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821Y1 - 고전압 발생기 - Google Patents

고전압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821Y1
KR930004821Y1 KR2019910004222U KR910004222U KR930004821Y1 KR 930004821 Y1 KR930004821 Y1 KR 930004821Y1 KR 2019910004222 U KR2019910004222 U KR 2019910004222U KR 910004222 U KR910004222 U KR 910004222U KR 930004821 Y1 KR930004821 Y1 KR 9300048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bobbin
high voltage
voltage generator
insulating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42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769U (ko
Inventor
김연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100042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821Y1/ko
Publication of KR9200187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7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8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821Y1/ko

Links

Landscapes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전압 발생기
제1도는 본 고안의 고전압 발생기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고전압 발생기 종단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고전압 발생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의 사시도.
제4도는 종래의 고전압 발생기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종래 고전압 발생기의 단면 구성도.
제6도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예시도.
제7도는 종래의 코어 이동상태 표시도.
제8도는 코어 이동에 따른 자속의 흐름 구획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보빈(Bobin)
3 : 코어(Core) 5 : 코일
7 : 코어홈 8 : 경사부
9 : 밀봉부 10 : 커버
11 : 홈
본 고안은 고전압 발생기의 보빈구조 및 코어 결합에 관한 것으로 코어를 결합한 후 수지 함침시 수지의 수축응력에 의한 코어의 크랙을 방지하고 코어의 유동을 차단하여 인덕턴스(Inductence)값을 안정화 시키는데 적당하도록 한 고전압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고전압 발생기는 제4도이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02)의 중앙에 코어(103)가 삽입되도록 구성하였고 상기 코어(103)의 유동을 방지할 목적으로 접착제(107)를 상, 하부에 도표하여 보빈(102)측에 코일(105)이 권선된 권선품이 장착결합되도록 구성하였는바, 코일(105)간의 절연 확보를 위해 케이스(101) 내부상으로 절연수지(104)를 채워넣음으로써 고전압 발생기를 구성하였다.
상술한 구성 상태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03)를 횡으로 설치한 경우이고, 이와는 달리 제6도에 도시된 고전압 발생기는 다른 실시예로써 보빈(102)이 케이스(101)와 수직으로 배치된 구조로서 코어(103)가 수직으로 설치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주변의 구동회로 및 배압회로 등을 갖고 자력 발진으로 고전압을 발생하는 장치는 통상적으로 제5도 및 제6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02)에 페라이트 코어(103)를 결합한 상태로 절연수지(104)를 채워넣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절연수지(104)의 수축응력부(106)에 의한 코어(103)의 일부가 크랙(Clack)현상으로 진전되었고 코어(103)와 보빈(102)의 틈새에 기포(108)가 잔존하여 코어의 유동에 의한 인덕턴스 변화를 동반하게 됨으로써 공진주파수가 변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여기서, 절연수지는 그 물질 특성상 수축응력부(106)가 필연적으로 형성되어 이의 대응방법으로 경도가 낮은 소프트 타입(Soft Type)의 절연수지를 사용함으로서 코어에서 발생되는 크랙(109) 현상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모색하였으나 원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한편, 인덕턴스 값의 변동요인을 시정하기 위하여 접착제(107)를 사용하여 보빈(102)에 코어(103)를 고착시켰다. 이는 코일(105)이 권선된 보빈(102)의 중심부에 코어(103)를 삽입하는 공정에 있어서 치구나 감각에 의존해 임의로 일정위치를 유지한후 접착제(107)로 고착시켰고 타회로 부품이 삽입된 기판등과 함께 또는 보빈(102) 단독으로 케이스(107)에 장착하여 절연수지(104)를 채워넣음으로서 봉입이 완료되는 것이었다.
여기서 절연수지(104)는 최초 액상 상태에서 고상상태로 굳어짐에 따라 수축응력부(106)를 동반하게 되어 이 현상으로 말미암아 보빈(102) 및 코어(103) 또는 회로 부품등에 스트레스(Stress)응력이 작용된다.
위 응력은 연속적으로 주변 구성 부품등에 변형 및 치명적인 손상을 수반하게 되는바, 그 결과로서 코어(103)의 크랙(109) 발생과 절연수지(104) 주입시 코어와 보빈 사이의 기포(108)부가 형성됨은 안정된 인덕턴스값을 구하는데 유해한 요인으로 나타난다.
또한 코어의 보빈에 대한 결합위치는 치구 또는 육안에 의존하는 까닭으로 접착제(107)가 고착될때까지 방치하게 됨으로써 목적하는 정확한 위치 조절기능이 사실상 결여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절연수지가 코어의 표면에 직접 접촉된 상태로 경화됨으로써 코어의 크랙이 발생되어 자기 인덕턴스값이 불안정하여 일정전압 유지를 구하는데 비합리적일 뿐만 아니라 클랙된 부위 상호간 전위치로의 미세한 방전이 발생되어 방전노이즈(Noise)현상이 회로에 유입됨으로서 기기의 성능을 저하시켰으며 코어 결합후 접착제 도포 공정으로 인해 접착제가 고착된 순간까지 다른 공정으로 전환이 곤란하여 공정의 단절을 유발한다. 또한 코어 유통시 최초 설계된 인덕턴스값 사이에서 공진주파수가 동시에 변화되므로 고전압 발생기 전체 특성이 변화되며 기포가 탈포되는 과정에서 코일부위에 머무른채 굳어질 경우 기포로 인한 절연파괴 현상으로 신뢰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부품손상 방지 목적의 연성 절연수지는 코일틈 간격판 사이에 침투성이 낮으므로 고전압을 원할경우 코일층간 절연에 비중을 두어야 한다. 이에 부합되는 경성 절연수지의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코어 크랙을 증대시켜 의도하는 고전압 발생기를 구성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시정보완하기 위하여 코어의 유동방지와 크랙 방지 및 절연수지와의 직접접촉을 피하도록하여 고전압 발생기의 신뢰성 및 품질향상에 적합하도록 한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빈(2)에 코어(3)를 삽착하고 보빈(2)의 외주연측에 코일(5)을 권선한 후 절연수지(4)를 경화시켜 구성하는 고전압 발생기에 있어서, 보빈(2)의 일단을 밀봉부(9)로 밀폐 형성하고 내경으로 이루어지는 코어롬(7)의 밀봉부(9) 내부상으로는 경사부(8)를 형성하여 코어(3)를 안착하되 개방된 코어(3)를 고정하며, 커버(10)는 전단으로 비스듬한 경사각을 갖고 홈(11)을 형성하여서 구성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은 케이스(Case)이고 6은 절연수지 경화시 발생되는 수축응력 현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막대형의 코어(3)는 보빈(2)의 내부에 형성된 경사부(8)에 의해 보빈(2)과 코어(3)와의 결합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결합하고 보빈(2)의 경사부(8)는 코어(3)의 일정간격 유지 및 타이트한 결합을 촉진한다.
즉, 보빈(2)의 내경 경사부(8)는 코어(3)의 일단이 밀착될 경우 보빈(2)의 코어홈(7) 내경과 일정간격을 원주상으로 확보하게 되며 경사부(8)와 대향진 방향에서 커버(10)를 진입시킴으로서 최초 설정된 경사부(8)에 의한 보빈 내경 코어홈(7)과 코어(3)의 외경사이는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커버(10)는 전단 결합면이 약간의 경사각으로 형성 되었으므로 보빈(2)에 결합시 타이트한 체결이 이루어져 완벽한 밀봉효과를 갖게 되는바, 이는 절연수지(4)의 침입을 차단하고 코어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치구를 필요치 않음과 동시에 접착제 도포등의 작업공정이 삭제되면서도 코어(3)의 위치가 항상 보빈(2)의 중심부에서 이탈되지 아니하여 자속흐름도는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안정된 전압 및 인덕턴스가 유지되며 절연수지(4) 특성에 의한 수축응력(6)이 작용되어도 보빈(2)의 일측부분이 밀봉부(9)로 구성되어 있고, 타측의 커버(10)로 외부와 차단되었으므로 보빈(2)내의 코어(3)에는 수축응력이 작용되지 않음으로서 크랙의 위험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코어(3) 표면에 절연수지(4)가 직접 접촉되어 수축 굳어지지 않고 수축응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코어(3)의 크랙이 없음은 전술한 바와 같고 코어(3)가 보빈(2)내에서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서 일정한 인덕턴스 값을 기대할 수 있어 진보된 전압 발생기의 구성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별도의 치구없이 제조공정을 단순화 하였고 절연수지의 수축응력에 의한 부품소손의 위험을 조절할 수 있어 침투성이 양호한 경성 합성수지의 적용도가 가능하여 설계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2)

  1. 고전압 발생기의 코어 결합에 있어서, 보빈(2)의 일단은 개방하고 타단은 코어홈(7)의 내경으로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8)를 형성하며 이와 연하여 밀봉부(9)를 두고 보빈(2)의 일단에 커버(10)를 결합하여서 구성한 고전압 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0)의 전단부는 홈(11)을 형성하여 보빈(2)의 개방부에 결합되고 보빈(2)의 일단은 밀봉부(9)로 형성됨으로서 코어(3)는 보빈의 내경에 대하여 일정간격의 구배인 코어홈(7)이 형성된 밀폐공간을 갖는 고전압 발생기.
KR2019910004222U 1991-03-29 1991-03-29 고전압 발생기 KR9300048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4222U KR930004821Y1 (ko) 1991-03-29 1991-03-29 고전압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4222U KR930004821Y1 (ko) 1991-03-29 1991-03-29 고전압 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769U KR920018769U (ko) 1992-10-19
KR930004821Y1 true KR930004821Y1 (ko) 1993-07-23

Family

ID=1931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4222U KR930004821Y1 (ko) 1991-03-29 1991-03-29 고전압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8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769U (ko) 199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51864A (en) Miniature inductive devices
US5929736A (en) Engine igniting coil device and method of winding an ignition coil
US20200328513A1 (en) Antenna
KR100341321B1 (ko) 전자렌지용 트랜스포머
KR930004821Y1 (ko) 고전압 발생기
US3602814A (en) Encapsulated electric coil having barrier layer
CN1894755B (zh) 变压器
US5550704A (en) Ignition coil including inorganic insulator exhibiting higher conductivity along its surface than perpendicular to its surface
US3430174A (en) High dielectric strength inductance coil using pot type magnetic core
US3662460A (en) Method of making a random wound encapsulated coil
JP2005286188A (ja) トランス
JP2015050397A (ja) リアクトルの製造方法、およびリアクトル
JPS59678Y2 (ja) 高周波発振形近接スイツチ
JP4344990B2 (ja) 点火コイル
JP2523914B2 (ja) 変成器
KR100411257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JPH0485912A (ja) 電磁機器の製造方法
JP4045631B2 (ja) 点火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121453A (ja) モ−ルド電機の製造方法
JPH07101654B2 (ja) 点火コイル
JP3336871B2 (ja) モールドトラン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04964B1 (ko) 리액터
KR890001344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100355924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케이스
JPH06809Y2 (ja) 変成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