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954B1 - 오디오 및 비디오 구성요소 상호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및 비디오 구성요소 상호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954B1
KR930004954B1 KR1019840003617A KR840003617A KR930004954B1 KR 930004954 B1 KR930004954 B1 KR 930004954B1 KR 1019840003617 A KR1019840003617 A KR 1019840003617A KR 840003617 A KR840003617 A KR 840003617A KR 930004954 B1 KR930004954 B1 KR 930004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audio
signal
components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3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157A (ko
Inventor
스코트 디스 마이클
웨슬리 베이어 2세 빌리
Original Assignee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filed Critical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50000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04B1/207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with an audio or audio/video bus for signal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2001/222Other features
    • G01N2001/2223Other features aerosol samp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tudio Circuit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디오 및 비디오 구성요소 상호 연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오디오 및 비디오 구성요소 상호 연결 시스템에 대한 부분적인 블록선도 및 부분적인 개략선도.
제2도 및 제3도는 제1도 부분에 대한 상세한 개략선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오디오 및 비디오 구성요소 상호 연결 시스템에 대한 모듈화된 실시예의 블록선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비디오 구성요소 상호 연결 시스템의 부분적인 블록선도 및 개략선도.
제7도 및 제8도는 제6도 부분에 대한 상세한 개략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TV 12 :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14 :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22 : 오디어 테이프 레코더
24 : 오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본 발명은 오디오 및 비디오 구성요소 상호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의 여러 오디오 및 비디오 구성요소에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분배시키는 신호 버스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디스크 및 테이프 플레이어, 가정용 컴퓨터 및 위성 TV수상기와 같은 여러가지의 가정용 오락 비디오 구성요소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 구성요소의 상호 연결은 더욱더 복잡하게 되어진다. 비디오 및 오디오 구성요소는 이용자가 이용자 자신의 오락 시스템을 만들고 그들이 바라는대로 구성요소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들 여러종류의 구성요소를 상호연결시키는 한 방법은 현재 사용되는 이들 구성요소간을 손에 의해 케이블로 연결시키는 것이고 또한 다른 구성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때 케이블 연결을 손으로 변경시키는 것이다. 이런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시스템을 동작시키려 할때마다 필요한 케이블을 수동으로 재배열해야 하므로 확실히 불만족스럽다.
다른 방법은 중심에 위치하거나 분포될 수 있는 다수의 스위치에 각각의 구성요소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 스위치는 시스템이 이용자의 지시대로 동작하도록 구성요소중에서 특정한 구성요소 사이의 여러 신호를 경로 지정하기 위해 수동으로 또는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비록 이런 방법이 첫번째 방법보다도 좀더 만족스럽다고 할지라도, 이런 방법은 광범위하게 케이블을 스위치로 연결할 것을 요구하게 되므로 외관상 좋지않게 신호 단선을 실행하게 되며 이용자가 설치하고 제어하는데 다소 복잡해진다. 또한 구성요소를 추가하게 됨으로써 이런 형태의 시스템은 복잡하게 된다.
이용자가 설치하기가 비교적 쉽고 차후에 부가된 구성요소를 간단히 연결하게끔 이용자가 확장이 가능하도록 충분히 신축성이 있는 구성요소 상호 연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스템은 바람직하게 최소량의 신호도선을 가져 이용자의 설치 및 제어가 비교적 용이하고 시스템의 신빙성도 증가하게 되도록 해야 한다. 동시에 코스트도 최소가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적합한 시스템은 수개의 오디오 및 비디오 구성요소가 동시에 동작 가능하여 이용자가 시스템을 최대로 이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어야만 된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라, 비디오나 오디오 신호용 단일 신호 도선은 구성요소간의 신호를 도통시키는 직렬 방식으로 오락 시스템의 여러 구성요소의 신호 단자 사이에서 연결된다. 이러한 배열은 구성요소가 분배 방식으로 신호 도선에 연결되는 데이지-체인(daisy-chain) 배치와 흡사하다. 스위치는 도선을 제1 및 제2부분으로 분리하는 도선과 직렬로 위치하여 제1 및 제2부분에 연결된 그룹의 구성요소 사이에 동시적이고 독립적으로 신호를 분배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오디오/비디오 구성요소 상호 연결 시스템은 비디오 구성요소간에 직렬 방식으로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도록 주어진 특성 임피던스를 가진 비디오 신호 도선을 포함한다. 비디오 도선과 직렬로 위치한 스위치가 비도통일 때는 비디오 도선의 연속을 제1 및 제2부분으로 분리하여 제1 및 제2부분에 연관된 비디오 구성요소간에 동시적이고 독립적으로 비디오 신호를 분배하도록 한다.
상술된 시스템에서 비디오 신호 도선의 연속이 중단될 때, 바람직하지 않은 신호 반사를 최소로 하기 위해 비도통 스위치에 의해 나타난 불연속에서의 적당한 임피던스 레벨을 만드는 시설이 있어야 된다고 인식 되어진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비디오 신호 도선과 직렬 스위치와의 접합에서 비디오 도선에 결합된 분로 스위치 배열은 도선과 기준 전위 사이에 비디오 신호 도선의 특성 임피던스와 실제로 등가인 소정의 임피던스를 인가한다. 분로 스위치는 직렬 스위치가 비도통일 때 도통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다수의 비디오 및 오디오 구성요소가 도시되고, 각 구성요소는 비디오 및 오디오 구성요소중 다른 구성요소로 또는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는 연관된 연결단을 가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및 내부 튜너를 포함하는 TV 튜터(10),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12),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VDP)(14) 및 TV 모니터(16)가 전형적인 가정용 비디오 구성요소의 예로서 도시된다. 증폭기(18), AM/FM 수신기(20),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ATR)(22) 및 오디오 디스크 플레이어(ADP)(24)가 전형적인 가정용 오디오 구성요소의 예로서 도시된다. 세개의 신호 도선 또는 버스와 제어 도선 또는 버스만을 포함하는 단일케이블(26)은 각 구성요소간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결합하도록 하여 구성요소 오락시스템을 상호 연결시킨다. 케이블(26)은 기저대 비디오 신호를 분배하는 75Ω 특성 임피던스를 지닌(동축 케이블 형의) 차폐 도선 신호 버스(28)와, 좌우 스테레오의 오디오 신호를 분배하는 두 차폐 도선 신호 버스(30 및 32)와, 시스템의 여러 구성요소간의 제어 신호를 분배하는 디지탈 신호 제어 버스(34)를 포함한다. 비록 입체음향 오디오가 현재는 텔레비전 방송이 아니더라도, 곧 실현화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와같이, 입체음향 오디오는 본 기술에 의해 제공된다.
비디오 구성요소(10-16)은 케이블(26)의 신호 버스를 통해서 구성요소간에서 비디오 및 오디오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는 각각의 연결단(36-42)을 포함한다. 각각의 오디오 구성요소(18-24)은 오디오 신호 버스(30 및 32)를 통하여 이들 구성요소간에서 오디오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는 각각의 연결단(44-50)을 포함한다. 각 오락 구성요소 및 이에 연관된 연결단을 에워싸는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각 구성 요소는 그안에 내장된 연결단을 갖게 된다.
비디오 구성요소(10-16)는 함께 떼를 이루고 케이블(26)은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그들 각각의 연결단을 함께 연결한다(즉, 케이블(26)은 직렬 방식으로 한 연결단에서 다음단까지 연결된다). 이와 비슷하게, 오디오 버스(30 및 32)와 제어버스(34)는 오디오 구성요소(18-24)에서 한군을 이룬 배열을 상호 연결한다.
각각의 연결단은 예를들어 마이크로컴퓨터와 판독전용 메모리를 포함하는 논리 회로(52-66)를 포함하며, 판독전용 메모리는 연관된 오디오 또는 비디오 구성요소와 케이블(26)간에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의 선택적인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도록(넓은 화살표로서 표시된) 다른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버스(34)상에 전달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제어프로그램(도시되지 않음)을 기억한다. 또한, 각 연결단과 이에 연관된 구성요소간의 원격 제어 연결(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출력 신호는 구성요소의 기능 동작을 제어한다.
후에 더 상세히 기술될 바와같이, TV모니터(16)에 연관된 논리회로(58)는 마스터 논리 구성 장치로서 동작하여 전체 구성요소 오락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용자는 예를들어, 원격 제어 송신기(68)로부터 마스터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송신기(68)는 다수의 누름 단추(69)를 포함하여 이용자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원으로서의 오락 시스템중 어떠한 구성요소와 이들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나머지 구성요소 중 어떠한 구성요소라도 선택 가능하다. 수신된 원격 제어 메세지에 응답하여, 마스터 논리 회로(58)는 디지탈 제어 신호를 적당한 송신 및 수신 경로를 완성하는 제어 버스(34)를 통해서 다른 오디오 및 비디오 구성요소 각각에 연관된 나머지 논리 회로에 공급한다.
연결단의 가장 간단한 형은 상호 연결용 케이블(26)의 신호 버스에 신호원을 연결하는 것이다. TV 동조기(10)는 이러한 신호원의 하나이고 기저대 비디오 신호 및 스테레오 좌우 오디오 신호를 신호 버스(28, 30, 32)에 각각 공급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연결단(36)은 버스(28)에 비디오 신호를 공급하는(제2도를 참조하여 후에 상세히 기술될) 비디오 구동 증폭기(70)를 포함한다. 구동기(70)는 버스(28)에 비디오 신호가 공급될 때 저 출력 신호를 공급하거나 또는 버스(28)에 비디오 신호가 공급되지 않을 때(구동기(70)의 출력과 직렬로 연결된 개방 스위치에 의해 기능적으로 표현된) 고출력 임피던스를 제공하는 논리회로(52)의 출력 신호에 응답한다. 저출력 임피던스(즉, 10Ω 보다 적다)는 버스(28)에 충분한 신호 레벨을 공급하는데 필요하다. 고임피던스(즉, 1㏀ 보다 크다)는 버스(28)에 비디오 신호를 공급하지 않을 때 구동기(70)의 출력에서 버스(28)에서 접지까지의 비디오 신호 결합을 제한시키는데 필요하다.
기저대 비디오 신호의 주파수는 실제로 즉 4㎒까지이므로, 적당한 종단이 비디오 버스의 끝에서 유지되어져야만 한다. 비디오 버스(28)의 끝은 재생된 비디오에서 고스트(ghost)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비디오 신호 반사를 최소로 하기 위해 특성 임피던스에서 종단되어야만 한다. 이와같이, 연결단(26)에서 비디오버스(28)의 끝은 버스(28) 중심도선과 접지 사이에 결합된 75Ω 저항(72)으로 종단된다. 비디오 버스(28)의 다른 끝은 나중에 더 상세히 기술될 연결단(42)의 비디오 신호 구동기로 종단된다.
연결단(36)은 논리 회로(52)로부터 나온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TV 동조기(10)의 좌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버스(30 및 32)에 공급하는 도통 스위치(74 및 76)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오디오 스위치(74 및 76)로서 적합한 회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3도로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비슷한 방법으로, VTR(12)과 VDP(14)로부터 나온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는 비디오 구동기(78 및 80)와 연결단(38 및 40)의 오디오스위치(81-84)를 통하여 버스(28, 30, 32)에 각각 공급된다.
연결단 (38)은 하나의 고입력 임피던스 비디오 신호 버퍼(85)와 신호 버스(28, 30, 32) 사이에 연결된 두개의 고입력 임피던스 오디오 신호 버퍼(86 및 87)를 포함하여 이들 버스로부터 나온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VTR(12)의 각 기록 입력단자(도시되지 않음)에 공급한다. 이들 버퍼는 신호 버스에 고임피던스를 나타내므로, 버스상의 신호 레벨은 VTR(12)의 동작 모드에는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비슷하게, 연결단(42-50)은 오디오 신호 버스(30 및 32)에 좌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오디오 스위치(88-97)를 포함하고 연결단(42, 44, 48)은 버스(30 및 32)로부터 나온 오디오 신호를 TV 모니터(16), 증폭기(18),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22)에 공급하는 고임피던스 오디오 신호 버퍼(98-103)를 포함한다. 연결단(42 및 44)에 도시된 나머지 오디오 스위치에 대한 설명은 후에 기술될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비디오 버스(28)중 한단은 저항(72)으로 특성 임피던스에서 종단되고 나머지 단은 연결단(42)의 비디오 신호 구동기로 종단한다. 연결단(42)에서, 모니터(16)의 내부 동조기로부터 나온 비디오 신호는 75Ω 출력 임피던스(저항(108)으로 표현)를 가진 비디오 신호 구동기(106)를 통하여 버스(28)에 인가된다. 스위치(110)는 내부 TV 동조기로부터 나온 비디오 신호 구동기(106)를 통해 버스에 공급되는 제1위치를 가진다. 그러나, 만일 비디오 신호가 버스(28)로부터 모니터(16)에 의해 수신되어진다면, 스위치(110)는 구동기(106)의 입력을 신호 접지에 결합하는 제2위치내에(논리 회로(58)로부터 나온 제어 신호에 의해서) 있게 된다. 이 위치에서, 구동기(106)는 75Ω 출력 임피던스를 유지하여 비디오 버스(28)의 이단에서 특성 임피던스 종단으로 동작한다. 고입력 임피던스 비디오 신호 버퍼(112)는 TV 모니터(16)의 디스플레이부에 버스(28)로부터 나온 비디오 신호를 공급하여 버스(28)로 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재생시킨다.
지금까지 기술된 상호 연결 시스템은 비디오 구성요소간에 비디오 신호를 분배하는 한 신호 도선과 오디오 및 비디오 구성요소간에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분배하는 두 신호 도선만을 필요로 하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이다. 이것은 최소한의 신호 도선로 상술된 바람직한 형상을 제공하여, 설치하고 동작하는데 간단하고 쉽게 확장 가능한 시스템을 만들게 된다. 비록 단일 도선과 각 정보 신호의 각각을 분배하는데 사용된다고 하더라도, 시스템은 각 버스의 각각에서 한번에 한 신호만을 분배하지는 않는다. 즉, 구성요소간에서 동시이고 독립적인 신호 분배가 가능한 바림직한 형상은 이러한 시스템에서 제공된다. 이것은 각 신호 버스의 연속을 최소한 두 분리부로 나눔으로써 매트릭스 스위칭 배열을 이용함이 없는 경제적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VDP(14)에 연관된 연결단(40)은 선택적으로 도통하는 두 비디오 신호 경로를 포함하고 이 경로는 TV 동조기(10)나 VTR(12)에서 시작하는 비디오 신호를 TV 모니터(16)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스위치(114)는 선택적으로 도통한 이들 경로를 기능적으로 나타내고 직렬 연결된 단일극(single pole), 단일-접점(single throw) 아나로그 비디오 신호 스위치(114a 및 114b)를 포함하여 VDP로부터 나온 비디오 신호가 버스(28)의 분리된 양쪽에 분배되어지도록 한다. 비디오 신호 스위치는 본 기술에 능숙한 사람에게는 공지되어 있으며 공지된 여러가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동작중, 이용자는 송신기(68)를 동작하여 VTR(12)이 TV 동조기(10)로부터 공급된 비디오 신호를 기록하고 동시에 VDP(14)로부터 나온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가 동시에 시청되도록 TV모니터(16)로 보내지도록 마스터, 제어기(58)에 명령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같이 비디오 버스 끝의 적당한 종단을 신호 반사를 최소로 하기 위해서는 항상 유지되어야 한다. 스위치(114)가 비도통일 때는 스위치가 버스(28)의 연속을 두개의 분리된 부분으로 부수어 새로운 끝이 효율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스위치(114)가 비도통일 때 비디오 버스(28)의 이들 새로운 끝을 적당히 종단하는 시설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스위치(114a)가 개방될 때 75Ω 저항(116)을 통하여 버스(28)를 접지에 결합하도록 스위치(115)가 제공되고 스위치(114b)가 개방될 때 75Ω 저항(118)을 통하여 버스(28)를 접지에 결합하도록 스위치(117)가 제공된다. 예를들어, 스위치(114a)는 개방되고 스위치(114b)는 단락되어 VDP(14)가 TV 모니터(16)에 신호를 공급하는 동안은 TV동조기(10)가 VTR(12)에 신호를 공급하도록 할때, 스위치(115)는 단락되고 스위치(117)는 개방될 것이다.
오디오 신호 버스(30 및 32)의 연속도 또한 분리되어 비디오 버스(28)의 연속 분리와 비슷한 방식으로 시스템 구성요소간에서 동시이고 독립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분배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연결단(40)은 직렬 스위치 배열(120 및 122)을, 연결단(42)은 직렬 스위치(124 및 126)를, 연결단(44)은 직렬 스위치(128 및 130)를 버스(30 및 32)에 각각 포함하여 이들 버스를 구성요소(10 및 12), (14 및 16), (16 및 18), (20, 22 및 24)간에 독립이고, 동시적인 오디오 신호 배전을 하도록 하는 더 작은 부분으로 분리한다. 직렬 스위치(120-130)를 형성하는데 적합한 선택적으로 도통인 오디오 신호 제어 경로에 대한 구성은 오디오 신호 조절 기술에 능숙한 사람에게는 공지되어 있다.
연결단(42)은 단일극이 접점의 스위치(132 및 134)도 포함하여 스위치(124 및 126)에 의해 분리된 오디오 버스(30 및 32) 양쪽에서부터 나온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신호 버퍼(98 및 99)를 통해서 TV모니터(16)에 포함된 스피커(도시되지 않음)에 연결시킨다.
마지막으로, 연결단(44)은 단일 접점 스위치(136-141)와 상술된 스위치(90 및 91)에 의해 기능이 나타내진 선택적으로 도통된 신호 경로를 포함하여, 스위치(128 및 130)와 증폭기(18)에 의해 분리된 버스(30 및 32)의 양쪽 사이의 오디오 신호 결합을 제어한다. 저레벨 오디오 신호는 예를들어 다른 축음기 플레이어(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증폭기(18)의 선택 스위치(142)원에서 부터 오디오 버스(30 및 32)에 공급될 수 있다.
동작중, 송신기(68)로부터 수신된 원격 제어 메세지에 응답하여, 마스터 제어기(58)는 슬레이브 논리 구성 장치 각각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고, 이 장치는 상술된 스위치 및 구동기의 동작과 이들에 연관된 오락 구성요소 예를들면 전원 온/오프상태, 음량레벨, 채널 선택 능동과 같은 것에 대한 동작 기능을 제어한다.
예를들어, TV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증폭기(18)에 의해 증폭된 오디오로 스테레오 비디오 디스크를 디스플레이하고 방송 FM 프로그램을 동시에 기록하기 위해서 원격 제어 메세지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마스터 제어기(58)는 제어 버스(34)를 통하여 다음의 기능이 일어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공급하도록 슬레이브 논리 장치에 명령할 것이다.
1. 적당한 즉, 동조기(10), VTR(12), VDP(14), 증폭기(18), AM/FM 수신기(20) 및 ATR(22)를 켠다.
2. 다음과 같이 오디오 및 비디오 버스의 연속을 단절한다.
a. 스위치(114a, 120a, 122a)는 개방
스위치(114b, 120b, 122b)는 단락
b. 스위치(124a, 및 126a)는 개방
스위치(124b 및 126b)는 단락
c. 스위치(128 및 130)는 개방
3. 다음과 같이 비디오 버스의 적당한 종단을 제공한다.
a. 스위치(115)는 단락, 스위치(117)는 개방, 스위치(110)는 동작되어 구동기(106)의 입력이 접지에 결합되어 구동기(106)의 출력 임피던스(108)가 버스(28)용 특성임피던스 종단으로 작용한다.
4. 다음과 같이 각 구성요소에 대해 적절한 동작상태를 선택한다.
a. TV 동조기(10)를 바람직한 TV 채널로 셋트
b. VTR(12)를 레코드 모드로 셋트
c. VDP(14)를 플레이 모드로 셋트
d. 증폭기(18)의 음량을 바람직한 레벨로 셋트
e. AM/FM 수신기(20)를 바람직한 FM국으로 셋트
f. ART(22)을 레코드 모드로 셋트
5. 다음과 같이 적당한 신호 경로를 선택한다.
a. 비디오 구동기(70)가 버스(28)에 비디오 신호를 공급하고 스위치(74 및 76)를 단락시켜 TV 동조기(10)로 부터 나온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가 연결단(38)의 버퍼(85, 86, 87)를 통하여 VTR(12)의 기록 입력단에 연결 가능하게 한다.
b. 비디오 구동기(80)와 연결단(36)의 스위치(83 및 84)가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14)로부터 나온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폐로 스위치(114b, 120b, 122b)를 통하여 상호 연결 케이블(26)에 공급 가능하게 한다. 비디오 신호는 버퍼(112)를 통하여 TV 모니터(26)의 표시에 결합되고 오디오 신호는 폐로스위치(124a 및 124b, 126a 및 126b, 140, 141)와 버퍼(100 및 101)를 통하여 증폭기(18)에 결합될 것이다.
c. 연결단(46)의 스위치(92 및 93)는 단락되어 수신된 방송 FM 오디오 신호를 연결단(48)의 오디오 버스(30 및 32)와 버퍼(102 및 103)를 통하여 ATR(22)의 기록 입력에 공급되도록 한다.
제2도의 상단부에서는 비디오 구동기(70, 78 또는 80)를 구성하는데 적합한 회로예를 도시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비디오 구동기는 저 또는 고 출력임피던스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제어 가능 해야 한다.
각 구동기는 비디오 버스(28)와 연결된 접합점에 직렬 연결된 두개의 핀 다이오드(210 및 212)를 포함한다. 저항(214)을 통해 다이오드(210)의 양극에 -5볼트를 저항(216)을 통해 다이오드(212)의 음극에 +5볼트를 인가함으로써 처음에는 다이오드가 역방향 바이어스된다. 제어 트랜지스터(218)는 베이스에서 신호C를 수신하고, 신호 C가 저 논리 레벨일 때는 트랜지스터(218)는 도통되어 핀 다이오드(210)의 애노드에서의 전위가 증가된다. 이것으로 인하여 다이오드(210)는 순방향 바이어스되어 트랜지스터(220)의 에미터에 전류를 공급하므로 트랜지스터(222)의 베이스에 트랜지스터(220)의 베이스에서 인가된 비디오 신호를 도통시킨다. 이것으로 인하여 트랜지스터(222)는 도통되어 다이오드(212)를 순방향 바이어스시켜 버스(28)에 비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저임피던스 경로를 완성시킨다. 트랜지스터(220)와 다이오드(212)가 전도됨에 따라 공급된 부궤환으로 인하여, 비디오 구동기의 출력 임피던스는 낮게(즉, 10Ω 이하) 유지되고 이의 대역폭은 기저대 비디오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충분히 넓다(4㎒까지).
신호 C가 하이(high) 논리 레벨일 때, 트랜지스터(218)는 비도통이어서 트랜지스터(220 및 222)의 전도가 방지된다. 이와 같이, 핀 다이오드(210 및 212)는 역방향 바이어스 상태이고 비디오 버스(28)에 고임피던스를 나타낸다. 핀 다이오드는 버스(28)에 고/저 임피던스 링크를 설정하는데 사용되고 비교적 고임피던스로 인해 역방향 상태동안 비디오 신호 주파수를 제공한다.
제2도의 하단부에서는 비디오 버퍼(85 및 112)와 비디오 구동기(106)를 구성하는데 적합한 회로를 도시한다. 버스(28)로부터 나온 비디오 신호는 에미터 플로워 트랜지스터(230)를 통해 값은 값의 저항(232 및 234)의 접합점에 인가된다. 반대 전도형 트랜지스터(236)는 트랜지스터(230) 콜렉터의 전압은 온도변화에 따라 안정화시키도록 15볼트 이하인 약 1Vbe로 클램프(clamp)시킨다. 저항(232 및 234)의 접합점에서의 신호 레벨은 에미터 플로워 동작으로 인하여 트랜지스터(230) 베이스에서의 신호레벨과 실제로 등가이다. 저항(232 및 234)이 같은 값이므로, 저항(232)과 트랜지스터(238) 베이스에서의 신호 레벨은 입력 비디오 신호 레벨의 두배이다. 에미터 플로워 트랜지스터(238)는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75Ω 저항(240)은 연관된 비디오 구성요소의 비디오 신호 입력 단자에 임피던스 매칭(matching)을 제공한다. 증폭기는 이득이 2이므로, 75Ω 출력 임피던스로 인한 50%의 신호 감소가 보상된다.
제2도에서 하단부의 회로가 비디오 구동기(106)로서 사용될 때, 트랜지스터(230)의 베이스는 제1도의 스위치(110)에 연결되고 75오옴 저항(240)의 제1도의 저항(108)에 해당한다.
제3도의 하단부는 시스템의 오디오 버퍼를 구성하는데 적합한 회로를 도시하고 제3도의 상단부는 여러 오디오 스위치를 구성하는데 적합한 회로를 도시한다. 좌우 오디오 버퍼는 버스(30 및 32)의 오디오 신호를 연관된 오디오 구성요소의 오디오 입력단자에 인가하는 1이득 증폭기로서 동작하도록 바이어스된 각각의 고입력 임피던스 FET 연산 증폭기를 구비한다. 오디오 스위치는 연관된 오디오 구성요소의 오디오 출력단자와 버스(30 및 32)간에 신호 경로를 제공하는 314 및 316과 같은 각각의 FET 전송 게이트를 구비한다. 각 전송 게이트는 연관된 논리 장치로부터 트랜지스터(318)의 베이스 전극에 제어 신호 C를 인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 트랜지스터(318)의 전도에 의해 도통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 정보 신호용 단일 신호 도선 버스를 갖는 구성요소 오락 시스템에 대한 상호 연결 장치는 “데이티-체인”방식으로 각각의 구성요소를 연결하여 정보 신호가 분배된 방식으로 신호 버스에서 선택적으로 수신되거나 공급되도록 한다. 이런 장치는 이용자가 설치하기가 용이하고 시스템의 신빙성도 증가되고, 간단한 방법으로 구성요소의 확장이 가능하다. 시스템의 비디오 및 오디오 구성요소는 신호 버스의 분리부분을 함께 접합시키고 직렬 스위칭 소자는 분리 접합부의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게 한다.
제1도에서 도시된 상호 연결 시스템에서 사용된 연결단유의 모든 실시예에 대한 연결이 제4도 및 제5도에서 도시된다. 제4도에서는 신호 버스의 연속을 단절시키는 시설을 포함하지 않는 일반화된 상호 연결 모듈(400)을 도시하고 제5도에서는 이러한 시설을 가진 일반화된 상호 연결 모듈(500)을 도시한다.
“데이티 체인”을 구성하기 위해 케이블(26)로 모듈을 상호 연결시키려면, 각 모듈은 버스 입력 및 출력 동축단자(412 내지 426) 및 (512 및 526)을 구비한다. 각 모듈과 이에 연관된 구성요소간을 연결하기 위해서, 구성요소 입력 및 출력 단자(428 내지 432) 및 (528 내지 532)이 제공된다.
각 모듈(400 및 500)은 제1도에 대해 상술되고 상응하도록 표시된 소자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고 동작하는 버퍼, 구동기 및 스위치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VTR(12)에 연관된 연결단(38)은 제1도의 연결단(38)과 같은 참조 번호로 표시된 소자를 포함하는 모듈(400)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모듈(400)이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22)에 연관된 연결단(48)과 같은 오디오 전용 구성요소에 연결단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면, 오디오 스위치와 버퍼만이 사용될 것이다(즉, 비디오 관련 소자(78, 85, 28, 418 및 426)는 생략될 것이다.
모듈(500)은 연결단(40)을 제공하는데 사용되고 연결단(40)은 제1도의 VDP(14)에 연관되고 신호 버스(28, 30 및 32)의 연속을 단전시키는 시설을 포함한다. 모듈(500)의 비디오부는 제2도에서와 비슷한 구동기(540) 및 비디오 버퍼(542)와 직렬 스위치(544)로 기능이 나타내지는 선택적으로 도통인 비디오 신호 경로를 포함하고, 이 신호 경로는 비디오 버스(38)의 연속을 단절시키고 연결단(40)에 관해 기술된 바와 같은 버스의 분리부의 양쪽에서부터 버퍼(542)로 비디오 신호를 인가시킨다. 저항 스위치(546 내지 548)는 스위치(544)가 비도통일 때, 연결단(40)에 관해 기술된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버스(28)의 분리된 부분에 적절한 특성 임피던스 종단을 제공한다. 모듈(500)의 오디오부는 도면에서 같은 참조번호를 이용함으로써 표시된 바와 같이, 제1도의 연결단(44)과 실제로 비슷하다.
모듈(400 및 500)은 제1도에서 도시된 슬레이브 논리 구성요소 장치와 기능면에서 상응하는 논리 회로(410 및 510)를 포함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슬레이브 논리 구성요소 장치에 의해 발생된 제어 신호는 원격 제어 동작선을 통해서 연관된 구성요소의 원격 제어 입력에 결합되어 연관된 구성요소의 동작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한다. 모듈(400 및 500)은 모듈과 이에 연관된 구성요소의 원격 제어 입력간의 원격 제어선의 연결을 제공하는 단자(450 및 550)를 포함한다.
제6도를 참조하면, 다수의 비디오 구성요소에 도시되고, 각 구성요소는 비디오 구성요소중 다른 구성요소로 또는 다른 구성요소부터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는 연관된 연결단을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TV 모니터(610), 비디오 신호원(612),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614)가 전형적인 가정용 비디오 구성요소의 예로서 도시된다. 비디오 신호원(612)은 기저대 비디오 신호와 입체 음향 좌우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TV 동조기와 검출기를 구비할 수 있다.
세개의 신호도선이나 버스 및 제어 신호 도선이나 버스만을 포함하는 단일 케이블(616)은 각 구성요소간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결합하도록 작용하여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구성요소 오락 시스템을 상호 연결시킨다(즉, 케이블(616)은 직렬 방식으로 한 구성요소를 다음 구성요소에 연결시킨다). 케이블(616)은 가저대 비디오 신호를 분배하는 75Ω의 특성 임피던스를 갖는 하나의 차폐 도선 신호 버스(618)(즉, 버스(618)는 75Ω의 동축 케이블)와, 스테레오 좌우 오디오 신호를 분배하는 두개의 차폐 도선 신호 버스(620 및 622)와, 여러 구성요소간에 제어 신호를 분배하는 하나의 디지탈 제어 신호 버스(624)를 포함한다.
각각의 구성요소(610 내지 614)은 연관된 연결단(626 내지 630)을 갖는다. 각 연결단은 예를들어 마이크로컴퓨터 및 판독 전용 메모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논리회로(632 내지 636)를 포함하고, 이 논리 회로(632 내지 636)는 연관된 비디오 구성요소와 케이블(616)간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신호 스위치 및 구동기(후에 기술되어짐)의 전도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넓은 화살표로서 표시된) 다른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버스(624)상에서 전달되는 제어 신호를 응답한다. 또한, 원격제어도선(도시되지 않음)는 각 연결단과 이에 연관된 비디오 구성요소 사이에 연결되어 기능을 제어하는 각각의 비디오 구성요소에 원격 제어 신호를 결합시킨다.
TV 모니터(610)에 연관된 논리 회로(632)는 마스터 논리 구성요소 장치로서 작용하여 전체 오락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용자는 원격 제어 송신기(638)로부터 마스터로 명령을 전달한다. 송신기(638)는 다수의 누름단추를 포함하여 이용자가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원으로서 오락시스템중 어떠한 구성요소와, 이들 신호의 수신기로서 나머지 구성요소중 어떠한 구성요소를 선택하도록 한다. 수신된 명령에 응답하여, 마스터 논리 회로(632)는 디지탈 제어 신호를 제어버스(624)를 통하여 비디오 구성요소 각각에 연관된 나머지 논리 회로에 공급하여 구성요소 오락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한다.
TV 모니터(610)는 버스(618, 620, 622)에 기저대 비디오 신호 및 좌우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내부 TV 동조부분과, 이들 버스에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부를 포함한다.
기저대 비디오 신호의 주파수가 실제로 4㎒까지이므로, 적당한 종단은 비디오 버스(618)의 끝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버스(618)의 끝은 재생된 영상에서 고스트 현상을 나타나게 하는 비디오 신호 반사를 최소로 하기 위해서는 동축 케이블의 주어진 특성 임피던스(즉, 75Ω)에서 종단되어져야 한다. 비디오 버스(618) 한끝(VTR(614))에 연관된 근처 연결단(630)은 75Ω의 저항(640)만큼 특성 임피던스에서 종단된다.
버스(618)의 다른 단은 연결단(626)에서 종단되어 모니터(610)의 내부 TV 동조기부에서 나온 비디오 신호는 후술하는 방식으로 비디오 신호 구동기(642)를 통하여 버스(628)에 인가된다. 구동기(642)는 (저항(644)으로 표시된) 75Ω의 출력 임피던스를 가진다. 스위치(646)는, 내부 TV동조기에서의 비디오 신호가 구동기(642)를 통하여 버스(628)에 공급되는 제1스위치를 가진다. 그러나, 만일 비디오 신호가 버스(618)로 부터 모니터(610)에 의해 수신되면, 스위치(646)는 (논리 회로(632)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기(642)의 입력을 신호 접지에 연결시키는 제2스위치에 있게 되도록 한다. 상기 위치에서, 구동기(642)는 75Ω의 출력 임피던스를 유지하여 비디오 버스(618)의 이단에서 특성 임피던스 종단으로 작용한다.
고입력 임피던스 비디오 신호 버퍼(648)는 버스(618)로 부터의 비디오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을 산출하는 TV모니터(610)의 디스플레이부분 부에 버스(618)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공급한다. 구동기(642)와 버퍼(648)에 대한 회로 실시예는 제7도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연결단(626)은 논리 회로(632)로부터 나온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오디오 버스(620 및 622)에서 TV 모니터(610)로부터 나온 좌우 스테레오 오디오 버스를 공급하는 선택적으로 도통인 스위치(650 및 652)를 역시 포함한다. 또한, 두개의 고입력 임피던스 오디오 버퍼(654 및 656)는 오디오 버스(620 및 622)에 연결되어 이들 버스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658 및 660)에 의해 차후 재생되는 TV 모니터(610)의 오디오 증폭부(도시안됨)에 공급한다.
비디오 신호원(612) 및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614)에 연관된 연결단(628 및 630)은 신호원(612) 및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614)로부터의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버스(620 및 622)에 인가하는 오디오 스위치(662, 664, 및 666, 668)도 또한 포함한다. 연결단(630)은 또한 버스(618, 620, 622)로부터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614)의 기록 입력단에 인가하도록 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버퍼(670, 672, 674)를 포함한다. 이들 버퍼는 신호 버스에 고임피던스를 나타내므로 각 버스의 신호 레벨을 연관된 비디오 구성요소의 동작 모드에는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될 것이다.
비디오 버스(618)에 신호원(612) 또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614)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연결단(628 및 630)은 각 비디오 구동 증폭기(676 및 678)(제7도를 참조하여 기술된 회로 실시예)를 포함한다. 구동기(676 및 678)은 논리 회로(634 및 636)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버스(618)에 신호가 공급될 때는 저 출력 임피던스를 제공하고, 그렇지 않으면 버스(628)에 신호가 공급되지 않을 때는(구동기(676 및 678)의 개방된 직렬 스위치에 의해 기능이 나타내지는) 고출력 임피던스를 공급한다. 저 출력 임피던스(즉, 10Ω 이하)는 버스(618)에 충분한 신호 레벨을 공급하는데 바람직하다. 구동기(676, 678)와 버스(618)에 비디오 신호를 공급하지 않을 때 버스(618)상의 비디오 신호 감쇄를 제한하기 위해 구동기의 출력단은 고 임피던스(즉 1킬로 오옴 이상)가 적합하다.
비디오원(612)에 연관된 연결단(628)은 비디오 버스(618)와 직렬로 결합된 스위치(680)을 포함하고 스위치(680)로 인하여 모니터(610)의 내부 TV 동조기 또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614)에서 시작하는 비디오 신호의 분배가 비디오 버스(618)를 두 개의 분리부로 분리하여 비디오 원(612)으로 통과하는 것이 방지된다. 스위치(680)는 직렬 연결된 단일극 단일 접점 아나로그 비디오 신호 스위치(680a 및 680b)를 포함하여 신호원(612)으로 부터의 비디오 신호가 버스(618)의 분리부 어느쪽에나 분배되도록 한다. 이와 비슷하게, 스위치(690 및 692)는 오디오 버스(620 및 622)와 직렬로 결합된 선택적으로 도통된 오디오 신호 경로를 나타내어 오디오 버스(620 및 622)를 분리부로 분리시킨다.
동작중, 이용자는 송신기(638)를 동작시켜 명령을 마스터 콘트롤러(632)에 전송하고 마스터 콘트롤러는 신호원(612)으로 부터 공급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도록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614)에 지시하고, 동시에 모니터(610)의 내부 TV 동조기로부터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는 TV 모니터(610)의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부에 의해 재생될 것이다. 이것은 스위치(680a, 690a, 692a)가 비도통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술된 바와 같이, 비디오 버스의 적당한 종단은 신호 반사를 최소로 하기 위해 항상 유지되어야 한다. 스위치(680a)가 비도통일 때 그것은 버스(618)의 연속을 두 분리부로 단절시켜 이런 상태하에서 버스(618)의 분리부를 적당히 종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라, 분로 스위치가 직렬 스위치(680)가 비도통일 때는 도통되어 비디오 신호 반사를 줄이기 위해 스위치(680)의 각각의 면에 형성된 버스(618) 부분의 끝을 적당히 종단시킨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스위치(680a 및 680b)가 비도통일 때, 75오옴의 저항(686 및 688)을 통하여 버스(618)를 접지 기준 전위에 연결시키도록 스위치(680)의 각각의 선에 두 스위치(682, 684)가 위치된다. 이전의 실시예에 따라, 스위치(680)는 버스(618)의 연속을 분리하는데 사용되어 TV 모니터(610)의 디스플레이시는 내부 TV 동조기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한편으로 신호원(612)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614)에 신호를 공급하게 된다. 이런 경우, 스위치(680b)는 도통되어 신호원(612)으로부터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614)로 비디오 신호가 통과되고 스위치(684)는 비도통될 것이다. 그러나, 스위치(680a)는 비도통되어 신호원(612)의 신호와 내부 TV 동조기의 비디오 신호와의 혼합을 방지하고, 스위치(682)는 도통되어 특성 임피던스에서 스위치(680a)의 비도통에 의해 형성된 비디오 버스(518)의 끝을 종단시킬 것이다. 이와같이, 스위치(680a)의 비도통으로 나타난 단전으로 인한 비디오 신호의 반사가 방지된다.
동작중, 마스터 논리(632)는 각각의 슬레이브 논리 구성요소 장치에 출력 신호를 공급하고, 이 슬레이브 논리 구성요소 장치는 원격 제어 송신기(638)로부터 전송된 유저(user) 명령에 응답하여 상술된 스위치 및 비디오 구동기의 각각에 대한 전도성과 이들에 연관된 비디오 구성요소의 동작 기능을 차례로 제어한다. 예를들어, 만일 비디오 신호원(612)이 제2TV 도종기라면, 이용자는 마스터논리(632)에 명령하여, 모니터(610)의 내부 동조기를 사용하고 동시에 비디오원(612)에서 수신된 TV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TV 프로그램을 바람직하게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마스터 논리(632)는 제1도의 실시예에서의 마스터 제어기(58)에 연관해 기술된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출력신호를 공급하도록 슬레이브 논리 장치에 명령한다.
제7도의 상단부에는 비디오 구동기(776 및 778)를 구성하는데 적합한 회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비디오 구동기는 저 또는 고 출력 임피던스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구동기 회로는 직렬로 연결된 두개의 핀 다이오드(710 및 712)를 포함한다. 비디오 버스(618)에 다이오드(710 및 712)의 접합절이 연결된다. 저항(714)을 통해 다이오드(710)의 애노드에 -5볼트를 인가하고, 저항(716)을 통해 다이오드(712)의 캐소드에 +5볼트를 인가함으로써 다이오드는 역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제어 트랜지스터(718)는 그것의 베이스에서 신호 C를 수신하고, 신호 C가 저 논리 레벨일 때는 트랜지스터(718)는 도통되어 핀 다이오드(710)의 애노드에서의 전위는 증가한다. 이것으로 인하여 다이오드(710)는 순방향 바이어스되어 다이오드(710)를 바이어스시키는 트랜지스터(720)의 에미터에 전류 공급하므로 , 트랜지스터(722)의 베이스에 트랜지스터(720)의 베이스에서 인가된 비디오 신호를 도통시킨다. 트랜지스터(720)의 도통은 다이오드(712)의 음극에서 전위를 떨어뜨리는 전도용 트랜지스터(722)를 바이어스하여 다이오드(712)는 순방향 바이어스가 된다. 이런 관점에서, 트랜지스터(720)의 베이스에서의 비디오 신호는 출력단자(618)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720) 및 다이오드(710)의 도통으로 인한 부궤환으로, 비디오 구동기의 출력 임피던스는 낮게(즉, 10Ω 이하) 유지되고 이의 대역폭은 기저대 비디오 신호가 통과하도록 충분히 넓다(4㎒까지).
신호 C가 고 논리레벨일 때, 트랜지스터(718)는 비도통되어 트랜지스터(720 및 722)의 도통은 방지된다. 이와 같이, 판다이오드(710 및 712)는 역방향 바이어스로 남아 있어서 비디오 버스(618)에 고임피던스가 나타난다. 핀 다이오드는 고/저 임피던스 링크를 버스상(618)에 설정하는데 사용되고 상대적인 고 임피던스로 해서 핀 다이오드는 역방향 바이어스 상태 동안 비디오 신호 주파수가 나타낸다.
제7도의 하단부에서는 비디오 버퍼(670) 및 비디오 구동기(642)를 구성하는데 적합한 회로를 도시한다. 버퍼(670)의 경우에, 버스(618)의 비디오 신호는 에미터 플로워 트랜지스터(730)에 의해 등가저항(732 및 734)의 접합점에 인가된다. 반대 전도성 트랜지스터(736)는 온도 변화에 대해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15볼트 이하인 약 1Vbe로 트랜지스터(730)의 콜렉터 전압을 클램프한다. 저항(732 및 734)의 접합에서 신호 레벨은 에미터플로워 동작으로 인해 트랜지스터(730)의 베이스에서 신호 레벨과 실제로 등가이다. 저항(732 및 734)은 등가이므로, 저항(732)의 접합전과 트랜지스터(738)의 베이스에서 신호 레벨은 입력 비디오 신호 레벨의 두배이다. 에미터 플로워 트랜지스터(738)는 출력 신호를 공급한다. 75Ω의 저항(740)은 연관된 비디오 구성요소의 비디오 신호 입력 단자에 임피던스 매칭을 제공한다.
제7도 하단부의 회로가 비디오 구동기(642)로서 사용될 때, 트랜지스터(730)의 베이스는 제6도의 스위치(646)에 연결되고 75Ω의 저항(740)은 제6도의 저항(644)에 상응한다. 증폭기는 이득이 2이므로, 75Ω 출력 임피던스로 인한 신호 진폭의 50% 감소는 보상된다.
제8도의 하단부에서는 시스템의 오디오 버퍼를 구성하는데 적합한 회로를 도시하고 제8도의 상단부에서는 여러 오디오 스위치를 구성하는데 적합한 회로를 도시한다. 좌우 오디오 버퍼는 버스(620 및 622)의 오디오 신호를 연관된 오디오 구성요소의 오디오 입력 단자에 인가하는 단위 이득 플로워로서 동작하도록 바이어스된 각각의 고입력 임피던스 FET 연산 증폭기를 구비한다. 오디오 스위치는 연관된 오디오 구성요소의 오디오 출력 단자와 버스(620 및 622)간에 신호 경로를 제공하는(814 및 816)과 같은 FET 전송 게이트를 구비한다. 각 전송 게이트는 연관된 연결단의 논리 구성 장치로부터 베이스 전극에 제어 신호 C를 인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 트랜지스터(818)의 전도에 의해 도통되도록 인에이블된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 기술된 구성요소 오락 시스템용 상호 연결 장치는 각각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에 대해 단일 신호 도선 버스를 갖고 이것은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각 구성요소를 연결하고 유저-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시스템의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차후에 부가되는 구성요소를 간단히 확장시킬 수 있다. 비디오 구성요소 사이에 비디오 신호를 동시에 또 독립적으로 분해하기 위해, 연결된 비디오 버스를 두개의 분리된 부분으로 단절하도록 직렬 스위치가 제공되고, 각 부분은 비디오 구성요소중 다른 비디오 구성요소를 상호 연결한다. 연속이 단절되는 점에서 비디오 버스에 연결된 분로 스위치는 직렬 스위치에 의해 나타난 단점에 의해 신호 반사를 감소시키기 위해 버스에 특성 임피던스 종단을 인가한다. 또한, 비디오 버스중 한개의 끝에서, 버스에 비디오 신호가 공급될 때는 버스 특성 임피던스에 상응하는 주어진 출력 임피던스를 유지하고 버스에 비디오 신호가 공급되지 않을 때는 버스의 특성 임피던스에서 버스를 종단하기 위해 특성 임피던스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 비디오 신호 구동기가 제공된다.
비록 스위치중 특정한 장치만이 도시되었더라도, 다른 장치가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가능하다. 예를들어, 비디오 버스(28)의 연속을 단절하기 위해 비록 제1도에서 두 직렬 연결 스위치(114a 및 114b)가 도시되었지만, (114a)와 같은 단일 직렬 스위치도 비디오 버스의 연속을 단절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6도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비디오 버스(618)의 연속을 단절시키는 두 직렬 연결 스위치(680a, 680b)와 두개로 스위치된 저항 종단(682, 686 및 684, 688)에 대해 도시된 것에서(680a)와 같은 단일 직렬 스위치가 비디오 버스(618)의 연속을 단절시키는데 사용되고, 여기서, 한 분로 스위치(682, 686)만을 필요로 한다는 것은 명백해진다. 또한 비디오 버스상에서 신호반사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임피던스 제6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어진 특성 임피던스와 정확하게 등가가 될 필요는 없다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동시에 동작하기 위해서는 상호 연결 시스템에 다른 신호 스위치가 부가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도를 참조하면, 두 직렬 오디오 스위치(142 및 144)는 연결단(36)에서 오디오 버스(30 및 32)의 단을 연결단(50)에서의 단에 함께 결합하는데 사용되어 제1도에서 점선(146 및 148)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원형 버스 구성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의 청구범위 범주내에서 이들 및 다른 변형도 고려된다.

Claims (23)

  1. 비디오 및 오디오 구성요소들중의 하나에 의해 발생된 정보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하기 위해 단일 신호 도선(28, 30, 32, 618, 620, 622)을 통해 제1그룹의 구성요소, 제2그룹의 구성요소, 제3그룹의 구성요소(14, 16, 612)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오락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요소(10-24, 610-614) 상호 연결 장치는 상기 단일 도선에 따라 분배된 장소에서 상기 단일 도선에 상기 구성요소의 신호 입력단 및/또는 출력단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구성요소중 각각의 구성요소와 연결하도록 채택된 접속수단(36, 38, 40, 42, 44, 46, 48, 50, 626, 628, 630)을 구비하는 상호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들 사이에 정보 신호가 동시 및 독립적으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도선을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부분으로 분리하고 a) 상기 제2그룹의 구성요소에 상기 제1그룹의 구성요소를 연결하고, b) 상기 제1 및 제2그룹의 양쪽에 상기 제3의 구성요소를 연결하고 c) 상기 제1그룹의 구성요소와 상기 제2그룹의 구성요소중 오직 하나에 상기 제3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장소를 구비하도록 상기 단일 도선과 직렬 연결된 스위치 수단(114, 120, 122, 124, 126, 128, 130, 680, 690, 692)로 이루어지는 상호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수단은 상기 분배된 장소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 오락 시스템은 비디오 구성요소(10, 12, 14, 16 ; 610 ; 612 ; 614)를 포함하고 상기 단일 도선은 비디오 신호를 상기 비디오 구성요소의 비디오 신호 입력단 및/또는 출력단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신호 도선(28, 618)은 상기 구성요소중 적어도 다른 하나에 상기 구성요소중 하나(10, 12, 14, 612, 614)로 발생된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특성 임피던스를 가지며, 상기 스위치 수단은 기준 전위(GND)와 상기 제1스위치 수단은 비디오 도선의 적어도 한끝과의 접합점 사이의 분로에 연결된 분로 스위치 수단(117 ; 682)을 구비하여, 상기 접합점으로 부터의 비디오 신호 반사를 감소시키기 위해 도통될 때 상기 도선의 접합점에 임피던스(118, 686)를 인가하고 상기 스위치 수단이 비-도통상태일 때 도통되는 분로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가정 오락 시스템의 각각의 비디오 구성요소용으로서, 상기 접속 수단은 연결된 비디오 구성요소로부터 또는 비디오 구성요소로 비디오 신호 수신 및/또는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비디오 구성요소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단일 도선은 상기 접속 수단을 직렬 연결하고 상기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주어진 특성 임피던스와 제1 및 제2종단을 가지는 비디오 신호 전송 통로(26 ; 618)를 포함하며, 상기 주어진 특성 임피던스로 전송 통로중 하나의 종단으로 끝나는 장치는, 하나의 종단에 연결된 비디오 구성 요소(10, 14, 16, 610, 612, 614)을 위한 접속 수단(36, 40, 42, 626, 628, 630)을 구비하며, 상기 종단 접속 수단은 상기 종단 비디오 구성요소에서 상기 전송 통로까지 비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상기 전송 통로에 연결되고 주어진 특성 임피던스와 동일한 출력 임피던스를 가지는 비디오 신호 구동기(80, 106, 642, 67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도선과 상기 기준 전위 사이에 연결된 선택적으로 도통되는 비디오 신호 스위치(117 ; 682)와, 상기 특성 임피던스와 실제로 동일한 임피던스를 갖는 직렬 연결된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분로 스위치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로 스위치 수단은 상기 스위치 수단의 양쪽 끝이 비디오 도선의 접합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장치.
  8.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도선(28 ; 618)의 부분, 상기 접속 수단중 각각의 하나, 상기 제1스위치 수단 및 분로 스위치 수단은 단일 하우징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비디오 도선의 제1 및 제2부분을 통해 상기 오락 시스템의 다른 비디오 구성요소로 부터 비디오 신호 수신 및/또는 전송을 위해 적용되며, 상기 분로 스위치 수단은 상기 하우징내에 위치된 비디오 도선의 제1 및 제2부분의 끝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비디오 구동기가 상기 전송 통로로 비디오 신호를 공급하지 않을 때 상기 주어진 특성 임피던스로 상기 전송 통로에 대해 상기 출력 임피던스로 주어진 특성 임피던스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비디오 구동기의 상기 입력단에 제1기준 전원(GND)을 연결하는 제2위치와 상기 종단 비디오 구성 요소로부터 상기 전송 통로까지 비디오 신호를 공급하도록 상기 종단 비디오 구성요소로부터 상기 비디오 신호 구동기의 입력단까지 비디오 신호를 연결하는 제1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치(110, 646)로 이루어지는 상기 종단 연결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비디오 신호가 상기 전송 통로로 부터 상기 종단 비디오 구성요소에 의해 수신될 때 제2의 위치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 오락 시스템은 오디오(20 ; 24 ; 24) 및 비디오(10 ; 12 ; 14 ; 16)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단일 도선은 오디오 및 비디오 구성요소의 오디오 출력단과 입력단 사이에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구성요소의 모든 오디오 신호 입력단 및/또는 출력단은 상기 도선의 제1부분에 따라 상기 오디오 도선(30 ; 620)에 연결되며, 상기 비디오 구성요소의 모든 오디오 신호 입력단 및/또는 출력단은 상기 도선의 제2부분에 따라 오디오 도선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수단은 상기 분배된 장소에 하나에 위치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 도선과 직렬로 연결된 제1오디오 스위치(120, 124, 128, 690)를 포함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 도선의 제1 및 제2부분이 상기 제1 및 제2부분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는 좌우 입체음향 오디오 신호, 상기 구성요소에 좌측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제1의 상술된 오디오 신호 도선, 또한 상기 오락 시스템 구성요소에 우측 입체음향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제2단일 신호 도선(32 ; 6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스위치 수단은 상기 제2오디오 도선과 직렬로 제2의 오디오 스위치(122, 126. 130, 692)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는 동시에 제1의 상술된 및 제2오디오 도선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오디오 스위치는 분배된 장소중 같은 장소에 위치하며 상기 오디오 신호 도선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도록 동시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장치.
  18. 제14항 내지 1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 증폭기 구성요소의 신호 입력단 및/또는 출력단은 하나의 분배된 장소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 도선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장치.
  19. 제14항 내지 1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오디오 신호 증폭기와 확성기부분을 포함하는 텔레비젼 모니터(16)의 오디오 신호 입력단 및/또는 출력단은 상기 하나의 분배된 장소에 인접한 분배된 장소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 도선(30 ; 3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장치.
  20. 제12항 내지 1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비디오 구성요소에 상기 비디오 구성요소중 하나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전송하는 제2의 단일 신호 도선(28 ; 618)과 ; 상기 비디오 신호 도선에 따라 분배된 위치에서 상기 비디오 신호 도선에 상기 비디오 구성요소의 비디오 신호 입력단 및/또는 출력단을 연결하는 상기 비디오 구성요소에 연결된 상기 접속 수단과 ; 상기 제1 및 제2비디오 도선 부분에 연결된 비디오 구성요소 사이에 비디오 신호를 동시에 및 독립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비디오 도선을 제1 및 제2비디오 도선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 도선에 직렬로 위치한 비디오 스위치 수단(114 ; 68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스위치 수단은 상기 비디오 도선의 분배된 장소중 하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분배된 장소는 2개의 다른 비디오(12, 16 ; 610, 614) 구성요소와 연관된 접속 수단에 인접하여 위치된 소정의 접속 수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장치.
  23. 가정 오락 시스템의 개개의 비디오 및 오디오 구성요소 사이에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전송을 위해 채택된 제1항의 상호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일 신호 도선은 제1 및 제2부분으로 배치되어, 상기 구성요소의 적어도 다른 하나에 하나의 구성요소(16 ; 20 ; 22; 24)에 의해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도록 채택된 단일 신호 도선(30 ; 32)와, 상기 비디오 구성요소중 적어도 다른 하나에 비디오 구성요소중(10, 12, 14, 16)로 발생된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채택된 단일 신호 도선(28)와, 각각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도선에 구성요소의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단 및/또는 출력단을 접속하기 위해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구성요소중 각각의 하나에 연관되어 채택된 상기 접속 수단과 ; 상기 도선의 제1 및 제2부분의 같은 하나에 연결되도록 채택된 구성요소 사이에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동시에 및 독립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도선을 상기 제1 및 제2부분으로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도선과 직렬 연결된 오디오 및 비디오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연결 장치.
KR1019840003617A 1983-06-28 1984-06-26 오디오 및 비디오 구성요소 상호 연결장치 KR930004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08594 1983-06-28
JP508,605 1983-06-28
US06/508,594 US4581644A (en) 1983-06-28 1983-06-28 Video bus
JP508,594 1983-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157A KR850000157A (ko) 1985-02-25
KR930004954B1 true KR930004954B1 (ko) 1993-06-10

Family

ID=24023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3617A KR930004954B1 (ko) 1983-06-28 1984-06-26 오디오 및 비디오 구성요소 상호 연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581644A (ko)
JP (1) JPS6041826A (ko)
KR (1) KR9300049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5730A (en) * 1987-05-08 1989-08-08 Rca Licensing Corporation Component audio/video system with timed control of plural peripheral devices
JPH01126659U (ko) * 1988-02-10 1989-08-30
US4907085A (en) * 1988-09-22 1990-03-06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Television system user-accessible component display apparatus
US5170252A (en) * 1990-04-09 1992-12-08 Interactive Media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and mixing multiple audio and video data streams associated with multiple media devices
US5568403A (en) * 1994-08-19 1996-10-2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udio/video/data component system bus
JP2606477B2 (ja) * 1991-04-17 1997-05-0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映像信号送受信装置
US5857118A (en) * 1995-08-04 1999-01-05 Apple Computer, Inc. shared video display in a multiple processor computer system
ES2162311T3 (es) * 1996-06-03 2001-12-16 Scientific Atlanta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enviar señales a traves de un amplificador de distribucion de señal de television por cable.
US6693270B2 (en) * 1998-03-16 2004-02-17 Silicon Video, Inc. Current mode analog signal multiplexing bus and a method thereof
US7131135B1 (en) 1998-08-26 2006-10-31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input video processing apparatus
JP2006086641A (ja) * 2004-09-14 2006-03-30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音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1601A (en) * 1977-03-31 1978-10-24 Pioneer Electronic Corp Method of connecting audio units
FR2449379A1 (fr) * 1979-02-15 1980-09-12 Scart Systeme d'interconnexion dynamique audio-video
JPS56165978A (en) * 1980-03-19 1981-12-19 Hitachi Ltd Function switching circuit
US4276562A (en) * 1980-03-31 1981-06-30 Mark Stewart TV Switching system
FR2488471B1 (fr) * 1980-08-08 1986-01-31 Thomson Brandt Circuit integre d'interface entre un recepteur de television et sa prise de peritelevision
JPS5757041A (en) * 1980-09-22 1982-04-0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Relay transmission system
US4338632A (en) * 1980-10-06 1982-07-06 Zenith Radio Corporation Remote control system for television monitors
US4400735A (en) * 1981-07-10 1983-08-23 Zenith Radio Corporation Multi-component video system controller
JPS58172030A (ja) * 1982-04-01 1983-10-08 General Res Obu Erekutoronitsukusu:Kk 広帯域信号の分配装置
US4492937A (en) * 1982-10-29 1985-01-08 Rca Corporation Terminated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581644A (en) 1986-04-08
JPS6041826A (ja) 1985-03-05
JPH0417570B2 (ko) 1992-03-26
KR850000157A (ko) 198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1645A (en) Distributed switched component audio/video system
US4647973A (en) Switch apparatus for a video interconnection system
KR930004954B1 (ko) 오디오 및 비디오 구성요소 상호 연결장치
US6177963B1 (en) Video signal distribution system
USRE38142E1 (en) Low cost hybrid video distribution system for aircraft in-flight entertainment systems
US4479235A (en) Switching arrangement for a stereophonic sound synthesizer
KR920004565B1 (ko) 비데오 성분 상호 연결 장치
US4862290A (en) Power feeding and input signal switching control system for video tape recorder combined with television receiver and camera in a body
US4638181A (en) Signal source selector
US5454041A (en) Mix-minus monitor system
EP0130036B1 (en) Interconnection apparatus
US4475231A (en) Multi-unit audio connecting system
GB2254512A (en) Selectively interconnecting units in audio-visual systems
US4446552A (en) Wideband switch crosspoint and switching matrix
US5142379A (en) Power feeding and input signal switching control system for video tape recorder combined with television receiver and camera in a body
JPH0850781A (ja) 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システム
US4428006A (en) Television receiver for receiving sound multiplex signals
US6111718A (en) Electronic record/play switch with low noise low input impedance preamplifier
JPH04326832A (ja) 終端抵抗接続装置
GB2141298A (en) Single-pole multi-throw signal switch for modular audio-visual systems
KR200183504Y1 (ko) 오디오/비디오 출력제어기능이 부가된 영상기록재생장치
Marsden A television master switcher
JPH04117652A (ja) ダビング制御装置
JPH079272Y2 (ja) ビデオプレーヤ
JPS58108826A (ja) 高周波切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