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818B1 - 링신호 검출회로 - Google Patents

링신호 검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818B1
KR930001818B1 KR1019900000673A KR900000673A KR930001818B1 KR 930001818 B1 KR930001818 B1 KR 930001818B1 KR 1019900000673 A KR1019900000673 A KR 1019900000673A KR 900000673 A KR900000673 A KR 900000673A KR 930001818 B1 KR930001818 B1 KR 930001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ring
output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0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149A (ko
Inventor
김희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00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818B1/ko
Publication of KR910015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링신호 검출회로
제1도는 종래의 링신호 검출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링신호 검출회로도.
제3도는 제2도의 일부분의 동작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정류기 21 : 트리거회로
22 : 링거회로 MT1 : 매칭트랜스
24 : 스피커 26 : 증폭회로
28 : 저역필터 30 : 비교기
40 : MPU
본 발명은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링신호를 검출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생되어지는 호출음을 이용하여 링신호의 입력을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수단의 급격한 발달로 자동응답장치, 전화기 및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는 모뎀, 도큐멘트 이미지를 전송하는 팩시밀리 등이 급격히 보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통신기기는 거의 자동수신 응답을 실행하기 위하여 착신링을 검출하는 링검출기능 (회로)를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링검출회로는 교환기로로부터 송출되어진 링을 검출하여 링검출신호를 통신기기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에 제공하도록 되어있다.
제1도는 종래의 링검출 회로도로서, 이는 포토커플러를 사용한 예의 회로도이다.
그 구성은, 국선단자(T), (R)에 캐패시터(12)와 저항(14)를 통하여 접속되어 국선신호를 극성정열 출력하는 정류기(Bridge Diode)(16)와, 상기 정류기(16)의 양출력단자 사이에 병렬 접속되어 전압을 클리핑하고 평활하여 출력하는 제너다이오드(18) 및 캐패시터(20)로 구성된 트리거회로(21)와, 상기 트리거회로(21)의 양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압의 입력에 의해 트리거되어 소정주기의 링거톤을 발진하는 톤링거 집적 회로(23)을 포함하는 링거회로(22)와, 상기 링거회로(22)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발생된 링거톤을 가청신호로 재생출력하는 스피커(24)와, 상기 링거회로(22)의 출력과 상기 스피커(24)을 매칭하는 매칭트래스(MT1)와 상기 링거회로(22)의 출력단자에 직렬 접속되어진 저항(26) 및 발광다이오드(31)와, 소정 전압(Vcc)을 입력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31)의 발광에 의해 "온"되는 포토트랜지스터(30)와 상기 포토트랜지스터(30)의 출력단자와 그라운드 사이에 병렬 접속된 캐패시터(32), 저항(34) 및 상기 포토커플러(28)의 출력을 입력하여 링을 검출하고 자동응답하는 MPU(35)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중 저항(26)과 발광다이오드(31) 및 포토트랜지스터(30)된 포토커플러(28), 저항(34), 캐패시터(32)을 제외한 그 이외의 회로는 모든 일반전화기에서 사용하는 링거회로로 1986년 국내칩 메이커인 삼성전자사에서 발생한 리니어 집접회로 데이터 북(Linear IC Data Book)의 405면과 캐나다(Canada)국의 반도체 메이커인 MITEL사에서 1986년 발행한 "MICROELECTRONIC PRODUCTS DATA BOOK"의 5-7면 내지 5-17면에 상세히 도시된 것이다. 이때 상기 톤링거 집적회로(23)는 KA2410 또는 ML8204/ML8205가 쓰일 수 있다.
지금 상기 제1도와 같은 회로의 국선단자(T), (R)로 20㎐의 1초속, 2초단의 주기를 가지는 링신호(국내의 링신호 스펙임)가 입력되면, 이는 캐패시터(12)와 저항(14)을 통해 브리지 다이오드인 정류기(16)에 입력된다.
상기의 링신호를 입력한 정류기(16)는 이를 극성정렬 및 전파정류하여 정(+), 부(-)의 출력단자로 출력한다. 상기 정류기(16)으로부터 출력되는 정류신호는 캐패시터(20)에 의해 평활되어진 후 제너다이오드(18)에 의해 일정 레벨로 클리핑된다. 따라서 1초동안 20㎐의 교류신호가 실리고, 2초동안은 20㎐의 교류신호가 없는 링신호는 하이, 로우의 듀레이션이 1 : 2의 듀티비를 가지는 펄스로 되어 링거회로(22)내 톤링거 집적회로(23)의 트리거단자(PIN2)로 저항(R1)을 통해 입력된다.
이때 링거회로(23)은 로우 주파수(Low frequency) 시정 단자(PIN 3 and 4)에 접속된 저항(R2) 및 캐패시터(C1)과, 하이 주파수(High frequency) 시정수 단자(PIN 7, and 6)에 접속된 저항(R3) 및 캐패시터(C4)의 설정에 따른 링톤(Ring tone)을 발진하여 출력단자(PIN8)로 출력한다.
상기 톤링거 집적회로(23)로부터 출력되는 링톤은 캐패시터(36) 및 매칭트랜스(MT1)을 통하여 스피커(24)을 구동하게 된다. 또 상기의 링톤은 저항(26)을 통해 포토커플러(28)내의 발광다이오드(31)의 에노드로 입력됨으로서 상기 발광다이오드(31)가 발광되어진다. 상기 발광다이오드(31)의 주기는 톤링거 집적회로(23)의 트리거단자(PIN2)에 제공되는 링신호의 주기에 따른다. 따라서 상기 발광다이오드(31)가 일정주기로 점멸되면, 포토트랜지스터(30)도 "온/오프"되어지며, 이로인하여 MPU(35)의 링디텍트 단자(RD)에는 소정주기의 펄스신호가 입력된다. 이때 상기 MPU(35)는 링디텍트단자(RD)로 입력되는 레벨 변동을 검지하여 링이 도래하였음을 인지하고 자동응답을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1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회로는 톤링거 집적회로(23)의 아나로그 그라운드와 디지털 그라운드된 MPU(35)와의 신호전달 위하여 무접점 스위치인 포토커플러(28)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토커플러를 사용치 않고 링검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링검출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다른 회로도로서, 링톤을 소정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회로(26)와, 상기 증폭회로(26)의 출력을 파형 정형 출력하는 저역필터(28)와, 소정의 기준전압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저역필터(28)의 출력을 상기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링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30)와, 상기 비교기(30)의 출력변화를 검출하여 링신호의 입력을 디텍션하고 자동응답 모드를 수행하는 MPU(36)로 구성되며, 상기 증폭회로(26)은 전술한 제1도의 구성중 스피커(24)의 매칭트랜스 2차측에 접속된다.
상기한 제2도의 구성중 증폭기(26)은 연산증폭기(52)와 상기 매칭트랜스(MT1)의 2차측 출력단자와 상기 연산증폭기(52)의 반전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에 접속된 캐패시터(38)와, 증폭저항(40), (48) 및 노이즈제거용 캐패시터(50)와, 전원전압(Vcc)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소정 레벨의 전압을 상기 연산증폭기(52)의 비반전단자(+)에 기준전압으로 제공하는 저항(42) 및 (46)과, 캐패시터(44)로 구성된다.
저역필터(28)는 상기 연산증폭기(52)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캐패시터(54)와, 상기 캐패시터(54)에 다이오드(58)가 접속되며, 상기 다이오드(58)의 에노드와 접지사이와 케소드와 접지사이 각각에는 다이오드(56)과 캐패시터(60)가 각각 접속되며, 상기 캐패시터(60)와 병렬로 다이오드(62)와 저항(64)이 접속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비교기(30)는 전원전압(Vcc)과 접지 사이에 저항(66), (68)이 직렬 접속되어 상기 전원전압(Vcc)를 소정 레벨로 분압 출력하는 기준전압 발생회로와, 상기 기준전압 발생회로의 출력과 상기 저역필터(28)의 출력을 비교하여 링싱호를 검출하는 연산증폭기(70)로 구성된다.
제3도는 제2도의 동작 파형도로서, RING는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링신호이다. 이때 RING 신호는 20㎐로서 1초속, 2초단의 주기로 입력된다.
P0는 상기 RING 신호가 정류기(16)에서 정류된 후 캐패시터(20)에 의하여 평활된 파형이다.
P1은 상기 P0의 신호에 의해 톤링거 집적회로(23)가 트리거되어 이로부터 발진되는 톤발진파형이다.
P2는 상기 P1 신호가 연산증폭기(52)에서 증폭된 신호이다.
P3는 상기 P1의 증폭신호인 P2를 저역필터(28)에서 필터링한 파형이다.
P4는 상기 저역필터링 된 신호 P3을 소정레벨과 비교하여 논리화된 링검출신호이다.
이하 제2도의 동작예를 제3도의 동작파형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 제2도의 국선단자(T), (R)에 제3도의 RING와 같은 20㎐의 1초속, 2초단의 링신호가 입력되면, 캐패시터(C1)에 의해 직류는 차단되어 순수 교류신호만이 정류기(16)로 입력된다. 상기 정류기(16)는 상기 링신호를 전파정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정류기(16)에서 전파 정류된 20㎐의 링신호는 평활 캐패시터(20)에 의해 평활되어 제3도 P0와 같이 된다. 상기 캐패시터(20)에 의해 평활된 링신호는 제너다이오드(18)에 의해 소정 레벨로 클리핑되며, 이 신호는 저항(R1)을 통해 톤링거 집적회로(23)의 트리거단자(PIN2)로 입력 된다. 이때 상기 톤링거 집적회로(23)는 트리거단자(PIN2)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트리거되어 저항(R2) 및 캐패시터(C1), 저항(R3) 및 캐패시터(C2)의 시정수에 의한 링톤신호를 제3도 P1과 같이 발진하여 이를 출력단자(PIN8)로 출력한다.
상기 톤링거 집적회로(23)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매칭트랜스(MT1)을 통하여 스피커(24)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매칭트랜스(MT1)의 2차측으로부터 출력되는 링톤신호는 캐패시터(28) 및 저항(40)를 통해 연산증폭기(52)의 반전단자(-)에 입력된다.
상기 제3도 P1과 같은 신호를 입력한 상기 연산증폭기(52)는 입력저항(40)과 궤환저항(48)의 증폭정수값에 의해 상기 입력되는 링톤신호를 증폭하여 제3도 P2와 같이 출력한다.
상기 연산증폭기(52)로부터 제3도의 P2와 같이 증폭되어 출력된 링신호 즉, 톤링거 집적회로(23)의 출력의 증폭신호는 캐패시터(54)에 의해 직류가 차단되어 순수 교류 신호만이 다이오드(58)의 에노드로 입력된다.
상기 캐패시터(54)를 통한 교류 신호는 다이오드(58), 캐패시터(60), 저항(64)의 적분회로의 동작에 의하여 제3도 P3와 같은 신호로 필터링되어 연산증폭기(70)의 반전단자(-)에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저역필터링된 링신호를 입력하는 상기 연산증폭기(70)의 비반전단자(+)에는 저항(66), (68)의 분압에 의한 기준전압(V1)이 제3도와 같이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연산증폭기(70)는 반전단자(-)로 입력되는 링신호 P3와 상기 기준전압(V1)을 비교하여 제3도 P4와 같은 링검출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연상증폭기(70)은 제3도 P3의 전압과 기준전압(V1)을 비교하여 20㎐의 링신호 주기동안은 제3도 P4와 같이 논리 "1"을 출력하여 디지털화된 신호를 MPU(36)의 링 디텍션 포트(RD)에 제공된다.
상기 MPU(36)는 상기 비교기(30)의 연산증폭기(7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하이"듀레이션을 타임 카운트하여 링신호의 입력을 판단하고 자동응답을 하게 된다. 즉, 상기 MPU(36)는 비교기(30)에서 출력되는 "하이"와 "로우"논리의 듀레이션을 타임 카운팅하여 1초속 2초단(1초 하이, 2초 로우)인 경우 링신호가 입력되었음을 판단한다.
한편 국선단자(T), (R)로 0.5초속, 0.5초단, 즉, 0.5초간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며, 0.5초동안 아무런 신호가 없는 비지톤이 입력되는 경우 이는 통화회로(25)와 캐패시터(38) 및 저항(40)을 통해 연산증폭기(52)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연산증폭기(52)에 입력된 비지톤은 연산증폭기(52)의 동작에 의해 소정 레벨로 증폭되고, 이 증폭신호는 저역필터(28)의 동작에 의해 저역필터링되어 0.5초간은 하이레벨, 0.5초간은 로우레벨을 가지는 신호로 되어진다. 상기 저역필터(2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비교기(30)에서 기준전압과 비교되어 0.5초간은 "하이"논리, 0.5초간은 "로우"논리를 가지는 신호로 디지털화되어 MPU(36)의 링디텍션단자(RD) 및 비지톤 검출단자(BOX)에 제공된다.
이때 MPU(36)은 비지톤 검출단자(
Figure kpo00001
)로 입력되는 "로우"논리의 듀레이션 타임 카운트하여 0.5초인 경우 비지톤이 입력되었음을 디텍트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정의 주파수가 소정 단속비를 가지고 입력시에 소정의 단속비에 포함되는 소정의 주파수만을 증폭하여 비지톤 및 링신호가 수신될시 이에 따른 단속비를 가지는 논리신호를 비지톤입력 감지신호, 링신호입력 감지신호로 출력함으로써 링신호 검출회로를 톤검출회로와 겸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국선단자(T), (R)에 캐패시터(12)와 저항(14)를 통하여 접속되어 국선신호를 극성정열 출력하는 정류기(16)와, 기 정류기(16)의 출력단자 사이에 병렬 접속되어 전압을 클리핑하고 평활하는 제너다이오드(18) 및 캐패시터(20)와 상기 캐패시터(20)의 양단에 접속되어 상기 캐패시터(20)의 트리거되어 소정주기의 링거톤을 발진하는 링거회로(22)와, 상기 링거회로(22)의 출력단에 접속된 스피커(24)를 구비한 링신호 검출회로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24)로 재생출력되는 링톤을 소정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회로(26)와, 상기 증폭회로(26)의 출력을 파형 정형 출력하는 저역필터(28)와, 소정의 기준전압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저역필터(28)의 출력을 상기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링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30)와, 상기 비교기(30)의 출력변화를 검출하여 링신호의 입력을 검출하고, 자동응답 모드를 수행하는 MPU(3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KR1019900000673A 1990-01-20 1990-01-20 링신호 검출회로 KR930001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0673A KR930001818B1 (ko) 1990-01-20 1990-01-20 링신호 검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0673A KR930001818B1 (ko) 1990-01-20 1990-01-20 링신호 검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149A KR910015149A (ko) 1991-08-31
KR930001818B1 true KR930001818B1 (ko) 1993-03-13

Family

ID=1929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0673A KR930001818B1 (ko) 1990-01-20 1990-01-20 링신호 검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8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149A (ko) 199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1240A (en) 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 with power source device
US4367376A (en) Electronic telephone ringer including anti-bell tap provisions
US3539727A (en) Batteryless data receiver having power supply isolation between detection circuits and signal output
KR930001818B1 (ko) 링신호 검출회로
US4536619A (en) Ringing signal detection circuit
US3708741A (en) D.c. to d.c. converter for connection across telephone lines
US46776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ring trip detection telephone circuit
US5848147A (en) Terminal for wirebound telecommunication
KR100187579B1 (ko) 자동응답기의 링신호 검출 및 음성인식회로
JPS61186050A (ja) 交流電流又は交流電圧用の評価回路
JP3225177B2 (ja) 自動着信装置
JPS62208759A (ja) 通信装置
KR870000058Y1 (ko) 마이콤을 사용하는 전화기의 링 검파회로
KR860002226Y1 (ko) 홈 키폰(Home Key Phone)의 링거음 출력 안정화회로
KR930000699B1 (ko) 신호음 단속 주기 검출회로
JP2567703B2 (ja) リンガ信号検出回路
KR900000840B1 (ko) 국선종류 및 국선사용 회선 자동 감지회로
JPH084762Y2 (ja) 着信ベル信号検出回路
KR890000162B1 (ko) 전화기용 경보장치
KR930010840B1 (ko) 전화기의 송신출력제어방법 및 장치
JPH084774Y2 (ja) リンガー検出装置
KR900008103B1 (ko) 전화기의 훅 감시 경보장치
JPH05236154A (ja) 伝送入出力回路
JPS56122552A (en) Subscriber's terminal circuit
JP2899321B2 (ja) 電話端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