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341Y1 - 전류차동 릴레이(relay) - Google Patents

전류차동 릴레이(re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341Y1
KR930003341Y1 KR2019930005998U KR930005998U KR930003341Y1 KR 930003341 Y1 KR930003341 Y1 KR 930003341Y1 KR 2019930005998 U KR2019930005998 U KR 2019930005998U KR 930005998 U KR930005998 U KR 930005998U KR 930003341 Y1 KR930003341 Y1 KR 930003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relay
differential
delay circuit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59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토오 오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뎅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41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2621982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뎅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뎅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9300059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3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3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 H02H3/2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two spaced portions of a single system, e.g. at opposite ends of one line, at input and output of apparatus
    • H02H3/3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two spaced portions of a single system, e.g. at opposite ends of one line, at input and output of apparatus using pilot wires or other signalling channel
    • H02H3/30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two spaced portions of a single system, e.g. at opposite ends of one line, at input and output of apparatus using pilot wires or other signalling channel involving current comparis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류차동 릴레이(relay)
제1도는 이 고안의 1실시예에 의한 릴레이를 표시한 블록도.
제2a,b도는 이 고안의 원리 설명도.
제3도는 종래의 전류차동 릴레이의 블록도.
제4도는 전류차동 릴레이의 원리 설명도.
제5도는 종래의 전류차동 릴레이의 동작 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제1의 지연회로 12 : 제2의 지연회로
이 고안은 전력용 송전선 보호용의 전류차동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제3도는 예를들면, 전기학회 발행의[전기학회 대학강좌 보호계전공학(소화 56년 7월 20일 발행)]의 8.2.3항 반송전류 차동계전방식(p150∼P154)에 표시된 PCM전송전류 차동계전기(이하, 릴레이라고 약칭한다)의 개념도이고, 도면에 있어서 1인 전력용 송전선, 2는 전력용량에 변환하는 전류변성기(CT), 3은 릴레이 본체이다.
이 릴레이 본체(3)에 있어서, 4는 전류변성기(2)의 2차 전류를 입력하여 적당한 전압에 변환하는 입력트랜스(I-V), 5는입력트랜스(4)의 출력에서 계통의 상용 주파수를 추출하는 밴드펄스필터(BPF), 6은 아날로그 전압을 디지털 데이타에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 7은 상대단(端) 릴레이에 상기 디지털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용 전신 결합회로, 8은 상대단 릴레이에서 송신된 디지털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용 통신결합회로, 9는 상대단 데이타와 자기단(自端) 데이타의 동기를 얻기 위하여 자기단 데이타를 늦추게 하는 지연회로, 10은 시간적으로 동기를 취한 자기단 데이타 및 상대단 데이타를 입력하여 잔류차동 연산을 하는 차동판정회로이고, 그의 연산결과가 송전선 내부 고장으로 있으면, 차동판정회로(10)에서 릴레이 출력을 출력한다.
11은 통신장치이고, 릴레이 본체(3)내의 송신용 통신결합회로(7)와, 수신용 통신결합장치(8)와 결합하여 상대단 릴레이의 통신장치에 대하여 마이크로파 회선을 통하여 데이타의 교환을 행한다.
다음에 전류차동 릴레이의 작원리를 제4도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4도에 있어서 (a)는 전류방향의 기준, (b)는 건전시의 전류방향, (c)는 외부사고시의 전류방향, (d)는 내부사고시의 전류방향을 각각 표시한다.
제4도에서 송수양단의 전류화는 송전선이 건전하게 있으면 영이 된다.
즉 IA+IB=0이다.
역으로 IA+IB 0으로 있으면 송전선의 내부사고로 판단해도 좋다.
이것이 전류차동 원리의 기본이다.
즉, 이 전류차동 원리에 의한 계전방식은 상대단에 전류치를 전송하여, 송전선 양단의 전류차동(IA+IB)를 얻으므로, 시간적인 동기를 얻을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동작판정식으로서는, 송전선에 흐르는 전류가 작은 영역에서는 고감도로 동작하고, 전류가 큰 영역에서는, CT 오차에 의한 오동작을 막는 의미로 저감도한 동작특성으로 하고 있다.
즉, |IA+IB|-k1(IA+IB)>k0으로 표시된 비율차동에 있어서, 제5도에 표시하는 동작특성 A를 실현한다.
종래의 전류차동 릴레이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들면 제5도에서 O점(고장전)에서 P점(고장후)가 되는 것과 같은 고장이 발생한 경우, 릴레이 본체내의 밴드 펄스 필터(5)의 영향에 의하여, 순간에 O→P로 변환하는 것은 아니고, 제5도 상에서 수 ms-20수ms의 시간을 갖고 고장 궤적 B가 직선적으로 이동하므로, 그의 이동도중에서 동작 영역을 통과하여 버리고, 그의 순간만큼 릴레이가 동작하는 것이 된다.
즉, 릴레이 동작특성으로 있음에도 불구하고 릴레이가 동작한다고 하는 형편이 좋지않음에 의하여, 입력양을 천천히 변화시킨 경우의 동작특성인 정동작 특성과 입력양을 일순간에 급히 변환시킨 때의 동작특성인 과도동작특성(따라서, 과도 특성이 계통의 고장시에 있어서 릴레이의 응동을 시한 것이 된다)이 다르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저감하기 위하여 간주된 것으로, 정동작 특성과 과도동작 특성의 차이를 적게 한다.
즉, 정동작 특성으로 릴레이로서 요구된 특성을 규정하고 있으므로, 실제의 계통고장시의 릴레이의 응동을 표시한 그의 요구특성과 똑같은 특성으로 하는 것을 할 수 있는 비율차동 알고리즘을 가진 전류차동 릴레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고안에 의한 전류차동 릴레이는, 자기단 전류와 상대단 전류를 서로 통신회선을 통하여 서로 송수신하여, 수신한 상대단 전류와 시간동기를 얻은 자기단 전루의 벡터(vector)화를 얻어 차동전류로 하기 위한 상기 자기단 전류를 지연시키는 제1의 지연회로와, 상기 제1의 지연회로 보다는 짧은 지연시간을 가진 상기의 상대단 전류, 자기단 전류의 각각의 스칼라화를 얻어 억제전류도하기 위하여 상기 자기단 전류를 지연시키는 제2의 지연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이 고안에 있어서 억제전류에는, 상대단 전류와 시간동기를 얻은 자기단 전류의 벡터화를 얻어 차동전류로 하기 위한 해당 자기단 전류를 지연시키는 제1의 지연회로의 지연 시간보다도 짧은 지연시간을 갖고 제2의 지연회로를 통하여 자기단 전류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차동전류와 비교하여 지연 시간 차 만큼 빨리 고장전류에 응답할 수가 있고, 억제전류가 차동전류의 응답보다 상승이 빨리되고, 고장궤적이 부동작 영역을 통하여 고장점에 도달하도록 설계할 수가 있고, 과도적 응동이 피하여진다.
이하, 이 고안의 1실시예를 도면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3도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어 중복설명을 생략한 제1도에 있어서, 9는 종래와 동일의 제1의 지연회로, 12는 제1의 지연회로(9)보다도 지연시간이 짧은 제2의 지연회로이다.
전력용 송전선(1)의 양단에 배설된 릴레이간의 전송신호와, 자기단 신호를 시간동기를 얻기 위하여 t1시간이 필요한 경우, 제1의 지연회로(9)에 의하여 자기단 데이타를 Ia(t)를 t1시간지연 시키어, 그의 자기단 데이타를 Ia(t-t1)로 한다.
똑같이 제2의 지연회로(12)에 의하여 t2시간 지연시키어, 그의 자기단 데이타를 Ia(t-t2)로 한다.
여기에서, t1>t2로 설정한다.
Ia(t-t1)의 데이타는 상대단 보다는 전송되어 오는 데이타와는 시간동기를 취하여져 있고, t시각에 도달하는 상대단 데이타는 Ib(t-t1)으로 된다.
여기에서, | |의 의미는 실효치이다.
로서 연산할 수 있다.
억제전류 IRES(t)는, 종래에서
로 연산하고 있지만, 이 고안에서는
로서 연산하는 것으로 다르다.
임시로 계통에 고장이 발생하여, 릴레이 전류입력이 실효치로 스텝적으로 증가한 경우, 릴레이 내부의 실효치의 연산결과 |Ia(t)|가 제2a도와 같이 단일 증가의 특성 C로 되는 것과 같이 밴드 펄스 필터 또는 실효치 연산식 등을 설계한 경우,
단 t1>t2의 조건이 성립된다.
즉, 식 ①과 ②를 사용한 경우의 고장궤적은 차동전류 IOP-억제전류 ISES의 특성도로 표현하면, 제2b도의 (I) 특성이 되지만, 식 ①과 식 ③를 사용한 경우의 고장궤적은 제2b도의 (II) 특성이 된다.
이것은, 억제전류측의 자기단 입력전류로서 통상 사용하는 양 |Ia(t-t1)|보다는 큰 양 |Ia(t-t2)|를 사용하기 위함이다.
이와같이 하는 것에 의하여 제2b도의 (II)특성과 같이, P점에서의 외부 고장에 대한 릴레이 응동을 피하는 것을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도의 지연회로(12)를 설치한 것을 표시하지만, 전송지연 시간이 그다지 크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수 ms 정도에서는, 제2의 지연회로(12)를 사용할 필요는 없고, 직접 t시간 데이타를 억제전류용의 자기단 데이타로서 사용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즉,
로 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도 전술과 똑같은 효과를 얻는 것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고안에 의하면, 차동전류 연산에는, 보내어져 온 상대단 전류 데이타와 같은 시각의 자기단 전류 데이타를 사용하지만, 억제전류 연산에는, 상대단 전류 데이타 보다도 시간적으로 빠른 시각의 자기단 전류 데이타를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 직선적으로는 동작 영역을 순간적으로 통과하는 것과 같은 외부 고장에 대하여 동작하지 않는 전류차동 릴레이를 얻는 것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기단 전류와 상대단 전류를 서로 통신회선을 통하여 서로 송수신 하여, 수신한 상대단 전류와 시간동기를 취한 자기단 전류의 벡터화를 차동전류로 하여, 상기의 상대단 전류, 자기단 전류의 각각의 스칼라화를 억제전류로 하는 비율차동 특성을 가지는 전류차동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벡터화를 얻기 위하여 상기 자기단 전류를 지연 시키는 제1의 지연회로와, 상기 제1의 지연회로 보다도 짧은 지연시간을 가진 상기 스칼라화를 얻기 위하여 상기 자기단 전류를 지연시키는 제2의 지연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차동 릴레이.
KR2019930005998U 1989-06-05 1993-04-15 전류차동 릴레이(relay) KR930003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5998U KR930003341Y1 (ko) 1989-06-05 1993-04-15 전류차동 릴레이(re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41096A JP2621982B2 (ja) 1989-06-05 1989-06-05 電流差動リレー
JP89-141096 1989-06-05
KR1019900008257A KR910002064A (ko) 1989-06-05 1990-06-05 전류 차동 릴레이(relay)
KR2019930005998U KR930003341Y1 (ko) 1989-06-05 1993-04-15 전류차동 릴레이(rela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257A Division KR910002064A (ko) 1989-06-05 1990-06-05 전류 차동 릴레이(rel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341Y1 true KR930003341Y1 (ko) 1993-06-09

Family

ID=27318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5998U KR930003341Y1 (ko) 1989-06-05 1993-04-15 전류차동 릴레이(re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3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5944B1 (ko) 디지털 보호계전장치
CA1139415A (en) Multi-terminal protective relay system
US4396805A (en) Ring trip detector for a 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
JP2002186166A (ja) ディジタル保護継電装置
ES8308434A1 (es) "un metodo y una disposicion de proporcionar adaptacion en el enlace entre una linea anular y un terminal respectivo en un sistema de telecomunicaciones".
US4301334A (en) Telecommunication subscriber line access circuit with ground key and insulation fault indication
EP1383219B1 (en) Distance relay apparatus
US68562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digitally transmitting analog output measured quantities of a number of transducers
KR930003341Y1 (ko) 전류차동 릴레이(relay)
US675377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cting and digitally transmitting measured analog output values of a number of transducers
US4787080A (en) PCM coder and decoder circuit having digital balancing network
JP2621982B2 (ja) 電流差動リレー
US20040090910A1 (en) Multi-terminal differential protection system
JP2693284B2 (ja) 電流差動リレー装置
JPH01302939A (ja) サンプリング時刻同期方式
JP2550957B2 (ja) デイジタル形保護継電装置
JP2704089B2 (ja) 直流保護継電器
JPH02155420A (ja) サンプリング時刻同期方式
JP2004020284A (ja) 事故点標定装置
JPS6315631A (ja) 電流差動継電装置
JPH01255428A (ja) 電流差動継電装置
JPS58103093A (ja) 障害検知伝送装置
JPS59103518A (ja) 環線系統の保護継電装置
JPH0837726A (ja) 地絡事故検出リレー
JPS6122723A (ja) 保護継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