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694Y1 - 다층식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다층식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694Y1
KR930002694Y1 KR2019900017862U KR900017862U KR930002694Y1 KR 930002694 Y1 KR930002694 Y1 KR 930002694Y1 KR 2019900017862 U KR2019900017862 U KR 2019900017862U KR 900017862 U KR900017862 U KR 900017862U KR 930002694 Y1 KR930002694 Y1 KR 930002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fixed
lif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7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625U (ko
Inventor
김문재
Original Assignee
김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재 filed Critical 김문재
Priority to KR2019900017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694Y1/ko
Publication of KR9200096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6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6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층식 주차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4단주차시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2단 주차시의 전체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로써 상층에 리프트가 입고되고, 하층에 파레트가 전방돌출된 상태의 도면이며,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직I 빔 11 : 이동통로
2 : 리프트 21 : 지주
22 : 횡대 23 : 상, 하 롤러
3 : 수평찬넬 31 : 이동통로
41, 42 : 상하종부재 43 : 횡부재
44 : 상지지부재 45 : 하지지부재
5 : 수평찬넬 61 : 스크류축
62 : 가이더봉 63 : 지지대
64 : 가이더 65 : 롤러
7 : 수평찬넬 71 : 스프라켓
72 : 체인 M1M2M3: 모터
S1S2: 샤프트 W : 와이어
D : 권취드럼 P : 파레트
본 고안은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리프트 이송 통로를 위한 틀체의 구성이 필요없이 주차되는 차량의 진입통로 상에서 직접 파레트에 적재하여 원하는 층으로 입고시킬 수 있게 하여 노견등에 설치시 설치면적당 주차댓수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주차설비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종래 입체주차 설비의 주차방법에서는 상하의 로터리에 체인이 권회되어 파레트를 균등간격으로 설치하여서된 로터리식 및 리프트 케이지에 의해 승하강 하면서 정해진 층 위치의 양측으로 입고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입고폭만 가지며 단순히 층 높이로서만 해결하려는 수단으로 주차설비에 제약성이 있었다.
또, 리프트 케이지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정해진 층위치의 빈 파레트를 카트로 대기시켜 입고시키는 승강횡행식 방법(일명 퍼즐식)이 있으나, 이 역시 카트 이동통로를 필요로 하며 주차설비 부품이 많이 소요되고 그로인한 단가 상승 및 작동상의 소음을 유발하여 구동전력의 소모가 많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러한 주차방법은 대형 주차설비에만 한정되고 소규모로의 설치시 설비단자가 많이 들며, 특히 리프트가 승하강될 주행 공간을 가져야 하며 입출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발명특허 90-7017호(명칭 : 입체주차설비의 주차방법 및 장치)가 출원되었으나, 주차장치에 있어서 보다 안전하고 견고한 파레트의 리프팅이 이루어지게 개량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리프트가 입고될 주차설비 공간의 상층부에 모터에 의한 동력으로 진퇴되는 안내수단에 의해 리프트를 직상방에 들어올린후 수평이동 되게 하여 차량의 입고 및 그 역작동으로 출고를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리프트의 후방 양 지주의 외측방 상하부에는 안내롤러를 설치하여 주차설비의 기둥 및 돌보역활을 하는 수직 I 빔 및 수평찬넬을 내측에 형성된 이동통로를 따라 안내되게 항뎠으며, 최하부층은 모터의 동력으로 파레트 만이 수평입출고 되게 구성하여 별도의 리프트 승가항 주행공간이 필요없게 하여 주차설비의 설비공간을 축소시킬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2도 내지 제5도에서와 같이 전면양측에 내향된 절곡요부로써 된 이동통로(11)를 가지는 수직 I 빔(1)의 각각에는 4 지주(21)를 가지는 수직 I 빔(1)의 각각에는 4지주(21)를 가지며 상부중앙에 횡대(22)를 구성한 각 틀체형 리프트(2)의 높이보다 약간 작은 폭간격으로 이동통로(31)를 가지는 수평찬넬(3)이 각각 연통되게 구성됨과 동시에 후방양측에는 기둥용 수직 I 빔(12)이 연결고정되어 사지주를 형성하며, 상기 수평찬넬(3)상부에 소정높이 간격을 가지는 상하종부재(41, 42)를 각각 설치하고 상종부재(41)의 전방 및 후방에 횡부재(43)와 후단에 모터설치용 상지지부재(44)를 횡설함과 동시, 상기 횡부재(43)와 상지지부재(44)의 저부의 양측에 소정간격을 가지며 그 개구부가 내향되게 설치되는 찬넬(5)을 고정설치하고, 상지지부재(44) 하부의 하종부재(42)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하지지부재(45)에 설치되는 구동모터(M1) 축상에 소정길이로 전방돌출된 스크류축(51)의 전방에 가이더봉(62)이 나사결합됨과 동시 소정간격의 양측으로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대(63)로써 연결고정된 가이더(64)가 상기 찬넬(5)에 삽입 전후방 슬라이딩되게 구성됨과 동시에 전방의 지지대(63)양측에 와이어로프 안내용 롤러(65)를 설치하여 상기 상지지부재(44)에 모터(M2)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샤프트 (S1)에 설치된 권취드럽(D) 상에 권회된 와이어로프(W)가 상기 롤러(65)를 걸쳐 리프트(2)의 횡대(22)에 각각 연결됨과 동시 리프트(2)의 후방지주(21) 외측방 상하부 각각에는 안내롤러(23)가 설치되어 상기 수직I빔 및 상하 수평판넬(1, 3)의 이동통로(11, 31)를 따라 안내승하강 및 수평이동되게 설치되었다.
그리고 최하단부에는 양측에 수평찬넬(7)을 설치하여 전후방 각각의 스프라켓(71)에 체인(72)이 권회되어 후방 스프라켓(71)사이에 샤프트 (S2)를 모터(M3)의 동력으로 회전시켜 회전되는 체인(72)을 따라 전방으로 수평입출고 되는 파레트(P)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1은 버팀대, 73은 동력전달용 체인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는 수직으로 4대의 차량을 주차입고시킬 수 있는 상태의 4단 주차장치로 구성한 실시예로써 최상층으로 차량을 입고하기 위해 리프트(2)가 바닥에 재치된 상태이며, 도면 제2도는 2단 주차장치로 구성한 실시예로써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층으로 차량을 입고시키기 위해 리프트(2)가 바닥에 재치된 상태이다.
그리고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평면도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리프트(2)에 차량을 운전하여 파레트(P)상에 재치되게 한 후 운전자가 내린후 수조작이나 기타제어방법으로 모터(M2)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샤프트(S1)를 회전시켜 권취드럼(D)에 와이어 로프(W)가 감김에 따라서 전방지지대(53)상의 롤러(65) 직하방에 위치되는 리프트(2)가 승강된다.
이때 후방지주(21)의 상하안내롤러(23)가 수직 I 빔(1)의 이동통로(11)를 따라 승강안내된다.
이렇게 계속 상승되다가 상하안내롤러(23)가 각각 상층의 수평찬넬(3)의 이동통로(31) 각각에 위치됨과 동시에(도면 제4도의 가상선위치) 모터(M1)가 작동되어 스크류축(61)이 회전되므로써 이와 나사결합된 가이더봉(62)이 후진되면서 각 이동통로(11, 31)의 교차부가 원호형으로 구성되어 수평 이동되면서 상하 수평찬넬(3)의 이동통로(31)로 안내롤러(23)가 진입되어진다.
이렇게 계속진입되어 리프트(2)는 차량을 탑재한체 입고완료되는 것이다.
물론 입고 완료시에는 리프트가 리미트스위치나 기타스위치를 작동시켜 두 모터(M1M2)의 동력을 차단시키면 된다.
그리고 출고를 위한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의 역순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모터(M1)가 상기의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서 스크류축(61)이 역회전되고 가이더봉(62)이 전진되므로써 한몸체인 가이더(64) 및 지지대(63)는 찬넬(5)을 따라 안내전진되며, 와이어로프(W)를 권취드럼(D)으로부터 풀어내며, 리프트(2)를 전방으로 수평이동 시킨다.
이렇게하여 리프트(2)의 안내롤러(23)가 수평찬넬(3)의 이동통로(31)를 벗어나서 수직 I 빔(1)의 이동통로(11)에 위치함과 동시 리프트(2)는 하강준비완료가 되고 별도의 신호에 의해 모터(M2)가 상기의 입고때와 반대로 역회전되므로써 모터(M2)의 회전력으로 와이어로프(W)를 풀어주므로써 리프트(2)가 하강되고 주차입고되었던 차량을 출고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최하단층의 차량 입출고는 양측 수평찬넬(7) 전후방에 설치된 스프라켓(71)에 체인(72)이 권회되어 모터(M3)의 정역회전으로 샤프트(S2)를 통해 동력전달시켜 파레트(P)를 수평이동 시키므로써 입출고되게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고안은 파레트의 길이방향 전방으로부터 직접 수직이동 시켜 수평입고되는 방식으로 리프트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없어 지므로써 주차설비의 차량대당 주차면적을 극소화 시킬 수 있으며, 사람의 통행료가 사장되는 육교등의 양측 재단사이의 공간등에 설치되어 노견에서 직접 차량을 입고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면 양측에 내향된 절곡부로써 된 이동통로(11)를 가지는 수직 I 빔(1)의 각각에는 이동통로(31)를 가지는 상, 하 수평 찬넬(3)이 각각 연통되게 후방돌출 구성됨과 동시에 후방양측에는 지주용 수직 I빔(12)이 연결 고정되어 사지주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상수평찬넬(3) 상부에는 상하종부재(41, 42)와 상종부재(41)의 전후방으로 횡부재(43)와 상지지부재(44)를 횡설함과 동시, 그 하부에 하지지부재(45)를, 그리고 상기 횡부재(43)와 상지지부재(44)저면 양측에는 개구부가 내향된 수평찬넬(5)이 종설고정됨과 동시, 상기 찬넬 안내자재되는 가이더(64) 사이의 중앙에 종설되어 전방에는 안내롤러(65)를 가지게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대(63)로 횡지지 고정된 가이더봉(62)과 하지지부재(45)상에 고정된 모터(M1)의 스크류축(61)이 나사결합설치 됨과 동시, 상지지부재(44)에 모터(M2)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권취드럼(D)에 권회된 와이어로프(W)가 전방지지대(63)의 롤러(65)를 걸쳐 수직I빔 및 수평찬넬의 이동통로 상을 주행하는 후방지주(21) 외측면 상하에 안내롤러(23)를 가지는 리프트(2)의 횡대(22)와 연결고정됨을 특징으로하는 다층식 주차장치.
KR2019900017862U 1990-11-20 1990-11-20 다층식 주차장치 KR930002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7862U KR930002694Y1 (ko) 1990-11-20 1990-11-20 다층식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7862U KR930002694Y1 (ko) 1990-11-20 1990-11-20 다층식 주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625U KR920009625U (ko) 1992-06-16
KR930002694Y1 true KR930002694Y1 (ko) 1993-05-19

Family

ID=1930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7862U KR930002694Y1 (ko) 1990-11-20 1990-11-20 다층식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69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625U (ko) 199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4553B2 (ja) エレベータ方式の駐車装置
US2765932A (en) Vehicle parking device
KR930002694Y1 (ko) 다층식 주차장치
US2619240A (en) Automobile parking and storage mechanism
KR101342098B1 (ko) 보조 주차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주차 시스템
KR100257108B1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 및 그 주차방법
JPH05179832A (ja) 駐車装置
JP2627395B2 (ja) 立体駐車装置
JP3020018B2 (ja) ピット式駐車装置
KR100295876B1 (ko) 엘리베이터방식주차설비의턴테이블장치
JPH0338382B2 (ko)
KR100257111B1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승강바닥장치
KR100257109B1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횡행 구동장치
JPH0439548B2 (ko)
JP3701090B2 (ja) 3縦列型昇降式駐車装置
JP4042131B2 (ja) 駐車塔の枠体構造
KR100257110B1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턴테이블 횡행장치
JP2560594B2 (ja) 縦列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100257107B1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 및 그 주차방법
JP2899623B2 (ja) 平面往復式立体駐車装置
JP2534600Y2 (ja) エレベーター式立体駐車装置
JP2790012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等
JP2964824B2 (ja) 立体駐車設備
JPS6337409Y2 (ko)
JP2601604Y2 (ja) 立体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