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700B1 -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700B1
KR930001700B1 KR1019850700032A KR850700032A KR930001700B1 KR 930001700 B1 KR930001700 B1 KR 930001700B1 KR 1019850700032 A KR1019850700032 A KR 1019850700032A KR 850700032 A KR850700032 A KR 850700032A KR 930001700 B1 KR930001700 B1 KR 930001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pitch
signal
reproduction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700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700081A (ko
Inventor
다께시 후까미
아끼라 사까모또
마사따까 요리따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84/000433 external-priority patent/WO1985001377A1/ja
Publication of KR850700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700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8Speed 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4Time compression or expa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6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transfer mean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를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 적용한 일실시예를 가리키는 블럭회로도.
제2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콤팩트 디스크의 기록포맷을 가리키는 모식도.
제3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가리키는 블럭회로도.
제4도는 제3도의 회로중의 피치비 제어부의 변형예를 가리키는 블럭회로도.
제5도는 상기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에 사용한 RAM의 어드레스의 변화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제6도는 상기 RAM에 의한 피치 변화처리의 동작을 가리키는 타임차트.
제7도 및 제8도는 상기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의 동작을 가리키는 각 파형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기록매체로부터 디지탈 처리가 행하여진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생 오디오 신호의 재생속도와 피치(音程)를 독립적으로 가변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들면 가수없이 백오케스트라 연주(소위 가라오케)를 재생하는 플레이어 시스템등에 사용되는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통상의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나 디스크 플레이어등의 신호 재생장치에서는, 오디오 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하였을때의 기록속도에 대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때의 재생속도를 변화시키면, 재생속도 즉 템포가 변화할뿐만 아니라, 피치도 변화하는 것으로 일반으로 알려지고 있다. 즉, 재생속도를 빨리하면 피치가 높아지고, 재생속도를 느리게 하면 피치가 낮게되어 버린다.
그래서 종래부터, 예를들면 가수없는 백오케스트라 연주(소위 가라오케)를 재생하는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에서는 노래부르는 사람이 좋아하는 템포로 가라오케 재생을 할 수 있도록 템포 즉 재생속도를 임의로 가변설정을 자유로이 한 가변 재생기능을 갖춘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가 각종 제안되고 있다. 상기 가변속도 재생기능을 갖춘 신호 재생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이 재생속도의 변화에 따른 피치가 변화해 버리기 때문에, 재생 오디오의 피치를 변경하는 피치 변환기능을 가진 신호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재생속도를 변경한 경우에도 재생 오디오 신호의 피치가 변화하지 않도록 피치 변환처리를 행하여 최초 녹음시와 거의 같은 피치의 재생 오디오 신호를 얻도록 하고 있다.
상기 신호처리 장치로서는, 종래부터 예를들면, BBD(버킷 릴레이 소자)나 CCD(전하결합소자)등의 아날로그 지연 소자를 사용하고, 그 기록, 판독 클럭을 시간적으로 변화시켜서 지연시간 제어를 행하는 방식의 것이나, 또 입력 오디오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고, 시프트 레지스터나 RAM(랜덤 억세스 메모리)등의 디지탈 지연소자를 사용하고, 기록, 판독 제어에 의하여 시간축 압축·신장동작을 행하는 것등이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는, 종래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테이프 레코더나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 그 기록매체, 즉 자기테이프나 디스크의 주행속도(테이프 스피드 또는 회전 스피드)가, 재생속도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되어서 가변속도 재생장치에 재생되고, 이 재생된 오디오 신호는, 피치 변환장치에서 피치변환이 행하여지고, 신호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피치 변환장치는, 상기 재생속도 제어장치로부터 재생속도와 변화를 가리키는 정보신호가 공급되어 있으며, 상기 가변속도 재생장치가 m배속도의 재생을 행하고 있을때 재생 오디오 신호의 피치를 1/m배의 피치로 변환하는 피치 변환처리를 행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에서는, 재생 오디오 신호에 피치 변환처리를 행하기 위하여 재생속도의 변화비를 가리키는 정보가 필요하고, 재생속도 제어장치에 의해 가변 재생장치와 피치 변환장치를 항상 일정의 관계로 제어해야 하고, 재생 오디오 신호의 템포와 피치를 독립적으로 가변제어할 수 없다.
가라오케 연주는 임의 곡목이 선택적으로 재생될 뿐만 아니라, 가수도 차례로 교대할 경우가 많고, 종래의 가라오케 연주용의 오디오 신호 재생 시스템에서는, 곡목이나 가수가 바뀌었을때, 피치 변환장치가 이전의 설정상태로 작동해 버려, 가수가 당황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실정에 비추어 디지탈 신호 재생장치와 피치 변환장치를 결합하여서, 재생 오디오 신호 재생속도와 피치를 독립적으로 가변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신규구성의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가라오케 연주용의 오디오 신호 재생 시스템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재생 오디오 신호의 한곡마다 사전 정해진 값의 피치 변환비에 자동 설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오디오 신호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의 블럭회로도에 장치전체의 구성을 가리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소위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 적용한 것이다.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 Fs로 오디오 신호 데이타가 제어 데이타와 함께 기록되어 있는 콤팩트 디스크(11)로부터 상기 오디오 신호 데이타를 가변속 재생하는 재생장치(10)와, 이 재생장치(10)에서 얻을 수 있는 재생 오디오 신호 데이타에 피치 변환처리를 행하는 피치 변환장치(20)와, 이 피치 변환 장치(20)에서 피치 변환처리가 행하여진 재생 오디오 신호 데이타로부터 아날로그의 재생 오디오 신호를 형성하는 디지탈-아날로그(D/A)변환기(3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콤팩트 디스크(11)에는, 제2도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기신호비트, 유저비트, 오디오 데이타 비트 및 에러정정 비트로 구성되는 1프레임이 588비트의 프레임·포맷으로 기록되어 있고, 상기 유저비트의 P채널 데이타로서 악음의 유무를 가리키는 데이타가 기록되고, Q채널 데이타로서, 채널수, 엠퍼시스의 유무, 절대번지, 곡번, 곡중의 인덱스 번호등의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재생장치(10)는, 상기 콤팩트 디스크(11)를 디스크 회전기(12)에서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콤팩트 디스크(11)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도시하지 않은 픽업으로 읽어냄으로서 얻어지는 디지탈 재생 신호 SPB에 대하여, 신호처리부(13)에 의하여 동기신호나 유저 비트 데이타를 재생하여 구동계의 제어를 행함과 동시에, 악음의 PCM 디지탈 신호 SPCM를 재생하여 출력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10)는, 상기 신호 처리부(13)에서 유저비트의 P채널 데이타에 근거하여 악음의 종료시점을 가리키는 앤드 신호 SEND를 형성하고, 이 앤드신호 SEND는 PCM 디지탈신호 SPCM과 함께 피치 변환장치(20)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재생장치(10)는, 재생속도 제어부(14)에서 공급되는 속도 제어신호에 의하여 발진 주파수 fo가 제어되는 가변 발진기(15)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발진주파수 fo와 동기한 디지탈 재생신호 SPB를 재생하도록 회전 제어부(16)에 의하며 상기 디스크 회전기(12)의 회전이 서보 제어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재생속도 제어부(14)는, 표준 속도 재생시의 재생속도에 대한 배율 α를 가리키는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하고, 표준 속도 재생시에는 α=1, 저속도 재생시에는 0<α<1, 고속도 재생시에는 1<α로 되는 속도 제어신호를 상기 가변발진기(15)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발진기(15)는 상기 콤팩트 디스크(11)로부터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 Fs의 오디오 신호 데이타를 그대로 재생하는 표준속도 재생시 즉 α=1에 있어서의 발진주파수를 Fo로 하여
Figure kpo00001
이 되는 발진주파수 fo에서 발진 동작을 행한다. 또한, 상기 회전 제어부(12)는 상기 발진 주파수 fo와 동기하여 콤팩트 디스크(11)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있다. 더우기, 상기 신호 처리부(13)도 상기 발진주파수 fo와 동기하여 신호처리를 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재생장치(10)는, 상기 신호 처리부(13)로부터
Figure kpo00002
로 표시되는 재생 샘플링 주파수 fs의 PCM 디지탈 신호 SPCM가 재생 오디오 신호 데이타로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식(2)에 있어서의 Fs는 표준속도 재생시의 재생 샘플링 주파수이고, 오디오 신호 데이타를 상기 콤팩트 디스크(11)에 기록하였을때의 상기의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와 동등하다.
다음에, 상기 재생장치(10)로부터의 PCM 디지탈 신호 SPCM가 재생 오디오 신호 데이타로서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앤드신호 SEND가 공급되는 피치 변환장치(20)는, 피치 변환 처리부(21)와 피치비 제어부(22)로 이루어지고, 이 피치비 제어부(22)에서 공급되는 피치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피치 변환 처리부(21)에 의하여 상기 PCM 디지탈 신호 SPCM에 변환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피치 변환처리부(21)는, 메모리를 사용하여 피치 변환처리를 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재생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PCM 디지탈 신호 SPCM의 재생 샘플링 주파수 fs와 동기한 기록 클럭으로 상기 PCM 디지탈 신호 SPCM의 데이타를 메모리에 기록하고, 변환 처리후의 샘플링 주파수 fp와 동기한 판독 클럭으로 상기 메모리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함으로써 피치 변환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기 피치비 제어부(22)는 상기의 표준 속도 재생시의 재생 오디오 신호의 피치에 대한 피치비를 β로 하여
Figure kpo00003
인 샘플링 주파수 fp를 제공하는 피치비 제어신호를 피치 변환 처리부(21)에 공급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식(3)에 있어서, Fp는 β=1 즉, 표준속도 재생시의 샘플링 주파수이고,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 Fs와 동등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피치 변환장치(20)에서는, 상기 콤팩트 디스크(11)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신호 데이타로서 공급된 원래 신호의 음성피치와, 상기의 피치 변환처리후의 재생 오디오 신호 데이타로서 제공되는 재생신호의 음성 피치와의 비율(γ)을
Figure kpo00004
로 표시할 수 있고, Fs=Fp이기 때문에 상기 식(3) 및 식(4)으로부터
Figure kpo00005
으로 되어서, 상기 재생장치(10)에 의한 재생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피치비 β에 의해서만 재생신호의 음성피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치 변환 처리부(21)에 있어서의 피치 변환처리의 실질적인 변환비 δ는
Figure kpo00006
으로 표시할 수가 있다. 즉, β=1일지라도
Figure kpo00007
의 피치 변환 처리가 상기 피치 변환처리부(21)에서 행하여지고, 이 피치 변환장치(20)의 출력으로서는 β=1의 변환출력이 얻어진다.
상기 피치 변환이 끝난 PCM 디지탈 신호는 상기 D/A변환기(30)에서 아날로그화 함으로써 상기 α에서 설정된 재생속도 즉 템포로서, 또한 상기 β에서 설정된 피치 즉 피치의 재생 오디오 신호로서 신호출력단자(40)로부터 출력된다.
상기 출력단자(40)에서 얻어지는 재생 오디오 신호의 템포와 피치는 상기 a와 β에 의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가 있다. 더우기, 상기 재생장치(10)에서 얻어지는 재생 PCM 디지탈 데이타의 시간축에 지터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상기 지터 성분을 피치 변환장치(20)에서 자동적으로 보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치비 제어부(22)에서 제공되는 상기 피치비 β는 임의로 설정되며, 실제 연주전에 사전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피치비 제어부(22)는, 상기 재생장치(10)로부터 앤드신호 SEND가 공급될때마다 β=1, 즉 표준속도 재생시의 정규의 피치로 되도록 리셋트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피치 변환장치(20)는, 예를들면 제3도의 블럭회로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제3도에서 도시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10)로부터 출력되는 PCM 디지탈 신호 SPCM는, PCM 직렬 데이타, 비트클럭 및 워드클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피치변환 처리부(21)의 제1 내지 제3의 신호 입력단자(21a), (21b), (21c)로부터 직-병렬(S/P)변환기(201)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재생장치(10)로부터 출력되는 앤드신호(SEND)는, 피치비 제어부(22)의 업다운 카운터(223)의 리셋트단자에 제4의 신호 입력단자(226)를 통하여 공급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피치비 제어부(22)는, 클럭발생기(220)에 의한 클럭펄스를 계수하는 프리셋트 카운터(221)를 구비하고, 이 프리셋트 카운터(221)에 계수 출력펄스를 피치 변환처리부(21)의 판독 어드레스 카운터(208)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프리셋트 카운터(221)는, 그 계수 출력펄스가 그 로드 단자에 되돌아가게 되어 있으며, 상기 계수 출력 펄스마다 판독전용 메모리(ROM)(222)에서 제공되는 데이타가 프리셋트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ROM(222)은, 상기의 피치비 β에 대응하는 데이타가 사전 기록되어 있고, 업다운 카운터(223)의 계수 출력 데이타를 어드레스로서 데이타의 판독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업다운 카운터(223)는, 그 업 카운트 단자에 접속된 제1스위치(224)가 단락될때마다 1카운트씩 가산 계수 동작을 행하고, 그 다운카운트 단자에 접속된 제2스위치(225)가 단락될때마다 1카운트씩 감산계수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리셋트 카운터(221)는, 그 프리셋트 데이타에 따라 계수 출력펄스의 주파수 fp가 변화하고, 상기 업다운 카운터(223)의 계수 출력 데이타가 모두 논리 [O]인 경우는 상기 ROM(222)으로부터 판독되는 데이타가 프리셋트됨으로써 β=1에 대응하는 주파수 fp의 계수 출력펄스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업다운 카운터(223)를 상기 앤드신호 SEND에 의하여 셋트함으로써 상기 프리셋트 카운터(221)의 계수 출력 펄스의 주파수 fp가 β=1에 대응하도록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피치부 처리부(21)의 상기 S/P 변환기(201)는, PCM 직렬 데이타를 비트클럭과 동기하여 거둬들이고, 워드클럭의 입상에서 래치함으로써 상기 PCM 직결 데이타를 워드단위의 PCM 병렬 데이타로 변환한다. 이 S/P 변환기(201)에서 얻어지는 PCM 병렬 데이타는, 우측 채널 데이타와 좌측 채널 데이타로 나누어져, 좌우 채널용의 각 랜덤 억세스 메모리 RAM(202), (203)에 기록된다.
상기 RAM(202), (203)은, 상기와 같은 피치 변환처리를 행하기 위한 메모리로서, RAM 제어기(209)에 의하여 각각 데이타의 기록/판독 제어가 행하여지고 있다. 이들의 RAM(202), (203)으로부터 판독되는 각 PCM 병렬 데이타는, 각각 제로크로스 검출회로(210)에 공급되고 있음과 동시에, 각 크로스 피드회로(204), (205)를 통하여 병렬-직렬 P/S 변환기(206)에 공급되고 있고. 이 P/S 변환기(206)에서 PCM 직렬식 데이타로 되돌아가 제1의 신호 출력단자(21A)로부터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P/S 변환기(206)는 주 제어기(200)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신호에 의하여 변환동작을 행하고, 상기 PCM 병렬 데이타는 상기 제1신호 출력단자(21A)로부터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PCM 병렬 데이타에 대응하는 비트클럭을 제2신호 출력단자(21B)로부터 출력하고, 다시 워드클럭을 제3신호 출력단자(21C)로부터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RAM 제어기(109)는 상기 제3신호 입력단자(21C)에 공급되는 워드클럭을 카운트하는 기록 어드레스 카운터(207)에서 형성되는 기록 어드레스 WA와, 상기 피치비 제어부(22)를 구성하고 있는 프리셋트 카운터(221)의 계수 출력펄스를 카운트하는 판독 어드레스 카운터(208)에서 형성되는 판독 어드레스 RA가 공급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워드클럭은, 상기 재생 샘플링 주파수 fs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판독 어드레스 카운터(208)는, 주 제어기(200)의 지시에 의하여 프리셋트 값을 변경할 수 있는 프리셋트 카운터로 구성되어 있다.
단, 피치비 제어부(22)는 상기 재생장치(10)로부터의 앤드신호 SEND에 의해서 리셋트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변발진기(220)를 상기 식(3)에서 표시한 주파수 fp에서 발진하도록 하고, 그 발진주파수 fp가 피치비 제어기(221)에 의하여 가변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RAM 제어기(209)에 의하여 상기 각 RAM(202), (203)에 대한 데이타 기록/판독이 다음과 같이 제어되고 있다.
즉, 이 피치 변환장치(20)에 입력되는 재생 PCM 디지탈 신호 SPCM의 생플링 주파수를 fs, 이 피치 변환 장치(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를 fp로 할때, 입력신호는 주파수 fs의 기록클럭에 따라서 상기 RAM(202), (203)에 순차 기록되고, 출력신호는 주파수 fp의 판독클럭에 따라서 상기 RAM(202), (203)으로부터 순차 판독된다. 즉, RAM(202), (203)에 기록되는 속도와는 다른 속도로 판독된 파형은, 시간축상에서 압축 또는 신장되고, 그 피치 변환비는 fp/fs로 된다.
여기서, 상기 각 RAM(202), (203)상의 어드레스 공간은, 최대 어드레스를 최소 어드레스에 연결함으로써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루프형으로 구성할 수가 있고, 이 루프형의 어드레스 공간을, 기록 어드레스 WA에 따른 속도로 이동하고, 판독 어드레스 RA가 상기 fp에 따른 속도로 이동한다. 그리고, 기록 어드레스 WA와 판독 어드레스 RA와의 어드레스차 WA-RA는 입력신호에 대한 출력신호의 지연시간 TD에 대응한다. 지금 피치변환기 fp/fs가 1보다 크면, 즉 fp>fs의 경우를 생각하면, 제5도에 도시한 RAM상의 어드레스 공간에 있어서는, 판독 어드레스 RA의 이동속도 쪽이 기록 어드레스 WA의 이동속도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신호 지연시간 TD에 대응하는 어드레스가 WA-RA는, 시간 경과에 따라 작게 되고, RA가 WA에 따라 붙기 직전에서 최소(거의 0)로 되지만, RA가 WA를 추월한 직후에서는 상기 RAM의 전용량과 동등하게 된다. 이 RAM 전용량에 대응하는 최대 지연시간을 TDMAX로 한다면, 입력신호에 대한 출력신호의 지연시간 TD는 제6a도와 같이 변화하게 된다.
제6도에 있어서, 시각 t1의 직전에서 상기 RA가 WA에 따라 붙고, 시각 t1의 직후에서 RA가 WA를 추월하고 있고, 이 시각 t1의 직후에 있어서는 지연시간 TD가 최대치 TDMAX로 되고 있다. 그리고, 시간경과에 수반하여 상기 RA가 WA에 가까와짐으로써 지연시간 TD는 점점 감소하고, 소정시간 TF경과후의 시각 t2(의 직전)에 있어서는 RA가 WA에 다시 따라 붙음으로써, 지연시간 TD가 최소치(거의 0)로 된다. 따라서 입력신호(제6b도 참조)중의 시각 t1로부터 상기 시간 tDMAX만 앞의 점 P1으로부터 시각 t2의 점 P2까지의 시간 TF로 압축되어서, 출력신호(제6c도 참조)중의 시각 t1의 점 q1으로부터 시간 t2까지의 내용으로 되어서 출력된다. 즉, 제6c도의 지연 출력신호의 점 q1의 내용은, 이때의 지연시간이 TDMAX임으로, 제6b도의 입력신호중의 시각 t1로부터 TDMAX만 앞의 점 q1의 내용이고, 이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지연시간이 짧게 되고, TF후의 시각 t2(의 직전)에서는 지연시간이 0으로 되어서, 입력신호중의 점 P2의 내용이 그대로 출력신호의 점 q2의 내용으로 된다. , 이 시각 t2에 있어서는, 지연시간이 최소치 0으로부터 최대치 TDMAX까지 불연속으로 변화하고 있고, 이 시각 t2직후의 출력신호(제6c도)의 점 q3의 내용은, 입력신호(제6b도)중의 시각 t2로부터 TDMAX만 앞의 점 P3의 내용으로 되어 왔다.
이하 동일하게 하여, 입력신호(제6b도)중의 점 P3으로부터 P4까지의 시간 TF+TDMAX의 내용이 출력 신호(제6c도)중의 점 q3로부터 q4까지의 시간 TF의 내용으로 시간축 압축되어서 나타나고, 입력 신호중의 P5로부터 P6까지의 내용이 출력신호중의 q5로부터 q6까지의 내용으로서 나타나도록 순차 반복됨으로써, 입출력간에서 시간축이 상기 fp/fs만 압축되게 된다. 이 경우, 출력신호(제6c도)중의 시각 t1, t2, t3, …의 내용은 불연속으로 되어 있고, 또 이들의 시각 t1, t2, t3, … 근방에 있어서, 입력신호(제6b도)중의 각점 P1, P2, P3, … 으로부터 각각 시각 TDMAX분의 내용이 중복하여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이 구체예에서는 상기 신호의 불연속부분 또는 중복부분에 의한 크릭노이즈등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로크로스 검출회로(210)에 의하여 상기 각 RAM(202), (203)으로부터 판독된 PCM 병렬 데이타의 MSB를 이용하여 제로크로스 검출을 행하고, 그 검출출력을 상기 주 제어기(200)에 공급하고 상기 판독 어드레스 카운더(208)의 프리셋트 값은 상기 검출출력에 근거하여 변경하고, 제7도 또는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아날로그 재생 오디오 신호의 파형이 제로크로스점에서 연속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로크로스 검출을 원래 신호의 저주파 성분에 대하여 행하도록 하면, 듣기에 보다 바람직한 재생파형을 실현할 수 있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주 제어기(200)는 상기 제로크로스 검출출력에 근거하여, 크로스 피드 타이밍을 결정하고, 크로스 피드 제어기(211)에 각 크로스 피드회로(204), (205)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7도는 이 실시예에 있어서, α>1, β=1의 경우의 동작을 표시하고 있다 즉, 제7a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원래 신호파형은, 재생장치(10)에 의하여 배율 α의 고속재생을 행하면, 상기 재생장치(10)에서 재생되는 PCM 디지탈 신호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재생파형의 제7b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시간축 압축된 것으로 된다. 피치 변환장치(20)는 상기 PCM 디지탈 데이타에 피치비 β의 피치 변환처리를 행함으로써 제7c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원래 신호파형의 피치와 동등한 피치 재생 아날로그 신호에 대응하는 재생 PCM 디지탈 데이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구체예의 피치 변환장치(20)에서는 제로크로스 검출에 의하여, PCM 디지탈 데이타를 발췌하도록 상기 판독 어드레스 카운터(208)의 프리셋트 값을 변경하여, 재생 아날로그 신호의 파형 연속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제8도의 제8a도, 제8b도, 제8c도는 똑같이 0<α<1, β=1의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재생장치(10)에 있어서 유저 비트의 P채널 데이타에 근거하여 앤드신호 SEND를 형성하고, 이 앤드신호 SEND에 의하여 피치비 제어부(22)의 업다운 카운터(223)를 리셋트하였지만, 상기 앤드신호 SEND는 유저 비트의 Q채널 데이타로부터도 형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기존 제품의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서는, 억세스 리포트로 부터 유저 비트 데이타를 꺼낼 수가 있다. 또한, 상기 Q채널 데이타에서는 곡번을 가리키는 데이타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피치비 제어부(22)에 RAM을 설치하여 각 곡목에 대응하여 임의 피치비 β에 대응하는 프리셋트 데이타를 상기 ROM(222)으로부터 판독하도록 상기 RAM에 데이타를 사전 기록해둠으로써, 상기 곡번을 가리키는 데이타를 사용하여 재생장치(10)에서 재생되는 곡목에 따라서 피치비 β를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 본 발명을 적응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등의 다른 디지탈 오디오 신호의 재생계에 적용하여도 좋고, 또, 아날로그 플레이어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아날로그 플레이어의 경우에는, 재생 오디오 신호의 곡간검출을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곡간신호에 의하여 피치비의 자동 설정을 행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에서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속도의 변화비를 가리키는 정보를 필요로 하는 일이 없고 피치 변환장치에서 임의 피치 변환처리를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소위 가라오케 재생등에 적합한 재생 오디오 신호의 재생속도와 피치를 독립적으로 가변제어를 행할 수가 있고, 소정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가 있다.
또한, 재생 오디오 신호의 1곡마다 피치비를 사전 설정한 값으로 자동적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고, 본 발명에 의하면 가라오케 연주에 최적인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6)

  1.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 Fs로 오디오 신호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오디오 신호 데이타를 임의 α(α>0)배의 속도로 재생하는 재생장치와, 이 재생장치에서 얻어지는 상기 오디오 신호 데이타가, 그 재생 샘플링 주파수 fs(=α Fs)에 따라 기록으로 기록되며, 상기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 Fs의 임의 β(β>0)배 주파수 fp(=β Fs)에 따른 판독클럭으로 판독되는 메모리를 갖고 재생 오디오 신호의 피치 변환 처리를 행하는 피치 변환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데이타는 아날로그·오디오 신호를 PCM 부호화 한 디지탈·오디오 신호 데이타이며, 상기 기록 클럭은 상기 재생장치에서 얻어지는 상기 디지탈·오디오 신호 데이타로 재생되며, 상기 피치 변환된 디지탈 오디오 신호 데이타를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하여 재생 아날로그·오디오 신호를 얻는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 변환 장치는 상기 주파수 fp(=β Fs)에서 발진하는 가변 발진기를 구비하고, 상기 판독 클럭은 상기 가변 발진기의 발진 출력에 의거하여 생성되고, 주파수의 비 fp : Fs에 따른 재생 오디오 신호의 피치 변환처리를, 상기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 속도에 대해 독립적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발진기는 디지탈 발진기로 구성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
  5.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피치 변환비로 재생 오디오 신호의 피치 변환처리를 하는 변환 처리부와, 재생 오디오 신호의 시점 또는 종점을 표시하는 신호로서 상기 피치 변환 처리부의 피치 변환부의 피치 변환비를 미리 정해진 값으로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피치비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
  6. 제1오디오 신호를 제2오디오 신호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오디오 신호의 저역 주파수 성분을 인출하여, 이들의 저역 주파수 성분의 신호의 제로크로스 점을 각각 검출하고, 제1오디오 신호의 상기 저역 제로크로스점을 제2오디오 신호의 상기 저역 제로크로스점에 시간축상에서 접속하도록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
KR1019850700032A 1983-09-09 1984-09-10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 KR930001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626958 1983-09-09
JP???58-166269 1983-09-09
JP166269 1983-09-09
JP58-234171 1983-12-14
JP23417158 1983-12-14
JP234171 1983-12-14
PCT/JP1984/000433 WO1985001377A1 (en) 1983-09-09 1984-09-10 Apparatus for reproducing audio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700081A KR850700081A (ko) 1985-10-21
KR930001700B1 true KR930001700B1 (ko) 1993-03-11

Family

ID=6910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700032A KR930001700B1 (ko) 1983-09-09 1984-09-10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70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700081A (ko) 198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4795A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audio signal
US5159141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states of audio signals recorded in recording medium and generation states of musical sound signals
US3975763A (en) Signal time compression or expansion system
JP2701364B2 (ja) Pcmオーディオ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H05297867A (ja) 同期演奏装置
KR930001700B1 (ko) 오디오 신호 재생장치
JP2748784B2 (ja) 波形生成装置
JPH053676B2 (ko)
JPH0316077A (ja) ディジタル信号の信号処理装置
JP2558619B2 (ja) デジタル音程シフト装置
JPS6059570A (ja) デジタルオ−デイオ信号再生装置
JPS6217311B2 (ko)
JP3092164B2 (ja) 自動演奏装置
JP3211829B2 (ja) 音声信号処理装置
JPS60658A (ja) 回転ヘツドpcmレコ−ダ
JPH01149263A (ja) ディジタルデータレコーダ
JP3412769B2 (ja) 電子楽器の演奏データ処理方法
JPS59204891A (ja) ミユ−ジツクシンセサイザによる演奏音の多重録音方法
JP3312654B2 (ja) 磁気記録装置及び磁気再生装置
JPH0331279B2 (ko)
JPH08106299A (ja) 音声信号時間軸変換装置
JPH05342763A (ja) デジタル音声信号の可変速度再生装置
JPH0314379A (ja) ディジタル信号の信号処理装置
JPH05284463A (ja) ディジタルvtrの音声データ再生装置
JPH06103704A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