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003B1 - 팩시밀리 수신지의 봉입장치 - Google Patents

팩시밀리 수신지의 봉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003B1
KR930004003B1 KR1019890018229A KR890018229A KR930004003B1 KR 930004003 B1 KR930004003 B1 KR 930004003B1 KR 1019890018229 A KR1019890018229 A KR 1019890018229A KR 890018229 A KR890018229 A KR 890018229A KR 930004003 B1 KR930004003 B1 KR 930004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bending
rollers
envelope pap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8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239A (ko
Inventor
야수오 노마
기요다까 오오니시
마사아끼 마쓰시마
가즈아끼 나가세
Original Assignee
얀마 디이젤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오카 다다오
이세도 시꼬오 가부시기가이샤
고다니 류우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디이젤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오카 다다오, 이세도 시꼬오 가부시기가이샤, 고다니 류우이찌 filed Critical 얀마 디이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1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31Mechanical arrangements for picture transmission, e.g. adaptation of clutches, gearing, gear trans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3/00Devices for inserting documents into envelopes
    • B43M3/04Devices for inserting documents into envelopes automat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46Hiding of documents or documen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46Hiding of documents or document information
    • H04N1/4466Enveloping, wrapping, or sealing, i.e. keeping the document cl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팩시밀리 수신지의 봉입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봉입장치의 전체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외관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팩시밀리 수신지의 송출기구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송출기구의 사시도.
제5도는 수신지의 정면도.
제6도 내지 제10도는 수신지의 인입 및 절곡기구의 동작을 표시하는 측면도.
제11도는 봉투용지의 사시도.
제12도는 절입블레이드를 구동하는 캠부분의 측면도.
제13도 내지 제15도는 절입봉입기구의 동작을 표시하는 측면도.
제16도는 압착로울러 부분의 평면도.
제17도는 수신지를 봉입한 봉투의 사시도.
제18도는 각 기구부분의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제어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
제19도는 제18도의 플로우차아트.
제2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21도는 친전문서의 1예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22도는 제20도의 실시예의 부분측면도.
제23도는 수신지의 절곡가이드로울러 출구근처를 표시하는 부분측면도.
제24도 내지 제26도는 제20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표시하는 부분측면도.
제27도는 수신지 제어부분의 평면도.
제28도는 제27도의 수신지 제어부분의 저면도.
제29도는 제27도의 수신지 제어부분의 앞면도.
제30도는 봉입 상태로된 봉투용지의 사시도.
제31도는 수신지길이 센서와 중간길이 스토퍼의 제어플로우차아트.
제32도는 규정길이 초과센서에 의한 제어를 표시하는 플로우차아트.
제33도는 편심캠축의 구동부를 표시하는 측면단면도.
제34도는 제31도 및 제32도에서의 규정길이 이상의 수신지 입력제어 루틴과 절첩위치제어 루틴을 포함하는 플로우차아트.
제35도는 제24도중 스텝 ①의 연속을 표시하는 플로우차아트.
제36도는 및 제37도는 제20도의 실시예에서의 구동계통을 표시하는 측면도.
제38도는 제36도 및 제37도의 구동계통의 측면도.
제39도는 봉투용지의 송입로울러와 봉입절곡로울러의 구동계통의 평면단면도.
제40도 내지 제44도는 제39도의 구동계통의 동작을 표시하는 측면도.
제45도는 오목부가 부설된 봉입절곡로울러를 표시하는 앞면단면도.
제46도는 편심캠의 형상을 표시하는 단면도.
제47도 및 제48도는 본 발명의 절입블레이드에 의한 압입상태를 표시하는 도면.
제49도 내지 제52도는 종래의 절입블레이드에 의한 압입상태를 표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팩시밀리수신지의 비밀을 유지하기 위한 봉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팩시밀리로 송신되어 온 문서의 수신지를 봉입하여 비밀문서로 취급할 수 있도록 한 장치는 종래부터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특개소 63-67072호 공보에는 수신지의 앞머리부분에 표시된 식별용패턴을 판독하므로서 친전문서(기밀문서)를 다른 문서와 구별하여 반송로를 변환하여 준비된 봉투속에 자동적으로 수용하도록 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특개소 58-142664호 공보에는, 친전문서를 그대로 겹쳐 붙이므로써 통신문서가 외측으로 나오지 않도록 봉입할 수 있게 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봉입장치에 있어서, 친전문서를 봉투속에 수용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는, 봉투입구를 열고 수신지를 그 안에 삽입하기 위한 작업을 자동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대단히 복잡한 기구가 필요하며, 봉투속에 수신지가 삽입되지 않고 빠져버리는 오동작이 발생하기 쉬운 결점이 있다.
또, 팩시밀리 수신기에서 배출된 수신지를, 접지않은 그대로의 상태(원래크기)로 봉투속에 넣는 것이므로 대단히 큰 봉투를 필요로 하고, 장치 자체도 대형화하게 된다.
한편, 팩시밀리수신기에서 배출된 문서를 그대로 겹쳐서 접합한 것에 있어서는, 여기에 사용되는 수신지가 일반적으로 얇기 때문에 뒷면에서 내부가 보이는 결함이 있고, 또, 수신지를 그대로 접합했을 경우 마무리가 불결하다는 결점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팩시밀리수신기를 봉투용지와 겹쳐서 절곡하므로써 그 수신지를 봉입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이러한 장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수신지 및 봉투용지를 절곡하는 장치와, 연속된 봉투용지를 절단하기 위한 장치 및 봉투용지를 압착하는 방법등에 의하여 그 단부를 접착하기 위한 장치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종래의 봉입장치에 있어서는, 어떤 방법으로도 비밀문서를 외부에서 알 수 없도록 하는 점에서 본 발명과 목적이 같지만, 이들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팩시밀리수신기와 봉입장치와의 접속에 대하여 고려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인 팩시밀리수신기를 봉입장치측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그 수신기에서 배출된 수신지가 봉입장치측으로 확실하게 전달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에 있어서는 그 점에 대해서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져 있지 않아서, 예컨대 사용시에 팩시밀리수신기의 수신지배출부와 봉입장치의 수취부가 서로 어긋나는 편차를 발생하기 쉽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 수신기와 봉입장치가 일체가 되도록 제조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기존의 팩시밀리수신기는 전부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결점이 있다.
또 상기한 종래의 봉입장치에 있어서, 수신했을때의 수신지의 길이가 다를 경우라도 종래는 전부 동일한 길이의 수신지로 가정한 상태에서 절곡을 실시해 왔던 것이다.
그러나, 짧은 수신지를 긴 수신지일 경우와 동일하게 절곡하면, 절곡후의 수신지의 길이방향의 양단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길이가 짧은 쪽이 상측면이 되도록 접힌 상태로 이송된다.
그런데 그 다음에 수신된 수신지가 절곡되어서 상기와 같이 접힌 상태의 수신지 상으로 이송될때는, 그러한 수신지의 절곡상측단에 걸려서 봉투용지 상에 확실하게 적층되지 않게 된다는 결함을 드러낸다.
더욱 상기한 종래의 봉입장치에 있어서는, 송신자 측으로부터 규정길이 이상의 수신지가 송신되어 왔을 경우에, 수신지가 지나치게 길어서 소정의 스톱퍼로 선단을 정지시켜 절곡한 경우에도, 봉투용지와 적층되지 않아. 봉입할 수 없게 된다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의 결점을 해소하여 수신지를 봉투용지와 함께 절곡하여 봉입하므로써, 봉투에서 수신지가 빠져버리는 오동작을 발생하지 않고, 또한, 전체적으로 소형이면서 서류의 봉입에 따른 마무리도 양호한 개량된 봉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지를 봉투와 함께 절곡하여 봉입할 경우에 수신지의 절곡, 절단, 압착, 단부의 접착등 일련의 작업을 전부동시에 실시하도록 하여, 수신지의 봉입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개량된 봉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팩시밀리수신기에 쉽게 접속하여 이용할 수 있는 개량된 봉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규정길이를 초과한 수신지를 절곡할 때에 이것을 검출해 내서, 절곡 및 봉입작업을 정지시킬 수 있는 개량된 봉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팩시밀리수신기에서 배출된 수신지의 수취장치와 그 장치에 의하여 수취된 수신지를 2겹으로 접어서 절곡하는 제1의 절곡장치와, 상기한 2겹으로 접힌 수신지를 봉투용지와 적층한 상태에서 이들 수신지 및 봉투용지를 동시에 절곡하는 제2절곡장치 및 봉투용지의 단부를 접착하여 상기한 수신지를 봉입하는 봉입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구성, 작용효과는 아래에 기재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더욱 명백해지게 될 것이다.
제2도는 본 실시예의 봉입장치(1)의 외관을 표시하며, 상자형상으로 형성된 박스(6) 상면의 일단측의 1개소가 상방으로 용기되고, 이 용기부(4) 이외의 상면부가 팩시밀리수신기(2)를 재치하는 선반부(3)로되며, 이 선반부(3)에 면하여 상기한 용기부(4)의 측면에 수신지의 수취구(5)가 개구되어 있다.
제1도는, 상기한 박스(6)내의 구조를 표시하는 전체구성도로서, 용기부(4)부분에는, 상기한 수취구(5)의 내측에 수신기(2)에서 배출된 수신지(7)를 후방으로 송출하기 위한 송출기구(8)가 배치되어 있다.
이 송출기구(8)는, 제3도 및 제4도에서 표시하듯이, 예컨대 4쌍의 벨트로울러(11)(12) 사이에 권회된 송출벨트(13)와, 이 송출벨트(13) 일단의 로울러(11)측 벨트상방향으로부터 수취구(5)쪽을 향하여 연장설치된 하부가이드 플레이트(14)와, 가이드 플레이트(14)의 상부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상부가이드 플레이트(15)와, 상기한 송출벨트(13)를 권회하는 후부측로울러(12)상에서 배치된 가이드로울러(16)와, 그 가이드로울러(16)의 후방부에 배치하여, 친전문서(기밀문서)와 일반문서에 의하여 송출방향을 절환하는 절환게이트(17)와, 이 절환게이트(17)의 후방부에 설치되어서 일반문서만을 송출하는 상하 한쌍의 송출로울러(18)(19)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송출벨트(13)의 중간부상방에는, 그 벨트(13)와 맞닿는 상태로서 수신지(7)를 협지하여 누르는 누름로울러(20)가 배치되어 있다.
수취구(5)측의 벨트로울러(11)는 축(21)에 지지됨과 아울러, 이 축(21)의 양단이, 상하방향의 만곡형상고정가이드(22)에 삽입되고, 이 고정가이드(22)에 따라서 후부측로울러(12)의 중심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축(21)은 예컨대 나사외의 수단에 의하여 임의의 위치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방측 로울러(11) 및 송출벨트(13)의 상하 회동에 따라서 하부가이드 플레이트(14) 및 상부가이드플레이트(15), 누름로울러(20)도 함께 상하로 회동한다.
상기한 상부가이드플레이트(15)의 수취구(5)측 단부상방에 수신문서(7)가 비밀문서인지 혹은 일반문서인지를 식별하는 식별센서(23)가 배치되어 있다.
이 문서의 식별은 제5도에서와 같이, 수신지(7)의 선단 코오너부에 기록된 식별패턴(25)를 상기한 센서(23)가 판독하므로써 비밀문서인지 일반문서인지를 식별한다.
예컨대, 이 식별패턴(25)이 기록되어 있을때는 비밀문서가 되고, 기록되어 있지 않을때는 일반문서로 된다.
한편, 이 식별센서(23)의 반대측하부가이드 플레이트(14)의 하부방향에는 수신문서(7)가 수취구(5)에서 돌아온 것인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문서 수취센서(2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신지(7)의 송출방향의 선단부분에는, 수취인의 주소 성명을 기록하는 수취인란(26)이 설치된다.
제3도중 부호 27은 하부가이드플레이트(14)의 양측에 배치된 홈형상의 수직가이드로서, 그 하부가이드를 레이트(14)의 수취구(5)측 단부하면에 고정된 슬라이드 봉(30) 양단이 삽입 설치되어, 벨트(13)의 단부 상하로 회동시키면, 이 슬라이드 봉(30)이 상하로 직선형상으로 이동하여 하부가이드플레이트(14)의 단부와 수취구(5)와의 송출방향의 위치관계를 항상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1도에 표시하듯이, 팩시밀리수신기(2)에서 배출된 수신기(7)는, 수취구(5)내로 인입됨과 아울러, 상·하부의 가이드플레이트(14)(15) 사이를 통과하여 송출벨트(13)상으로 송출된다.
이 송출벨트(13)의 중간정도까지 다다른 지점에서, 누름로울러(20)와 송출벨트(13) 사이에 수신지(7)의 선단부가 물려들어가서 송출벨트(13)에 의하여 송출되고, 후부측 가이드로울러(16)와 벨트로울러(12)와의 사이에 물려들어가서 전방으로 송출된다.
이때, 상기한 식별센서(23)에 의하여 식별된 문서가 일반문서인 경우에는, 절환게이트(17)는 수평상태로 있고, 따라서, 수신지(7)는 그대로 이 게이트(17)상을 통과하여 후방의 일반문서 배출로울러(18)(19) 사이에 물려들어가서 측방향으로 배출된다.
한편 그 문서가 비밀문서인 경우에는, 이 절환게이트(17)의 벨트(13)측 단부가 상방으로 회동하므로 수신지(7)는 송출벨트(13)를 벗어나온 시점으로부터 하향 송출된다.
이때, 이 종류의 수신지(7)는 일반적으로 로울타입인 것이 널리 사용되고, 수신기(2)에서 배출되는 수신지(7)는 그 선단이 하향 굴곡하려는 경향을 나타내는 까닭에 원활하게 하향 송출된다. 그리고 상기한 송출벨트(13)를 권회하는후부측로울러(12)와 일반문서를 배출하는 가이드로울러(19)와의 사이의 하방부분에는, 수신지(7)를 하향안내하는 좌우한쌍의 이송가이드(28)(29)가 설치되어 이 가이드(28)(29) 사이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송출된다.
이들 이송가이드(28)(29)도, 수신지(7)의 굴곡에 부합되게 만곡형상으로 되어있어, 보다더 순조롭게 하방으로 송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하방으로 송출된 수신지(7)는 이송가이드(28)(29)의 하단측방에 설치된 이송 절곡기구(31)측으로 송출된다.
상기한 이송 절곡기구(31)는 제1도에서 표시하듯이 상기한 이송가이드(28)(29)의 출구단부로부터 하향경사 배치되며, 본 발명의 이송로를 구성하는 상하 한쌍의 상·하부 이송벨트(32)(33)와, 그 이송벨트(32)(33)의 후단으로부터 상향 경사배치된 상하한쌍의 플레이트(34)(34)를 조합하여 형성한 절곡가이드(35)와, 상기한 하부이송벨트(33)의 출구단부에 근접배치한 절곡가이드로울러(36)(42)(46)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이송벨트(33)의 후단부상방 부분에는, 제1구동모우터(37)(제1도 참조)가 배치되어 있고, 이 구동모우터(37)의 구동축에 설치된 피니언(38)으로부터 중간기어(39), 중간피니언(60) 및 피동기어(41)를 거쳐서 상부이송벨트(32)의 후부측로울러(42)에 호전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상부이송벨트(32)는, 상기한 이송가이드(28)(29)측의 단부가 하부이송벨트(3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되도록 하여, 이 입구단부축에서는 하부이송벨트(33)와의 사이에 간극을 발생하고, 이들 양벨트(32)(33) 사이에 송출된 수신지(7)는, 그 선단부가 벨트(32)(33)의 출구측 근방에 도달한 시점에서 비로서 제2이송장치로 되는 절곡 가이드로울러(42)(46)에 협지된 상태로 인입되도록 되어 있는데, 만일 상기한 수신기(2)에서 배출된 수신기(7)가 이 수신기(2)에 의하여 소정규격으로 절단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즉, 벨트 32, 33의 입구측에서 이들 양이송벨트(32)(33)에 인입되게 되면, 그 인입력에 의하여 수신기(2)측에 불필요한 부하가 걸리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하부만송벨트(33)의 하방에는 L형으로 굴곡된 트레이(43)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이송 절곡기구(31)의 동작을 제6도 이하에 따라서 설명한다. 상기한 이송가이드(28)(29)에 의하여 하향 송출된 수신지(7)는 상·하부이송벨트(32)(33) 사이로 들어오게 되고, 이 수신지(7)의 선단이 양벨트(32)(33) 사이의 출구선단 근방에 도달한 시점에서 절곡가이드로울러(42)(46)에 의하여 협지상태로 인입되어 제6도에서와 같이 절곡가이드(35)의 플레이트(34)(34) 사이의 슬릿(slit) 안으로 송출된다.
절곡가이드(35)의 선단부분에는 스톱퍼(45)사 설치되어 있고, 수신지(7)의 선단이 이 스톱퍼(45)에 맞닿게 되면, 상기한 절곡가이드로울러(42)(46)의 송출에 의하여 수신지(7)는 절곡가이드(35)의 입구 단부에서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으로 튀어나오는 처짐이 생긴다.
이 처짐은 수신지(7)의 만곡하려는 경향에 의한 방향으로 행해지는 자연스러운 동태이다.
또 상기한 절곡가이드로울러(42)(46)에 의하여 송출되면, 이 처짐부분에서 절곡된 선단부분이 절곡가이드로울러(36)와, 하부이송벨트(33)를 권회한 출구단측의 절곡가이드로울러(46) 사이에 물려들어가고, 이들 절곡가이드로울러(36)(46)에 의하여 하방의 트레이(43)상으로 송출된다(제8도 및 제9도 참조).
이때 수신지(7)는 문서의 기록면이 하측이 되는 상태로 송입된다.
이와 같이하여, 각각 상기한 수신기(2)에 의하여 각각 절단된 복수매의 수신지(7)가, 트레이(43)상에 겹쳐 쌓이게 된다(제10도 참조).
그리고, 상기한 문서수취센서(24)(제1도, 제3도 참조)에 의하여 수신의 종료를 검지한 단계에서 이와 같은 수신지(7)의 이송 및 절곡동작을 완료한다.
또한, 문서 수취센서(24)에 의한 수신완료의 검출은, 수신기(2)에서 송출되는 최후의 수신지(7)가 그 문서 수취센서(24)를 통과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을 계측하고, 어느 일정시간 경과한 단계에서, 다음의 수신지(7)가 들어와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하므로써 실시할 수 있다.
즉 제3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송출기구(8)에 있어서 송출벨트(13)의 후단측의 가이드로울러(16)에 가까운쪽에 용지길이 검색센서(4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용지길이검색센서(47)는 수신지(7) 선단부의 위치를 검출한 시점에 있어서, 문서 수취센서(24)에 의하여 유무를 판정하는 것이므로, 그때에 용지가 이미 없어졌을 경우에는, 규정의 길이보다도 용지길이가 짧은 것을 표시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한 이송·절곡기구(31)에 의한 동작이 불능하게 되므로 절환게이트(17)를 쓰러뜨려서, 일반문서와 같이 취급하여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트레이(43)상에 쌓여진 수신지(7)는, 다음 절곡봉입기구(51)에 의하여 봉입이 실시된다.
이하에 그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수신지(7)를 봉입하기 위한 봉투용지(52)는, 제11도에서와 같이 그 양단 가장자리에 다수의 구멍을 뚫은 연속용지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 봉투용지(52)가 구동모우터(40)에 의하여 구동되는 공지된 트랙터피이더(53)(제1도, 제3도 참조)에 의하여 상기한 절곡가이드(35)의 하방으로부터 트레이(43)쪽으로 송출된다.
제13도에 표시하듯이 트랙터피이더(53)의 전방부에는 그 봉투용지(52)를 협지하는 상하한쌍의 송출가이드 로울러(54)(54)가 설치되고, 이들 송출가이드로울러(54)(54)의 전방부에는 봉투용지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용 버스터칼날(55)이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로울러(54)에 의하여 송출된 봉투용지(52)는, 이 버스터칼날(55)의 아래쪽을 통과하여 트레이(43)하방에 배치된 가이드플레이트(56)와, 이 트레이(43) 사이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송출된다.
가이드플레이트(56)의 전방부에는 봉투용지대기센서(57)가 설치되어 있고 이 센서(57)에 의하여 봉투용지(52)의 선단이 이 위치까지 송출된 것을 감지하면, 그 봉투용지(52)의 송출을 정지한다.
봉투용지(52)는, 이와 같이하여, 미리 송출된 상태로 대기하고 있다. 상기한 버스터칼날(55)과 봉투용지 대기센서(57)와의 중간부에는, 상기한 가이드플레이트(56)의 하방에 단부압착로울러(58)(58)가 배치되고, 제16도에서 처럼 그 한쪽의 압착로울러(58)의 양쪽에 가장자리부 압착 로울러(59)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가장자리부란 것은, 이하에 봉투용지(52)가 절곡되었을때의 절곡선의 양단측의 접착부(221)을 지시한다(제11도 참조)
이들 압착로울러(58)(59), 송출가이드로울러(54)(제13도 참조), 트랙터 피이더(53)는 제1에서와 같이 그 측방에 설치한 제2모우터(40)에 의하여 구동된다. 또 압착로울러(58)(59)에 대응하여, 트레이(43) 상방부에는, 1개의 절입블레이드(61)가 하향 배치되어 있다.
제12도에서 표시하듯이, 이 절입블레이드(61)의 상방에는 그 절입블레이드(61)르 상하작용시키기 위한 캠(63)이 축지지되어 있다.
이 캠(63)의 축(64)에 부착된 벨트폴리(65)와, 전기한 이송, 절곡기구(31)측의 상부 이송벨트(32)의 출구 선단측 로울러(42) 사이에 구동벨트(66)가 권회되어 있다.
즉, 캠축(64)이 이 벨트(66)에 의하여, 제1모우터(37)에 의하여 회전구동되지만, 캠축(64) 사이에는 한쪽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원웨이클러치(67)가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제1모우터(37)의 정회전 상태에 있어서는 그 회전동력이 캠(63)쪽으로 전달되지 않고, 그 반대로 모우터(37)가 역회전하면 그 방향으로 캠(63)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캠축(64)에는, 외주의 2개소를 홈(68)을 형성한 슬릿판(69)이 부착되어 있다.
이 슬릿판(69)도 전기한 원웨이클러치(67)를 거쳐 전달되지만, 리밋트스위치(70)의 맞닿음부분이 이 홈(68)(68)의 한쪽으로 떨어져 들어가면, 그 리밋트스위치(70)가 작동하여 제1모우터(37)측의 역회전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슬릿판(69)의 원주상 180°격리 위치에 홈(68)(68)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릿판(69) 즉, 캠(63)이 1/2원주 회전때 마다 제1모우터(37)의 역회전동작이 정지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한 절곡봉입기구(5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문서 수취센서(24)에 의하여 수신문서의 배출이 완료된 것을 검출하면, 제13도와 같이, 최후의 수신지(7)가 트레이(43)상에 적중된 상태에서 제1모우터(37)의 정회전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제1모우터(37)를 역회전시키면 상기한 원웨이 클러치(67)에 동작에 의하여 캠(63)이 회전한다.
이에 의하여 절입블레이드(61)가 하강하고, 각 수신지(7) 및 봉투용지(52)는, 트레이(43) 및 가이드 프레이트(56)에 형성된 간극(72)에서 2겹 접힘으로 절곡되면서 하방으로 돌출한다.
이때, 봉투용지(52)는 버스터칼날(55)의 하방으로 처짐이 유지시켜져 있다.
제14도와 같이, 봉투용지(52)의 절입선단부가 압착로울러(58)(59)에 끼어 들어가기 전에 모우터(60)를 구동하여 압착로울러(58)(59), 송출가이드로울러(54)가 회전한다.
압착로울러(58)(59)는 송출가이드로울러(54) 보다 원주속도가 크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장력을 발생하고, 또 봉투용지(52)에서 제11도와 같이 미리 절취선(74)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긴장에 버스터 칼날(55)에 의해 간단하게 절단된다.
봉투용지(52)에는, 그 선단부 및 양쪽 가장자리의 접착부에 미리 감압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압축로울러(58)(59)의 압착에 의하여 그 3변이 접착되어서, 수신지(7)내가 내부에 봉입된 상태로 제15도와 같이 하방으로 배출된다.
제16도에서 표시하듯이, 봉투용지(52)의 이송방향의 후부선단을 압착하는 한쌍의 로울러(58)(58)중 한쪽은, 스프링(71)에 의하여 상대로울러에 압압되어 있고, 수신문서(7)의 매수가 많을때는 그것에 맞춰서 후퇴한다.
제11도 및 제17도에서 표시하듯이, 봉투용지(52)는 그 일부에 투명창(73)을 형성하고 있고, 최초에 배출된 수신지(7)에 기재된 수신인의 주소성명란(26)의 기록내용이 이 투명창(73)을 통해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입하므로써 상기한 수신지(7)는, 4번 절첩되는 것이 된다(즉 4겹접음이 된다).
단, 이 매수는 수신문서(7)의 길이에 의하여 다르며, 3번 접음으로도는 경우도 있다. 제18도는 상기한 봉입장치의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표시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76은 각종 연산 및 제어를 실시하는 CPU(중앙처리장치)이고 77은 CPU(76)의 실행 수순의 프로그램을 격납한 ROM(read only memory)이며, 78은 각종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RAM(ramdom access momory)을 표시하고 있다. CPU(76)에는 도면에 표시하는 각 센서(23)(24)(47)(57)(70)에서의 검출신호가 입력회로를 통하여 입력된다. 또, CPU(76)의 제어신호는, 출력신호를 통하여 각 구동모우터(37)(40)와 트랙터 피이더(53) 및 절환게이트(17)를 열기위한 솔레노이드로 출력된다. CPU(76)은, 3개의 타이머(T1)(T2)(T3)를 보유하고 있다. 제19도는 상기한 제어장치에 의한 제어의 흐름을 표시하는 플로우챠아트를 표시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스텝 84,85 및 86은 친전문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흐름을 표시한다. 스텝 87은 용지길이가 충분한가의 여부를 판정하여 충분한 길이를 갖지 못한 용지(예컨대, 절곡가이드(35)의 길이에 미치지 못하는 것)를 배출하기 위한 작업이다. 스텝 89, 90 및 91은 1개 문서의 송신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작업이며, 용지의 수취가 종료되어 다음 용지가 수취될 때까지의 시간(T1)이 결정시간(t1)과 동일하게 되면 1개 문서의 송신이 끝났음을 표시하고 있다. 즉, 일련의 문서일 때의 시간 간격에 대하여 문서간의 간격은, 그보다 긴 것에 감안하여, 시간(t1)을 일련의 문서 간격보다도 긴시간(보통은 13초정도)으로 설정하므로써 1개 문서의 종료를 판정하는 것이다. 이 1개 문서의 종료 판정방법은, 팩시밀리에서의 수신종료신호에 의하여 대응할 수도 있다. 또 스텝 92 및 93은, 1개 문서의 송신이 끝나서 봉입을 실시하기까지의 타이밍을 맞추기 위한 대기시간(t2)을 갖도록 한 것이다. 스텝 94이하가 구체적인 봉입 및 봉투용지의 절단등을 실시하기 위한 흐름이다. 이들 스텝에 있어서 타이머(T3)는, 블레이드(61)를 그의 하사점 위치에서 일정시간(t3)만큼 공지기술에 의하여 정지시켜 두기 위한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봉입장치(1)는 팩시밀리 수신기(2)에서 배출된 수신지(7)을 그의 일련의 문서, 즉 1개 문서의 시작과 마지막을 판정한 문서가 1매의 봉투용지에 봉입됨에 의하여, 발신인의 다른 문서(복수)가 그 발신인마다 별개로 봉입된다는 분류동작(sort opetation)을 실시한다.
이상과 같이, 수신지를 봉투용지와 함께 절곡하여 밀봉하는, 상세하게는, 상기한 봉입장치를 한쌍의 로울러 사이에서 상기한 봉투용지의 2겹점을 방향의 양단끼리의 합착이 가능한 압접력을 가압하는 압접 장치와, 상기한 한쌍의 로울러의 압접시키므로써, 압착하는 압접로울러에 의해 밀봉하는 것으로부터 기성품의 봉투에 삽입하는 종래의 것과 달라서 봉투속에의 삽입탈락 혹은 삽입불비와 같은 에러를 발생할 우려는 없다. 또, 본래 크기 그대로 봉투용지속에 삽입하거나 혹은 접합시킨 것이 아니므로 장치자체도 작은 것으로 충분함과 아울러 완성상태도 극히 미려하다. 또 수신지를 그대로 접합시킨 것이 아니므로 수신지의 이면을 통하여 문서내용이 누설된다고 하는 결점이 없다. 이에 대하여 수신지의 이송시에 그 수신지가 수신기에서 절단분리되기 전의 단계에서는, 슬립 가능한 상태에서 이송되므로써, 그 수신지에 불필요한 부하를 작용시키지 않아, 수신기의 고장을 유발시킬 우려가 없다. 더구나, 배출된 문서가 이같은 이송로까지 닿게 되면 그 이송로에 의하여 제2이송장치까지 반송되므로써, 수신기에서 상기한 이송로까지의 길이를 용지의 최대길이에 맞추어 두면 그것보다도 작은 문서라도 극단적으로 작은 것이 아니면 봉입기구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또 이송로를 굴곡시키므로써 장치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 굴곡방향이 수신지의 로울에 의한 만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으므로 보다더 순조롭게 수신지의 이송을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팩시밀리 수신지의 봉입장치(A)의 상자본체 상면(융기부 At를 제외함)의 선단부(As)상에, 팩시밀리수신기(F)를 배치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팩시밀리수신기(F)는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이며, 팩시밀리수신기(F)에 의하여 수신된 수신지가 융기부(At)의 측면에 개구된 수신지 입구(115)에서 삽입된다. 봉입을 필요로하는 문서의 경우에는, 발신문서의 형식이 별도로 결정되어 있고, 발신문서의 첫째장 소정장소에, 봉입이 필요한 친전문서인 것을 지정하는 인식패턴(X)이 제21도에 표시하듯이 기재되어 있다. 그 인식 패턴(X)을 수신지 입구(115)의 바로 뒤에 설치한 인식센서, 즉, 반사형 광센서(143)에 의하여 검출하여 봉입을 필요로 하는 친전문서의 경우에는 제20도에 표시하는 상하 2쌍의 가이드로울러(117)(117)(116)(116)사이의 위치에 배치한 절환게이트(109)를 절환하여 봉입장치의 내부에 수신지(B)를 수취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21도에 표시하는 친전문서의 인식패턴(X)과 식별센서(143)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예컨대, 일본공업(JIS PO 138)에 있어서의 A4[210mm×297mm], B4[257mm×364mm]규격문서나 또는 A5[148mm×210mm], B5[182mm×257mm]규격의 문서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문서를 좌우기준 또는 중앙기준의 어느 경우로 송신하여도 봉입장치(A)가 식별 패턴(X)을 식별센서(143)로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식별 패턴(X)의 폭방향의 치수가 설정된다. 예컨대, 제21도의 실시예에서는, 상측의 B4규격의 수신지(B1)가 좌측 기준으로 수신되어 있을 때, 아래쪽의 A4 사이즈의 수신지(B2)가 수신지 B1에 대하여 우측기준 상태로 수신되고, 이때 각 수신지(B1),(B2)의 좌상귀에 인식패턴(X)에 기재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각 수신지(B1),(B2)의 인식패턴(X)의 폭방향 치수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겹치는 중합역(SAB)이 발생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이 중합역(SAB)에 대향하여 인식패턴(X)을 확실하게 검출하는 1개의 식별센서(143)를 봉입장치에 부착하므로써, 문서를 우측, 좌측 또는 중앙기준의 어느 경우로 송신하여도 2개 이상의 실별센서(143)를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0도에서 설명한 절환게이트(109)에 의하여 봉입장치의 방향진로가 변경된 수신지(B)는 고정가이드판(135)(136)가이를 하강하여, 상면 이송벨트(111)와 하면이송벨트(112) 사이의 만곡형상 이송로 내로 반송된다. 이때 수신지(B)는 그 선단이 하측으로 굴곡하는 것 같은 경향을 보이고 있는 로울라이프인 것이면, 상기한 만곡형상 이송로에 따라서 원활하게 하향 이송되어, 절환게이트(109)부근에서 종이가 막히는 것 같은 결함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그 고정가이드판(135)의 일부에 규정길이를 초과하는 센서(105)가 배치되어 있고, 또, 수신지 입구(115) 근처에 수신지통로를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수신지 입력센서, 즉 투과형 광센서(104)가 배치되어 있다.
또 고정가이드판(135)(136)의 하단 근방에 수신지 길이센서 즉, 투과형 광센서(103)가 배치되어 있고 상면 반송벨트(111)와 하면반송벨트(112)의 상하위치에 수신지 길이센서 즉 투과형 광센서(101) 및 (102)가 배치되어 있다. 수신지(B)는 제22도에 표시하듯이 하면반송벨트(112)상에 재치된 상태로 반송되며, 상면 반송벨트(111)는 서서히 하면반송벨트(112)에 근접해가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면 반송벨트(111)의 하단측을 구동하는 절곡가이드로울러(124)와, 하면 반송벨트(112)의 하단측을 구동하는 절곡가이드로울러(123)의 부근에 있어서는, 양로울러는 맞닿아 수신지(B)를 협지하도록 구서하고 있다. 그 절곡가이드 로울러(123)에 맞닿게 하측으로 절곡로울러(125)가 배치되어 있다. 또 절곡가이드로울러(123)(124)에 협지되어 송출되어 수신지(B)의 선단이 침입가능한 스톱퍼가이드판(130)(131)이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된 스톱퍼 가이드판(130)(131)사이에 돌출하는 중간길이용 스톱퍼(106)(107)와 최대 용지용 스톱퍼(108)가 설치되어 있다. 최대용지용 스톱퍼는 항상 돌출측으로 고정되어 있지만, 중간 길이용 스톱퍼(106) 및 (107)는 솔레노이드(S1)(S2)에 의하여 돌출수납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절곡가이드로울러(123)(124)에 의하여 수신지(B)의 선단이 압출되어서, 스톱퍼가이드판(130)(131)내로 침입하지만, 선단이 스톱퍼에 맞닿는 시점에서 그 이상의 침입이 저지되어서, 절곡가이드 로울러(123)(124)를 빠져나온 위치에서 수신지(B)의 중간부분이 휘어지기 시작하여 그 휨부분이 절곡가이드로울러(123)와 절곡로울러(125) 사이에 협지되어서 2겹 절첩상태로 되고 접힌 수신지(B)가 수신지 트레이(134)상에 공급된다.
본 발명의 제1절곡부는, 이 절곡가이드 로울러(123)(124)와 절곡로울러(125)와 스톱퍼가이드판(130)(131)과 스톱퍼(106)(107) 또는 (108)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 수신지 트레이(134)상에는, 절곡된 수신지(B)의 적층을 충분하게 하기 위해서 상방으로부터 달아맨 상태로 기록지 누름부재(129)(128)와 수신지트레이(134)의 상면에 설치된 미끄럼 방지부재(132)가 배치되어 있다. 또 봉투용지(C)는 봉입장치(A)의 외측으로 부터 봉투용지 가이드판(139)에 따라서 공급되어 트랙터피이더(138)에 의하여, 봉투용지(C) 가장자리부의 강제이송구멍에 이송판이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길이 만큼 정확하게 송입된다. 그리고 트랙터 피이더(138)를 빠져 나온 봉투용지(C)는, 전자 브레이크장치(147)(제20도 참조)를 구비한 봉투용지 송입로울러(114)를 통과하고, 봉투용지 가이드판(133)에서 봉입절곡로울러(120)(121)와 가장자리 압착로울러(122)로울러 121의 축 방향 양단면에 인접하고 로울러 120에 압접하여 회전한다)의 상방을 통과하여 봉투용지 대기센서(137)가 배치된 봉투용지 가이드판(148)에 다다른다 그리고 인식센서(143)(제20도)가 검지한 일련의 수신지의 절곡이 완료되면, 절입볼레이드(118)가 하방으로 압하여 봉입절곡로울러(120)(121)사이에 있어서, 봉투용지(C)와 수신지(B)의 적층된 것을 절곡하는 것이다. 이때 로울러(121)는, 봉투용지(C)와 수신지(B)의 적층방향의 두께에 따라서 압축스프링(121b)(제20도)의 신축방향으로 진퇴 이동한다. 이 압축스프링(121b)은 로울러축(121c)과 봉입장치(A)의 고정부재(121d)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절곡부는 상기한 절입볼레이드(118)와 봉입절곡로울러(120)(121)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 절입볼레이드(118)는 제33도에 표시하듯이 편심캠(146)에 의하여 상하작동되고, 그 절입 볼레이드(118)의 상사점 및 하사점은 편심캠(146)과 일체로 회전하는 편심캠축 외주(158)에 따라서 고정배치된 절입볼레이드 위치센서(144) 및 (145)에 의하여 각각 검출된다.
제20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절입 볼레이드(118)에 의하여 절곡되고 봉입절곡로울러(120)(121)에 의하여 봉입된 상태의 봉투용지(C)와 수신지(B)가 배출가이드판(149)에 따라서 낙하하게 된다. 제1구동모우터(M1)는, 절곡가이드 로울러(123)(124)와 절곡로울러(125)를 구동하고, 또 절입볼레이드(118)를 상하작동시키는 편심캠(146)을 구동하고 있다. 그 절곡가이드 로울러(123)(124)의 회전방향과 편심캠(146)의 회전방향은 반대로 설정되어 있고, 편심캠(146)의 구동부에 1방향 클러치(151)가 장치되어 있으므로, 절곡가이드 로울러(123)(124)에 의하여 수신지(B)를 반송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편심캠(146)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대로 편심캠(146)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절곡가이드 로울러(123)(124)는 그대로 회전하지만, 이 경우에 수신지(B)는 협지되어 있지 않는 상태로 되므로 영향은 없는 것이다. 또 제2구동모우터(M2)는 정역회전을 행하여, 한쪽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봉투용지 송입로울러(114)의 트랙터 피이더(138)를 구동함과 아울러, 역회전에 의하여 봉입절곡로울러(120)(121)를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봉입절곡로울러(120)의 구동부에 1방향 클러치(150)가 장치되어 있고, 봉투용지 송입로울러(141)나 트랙터 피이더(138)의 구동시에 있어서는, 봉입절곡로울러(120)(121)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봉입절곡로울러(120)(121)와 가장자리부 압착로울러(122)가 적층상태의 봉투용지(C)와 수신지(B)를 동시에 절입 봉입하기 위하여, 봉투용지(C)를 인장한 경우에는, 봉투용지 송입로울러(114)는 전자 브레이크장치(147)에 의하여 제동걸리게 되어 있고, 그대로 봉투용지(C)가 이완상태로부터 급격히 긴장되어 버림에 의하여, 하방으로 향하여 절취선을 자르는 버스터칼날(113)이, 봉투용지 송입로울러(114)(114)와 봉입절곡로울러(120)(121)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반드시 버스터칼날(113)의 아래에 위치하는 봉투용지(C)의 절취선 부분에서 봉투용지(C)는 충격적으로 절단되는 것이다. 제22도에 있어서, 규정길이는 초과센서(105)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그 규정길이 초과센서(105)는 한쌍의 가이드로울러(117)(117)와 절곡가이드 로울러(123)(124)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반송속도는 팩시밀리 장치(F)(제20도)에서의 기록지 송출속도 보다도 빠르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지(B)의 선단이 절곡가이드로울러(123),(124) 부분에도 협지될 정도로 긴 규정길이초과 기록지의 경우에는, 팩시밀리장치(F)와 절곡가이드로울러(123),(124)사이에서 인장되어 수신지(B)가 규정길이 초과센서(105)를 누르는 상태로까지 설치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규정길이 초과센서(105)가 ON으로 되면 제32도에 표시하듯이 제어플로우차아트가 작동하는 것이다. 즉, 스텝 170에 있어서, 규정길이 초과센서(105)가 ON으로 되면, 이것은 에러의 처리를 행한다. 이 에러의 처리는 다음의 ① 또는 ②중의 어느 하나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① 규정길이 초과센서(105)에 의하여 수신지(B)가 규정길이 이상인 것을 검출(ON)하였을 때는, 제1구동모우터(M1)를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그후 재차 규정길이 초과센서(105)가 OFF되면, 제1구동모우터(M1)를 회전시켜서 수신지(B)를 반입시키도록 한다. 이것을 반복하여 ON-OFF 제어하면, 절곡가이드로울러(123),(124)와 팩시밀리장치(F)내의 기록지 송출로울러(212)의 원주속도의 차이에 의하여 과대장력을 야기시키지 않고, 수신지(B)를 봉입장치(A)내로 송급할 수 있지만, 봉입장치(A)내에는 규정길이외의 수신지(B)가 봉입 불능한 상태에서 퇴적된 채로 있으므로 이후의 메인루틴(main routine)에서는 에러발생에 의하여 봉입작동을 할 수 없게 한다.
② 또 규정길이초과센서(5)가 ON으로 된 단계에서 제22도의 커버(210)를 동작시켜서, 송급되어있는 수신지(B)를 절입 봉입 처리할 수 있는 길이로 절단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면, 봉입장치(A)는 그 이후도 수신지(B)의 수취를 속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①와 같은 에러처리에 의한 이후의 절입봉입동작을 금지할 필요없이 자동계속수신은 가능하게 된다.
제23도 내지 제26도에 있어서, 중간길이용지의 절곡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1도의 제어 플로우차아트에 표하듯이, 우선 스텝 160에 있어서 기록지입력센서(104)에 의하여 수신지(B)의 단부가 종료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수신지 입력센서(104) 부분에 있어서 수신지(B)의 단부가 없다는 수신지 입력센서(104)의 OFF상태가 발생하면, 다음에 스텝 161, 163 및 165에 있어서, 그 기록지(B)의 선단이 어디까지 이르고 있는지를 수신지길이센서 101, 102 및 103에 의하여 검출한다.
그리고 스텝 161에 있어서 수신지길이센서(101)가 ON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수신지길이센서(101)의 부분까지 수신지(B)의 선단이 도달하고 있는 경우이므로, 실시예에 있어서는 최장의 B4정도의 수신지길이이며, 이 경우에는 수신지(B)의 선단은 최대용지길이스톱퍼(108)까지 도달할 필요가 있으므로, 스텝 162에 표시하듯이 솔레노이드(S1,S2)는 ON으로 되지않고, 중간길이스톱퍼(106) 및 (107)는 돌출하지 않는다.
다음에, 스텝 163에 있어서, 수신지길이센서 101은 OFF에서 수신길이센서 102가 ON인 경우에는, 그 수신지길이는 실시예엣는 A4규격정도의 길이이므로, 중간길이스톱퍼(107)를 돌출하여 이 위치에서 정지시킬 필요가 있어 솔레노이드 S2를 ON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에 스텝 165에 있어서 양 기록지길이센서(101) 및 (102)가 OFF로 되어있고, 기록지길이센서 103이 ON인 경우에는 실시예에서는 가장작은 B5 규격길이인 경우이므로 중간길이스톱퍼(106)를 돌출시킬 필요가 있어, 솔레노이드(S1)를 ON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텝 165에 있어서,수신지입력센서(104)가 OFF이므로, 수신지 길이센서(102),(102) 및 (103)의 어느 하나가 ON으로 되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규정길이 이하의 수신지(B)이고, 에러이므로 에러표시를 하여 봉입장치(A)를 정지한다(스텝 168).
다음에 제23도 내지 제26도에 있어서 기록지누름부재(128),(129)와 미끄럼방지부재(132)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수신지길이센서(101),(102) 및 (103)를 설치하여 수신지(B)의 길이에서 절곡위치를 변화시켰으므로, 1매의 수신지(B)를 절곡한 경우에 있어서 반드시 상측의 절곡부분이 하측이 절곡부분보다도 길게 되도록 설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상측의 것이 긴 것에 의하여, 제26도와 같이, 앞서 절곡된 수신지(B)위에 뒤따라 절곡된 수신지(B)가 미끄러지면서 적층될 때에, 걸림부분이 없어지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절곡수신지(B)의 선단에 둥글게 말렸을 때의 경향이 나타나 제25도에 표시하듯이, 절입 블레이트(118) 아래를 통과하지 않고, 절입 블레이드(118)에 가까운 쪽을 상승하려는 일이 있으므로, 이와같은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록지누름부재(12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 제26도에 표시하듯이, 앞서 수신지트레이(134)상에 재치된 절곡수신지(B)위에, 다음의 절곡수신지(B)를 슬라이드시키면 떠오르기 전 상태의 수신지(B)를 동시에 눌러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수신지(B)의 수신인란이 봉투용지(C)의 수신처의 투명부분에서 벗어나거나, 아래에 배치한 봉투용지(C)의 쪽에서 벗어난 위치까지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같이 앞서 수신지(B)의 이동을 없게하기 위하여 수신지트레이(134)의 상면에 미끄럼방지부재(132)를 설치하여, 최초의 절곡수신지(B)의 자유 미끄럼동작을 저지하고 있다.
그리고 그 미끄럼방지부재(132)의 상부에 수신지누름부재(129)를 설치하여 최초의 절곡수신지(B)가 미끄럼방지부재(132)에 맞닿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것이다.
또 제22도, 제24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기록지 트레이(134)의 상단부분에서, 송출스프링(152)을 돌출하고 있고, 그 송출스프링(152)은 절곡가이드롱루러(123)에 설치한 홈(123a)내에 끼워넣어져 있다.
이와같이 송출스프링(152)을 설치하므로써, 일단 절곡가이드로울러(123),(125)에 의하여 송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절곡가이드로울러(123),(125)의 근방에 잔치상태 그대로 남아있으면, 절입블레이드(118)에 의한 절입 작업시에 있어서 절곡가이드로울러(123),(125)가 제1구동모우터(M1)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경우에, 다시 이 절곡 가이드로울러(123),(125)에 몰려들어가 파손되고 마는 폐혜를 해소할 수가 있다.
제23도는, 송출스프링(152)이 없는 경우에, 절곡 가이드로울러(123),(125)의 근방에 수신지(B)의 종단이 남아있는 상태를 표시한다. 제30도는 봉입상태를 나타내는 봉투용지(C)의 사시도이다. 봉투용지(C)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접착부(221)가 설치되어 있어, 봉입절곡로울러(120),(121)와 압착로울러(122)에 의하여 압착된다.
이상설명한 바와같이 절곡가이드로울러와 최대용지길이 스톱퍼 사이에, 중간길이용 스톱퍼를 설치하고, 또 수신길이를 검출하는 수신지길이 센서를 설치하고, 그 수신지길이센서의 신호에 따라, 종간길이용 스톱퍼를 구동하는 장치를 설치하였으므로, 수신한 수신지(B)의 길이가 각각 다른 경우에 있어서도, 대략 중앙에 가까운 위치를 절곡하므로, 수신지(B)의 뒤에서 반송되는 부분인 상측절곡부쪽을 항상 길게 할 수 있고, 뒤에서 수신지트레이(134)에 삽입되어오는 절곡수신지(B)가, 앞의 절곡수신지에 걸리는 일이 없어졌다.
수신지길이센서와 중간길이스톱퍼를 배치하여, 기록지(B)의 절곡상태에서 수신지트레이에 배치하였을 경우에,절곡상측쪽이 절곡하측보다도 길게 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수신지트레이(134)상에 절곡상태의 수신지(B)를 재치하고, 그위에 다음 절곡상태의 기록지(B)가 미끄러지면서 재치될때에, 상측이 길므로 걸리는 부분이 없이 원활하게 미끄러져가서 적층상태를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수신지취입기구로부터 제1절곡장치까지의 사이에 규정길이 이상의 수신지임을 검출하는 규정길이는 초과센서(105)를 설치하여, 그 규정길이 초과센서(105)에 의하여 규정길이를 초과한 기록지를 검출한 경우에는 봉입장치를 정지하게끔 구성하였으므로, 봉입가능한 길이이상의 수신지(B)가 본 장치에 수취되어 팩시밀리장치(F)의 수신지 송출로울러(212)와 절곡가이드로울러(123),(124)사이의 양쪽에 협지되어, 파손되어서 내용을 파악할 수 없게 되거나 팩시밀리장치(F)측의 수신지 송출로울러(212)나, 절곡가이드로울러(123),(124)에 과부하를 발생하고, 팩시밀리장치(F)나 봉입장치(A)의 파손에까지 이르는 폐해의 발생이 없어졌다.
절곡가이드로울러의 출구측에선 트레이상에 송출된 수신지의 상방위치에, 수신지 누름부재를 배치하였으므로, 최초의 절곡수신지(B)에 기재된 수신인란이, 봉투용지(C)의 수신인란의 투명부위를 벗어나서, 봉입한 후에 수신처가 어디로 되어있는 문서인가 불분명하게 된다는 폐단이 없어졌다.
또, 절곡수신지(B)의 선단이 절입블레이드(118)의 하부를 통과하지 않고, 절입블레이드(118)를 따라서 상승하고, 뒤따라오는 절곡수신지(B)도 이에 따라서 절입블레이드(118)의 앞에서 정지해 버려서, 봉입되지 않는다는 폐단을 해소할 수가 있었다.
또, 뒤따라온 절곡수신지(B)에 의하여 최초의 절곡수신지(B)가 압출되어 봉투용지(C)의 범위를 초과한 위치까지 이동하여 버린다는 폐단을 해소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제20도 및 제36도 내지 제38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봉입절곡 로울러(120), (121)가 회전하여, 적층상태의 봉투용지(C)와 수신지(B)를 동시에 절입봉입하기 위하여, 봉투용지(C)를 인장한 경우에 봉투용지 송입로울러(114)를 공회전시키는 1방향 클러치(264)를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클래치(264)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봉입절곡로울러(120),(121)와 가장자리 부압착로울러(122)(제20도)가 회전하여 적층상태의 봉투용지(C)를 인장할 경우에는, 봉투용지 송입로울러(121)는 1방향 클러치(264)에 의하여 공회전하고, 또 전자 브레이크장치(147)(제20도)에 의하여 제동이 걸려져 있어서, 그대로 봉투용지(C)가 이완상태에서 급격하게 긴장되어 버리므로, 하방으로 향하여 절취부에 칼날을 넣는 버스터칼날(113)에, 봉투용지송입로울러(114)와 봉입절곡로울러(120), (121) 사이에 배치되므로, 바로 버스터칼날(113) 아래에 위치하는 봉투용지(C)의 절취부분에서 봉투용지(C)는 충격적으로 절단되는 것이다.
제36도, 제37도, 제38도에 있어서 구동계통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구동모우터(M1)축상의 기어(156)가 절곡가이드로울러(124)측상의 기어(157)와 맞물려 있어, 절곡 가이드로울러(124)를 구동하고 있다. 그 절곡 가이드로울러(124)로부터 비도시의 기어를 사이에 두고 절곡가이드로울러(123)가 구동되고, 또 절곡가이드로울러(123)로부터 비도시의 기어를 개재하여 절곡로울러(125)가 구동되고 있다.
절곡가이드로울러(12)에 권회한 상면반송벨트(111)에 의하여 풀리(159)를 구동하고, 그 풀리(159)로부터 수취부의 가이드로울러(116),(117)를 구동하고 있다.
또 절곡가이드로울러(124)부의 비도시 풀리로부터 벨트를 개재하여 편심캠(146)의 구동측상의 풀리(158)를 구동하고 있다. 그 풀리(158)의 부분에 1방향클러치(151)가 설치되어 있고, 제1구동로울러(M1)가 역전하는 경우에만 1방향 클러치(151)를 개재하여 편심캠(146)이 회전하여, 절입블레이드(118)를 상하작동하도록 구성하고 또 제2구동모우터(M2) 축상의 기어(260)가 기어 261과 서로 맞물리고, 그 기어 261축상의 소경기어(262)가 봉투용지 송입로울러(114) 구동축상의 대경기어(263)와 서로 맞물려 있다.
그 대경기어(263)와 봉투용지 송입로울러(114)의 축사이에 상기한 1방향 클러치(264)가 설치되어 있다. 또 다른 한편의 봉투용지송입로울러(114) 축상의 기어로부터 카운터기어(266)를 회전하고, 그 카운터기어(261)가 트랙터피이더(138)의 구동기어(267)를 구동하고 있다(제20도 참조).
또 대경기어(263)와 일체화된 풀리(268)로 부터 봉입절곡로울러(120) 측상이 풀리(269)를 구동하고, 그 풀리(269)와 봉입절곡로울러(12) 사이에 1방향 클럿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 풀리(269)와 일체적으로 기어(270)가 설치되고, 그 기어(270)가 봉입절곡로울러(121)축상의 기어(271)와 서로 맞물려 있다(제39도 참조). 이상과 같이, 봉투용지 송입로울러(114)상에 1방향 클러치(264)가 설치되어 있고, 봉입절곡로울러(120)축상에 1방향컬러치(150)가 설치되어 있고, 봉투용지 송입로울러(114)와 봉입 절곡로울러(120),(121)는 역회전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한쪽이 회전할때 다른편이 정지학끔 구성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제36도에서와 같이, 봉투용지 송입로울러(114)가 회전하여 봉투용지(C)를 이송하고 있는 사이에는, 봉입절곡로울러(120),(121)는 역회전하지 않으므로 배출가이드판(149)상의 봉입봉투를 다시 권입해 버리는 폐단을 발생하지 않는다.
반대로 제37도와 같이 봉입절곡로울러(120),(121)가 회전하여 봉입밀폐하는 경우에는, 봉입절곡로울러(120),(121)를 회전하고 전자브레이크장치(147)에 의하여 봉투용지 송입로울러(114)에 제동을 걸면, 봉투용지(C)는 인장상태로 되어, 이 인장부의 절취부가 버스터칼날(113)에 절입되어 절단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이 제39로부터 제44도까지 개시되어 있다.
즉, 봉투용지(C)가 봉투용지송입로울러(114)에 의하여 이송되어지는 부분에 봉투용지 가이드판(133)이 배치되어 있고, 다음에 봉입절곡로울러(120),(121) 부분의 입구공간을 사이에 두고, 봉투용지 가이드판(148)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봉투용지(C)가 봉투용지 가이드판(148)까지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봉투용지 대기센서(137)가 배치되어 있다. 버스터칼날(113)은 봉투용지 송입로울러(114)와 봉입절곡로울러(120),(121)사이의 위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봉투용지가이드판(133)은 버스터칼날(113)에 대향하는 부분이 하방으로 돌출상태로 절곡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제40도, 제41도와 같이, 봉투용지(C)가 공급된다. 다음에 제2구동 모우터(M2)의 회전이 역으로 되어, 봉투용지 송입로울러(114)는 1방향클러치(264)에 의하여 공회전되고, 동시에 전자브레이크장치(147)(제38도)에 의하여 제동이 걸리게 된다(제42도, 제43도 참조)
또 지금까지 1방향클러치(150)(제38도)에 의하여 공회전하고 있던 봉입절곡로울러(120),(121)가, 제2구동모우터(M2)의 역전과 더불어 회전을 개시하고, 봉투용지(C)는 절입블레이드(118)의 하강과 더불어 서서히 긴장하여, 바로 절취부의 위치가 버스터칼날(113)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절취부에 버스터칼날(113)이 절입되어 절단된다(제44도 참조).
한편 수신지(B)의 절곡된 것이 제42도 내지 제44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봉투용지(C)상에 적층되고, 그 위에서 절입블레이드(118)가 하강하여 온다.
그 절입블레이드(118)는 대체로 봉입절곡로울러(120),(121)의 중심위치 근방까지 하강하여, 절곡상태의 봉투용지(C)와 수신지(B)를 봉입절곡로울러(120),(121)에 협지시킨 후에 상방으로 퇴피한다.
그 봉투용지(C)는 주위에 풀칠되어 있는 것으로 봉입절곡로울러(120),(121)와 가장자리부 압축로울러(122)에 의하여 압착되므로써, 내부에 수신지(B)를 봉입한 상태에서 부착되는 것이다.
다음에 제45도, 제46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구동모우터(M1)에 의하여 구동되는 풀리(158)에 1방향클러치(151)가 설치되어 있어, 편심캠(146)의 축을 구동하고 있다. 그 편심캠(146)은 제4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캠의 일부를 절결부(146a)로 하고, 이 절결부(146a)의 부분에 의하여 절입블레이트(118)가 최하단에서 순간적으로 정지하는 상태를 조성하고 있다.
그 편심캠(146)이, 절입블레이트(118)를 지지한 블레이드지지포올(118a)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코일스프링(118b)에 저항하여 내리누른다. 이로서 절입블레이드(118)가 봉입절곡 로울러(120),(121)사이에 압입된다. 편심캠(146)와 블레이드 지지포올(118a)과 코일 스프링(118b)은 좌우에 각각 구성되어있다(제45도 참조).
절입블레이드(118)에는, 볼록부(118c)가 구성되어 있고, 그 볼록부(118c)가 봉입절곡로울러(121)의 외주에 설치한 환상오목홈(121a)에 감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절입블레이드(118)를 최상방으로 후퇴한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하여 캠위치 검출스위치(144)와 스위치 압압핀(146b)이 배치되고, 또 절입블레이드(118)가 최하위치에 있을 때를 검출하는 스위치(145)가 배치되어 있다(제33도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봉입절곡로울러(121)에 환상오목홈(121a)을 설치하고, 그 환상오목홈(121a)에 감입하는 볼록부(118c)를 절입블레이드(118)에 설치한것으로서 제47도, 제4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절입블레이드(118)의 삽입위치를 봉입절곡로울러(120),(121)의 중심위치까지 삽입할 수 있고, 또 수신지(B)와 봉투용지(C)가 봉입절곡로울러(120),(121)에 협지되어서, 이동을 개시한 경우에도, 절입블레이드(118)가 로울러에 끼어들어가 붙는 일이 없으므로, 절입블레이드(118)는 확실하게 후퇴하는 것이다.
종래는 제49도, 제50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완전히 봉입절곡로울러(120),(121)에 협지될 때까지 절입블레이드(118)를 압입하면, 그 절입블레이드(118)도 동시에 협지되어 버려서, 편심캠(146)이 후퇴하여도, 절입블레이드(118)가 복귀하지 않는다는 폐단이 있었다. 또 제51도, 제5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절입블레이드(118)의 감입 정도를 낮게하면, 수신지(B)의 매수가 많은 경우에는, 최상단에 가까운 부분의 수신지(B)가 충분히 물어들어가지 않고 되돌아가는 상태가 발생하는 봉입 미스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지와 봉투용지를 적층상태로 하고 서로 압접상태로 회전하는 2개의 한쌍의 봉입절곡로울러 사이에 절입블레이드에 의하여 압입하므로써, 수신지와 봉투용지를 봉입밀폐하는 구성에 있어서, 절입블레이드의 압입속도와 봉입절곡로울러의 회전주속을 대체로 같은 속도로 하였으므로 절입블레이드(118)에 의하여 수신지(B)와 봉투용지(C)의 적층상태의 것을 압입한 경우에 있어서, 봉입절곡로울러(120),(121)의 회전이 지나치게 빨라서, 수신지(B)의 상부의 일부분을 남겨놓고 물고들어가는 폐단이나 절입블레이드(118)가 지나치게 빠른 관계로 절입블레이드(118)의 반발력에 의해 수신지(B)가 손상을 입거나 파손되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절입블레이드가 최하단 위치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정지하게끔 구성하였으므로 그 위치에서 적층상태의 수신지(B)와 봉투용지(C)가 봉입절곡로울러(120),(121)에 충분히 물려들어가기까지의 시간을 계속 유지하는 일이 가능하여, 수신지(B) 상부의 것이 물려들어가지 않고, 남는다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었다.
봉입절곡로울러의 한쪽에 환상오목홈을 형성하고, 절입블레이드에 상기한 환상오목홈에 몰입하는 볼록부를 설치하였으므로, 절입블레이드(118)를 봉입절곡로울러(120),(121)의 중심위치까지 하강하여도 절입블레이드(118)가 로울러 사이에 입지되는 일이 없어져서, 적층 상태의 문서의 봉입절곡로울러(120),(121)에의 협지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되었다.
수신지와 봉투용지를 적층상태로 하고, 서로 압접하여 회전하는 2개 한쌍의 봉입절곡로울러 사이에 절입블레이드에 의하여 압입하므로써, 기록지와 봉투용지를 봉입밀폐하는 구성에 있어서, 봉투용지 송입로울러의 봉투용지출구측과 상기한 봉입절곡로울러와의 사이에 연재하는 봉투용지 부분의 긴장상태일 때의 지면과 그의 이완 상태일때의 지면과의 사이에 칼날끝부가 위치하고 또한 상기한 봉투용지의 긴장시에 그 지면이 상기한 칼날끝부에 서로 상층하도록 봉투용지의 절단날을 설치하고, 그 절단날과 반대쪽의 봉입절곡로울러에, 봉입절곡로울러사이의 간격 변경 가능한 압압장치를 설치하였으므로, 버스터칼날(113)측의 봉입절곡로울러(120)에 의하여 발생하는 봉투용지(C)의 긴장력을 수신지의 매수에 관계없이 감소시키는 일이 있으므로 버스터칼날(113)에 의한 봉투용지(C)의 절취부의 절단을 항상 확실히 할 수 있게 되었다.
봉투용지를 봉입절곡로울러상에 이송하는 봉투용지 송입로울러에 전자브레이크장치를 부설하고, 절입블레이드의 압입과 동시에 전자브레이크장치를 제동하고, 긴장설치상태의 봉투용지에 절입한 버스터칼날의 봉투용지 송입로울러와 봉입절곡로울러 사이에 배치하였으므로, 절입블레이드(118)에 의한 봉투용지(C)의 절곡시에 있어서 봉투용지(C)가 약간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전자브레이크장치(147)에 의하여 단부를 고정하고 있으므로 블레이드에 따라서 이동하는 일이 없고, 봉투용지 송입로울러(114)의 절취부의 위치가 버스터칼날(113)로부터 미끄러져 벗어나는 일이 없다.
봉투용지 송입로울러를 구동하는 구동모우터를 역전시킴으로서, 봉입절곡로울러를 구성하게끔 봉입절곡로울러의 구동측에 1방향클러치를 장치하였으므로 종래는 이 봉입절곡로울러(120),(121)의 구동과 봉투용지 송입로울러(114)의 구동을 위하여 복수의 모우터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정역전을 이용하여 두개의 다른 구동부를 구동하므로 모우터수를 적게할 수 있다.

Claims (11)

  1. 팩시밀리수신기로부터 배출된 수신지의 수취장치와, 그 장치에 의하여 취입된 수신지를 2겹이 되도록 절곡하는 제1절곡장치와, 상기한 2겹으로 접힌 수신지(7)를 봉투용지(52)에 적층한 상태에서 동시에 절곡하는 제2절곡장치와, 봉투용지의 단부를 접착하여 상기한 수신지를 봉입하는 봉입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수신기의 봉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취장치는, 박스(6)의 상판(3)에 재치되는 수신기(2)의 배출구에 대향하여 박스(6)의 융기부(4) 측면에 형성된 수취구(5)와, 상기한 융기부(4) 내부에 있어서, 수취구(5)에 대향함과 동시에, 수취구(5)로부터 수취된 수신지를 후방으로 배출하는 송출기구(8)와, 또한 상기한 송출기구(8)에 계속하여 이송로(이송벨트)(32),(33)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수신기의 봉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절고장치는 절곡가이드로울러(123),(124),(125)와 최대용지길이 스톱퍼(108)를 갖추고, 상기한 절곡가이드로울러(123),(124),(125)와 상기한 최대용지길이 스톱퍼(108)의 사이에, 중간길이 스톱퍼(106),(107)를 한개 또는 복수개 설치하고, 또 수신지(B)의 길이를 검출하는 수신지길이센서(101),(102) 및 (103)를 반송로(반송벨트)(111),(112)도중에 설치하고, 그 수신지길이센서에의 신호에 따라서 중간길이 스톱퍼(106),(107)를 구동하는 장치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수신기의 봉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절곡장치의 절곡가이드로울러(123),(124),(125)의 수신지(B) 송출방향에 수신지트레이(134)를 설치하고, 그 수신지트레이(134)에 수신지(B)를 절곡한 상태로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 상측의 절곡부분이 하측의 절곡부분보다도 반드시 길게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수신기의 봉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의 절곡장치는 봉투용지(52)상의 수신지(7)가 내측이 되도록 상기한 봉투용지(52)를 2겹으로 절첩하는 한쌍의 로울러(58),(59)에 의하여 구성되며, 이 한쌍의 로울러(58),(59)는 봉투용지의 2겹 절첩방향의 양단끼리를 압착하는 단부 압착로울러(58)와, 봉투용지의 2겹 절첩 가장자리 단부를 압착하는 가장자리 압착로울러(5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수신기의 봉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의 절곡장치는 서로 압접하여 회전하는 2개의 한쌍의 봉입절곡로울러(120),(121)와, 이 로울러 사이에 적층상태로 배치된 수신지(B)와 봉투용지(C)를 압입하는 절입블레이드(118)로 구성되며, 상기한 블레이드(118)의 압입주속과, 봉입절곡로울러(120),(121)의 회전주속(回轉周速)을 거의 동일하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수신기의 봉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절입블레이드(118)가 최하단위치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정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수신기의 봉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의 절곡장치는 서로 압접하여 회전하는 2개 한쌍의 봉입절곡로울러(120),(121)와, 그 로울러 사이에 적층상태로 배치된 수신지(B)와 봉투용지(C)를 압입하는 절입블레이드(118)로 구성되며, 상기한 봉입절곡로울러(120),(121)에 환상오목홈(121a)을 형성하고, 절입블레이드(11)에 환상오목홈(121a)에 몰입하는 볼록부(118c)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수신기의 봉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의 절곡장치는 서로 압접하여 회전하는 2개 한쌍의 봉입절곡로울러(120),(121)와, 이 로울러 사이에 적층상태로 배치된 수신지(B)와 봉투용지(C)를 압입하는 절입블레이드(118)로 구성되며, 봉투용지 송입로울러(114)의 봉투용지출구측과 상기한 봉입절곡로울러(120),(121)와의 사이에 연재하는 봉투용지부분의 긴장상태일때의 지면(紙面)과 그의 이완상태일 때의 지면과의 사이에 칼날 끝부가 위치하고, 또한 상기한 봉투용지의 긴장시에 그의 지면이 상기한 칼날끝부에 서로 상층하도록 봉투용지의 절단날을 설치하며, 그 절단날과 반대쪽의 봉입절곡로울러에 봉입절곡로울러 사이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는 압압장치를 진퇴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수신기의 봉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의 절곡장치는, 서로 압접하여 회전하는 2개의 한쌍의 봉입절곡로울러(120),(121)와, 이 로울러 사이에 적층상태로 배치된 수신지(B)와 봉투용지(C)를 압입하는 절입블레이드(118)로 구성되며, 상기한 봉투용지(C)를 봉입절곡로울러상에 이송하는 봉투용지 송입로울러(114)에 전자브레이크장치(147)를 설치하고, 상기한 절입블레이드(118)의 압입과 동시에 상기한 전자브레이크장치(147)를 제동하여, 긴장설치상태의 봉투용지(C)에 칼자국을 넣는 절단칼날(113)을 봉투용지 송입로울러(114)와 봉입절곡로울러(120),(121) 사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수신기의 봉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봉투용지 송입로울러(120),(121)를 구동하는 제2구동모우터(M2)를 역전시키므로써, 봉입절곡로울러(120),(121)를 구동하게끔 봉입절곡로울러의 구동측에 1방향 클러치(151)를 장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수신기의 봉입장치.
KR1019890018229A 1988-12-10 1989-12-09 팩시밀리 수신지의 봉입장치 KR930004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312544 1988-12-10
JP63312544A JP2696367B2 (ja) 1988-12-10 1988-12-10 ファクシミリ受信紙の封入装置
JP88-312544 1988-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239A KR900011239A (ko) 1990-07-11
KR930004003B1 true KR930004003B1 (ko) 1993-05-19

Family

ID=18030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8229A KR930004003B1 (ko) 1988-12-10 1989-12-09 팩시밀리 수신지의 봉입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29429A (ko)
EP (1) EP0378912A3 (ko)
JP (1) JP2696367B2 (ko)
KR (1) KR930004003B1 (ko)
CA (1) CA20049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4215B (sv) * 1989-06-21 1991-03-18 Lundblad Leif Anordning foer mottagning av meddelanden
JPH0378366A (ja) * 1989-08-21 1991-04-03 Yasumi Sonoda 画像記録装置
SE464606B (sv) * 1990-03-12 1991-05-13 Leif Lundblad Anlaeggning omfattande saendande apparat foer saendning av meddelanden till mottagande apparat, som har ett slutet hoelje foer uppsamling av tryckta ark till en samlad bunt
JPH04101575A (ja) * 1990-08-20 1992-04-03 Tatsuo Tsutsumi 秘密文書受信のためのファクシミリ受信機
EP0512128B1 (en) * 1991-05-03 1994-10-19 Shao-Chia Li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confidential documents
US5261985A (en) * 1991-05-03 1993-11-16 Lin Shao Chia Method for receiving confidential facsimile documents
WO1993013950A1 (en) * 1992-01-07 1993-07-22 John Michael Woodbury Self enveloping letter system
GB9222592D0 (en) * 1992-10-27 1992-12-09 Marconi Umberto Fax confidentiality
DE4303126A1 (de) * 1993-01-15 1994-07-21 Peter Dipl Ing Gruenewald Nachrichtenempfangsgerät
SE9302648L (sv) * 1993-02-02 1994-08-03 Arne Hillberg Anordning vid mottagande utrustning
US5566528A (en) * 1994-11-16 1996-10-22 Lee; Peter H. Y. Facsimile packaging device and method
SE9500615D0 (sv) * 1995-02-20 1995-02-20 Nybohov Seal System Ab Anordning för rationell hantering av överfört och tryckt meddelande
US5887408A (en) * 1996-11-15 1999-03-30 Moore U.S.A. Inc. Confidential facsimile system with pressure sealed security envelope
DE19710517A1 (de) * 1997-03-13 1998-09-17 Helmut Simmeth Kuvertierungseinrichtung
SE0101463L (sv) * 2000-11-16 2002-05-17 Olof Karlsson Anordning för förslutning av dokument, meddelande och broschyrer vid framställning av dessa i en tryckande utrustning
US7338572B2 (en) * 2004-11-01 2008-03-04 Esselte Corporation Processing apparatus
BRMU8403111U (pt) * 2004-12-17 2005-05-24 Laureti Equipamentos Para Proc Disposição introduzida em máquina de auto-envelope para múltiplas folhas ou similar
US7523593B2 (en) * 2005-06-14 2009-04-28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proces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5587169B2 (ja) * 2010-12-28 2014-09-10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封入封緘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84451A (ko) * 1961-10-18
US4179111A (en) * 1976-04-27 1979-12-18 G. B. R., Ltd. Folding mechanism
US4189895A (en) * 1977-12-16 1980-02-26 Compak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envelope assemblies
DE2811601A1 (de) * 1978-03-17 1979-09-20 Schmidt Gmbh Reinhart Maschine zum falten und kuvertieren von boegen
US4543082A (en) * 1982-09-17 1985-09-24 Kurt H. Volk, Inc. Method of making direct mail article with reply envelope and detachable reply devices visible within reply envelope
JPS61145965A (ja) * 1984-12-20 1986-07-03 Ricoh Co Ltd フアクシミリ装置
US4741147A (en) * 1986-04-16 1988-05-03 Marvin Noll Inserting appartus and process and envelopes therefor
FR2634693B1 (fr) * 1988-07-27 1990-09-14 Alcatel Satmam Machine integree de bureau de mise sous enveloppes de plis de cou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04992A1 (en) 1990-06-10
JP2696367B2 (ja) 1998-01-14
JPH02158269A (ja) 1990-06-18
EP0378912A3 (en) 1992-03-18
KR900011239A (ko) 1990-07-11
US5029429A (en) 1991-07-09
EP0378912A2 (en) 199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003B1 (ko) 팩시밀리 수신지의 봉입장치
US4297930A (en) Strip cutter having rotatable cutting blade and strip deflecting means
JP3202482B2 (ja) シュレッダの給紙装置
US6474387B1 (en) Sorting device
JP2002046921A (ja) 用紙排出装置
JP2740827B2 (ja) 用紙の封入装置
JPH09100026A (ja) ロール状物の搬送システム
US5476253A (en) Paper slip transport and stack unit
JP3442572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2731606B2 (ja) ファクシミリ記録紙の封入装置
JP4453861B2 (ja) 包装装置
JP2728525B2 (ja) ファクシミリ記録紙の封入装置
JPH0825694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3081473B2 (ja) 紙葉類分離装置
JPH02158268A (ja) ファクシミリ受信紙の封入装置
JPH0714274Y2 (ja) 給紙装置
JPH02158270A (ja) ファクシミリ受信紙の封入装置
JPS5934897Y2 (ja) 原稿検知制御装置
JPH06176244A (ja) 紙葉類処理装置
JPH0743073Y2 (ja) シート材給送装置
JPH0958891A (ja) シート材分離自動給紙装置
JPS62244032A (ja) 自動原稿送り装置
JPH02158271A (ja) ファクシミリ受信文書の封入装置
JPH08119471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6321409A (ja) 原稿給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4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