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218Y1 - 편심, 편각이 자유자재로운 축접속부재 - Google Patents

편심, 편각이 자유자재로운 축접속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218Y1
KR930003218Y1 KR2019860017919U KR860017919U KR930003218Y1 KR 930003218 Y1 KR930003218 Y1 KR 930003218Y1 KR 2019860017919 U KR2019860017919 U KR 2019860017919U KR 860017919 U KR860017919 U KR 860017919U KR 930003218 Y1 KR930003218 Y1 KR 930003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joint pin
cross joint
bearing
eccentr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79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024U (ko
Inventor
요시다까 사까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사까이 세이사구쇼
사까이 데쓰노스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사까이 세이사구쇼, 사까이 데쓰노스께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사까이 세이사구쇼
Priority to KR20198600179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218Y1/ko
Publication of KR8800100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0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2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16D3/38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 F16D3/382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constructional details of other than the intermediate member
    • F16D3/387Fork construction; Mounting of fork on shaft; Adapting shaft for mounting of f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16D3/38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 F16D3/40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with intermediate member provided with two pairs of outwardly-directed trunnions on intersecting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심, 편각이 자유자재로운 축접속부재
도면은 본 고안에 의한 편심, 편각이 자유자재로운 축접속부재의 1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제2도의 A-A′선의 정단면도.
제2도는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의 측단면도.
제4도는 저면도.
제5도는 크로스조인트 핀의 정면도.
제6도는 크로스조이트 핀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회전축 3,4 : 허브(hub)
5 : 크로스조인트 핀 6,7 : 측받이아암
8,9 : 축받이 10 : 삽통구멍
a : 간극
본 고안은 공작기계, 로봇, 사무자동화(OA)기기 등의 고정밀도 제어가 요구되는 기계류에 적용하기 유리한 편심, 편각이 자유자재로운 축접속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허브(hub) 사이의 전달체의 횡진동이 없이 편심, 편각을 동시에 허용할 수 있는 축 접속부재는 존재하지 않으며, 편심, 편각의 어느 한쪽만을 스프링,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흡수하고, 기어 커플링 등에 있어서는 구리이스 등의 윤활유로서 마찰, 타격등을 완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예의 어느것도 회전저항의 서로 다름, 또는 제동시의 탄성, 2축간의 간극 등이 존재하여, 정위치 정지 등의 정밀제어를 요구하는 공작기계, 로봇, OA기기류의 축 접속부재로서는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편심, 편각을 동시에 허용할 수 있으며, 또한 편심, 편각으로부터 발생하는 운동을 슬라이드운동과 회동운동으로 변환하고, 이 운동을 축받침에서 흡수하므로써 상기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한 편심, 편각이 자유자재로운 축 접속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접속해야 할 회전축(1)(2)의 축단에 고정하는 허브(3)(4) 사이에 크로스조인트 핀(5)을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는 허브(3)(4)를 크로스 조인트 핀(5)을 통하여 연설함에 있어서, 그 허브(3)(4)의 대향면에 축받이아암(6)(7)을 착탈 자유롭게 행하도록, 크로스형상으로 설치하고, 그 축받이아암(6)(7)에 상기한 크로스조인트 핀(5)을 슬라이드 이동과 회동이 자유로운 축받이(8)(9)를 개재하여 지지시켜서 크로스조인트핀(5)의 슬라이드 이동과 회동은 가능하게 하며, 또한 크로스조인트 핀(5)과 허브(3)(4) 및 축받이아암(6)(7) 사이에 간극(a)을 설치하여 크로스조인트 핀(5), 허브(3)(4) 및 축받이아암(6)(7)의 각각 별도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여서 회전축(1)(2)의 편심, 편각에 대해서 크로스조인트 핀(5)의 슬라이드 이동과 회동에 의한 허브(3)(4)의 동작에 추종하는 것으로부터 회전전달하는 기술수단을 채택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회전축(1)의 회전은 허부(3)→축받이아암(6)→축받이(8)→크로스조인트핀(5)으로 전달되고, 크로스조인트 핀(5)에서 축받이(9) 축받이아암(7)→허브(4)→회전축(2)으로 전달되지만, 이 사이에 회전축(1)(2)의 편심운동은 크로스조인트 핀(5)이 축받이(8)(9)을 개재하여 반지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므로써, 흡수되고, 또 편각운동은 크로스조인트 핀(5)이 축받이(8)(9)를 개재하여 회동(요동)하므로써 흡수되는 바, 회전축(1)(2)의 편심, 편각은 크로스조인트 핀(5)의 축받이(8)(9)를 개재하여 슬라이드 이동과 회동의 반복에 의해서 흡수되어 허브(3)(4)의 동작에 추종하므로 원활한 회전이 전달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편심, 편각이 자유자재로운 축 접속부재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2는 접속해야 할 회전축, 3,4는 1쌍의 허브로서, 상기한 회전축(1)(2)의 축단부에 키이(11)(12)를 사용하여, 고정하며, 양 허브(3)(4)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한다.
부호 5는 축과 교차방향으로 지지부재(5a)(5b)를 구비함과 아울러, 또한 중심에는 상기한 회전축(1)(2)이 삽통할 수 있는 삽통구멍(10)이 형성된 +형상의 크로스조인트 핀으로서 상기한 허브(3)(4)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한 허브(3)(4)의 대향면에는 축받이아암(6)(7)이 교차상태로 구비되며, 크로스조인트 핀(5)의 지지핀(5a)(5b)을 삽입지지하는 지지구멍(13)(14)을 보유하고, 허브(3)(4)의 단면(端面)에 뚫어 놓은 일자홈(15)(16)에 그 기단(基端)을 요동이 없도록 끼워넣고, 체결볼트(17)(18)에 의해서 서브(3)(4)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서 허브 3측의 축받이아암(6)의 지지구멍(13)에 크로스조인트 핀(5)의 한쪽의 지지핀(5a)을 삽통하고, 허브 4축의 축받이아암(7)의 지지구멍(14)에는 크로스조인트 핀(5)의 다른쪽 지지핀(5b)을 삽통시켜 서로 대향하는 허브(3)(4)를, 그사이에 설치한 크로스조인트 핀(5)의 지지핀(5a)(5b)의 사이에 개재시킨 축받이(8)(9)는 예컨데, 플라스틱, 함유합금(含油合金)등과 같이 윤활성을 갖는 공지의 오일레스베어링을 사용하고, 그 축받이(8)(9)에 의하여 축받이아암(6)(7)의 지지구멍(13)(14)에 대한 크로스조인트 핀(5)의 지지핀(5a)(5b)의 삽입 지지가 동요가 없도록 행하여져, 그 축받이(8)(9)가 크로스조인트 핀(5)을 통하여 슬라이드와 회동운동을 지지하므로써, 회전축(1)(2)사이에 발생하는 편심, 편각을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회전축(1)의 회전은, 그 회전축(1)에 키이(11)를 사용하여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허브(3)로부터 출발하여 체결볼트(17)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축받이아암(6)에 전달되며, 그 축받이아암(6)에서 다시 그 지지구멍(13)에 축받이(8)를 개재하여 삽입되어 있는 크로스조인트 핀(5)의 한쪽의 지지핀(5a)을 통하여 크로스조인트 핀(5)에 전달되며, 축받이 아암(7)의 지지구멍(14)에 축받이(9)를 개재하여 삽입되어 있는 크로스조인트 핀(5)의 다른쪽 지지핀(5b)을 통하여 축받이아암(7)에 전달되어서, 그 축받이아암(7)이 체결볼트(18)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허브(4)로부터 그 허브(4)가 키이(12)를 통하여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회전축(2)에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한 일련의 회전전달 동작에 있어서, 회전축(1)(2)의 편심, 편각은 크로스조인트 핀(5)의 축받이(8)(9)를 통하여 반경방향에의 슬라이이드와 원주방향에의 회동의 반복에 의하여 흡수소멸된다.
즉, 편심운동은 크로스조인트 핀(5)의 지지핀(5a)(5b)의 축받이(8)(9)를 통하여 슬라이드하므로서, 흡수되고, 편각운동은 크로스조인트 핀(5)의 지지핀(5a)(5b)이 축받이(8)(9)를 통하여 회동하므로서 흡수되는 것이다.
또 축받이아암(6)(7)은 허브(3)(4)의 대향면에 형성한 일자홈(15)(16)에 그 기단을 감입하고 체결볼트(17)(18)에 의하여 착탈 자재하게 하였으므로 허브(3)(4)와 축받이아암(6)(7)은 서로 재질이 다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결합분해가 용이 확실하며 또한 견고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며, 크로스조인트 핀(5)에는 회전축(1)(2)이 삽통할수 있는 삽통구멍(10) 뚫어서 회전축(1)(2)의 삽입접근을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회전축(1)(2)에서 크로스조인트핀(5)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축(1)(2)의 편심, 편각을 허용할 수 있으며, 또한 부재의 횡방향 진동이 없으며, 편심, 편각을 발생하는 운동을 슬라이드와 회동운동으로 변환하고, 이 운동을 크로스조인트 핀(5)이 축받이(8)(9)를 통하여 슬라이드와 회동하는 것으로 흡수하는 구조로 하였으므로 마모가 적고, 정위치 정지 정밀도 등을 높이기 위해서 필요한 간극차단(gap-less)이 가능하다.
또 허브(3)(4)와 축받이아암(6)(7)을 별개체로하여서 착탈자재하게 하므로써 예컨데, 허브(3)(4)와 축받이아암(6)(7)의 강성의 강, 약 등을 그 사용목적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구조적으로도 견고하여서 그 제작, 결합, 분해도 용이하며, 또한 회전전달 동작도 원활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공작기계, 로보트, OA기기 등이 높은 정밀도 제어를 필요로 하는 기계류에 적용해서 종래에 없었던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접속해야 할 회전축(1)(2)에 고정하는 허브(3)(4)를 크로스 조인트핀(5)을 개재하여 편심, 편각 자유롭게 연설하는 축 접속부재에 있어서, 그 허브(3)(4)의 대향면에 폭을 확대한 일자홈(15)(16)을 천설하고, 별도로 그 일자홈에 합치하는 폭으로 하고, 또한 선단부에 천설한 지지공(13)(14)에 편심, 편각에 의한 회전축 축방향의 중심편차를 흡수할 수 있는 탄성플라스틱층을 내주면 형성한 오일레스베어링(8)(9)을 고정한 축받이아암(6)(6)(7)(7)을 설치하여 그 축받이아암 선단의 오일레스 베어링(8)(9)을 크로스조인트핀(5)의 지지핀(5a)(5b)에 각각 스라이드 자재하게 감합하고, 또한 축받이아암(6)(7)의 단면을 안내면으로 하여서 허브(3)(4)의 일자홈(15)(16)의 양단부에 기밀 감합하고 허브측에서 한쌍의 체결볼트(17)(17)(18)(18)로 착탈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 편심, 편각이 자유 자재로운 축 접속부재.
KR2019860017919U 1986-11-18 1986-11-18 편심, 편각이 자유자재로운 축접속부재 KR930003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919U KR930003218Y1 (ko) 1986-11-18 1986-11-18 편심, 편각이 자유자재로운 축접속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919U KR930003218Y1 (ko) 1986-11-18 1986-11-18 편심, 편각이 자유자재로운 축접속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024U KR880010024U (ko) 1988-07-23
KR930003218Y1 true KR930003218Y1 (ko) 1993-06-03

Family

ID=1925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7919U KR930003218Y1 (ko) 1986-11-18 1986-11-18 편심, 편각이 자유자재로운 축접속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2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024U (ko) 198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571B1 (ko) 트리포트식 정속 유니버설 조인트
JPH05141415A (ja) 直線運動用のころがり軸受
KR930003218Y1 (ko) 편심, 편각이 자유자재로운 축접속부재
KR100821285B1 (ko) 편심식 페이싱 유닛
FI56434C (fi) Mekanisk drivanordning foer en pao en fast axel lagrad roterbar mantel i synnerhet en mantel pao en boejningskompenserad vals foer en pappersmaskin
IIDA et al.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gear train system with softly supported shafts
JPH0235053Y2 (ko)
US4080804A (en) High deflection constant speed universal joint
JPH0247768Y2 (ko)
CN108087439B (zh) 旋转传递装置
CN217129456U (zh) 一种螺杆钻具滑块式万向轴
JPH056226U (ja) 偏心偏角自在軸継手
KR100428049B1 (ko) 풀리형 등속조인트
JP2895216B2 (ja) 転がりスプライン軸継手
JPH0223856Y2 (ko)
GB2152173A (en) Shaft coupling
JP7458209B2 (ja) 差動減速機
SU956867A1 (ru)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й редуктор
JP2004515374A (ja) 特に変形する連接部を採用した平行構造の工作機械
KR100314250B1 (ko) 삼축교차등속조인트
US4478078A (en) Direct gearless drive mechanism for an internal gate rotary vane fluid meter
JPS63149417A (ja) 精密軸接手
SU894238A1 (ru) Шарнир равных угловых скоростей
CS207890B1 (en) Swinging coupling
JPH0613777Y2 (ja) フロ−テイング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52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