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688Y1 - 액정주입장치용 액정용기 - Google Patents

액정주입장치용 액정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688Y1
KR930004688Y1 KR2019910000952U KR910000952U KR930004688Y1 KR 930004688 Y1 KR930004688 Y1 KR 930004688Y1 KR 2019910000952 U KR2019910000952 U KR 2019910000952U KR 910000952 U KR910000952 U KR 910000952U KR 930004688 Y1 KR930004688 Y1 KR 930004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ell
container
support piece
inj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0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450U (ko
Inventor
김병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0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688Y1/ko
Publication of KR9200154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4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6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정주입장치용 액정용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액정용기를 사용한 액정주입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액정용기의 중간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액정주입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정용기 5 : 셀 받침편
6 : 액정패널 7 : 액정주입구
8 : 외측홈 10 : 내측홈
9 : 돌출벽
본 고안은 액정표시소자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정패널에 액정을 주입할 때 액정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개선한 액정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소자는 대향면에 소정의 투명전극이 시설된 상 하부 유리기관의 상기한 투명전극 위에 배향막을 적층하여 소정의 러빙각으로 배향한 다음, 다시 상 하부 유리기판을 평행하게 포개어 스페이서 등에 의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치되게 함과 아울러 그 주변부를 실란트로 밀봉 처리하여 얻어지는 액정 셀의 내부 공간에 소정의 액정을 주입하고 밀봉시킨 구조로 만들어진다.
상기한 상 하부 유리기판 사이에 수용된 액정은 투명전극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계에 의해 유전이방성을 띠게 됨으로써 문자나 기호 등을 화면에 표시케 되는 것이다.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 액정의 비틀림각도는 네마틱액정의 경우, 180도 정도가 최대로 되고 있으나, 최근에 액정기술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최대 270도까지 비틀리는 STN(super twisted nematic) 액정표시소자가 실용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기한 STN 액정표시소자는 종래의 액정표시소자가 해결할 수 없었던 휘도 및 콘트라스트 향상을 도모한 점에서 크게 기대할 만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액정표시소자는 전기한 바와같은 상 하부 유리기판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액정을 주입 수용하는 것이며, 이 때 액정의 주입은 소정의 액정주입장치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그러나 종래의 액정주입장치를 이용하여 액정을 주입할때, 액정이 액정 셀의 주입구 주위에 불필요하게 묻어 나가 값 비싼 액정의 손실량이 막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제3도를 예로서 더 구제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의 액정주입장치(A)는 외부와 격리된 공간을 가진 챔버(B)와, 액정(C)을 담은 액정용기(D)를 포함하고 있다. 액정용기(D)에는 빈 액정 셀(E)이 그 액정주입구(F)를 액정(C)에 잠기게 할 수 있도록 적당한 승강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매달려져 있게 되며 또 상기한 챔버 (B)의 하부 일측에는 진공펌프(G)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액정주입장치 (A)에서 액정패널(E)에 액정 (C)을 주입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액정 셀(E)의 액정(C)에서 액정용기(D)의 액정주입구(F)가 격리된 상태로 매달려 있게 승강수단을 조절한 상태에서, 진공펌프(G)를 가동시켜 챔버(B)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밖으로 배기하여 소정의 진공상태 (이 때 액정 셀의 내부도 자연히 진공상태로 됨)를 만든다.
그런 다음, 진공상태에서 승강수단을 조작하여 액정 셀(E)의 액정주입구(F)가 액정용기(D)에 수용된 액정(C)으로 잠겨지게 하고, 이어서 챔버(B) 내부의 진공상태를 서서히 해제시키면 외부의 대기압이 액정(C)에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액정 셀(E)의 내부로 액정 (C)이 주입되는 것이다.
이렇게 액정(C)의 주입이 끝난 다음에는 액정 셀(E)의 액정주입구(F)를 밀봉하여 주입작업이 종료된다. 그러나 액정주입구(F)는 액정 셀(E)의 일측변에 극히 일부분을 차지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액정(C)의 주입시에는 액정 셀(E)의 일측변 전체가 잠겨져 버리게 된다.
그 결과, 액정(C)이 액정주입구(F) 외에도 불필요하게 액정 셀(E)의 일측변에 고루 묻혀 나가서 액정(C)의 손실을 유발함과 아울러 주위에 불필요하게 묻어 있는 액정(C)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공정까지 거쳐야 하게 되는 문제점을 일으키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액정패널에 액정을 주입할 때 액정의 손실이 발생되지 않은 액정주입장치용 액정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1쌍2조의 돌출벽에 의해 통상의 액정 셀이 보유하는 액정 주입구와 거의 일치하는 폭의 내측홈이 중간에 그리고 그 양측으로 각각 외측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돌출벽의 상면에 각각 신축성을 갖는 재질의 셀 받침편이 부착되어서 상기한 액정 셀의 액정 주입구 부근이 상기한 내측홈에만 수용되는 액정과 접촉 주입되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주입장치용 액정용기를 제안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액정용기(1)를 사용한 액정주입장치(2)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외부와 밀폐된 챔버(2)에 넣어지고, 진공펌프(3)에 의해 상기한 챔버 (3)의 내부가 진공으로 되는 등의 주입을 위한 조작은 종래와 동일하게 행해진다.
상기한 액정용기 (1)는 제2도의 도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1쌍 2조의 돌출벽(9)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하나의 내측홈(8)과 그 양측에 위치하는 외측홈(10)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상기한 내측홈(8)은 액정셀(6)의 액정 주입구(7)보다 약간 넓은 폭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한 돌출벽(9)의 상면에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된 셀 받침편(5)이 부착되어 있다.
신축성을 갖는 셀 받침편(5)은 그 위로 놓여지는 액정 셀(6)의 무게로 인하여 눌려져 압축되고, 그로 인해 액정 셀(6)의 액정 주입구(7)는 내측홈(8)으로 더욱 근접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의 액정용기(1)에서 액정(4)은 내측홈(8)에만 수용된다. 또한 액정 (4)을 수용한 액정용기(1)는 종래의 진공 흡입방식으로 행하는 액정 주입공정에 제공된다.
액정의 주입과정에서, 액정 셀(6)은 액정용기(1)의 상단연에 부착된 셀 받침편(5)상에 적치된다.
이 때, 액정 셀(6)의 액정 주입구(7)는 액정용기(1)의 내측홈(8)에 일치하게 되고, 또한 셀 받침편(5)은 액정 셀(6)의 중량에 의해 눌려져서 상기한 액정 셀(6)의 액정 주입구(7)는 액정 (4)에 접촉하여 잠기게 된다.
한편, 액정 셀(6)의 액정 주입구(7) 주변은 액정용기(1)의 셀 받침편(5)에 의해 2중으로 둘러 싸이게 되기 때문에 액정(4)이 외부로 흘러 넘치는 일은 생기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액정용기(1)를 이용하여 액정(B)을 주입하게 되면, 액정 주입구(7)가 형성된 변으로 불필요하게 액정(4)이 묻어 나가는 일이 없게 된다. 게다가 액정 셀(6)이 액정 받침편(5)과 접촉하는 순간에 흘러 넘치는 액정(4)까지 양 외측홈(10)으로 수거될 수 있으므로 값 비싼 액정(4)의 손실을 최대한으로 줄여 주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액정용기는 액정 주입공정에서 파생되는 액정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주는 것이기 때문에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는 한편으로, 액정 주입후에도 액정 셀의 측변에 묻은 액정을 세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서 공정의 간략화를 도모하여 주는 실용성을 갖추고 있다.

Claims (2)

1쌍 2조의 돌출벽(9)에 의해 통상의 액정 셀(6)이 보유하는 액정 주입구(7)와 거의 일치하는 폭의 내측홈(8)이 중간에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각각 외측홈(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돌출벽(9)의 상면에 각각 신축성을 갖는 재질의 셀 받침편(5)이 부착되어서 상기한 액정 셀(6)의 액정 주입구(7) 부근이 상기한 내측홈(8)에 수용되는 액정(4)과 접촉 주입되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주입장치용 액정용기.
제1항에 있어서, 셀 받침편(5)은 신축성을 갖는 고무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주입장치용 액정 용기.
KR2019910000952U 1991-01-23 1991-01-23 액정주입장치용 액정용기 KR9300046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952U KR930004688Y1 (ko) 1991-01-23 1991-01-23 액정주입장치용 액정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952U KR930004688Y1 (ko) 1991-01-23 1991-01-23 액정주입장치용 액정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450U KR920015450U (ko) 1992-08-17
KR930004688Y1 true KR930004688Y1 (ko) 1993-07-22

Family

ID=19310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0952U KR930004688Y1 (ko) 1991-01-23 1991-01-23 액정주입장치용 액정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6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995A (ko) * 2000-11-25 2002-05-31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액정 소비량을 감소시킨 액정 주입용 그루브 트레이
KR100862074B1 (ko) * 2002-12-12 2008-10-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역사다리꼴 액정주입구가 형성된 씰 패턴을 포함하는액정표시장치용 액정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995A (ko) * 2000-11-25 2002-05-31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액정 소비량을 감소시킨 액정 주입용 그루브 트레이
KR100862074B1 (ko) * 2002-12-12 2008-10-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역사다리꼴 액정주입구가 형성된 씰 패턴을 포함하는액정표시장치용 액정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450U (ko) 199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5103A (en) Double seal pattern for a liquid crystal device with curved ends
KR100283282B1 (ko) 액정용 셀집합체 및 액정셀의 제조방법
KR930004688Y1 (ko) 액정주입장치용 액정용기
CN209674129U (zh) 一种薄化液晶面板的治具
KR930002413Y1 (ko) 시일패턴을 개선한 액정표시소자
KR950002535Y1 (ko) 액정표시소자의 시일 구조
JPS649423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S56168633A (en)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KR100218415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940009143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S62206525A (ja) 液晶セル
KR930006716B1 (ko) 액정표시 소자의 셀 갭층을 균등하게 하는방법 및 장치
KR930005554B1 (ko) 액정 표시소자의 액정주입 장치 및 방법
KR930001823Y1 (ko) 액정 표시 장치
JPS5754919A (en) Liquid crystal element
JP2868132B2 (ja) カラー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H11183919A (ja) 液晶表示パネルの液晶注入方法
JP3131877B2 (ja)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KR0142051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432999B1 (ko) 플라스틱 액정표시소자
JPS634215A (ja) 液晶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25856B1 (ko) 액정표시소자
KR0134855Y1 (ko) 액정표시소자의 액정주입장치
KR940003354Y1 (ko) 액정표시소자
KR19990016878A (ko) 액정표시장치의 실패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