 기타 장애물에 대한 충격에 의하여 가진 주파수가 상기 유압현가실린더(1)에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유압현가실린더(1)에 발생되는 가진 주파수가 저주파수 영역일 경우에는 가스스프링(6) 작용보다는 능동제어밸브(4)의 개폐제어에 따라 유압현가 실린더(1)의 유압을 유류통(T)으로 배출함으로써 유압현가실린더(1)의 작동유량을 제어하여 주 행차량의 승차 감 및 자세제어를 능동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한편 유압현가실린더(1)에 발생되는 가진주파수가 고주파수 영역이 경우에는 능동제어밸브(4)의 절환조작성의 문제로 유압현가실린더(1)는 능동제어밸브(4)에 의해 유량제어가 불가능하며, 감쇄밸브(5)를 통하여 가스 스프링(6)간의 작도유 흐름의 제어로 스프링밑 무게의 진동만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같이 가진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중간주파수 영역에서 능동제어밸브의 위상지연 현상 때문에, 원래 유압현가실린더(1)에서는 진동상태에 대하여 필요한 유압배출하도록 되어 있어 유압현가실린더(1)에서는 추진력을 증대시켜서 승차감을 악화시킨다.
따라서 상기 능동제어밸브(4)의 개폐제어에 따라 유압현가실린더(1)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능동적인 제어영역에 한계를 갖게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능동현가장치에 있어서, 각종 검출수단으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연산처리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부터의 연산된 신호를 지연보상기를 통해서 능동제어밸브에 입력되게하여 능동제어밸브의 위상지연을 보상하도록 함으로써, 능동제어밸브의 능동적인 제어주파수 영역의 한계를 넓히도록한 능동현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 능동현가장치의 블럭도로서, 차량의 4개 각 차륜에 설치된 유압현가실린더(1)가 능동제어밸브(4)를 통해서 유압원(2)에 연결되고, 상기 능동제어밸브(4)는 유로(3a)를 통해서 검출수단(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의 압력신호를 입력받아 연산처리 제어하는 콘트롤러(7)에 의하여 개폐제어되도록된 능동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7)와 능동제어밸브(4)간에 위상지연을 보상하기 위하여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병렬 접속된 저항(R1), (R2)에 콘덴서(C)를 병렬접속시킨 지연보상기(7a)를 구비시켜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P는 펌프, 6은 가스스프링, 5는 감쇄밸브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검출수단(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가속도센서, 차고센서등을 검출한 압력등을 입력으로 연산처리 제어하는 콘트롤러(7)의 징렬으로 능동제어밸브(4)를 제어하고 능동제어밸브(4)로 하여금 감쇄밸브(5)를 제어하여 가스스프링(6)으로 공급배출되는 작동유가 감소력을 발생토록 함으로써 유압현가실린더(1)의 작동유량이 제어되어 주행차량의 승차감 및 자세제어를 능동적으로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유압현가실린더(1)에서는 차량주행중에 가진 주파수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발생되는 가진 주파수는 가스스프링(6)의 작용보다는 능동제어밸브(4)의 개폐제어에 따라 유압현가실린더(1)에 액큐뮬레이터(Q)로부터 유압을 공급하거나 유압현가실린더(1)의 유압을 유류통(T)으로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지누파수가 저주파수 영역일 경우에는 능동제어밸브(4)를 제어하게 되는 콘트롤러(7)의 지령이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연보상기(7a)를 통해서
로 되는 전압증폭도로 제어하기 때문에 위상지연현상이 발생되지 않게되고, 반면에, 유압현가시린더(1)에 가진 주파수가 고주파수 영역일 경우에는 위상지연현상이 현저히 발생하여 능동제어 주파수 영역이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주파수 영역이지만 상기 지연보상기(7a)를 통과하게 되는 경우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능동제어주파수 영역이 현격히 증가게 된다.
즉 능동제어밸브(4)는 제어하는 주파수영역의 위상지연을 보상하여 능동제어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4개 차륜 각각에 설치된 유압 현가실린더가 능동제어밸브를 통해서 유압 펌프에 연결된 능동현가장치의 능동제어 주파수영역을 넓히기 위하여 각종 검출수단으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연산처리제어하는 콘트롤러로부터의 연산신호를 지연보상기를 통해서 위상지연 보상시켜 능동제어밸브를 입력되게 함으로써 능동적인 제어주파수 영역의 한계를 넓혀주어 주행차량의 승차감 및 자세제어를 효과적으로 해줄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차량의 4개 차륜에 설치된 유압현가실린더(1)가 능동제어밸브(4)를 통해서 유압원(2)에 연결고 상기 능동제어밸브(4)는 유로(3a)를 통해서 검출수단(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의 압력신호를 입력받아 연산처리 제어하는 콘트롤러(7)에 의하여 개폐제어되도록된 능동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능동제어밸브(4)에 위상지연현상을 보상하기 위한 지연보상기(7a)를 구비시켜 능동제어의 주파수를 확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능동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지연보상기(7a)는 병렬접속된 저항(R1), (R2)에 콘덴서(C)를 병렬 접속시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능동현가장치.
KR2019900022035U 1990-12-31 1990-12-31 자동차의 능동 현가 장치 KR930005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2035U KR930005174Y1 (ko) 1990-12-31 1990-12-31 자동차의 능동 현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2035U KR930005174Y1 (ko) 1990-12-31 1990-12-31 자동차의 능동 현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675U KR920011675U (ko) 1992-07-24
KR930005174Y1 true KR930005174Y1 (ko) 1993-08-09

Family

ID=1930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2035U KR930005174Y1 (ko) 1990-12-31 1990-12-31 자동차의 능동 현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1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675U (ko) 199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1887B1 (en)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JPH04151316A (ja) 能動型懸架装置のための制御方法
KR100254126B1 (ko) 반 능동적 서스펜션의 조절방법
US4746143A (en) Vibration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s
US5384706A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JPH05131825A (ja) 走行機構の半能動式制御法
JPH11139310A (ja) 鉄道車両の振動制御方法
KR930005174Y1 (ko) 자동차의 능동 현가 장치
JPH10297485A (ja) 振動抑制装置
JP2584318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5217247A (en) Suspension control system
JPS6294413A (ja) 自動車の車高調整装置
JPH0490913A (ja) 車両用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726747B2 (ja) 装軌車両の懸架装置
JP2536146Y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7119179A (ja) 作業車両の可変型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
KR0181233B1 (ko) 자동차 서스펜션용 유압부시 제어장치
JP3172881B2 (ja) 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534609Y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221576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부시 제어장치
KR100221575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부시 제어장치
SU598780A1 (ru) Активна подвеска корпус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S60209312A (ja) 自動車の車高調整装置
JPH0485126A (ja) 車両用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388384B1 (ko) 자동차의서스펜션용부시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