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626B1 - 롤러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롤러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626B1
KR930001626B1 KR1019840000460A KR840000460A KR930001626B1 KR 930001626 B1 KR930001626 B1 KR 930001626B1 KR 1019840000460 A KR1019840000460 A KR 1019840000460A KR 840000460 A KR840000460 A KR 840000460A KR 930001626 B1 KR930001626 B1 KR 930001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roller
chassis
skate
sk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905A (ko
Inventor
미쉘 벵셍 이봉
Original Assignee
미쉘 벵셍 이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8300555A external-priority patent/FR2539312A1/fr
Application filed by 미쉘 벵셍 이봉 filed Critical 미쉘 벵셍 이봉
Publication of KR850004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63C17/1409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contacting one or more of the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Friction Gea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롤러 스케이트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롤러 스케이트의 제1실시예로서, 페달이 제동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롤러스케이트의 부분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와 유사하나, 페달이 작동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롤러 스케이트의 부분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와 유사하나, 페달이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롤러 스케이트의 부분 단면도.
제4도의 제3도의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롤로 스케이트의 제2실시예로서, 스케이트의 기구장치가 준비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6도는 제5도와 유사하나, 스케이트의 기구장치가 작동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7도는 제5도와 유사하나, 스케이트의 기구장치가 제동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8도는 제5도 내지 제7도의 실시예에 의한 스케이트의 사시도.
제9도는 제5도 내지 제8도의 실시예에 의한 스케이트의 페달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10도는 제5도 내지 제8도의 실시예에 의한 스케이트의 배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샤시부 2a, 2b : 구동롤러
3 : 축 4a, 4b : 아이들 롤러
5a, 5b : 아이들 롤러 6 : 페달
9a, 9b : 링크로드 12a, 12b : 안내바퀴
13a, 13b : 캠 15a, 15b : 레버
18a, 18b : 제어케이블 23 : 기어
24 : 피니언 25 : 푸쉬로드
30 : 스프링 31 : 압축스프링
34 : 발판 36 : 아이들 롤러
40 : 요크 44 : 도면
49 : 지주 50 : 디스크
52 : 귀환스프링 53 : 선회 멈춤부
본 발명은 롤러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롤러 스케이트는 이를 사용함으로써 고속으로 이동할 수는 있지만 피치 못한 위험성 때문에 일반적으로 젊은 사람이나 오랜동안 탄 사람만이 탈 수 있는 스포츠 특성을 갖고 있다.
상기 위험성은 멈출때의 어려움에 기인한다. 종래에는 스케이터가 그발 끝으로 스케이트의 앞부분에 대하여 트러스트력을 가하므로써 지면과 접촉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부착하고 있었다.
상기 탄성부재와 지면에 돌출한 부분 사이의 접촉에 의하여 스케이트의 이동이 심하게 간섭받는 경우에는 보다 위험한 매우 불완전한 제동 수단이다. 보다 안전한 제동장치, 특히 향상된 작용을 하는 안전한 제동장치를 고안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을지라도, 경험이 없거나 겁많은 스케이터가 이런 형태의 제동장치로 멈추는 것을 반복하는 것은 다시 출발할때마다 출발하는데 필요한 노력을 다시 하여야 하고, 이것은 이러한 롤러 스케이트를 타는데 매우 피곤하게 한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한편으로는 모든 상황에서 완전히 안전한 개선된 제동이 이루어지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케이터가 그의 발로써 발에 장착된 스케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롤러 스케이트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고, 본 발명에 의한 롤러 스케이트를 사용하므로서 어떠한 스포츠 특성도 배제하고 이에 따라 극히 짧은 훈련으로 나이 많은 사람조차도 손쉽게 탈 수 있는 롤러 스케이트의 구조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러 스케이트는 발을 지지하는 페달이 준비위치에서 스케이터의 발꿈치로서 페달의 뒷부분에 트러스트력을 가할때마다 도달하는 작동위치와 준비위치 사이를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된 롤러 샤시부와, 스케이터가 준비위치에서 그의 발끝으로 페달의 앞부분에 트러스트력을 가할때마다 작동되도록 샤시부 상에 설치된 제동장치와, 스케이터가 페달에 그의 발로써 작동위치로 부터 낮아진 위치로 페달을 변화시키는 하향 트러스트력을 가할때마다 작동되도록 샤시부상에 설치되고 페달의 각 작동시에 롤러에 구동력이 발생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연결된 동력전달장치와, 스케이터가 발을 들때 페달을 낮아진 위치로 부터 준비위치로 귀환시키는 스프링 같은 탄성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 스케이트는 스케이터가 페달의 준비위치에서 아무때나 페달에 발끝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전진 이동을 제공하여 필요한 속도로 감속하거나 멈출 수 있으며, 그후에 스케이터가 스케이트의 페달에 발꿈치로 먼저 힘을 가하고 몸무게로써 페달을 누르므로써 그의 전진 이동을 계속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시에 안전하다.
페달이 최대로 압축되었을때, 스케이터는 그 스케이트를 착용한 발을 지면에서 들어올릴 수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스케이터는 우연하게도 본 발명의 스케이트 또는 종래의 롤러 스케이트를 착용하였든지 착용하지 않았든지 간에 다른 발에 힘을 가하게 된다.
첫번째 스케이트를 지면에서 들자 마자 스케이트에 마련된 탄성 수단은 페달을 압축위치로 부터 준비위치로 귀환시키고, 스케이터는 다시 지면에 첫번째 스케이트를 내려 놓은 다음에 필요에 따라 제동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롤러 스케이트는 꼭 그렇게 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나, 스케이트를 양발에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러한 한쌍의 스케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종래의 한쌍의 스케이트를 사용하는 것과는 매우 다르고 특히 정상 걸음으로도 자동적으로 작동하여서 한편으로는 스케이트를 배우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기 때문이다. 실제로 예를 들면 이미 언급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를 장착한 스케이터의 왼쪽 스케이트의 페달을 정상적인 보행 이동시에 지면위로 들어 올리려면, 스케이터는 지면에 그의 왼쪽 스케이트를 내려 놓자 마자 그는 그의 오른발을 들수 있으며 오른쪽 스케이트의 페달은 준비위치로 귀환하게 되는 동시에 그의 왼발은 왼쪽 스케이트의 페달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 롤러의 매개물을 통하여 스케이트를 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스케이터의 각 걸음마다 스케이터는 해당 스케이트의 구동롤러가 회전한 거리만큼 그의 통상적인 보폭보다 큰 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 스케이트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자유륜장치(free wheel device)가 동력전달장치와 이와 결합되어 있는 각 구동롤러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특히 스케이트의 페달을 최대로 압축한 위치로 도달시킨 연후에 스케이트의 자유로운 구름운동에 의한 스케이터의 각 걸음의 보폭을 길게하는 장점을 갖고 있다. 위험한 경우에는 다른 발의 스케이트를 아무런 불편함이 없이 지면으로 부터 들어 올리거나 지면에 접촉되었을때 다른 발을 지면에 내려 놓고 스케이트를 제동시키므로써 스케이터는 한발의 스케이트의 자유구름 운동을 멈추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서 페달의 뒷부분이 각각 페달의 준비위치와 작동위치에 상응하는 전방위치와 후방위치인 두 위치 사이를 수직 종방향 평면에서 자유롭게 선회되도록 그 양단에 관절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로드에 의하여 샤시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하나는 링크로드를 그 후방위치로 부터 전방위치로 귀환시키고 다른 하나는 페달을 그 압축위치로 부터 작동위치 또는 준비위치로 귀환시키는 스프링과 같은 적어도 두개의 탄성변형 부재를 마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러한 실시예의 기능은 스케이터에 의해 발 뒤꿈치로써 힘을 가해 스케이트의 뒷부분으로 관절연결된 링크로드를 선회시켜 페달의 앞부분을 제동장치로 부터 해제시켜서 페달의 구동작동과 동시에 제공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사고 없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안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1스프링은 링크로드를 전방으로 부터 후방으로 선회시키므로써 인장된 후에 페달의 압축시에 상기 제1스프링의 장력이 페달의 구동작용을 보조하도록 동력전달장치와 맞물려 있다.
이러한 형태는 스케이터가 발 뒷꿈치로 가한 힘을 어느 정도 제1스프링의 인장력으로 저장하는 장점을 가지며, 이렇게 저장된 에너지는 페달의 압축시에 그 구동작용을 보조하도록 회복된다.
양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롤러 스케이트의 페달이 스케이터의 발 뒤꿈치는 자유롭게 들 수 있고 발의 앞부분에 대해서만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 수단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를 이미 설명한 "정상 걸음(normal walking)"으로 손쉽게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스케이터는 발을 들때에, 스케이트와 발을 들어 앞으로 이동시키기 전에 그의 발꿈치를 스케이트 위로 올릴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롤러 스케이트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샤시부의 중앙에 비교적 큰 직경의 구동롤러가 설치되고 샤시부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같은 또는 다른 직영의 아이들 롤러를 부착하고 있다. 한편, 전방롤러 또는 후방롤러와 구동롤러의 접한 두개의 평면이 180°보다 극히 몇도 또는 몇십도만이 적은 둔각을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 스케이터는 발뒷꿈치로 힘을 가할때마다 후방롤러가 지면에 접촉하게 되고, 이때에는 스케이트 페달이 준비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반대로 페달을 압축하거나 페달이 준비위치에 있을 때 발끝으로 전방 페달에 힘을 가할 때마다 구동롤러를 중심으로 스케이트 전체가 선회되어서, 전방롤러가 지면에 닿게되고 후방롤러는 지면위로 들어올려 진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 스케이터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두 실시예로서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롤러 스케이트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롤러 스케이트는 샤시부(chassic, 1)를 가지고 있으며, 이 샤시부는 높이와 폭이 작은 긴 비임(beam) 형태로 그러나 스케이터의 무게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단단하게 여러가지 형태로 설계할 수 있다. 수㎝의 직경을 갖는 두개의 구동롤러(2a, 2b)는 샤시부(1)의 중앙부의 양측면에 설치된다. 두 구동롤러(2a, 2b)는 축(3)의 양단에 키이에 의해 고정되고, 축(3)은 샤시부(1)에 설치된(도시되지 않음)횡방향의 베어링을 통해 끼워진다. 두개의 아이들 롤러(idle roller ; 4a, 4b)는 샤시부(1)의 전방에, 다른 두개의 아이들 롤러(5a, 5b)는 그 후방에 설치된다. 양호하게는, 전방롤러(4a, 4b)에 대하여 또는 후방롤러(5a, 5b)에 대하여 각각 중앙롤러(2a, 2b)의 아래쪽으로 접한 두 평면이 극히 몇도 또는 몇십도의 제1도의 각(α)로 도시된 각만큼 180도 보다 적은 둔각을 형성하도록 각쌍의 롤러(2a-2b, 4a-4b, 5a-5b)를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샤시부(1)는 지면(S)상에 두쌍의 롤러(2a-2b, 4a-4b) 또는 다른 두쌍의 롤러(2a-2b, 5a-5b)에 의하여 놓여지며, 이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페달(6)은 샤시부(1)상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페달(6)은 금속등의 거의 직사각형판으로 구성되고, 그 크기는 스케이터에 적합한 스케이트의 신발크기 보다 약간 큰 크기이다. 스케이터의 발을 위한 분리 가능한 고정부는 페달(6)의 전방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가 슬리퍼 또는 발가락 끼움부(7)의 종류로 구성되고, 이는 단지 스케이터 발(8)의 앞부분만 지지하고 발뒤꿈치(8a)는 자유롭게 한다.
또한, 페달(6)의 뒷부분은 두개의 링크로드(9a, 9b)에 의해 샤시부(1)에 연결되어 있으며, 링크로드의 한 단부(9a, 1, 제1도)는 페달(6)의 뒷부분 아래에 그리고 다른 단부(9a 2)는 샤시부(1)의 뒷부분 상에 각각 관절연결되어 있어 상기 링크로드(9a, 9b)는 각각 (제4도에 Ⅲ-Ⅲ으로 도시된) 스케이트의 대칭 수직 평면에 대하여 평행한 수직 종방향 평면안에서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수직 평면에서의 링크로드(9a, 9b)의 선회운동과 이에 따른 페달(6)의 운동시에 페달의 뒷부분은 샤시부(1)를 형성하는 비임의 뒷부분에 부착된 중간 부품인 요크(yoke)의 수직부재(10a, 10b)에 의해 안내되는 동시에 페달(6)의 앞부분은 샤시부(1)의 전방에 부착된 중간 부품인 다른 요크(yoke)의 수직부재(11a, 11b)에 의하여 안내된다.
또한, 페달(6)의 측면 모서리는 수직부재(10a, 10b)의 내부면과 접촉하여 약간 마찰하면서 미끄러지는 동시에 페달(6)의 앞부분에서 수직부재(11a, 11b)의 내부면에 고정된 캠(13a, 13b)상에서 각각 요동하고 페달(6)의 측면 모서리에 공회전하도록 설치된 안내바퀴(12a, 12b)에 의해 안내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의하면, 각 캠(13a, 13b)의 크기는 제4도에 도시된 반홈(semi-groove)안에서 안내바퀴(12a, 12b)가 안내될 수 있도록 상부방향과 뒷방향에서의 수직부재(11a, 11b)의 크기보다 작다.
또한, 각 안내바퀴(12a, 12b)와 이와 접촉하는 캠면 사이의 마찰력을 보다 감소시키기 위하여 거의 구형(quasi-spherical) 또는 반구형(hemispherical)의 바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각 수직부재(11a, 11b)는 그 상부 전방 모서리 가까이에 제1도에서는 14a로 도시된 지점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레버(15a, 15b)를 가지며, 이의 하부 아암은 샤시부(1)에 연결된 16a와 같은 스프링에 의해 밑으로 바이어스 되어 있는 동시에 다른 아암은 레버(15a, 15b)의 16a와 같은 스프링에 의한 평형위치에서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캠(13a, 13b)의 상부 모서리 위로 돌출된 아이들 바퀴(17a 또는 17b)를 지탱하고 있다.
한편, 페달(6)이 제1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페달(6)의 앞부분에 스케이터가 발끝으로 힘을 밑으로 가하면, 상기 페달(6)의 앞부분에 회전되도록 설치된 안내바퀴(12a, 12b)는 아이들 바퀴(17a, 17b)를 밑으로 누르게 되고 레버(15a, 15b)를 16a, 16b와 같은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킨다. 따라서, 각 레버(15a, 15b)의 하부 아암은 중앙롤러(2a, 2b) 위에 제동조우(brake jaw, 19a 및 19b)를 죄도록 제어케이블(18a, 18b)에 전방으로 견인력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각 중앙롤러(2a, 2b)에 제동작용을 일으키는 제동조우(19a, 19b)는 샤시부(1)이 21a와 같은 지점에 대하여 선회되도록 설치된 선회부품(20a, 20b)으로 지탱되어 있으며, 제2도 및 제3도에서 선회부품(20a, 20b)은 후방롤러(5a, 5b)이 축 가까이에 위치한 샤시부(1)의 한 지점과 선회부품(20a, 20b)의 사이에서 인장되어 설치된 스프링(22a, 22b)에 의해 중앙롤러(2a, 2b)로 부터 분리되어 있다. 페달(6) 앞부분에 구름 운동하도록 설치된 안내바퀴(12a, 12b)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레버(15a, 15b)로 지탱되는 아이들 바퀴(17a, 17b)와 접촉하지 않을 경우에는 16a와 같은 스프링은 레버(15a, 15b)와 아이들 바퀴(17a, 17b)를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휴지위치(rest position)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스프링(22a, 22b)은 각각 제동조우(19a, 19b)를 해제시킨다.
적절한 각도의 치형부품으로 대치할 수 있는 기어(23)는 샤시부(1)에 부착된(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축(23a)을 가지고 있다. 기어(23)는 지면에 닿지 않도록 중앙롤러(2a, 2b)보다 매우작은 직경을 가져야 하며, 기어(23)는 피니언(24)과 맞물려 있다. 피니언(24)은 지주와 상호 작동하는 래치트 휘일(ratchet wheel)과 같은 자유륜(free wheel)장치의 개재로 중앙롤러(2a, 2b)의 축(3)상에 키이로 고정되어 있다. 이런 형태의 자유륜장치는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으며, 이의 크기는 도면에 도시된 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자유륜 장치는 중앙롤러(2a, 2b)의 회전속도가 기어(23)와 맞물려 있는 피니언(24)에 의한 순간회전속도 보다 클 때는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푸쉬로드(25)는 기어(23) 또는 이를 대신할 수 있는 치형부품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지주(26)의 위치에서 페달(6)의 아래에 횡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기어(23)는 또한 지주(26)의 반대측에 두개의 러그(27, 28)를 부착하고 있다. 이 러그(27, 28)에는 두개의 스프링(29, 30)의 한단이 각각 걸려 있으며, 스프링(29)의 다른 한단은 링크로드(9a, 9b)의 상부 관절 연결부를 연결하는 횡방향의 축에 걸려 있고, 스프링(30)의 다른 단은 샤시부(1) 예를들면 후방롤러(5a, 5b)의 축 가까이에 고정되어 있다. 두 스프링(29, 30)의 기능은 뒤에 설명한다. 또한, 스프링(31)은 샤시부(1)와 페달(6)의 하부면의 적절한 지점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지점은 푸쉬로드(25)와 안내바퀴(12a, 12b)사이에 위치한다.
상기에 설명한 롤러 스케이트의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스케이터가 발가락 끼움부(7)에 발(8)을 끼우면 그의 다른 발이 지면에서 떨어져 있을때는 몸무게 전체가, 지면에 닿았을때에는 몸무게의 절반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스케이트의 페달(6)의 중간부품, 즉 스프링(29)에 의해 후방 요크의 수직 부재(10a, 10b)의 내부면에 고정된 32a와 같은 멈춤부에 접촉하여 최전방위치로 당겨진 링크로드(9a, 9b)와, 페달과 샤시부(1)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31)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스케이터의 발이 올려지는 페달(6)은 제동조우(19a, 19b)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동제어 레버(15a, 15b)의 바퀴(17a, 17b)위로 안내바퀴(12a, 12b)가 올라가 있는 점만이 제1도와 다른 거의 수평의 "준비위치(standby position)"에 놓여진다. 이러한 위치에서 푸쉬로드(25)는 기어(23)의 횡방향의 지주(26)의 위와 전방에 위치한다. 물론, 페달이 이러한 준비위치에 놓여진 상태에서 스케이터는 언제나 레버(15a, 15b)를 선회시키고 중앙의 구동롤러(2a, 2b)와 제동 조우(19a, 19b)를 접촉시키도록 페달(6)의 전방으로 발끝을 밀므로써 중앙롤러(2a, 2b)를 제동시킬 수 있다.
오른발에 부착한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터로써 앞으로 전진하기 위해서 스케이터는 준비위치에 놓인 페달(6)의 뒷부분에 발 뒷꿈치로써 힘을 가해야만 한다. 이는 로드의 단부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적절한 길이이며 샤시부(1)의 뒷부분에 힘을 가해야만 한다. 이는 로드의 단부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적절한 길이이며 샤시부(1)의 뒷부분에 고정된 중간 부품인 33a와 같은 멈춤부에 의해 지지되는 최후방위치로 링크로드(9a, 9b)를 선회시킨다. 스케이터의 발 뒤꿈치로 발생된 에너지는 인장된 스프링(29)에 저장되고, 기어(23)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휴지위치(rest position)에서 유지된다.
링크로드(9a, 9b)를 후방으로 선회시키므로써 페달(6)이 같은 방향으로 전환되고, 먼저 전방의 안내바퀴(12a, 12b)가 캠(13a, 13b)의 각 상부 모서리를 따라 후방으로 안내되어 제2도에 도시된 작동위치에 상기 페달이 도달했을때 캠을 벗어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스케이터의 몸무게는 여전히 스프링(31)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도 균형을 잃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케이터는 그의 발로써 링크로드(9a, 9b)의 상부 관절연결부(9a1, 9b1)에 대하여 링크로드(9a, 9b)가 선회되도록 페달(6)을 작동시킨다. 이러한 페달(6)의 압축 운동시 전방의 페달 안내바퀴(12a, 12b)는 캠(13a, 13b)의 거의 수직인 후방 모서리에 의해 각각 안내되어 제동장치의 제어레버(15a, 15b)의 어떠한 적절치 못한 작동을 방지한다. 한편, 스프링(31)은 압축되며, 제2도의 작동위치에서 기어(23)의 횡방향 지주(26)위에 위치한 푸쉬로드(25)의 하부단부는 지주 상부에 하향 트러스트력을 발생시켜 기어(23)를(제2도)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피니언(24)에 키이로 연결된 축(3)상의 중앙롤러(2a, 2b)를 상기 화살표(f) 방향과 반대방향인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화살표(F) 방향으로 중앙롤러의 이러한 회전은 스케이트와 스케이터를 함께 페달(6)의 압축행정과 동력전달 장치(25-23-24)의 전달율에 따른 거리만큼 앞으로 전진시킨다. 이와 마찬가지로, 기어(23)가 회전하는 동안에 스프링(29)이 부착된 러그(27)는 화살표 방향(f)으로 이동되고 상기 러그(27)가 축(23a)위에 도달했을때 스프링(29)은 인장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스케이터가 발 뒤꿈치로 스케이트를 누를때 스프링(29)에 이미 저장된 에너지는 중앙롤러(2a, 2b)상에 페달(6)의 구동작용을 보조한다.
제3도에는 도시되지 않은 하부 멈춤부에 의해 한정되고 페달이 다시 거의 수평이 이루어지는 가장 압축된 위치의 페달(6)을 도시하고 있으며, 스케이트 전체는 구동롤러(2a, 2b)에 대하여 선회되어 있어 전방롤러(4a, 4b)가 지면(S)과 맞닿아 있다. 푸쉬로드(25)는 기어(23)에 그리고 피니언(24)을 통해 중앙롤러(2a, 2b)에 구동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중앙롤러는 다음의 이러한 작동전까지 스케이터와 스케이트가 관성에 의해, 즉 최초 추진력에 의해 주어진 운동에너지에 의해 계속 전진운동을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것이다. 이러한 자유회전 운동의 어느 순간에, 그러나 양호하게는 마찰에 의해 운동이 끝나기 직전에 왼발로 지면에 지지하고 있는 스케이터는 그의 오른발과 오른쪽 스케이트를 들게 되고, 인장된 스프링(30)은 화살표(f) 반대방향으로 기어(23)를 회전시키게 되어 기어(23)의 횡방향 지주(26)는 푸쉬로드(25)와 페달(6)을 상방으로 올린다. 실제로는 페달(6)이 스케이터의 발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샤시부(1)와 이에 부착된 롤러가 아래로 이동한다.
기어(23)의 회전은 제1도에 도시된 최전방 위치로 링크로드(9a, 9b)에 스프링(29)을 통하여 복귀력을 발생시킨다. 그후에 페달(6)의 전방 안내바퀴(12a, 12b)는 스프링(31)의 팽창력에 의해 캠(13a, 13b)의 상부로 귀환하여 상기 페달(6)을 다시 준비위치로 놓이게 하고, 스케이터가 다시 오른발을 지면에 내려 놓을때 페달(6)의 앞부분에 발끝으로 힘을 가하므로써 즉시 작동을 제동시킬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같이 스케이터의 다른 발에 통상의 스케이트를 신거나 스케이트를 신지 않으므로써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를 하나만 사용할 수도 있지만, 양호하게는 이미 설명한 방법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두개의 스케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정상 걸음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평균 보행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모든 상황에서 매우 빠르게 제동할 수 있는 중요한 장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이미 언급한 실시예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는 모든 변형예들을 포함하며 이는 아래에서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금속재료등으로 제조된 견고한 발판(rigid tread, 34)은 페달(6)과 발가락 끼움부(7) 사이 그리고 페달(6)과 스케이터의 발 뒷꿈치(8a)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러한 강성 발판(34)의 크기는 스케이터의 발에 적합하여야 하고, 수직 선회 축(35)에 의해 페달(6)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있고, (도시되지 않은) 자물쇠 장치가 페달(6)의 다른 위치에서 발판(34)를 고착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4도에서 그 종축(A)은 스케이터의 종축(Ⅲ-Ⅲ, 제4도)에 대하여 양호하게는 0°내지 ±30°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각(β)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스케이트를 발뒤꿈치에 모았을때 발이 2β의 각도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알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도(β)는 스케이터에 따라 적절하게 스케이터의 발을 앞쪽으로 또는 뒤쪽으로 V자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양의 각 또는 음의 각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는 예를 들면 단일 구동 중앙롤러(2a)를 장치하고, 다른 중앙롤러(2b)는 공회전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2중앙롤러(2b)를 제거하고 단일 구동롤러(2a)를 스케이트의 거의 대칭평면(Ⅲ-Ⅲ, 제4도)에 위치하도록 샤시부(1)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에서 롤러의 총갯수는 선택적인 것이나 3개 미만일 수는 없다. 만일 두개의 중앙롤러를 마련한다면, 전방 및/또는 후방에 단지 하나의 롤러를 사용한다. 모든 경우에 제1도의 각(α)는 지면에 모든 스케이트의 롤러가 항상 접촉하도록 0°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는 또한 중앙롤러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전방 또는 후방에 적어도 두개의 롤러와 후방 또는 전방의 적어도 하나의 롤러로 구성되고, 이 롤러중 적어도 하나는 구동롤러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롤러 스케이트는 변형예로써 뒤꿈치 부분(8a)을 포함하는 스케이터의 발 전체가 페달(6)에 또는 발판(34)에 고정되도록 하는 장치를 마련할 수 있다.
페달(6)의 위치변화를 안내하는 안내장치도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특히, 후방 요크의 수직부재(10a, 10b)에 의한 페달의 뒷부분의 안내는 선택적이다. 이는 전방 요크의 수직부재(11a, 11b)에 의한 페달(6)의 앞부분의 안내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장치는 또한 페달(6)의 중앙부분을 측면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에 이러한 양측의 안내장치는 페달(6)의 반대측면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단일측면 안내장치로 대치할 수도 있다. 페달이 제2도의 작동위치로 부터 제3도의 압축위치로 변할 때 페달(6)이 제동장치의 제어레버(15a, 15b)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하여 안내바퀴(12a, 12b)는 선택적이고 캠(13a, 13b) 또한 다른 형상을 갖거나 이와 유사한 장치로 대치할 수도 있다. 제동장치와 이의 제어레버(15a, 15b)는 예를 들면 자전거에 사용되는 형태의 슈우 브레이크(shoe brake)형태등의 다양한 구조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제동장치가 작동되는 제동 롤러 갯수 또한 선택적이다. 이론적으로는 긴 샤시부(1)에 대하여 어떠한 위치에 있건 하나의 롤러를 제동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샤시부(1)의 양측면에 위치한 두개의 롤러를 동시에 제동하는 것이 유리하다.
페달(6) 아래에 고정된 푸쉬로드(25)와 기어(23) 또는 이와 유사한 치형부품에 고정된 횡방향 지주(26)는 제1도 내지 제3도의 지주(26)가 장착된 지점 가까이에서 한 단부가 페달(6) 아래에 그리고 다른 단부가 기어 또는 이와 유사한 치형부품의 표면에 위치하여 두 단부가 수평축에 대하여 관절 연결되는 링크 로드로 대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부품 25, 26, 23, 24로 구성된 동력전달장치는 공지된 형태의 다른 적절한 동력전달장치로 대치할 수 있으며, 이 장치는 페달(6)의 단일작동으로 스케이트와 스케이터가 가능한한 큰 속도로 얻을 수 있도록 가능한한 큰 각도로 페달(6)의 압축행정을 구동롤러(2a, 2b)의 회전운동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어떠한 동력 전달장치를 선택하던간에 이 장치는 스프링(29)과 맞물리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링크로드(9a, 9b)가 후방으로 선회하므로써 스프링(29)이 인장된 후에 페달(6)의 압축시에 스프링(29)의 팽창은 페달의 구동작용을 보조한다.
페달(6)의 뒷 부분은 링크로드(9a, 9b)와 같이 단일 링크로드로 샤시부(1)의 뒷 부분에 연결할 수 있으나 스케이트의 대창 수직 평면(Ⅲ-Ⅲ, 제4도)안에서 선회하도록 구성된다.
단일 압축스프링(31)은 다수의 스프링으로, 특히 페달(6)의 모서리와 샤시부(1)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판의 단부 사이에 각각 압축된 두개의 같은 종류의 측면 스프링으로 대치될 수도 있다.
앞에서 언급한 모든 스프링(16a, 16b, 22a, 22b, 29, 30, 31) 또는 이중 적어도 몇개는 나선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대신에 판스프링 또는 탄성변형체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충격 완충기는 이러한 스프링 또는 탄성체 또는 이중 몇개와 적절히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샤시부(1)의 형상과 구조는 적절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페달(6)의 뒷부분을 하나 또는 두개의 링크 로드(9a, 9b)로 지지하는 대신에, 페달(6)은 종래의 기계적 부품에 의해 샤시부(1)에 대해 하나 또는 두개의 횡방향축에 선회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스프링(29)에 부가하여 페달(6)이 후방위치로부터 준비위치로 귀환되도록 구성하기 위해서 보조스프링을 샤시부(1)상의 적절한 지점과 링크로드(9a, 9b)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기어(23)의 제어 지주(26)는 아이들 바퀴로 대신하는 것이 보다 유용하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 스케이트의 제2실시예는 제5도 내지 제8도에 측단면도 및 사시도로써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샤시부(1)의 양측면중 한 측면은 도면의 이해를 위해서 도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의하면, 샤시부는 U형 비임으로 구성되고, 이의 날개를 통하여 샤시부의 중앙부분에 구동롤러(2a, 2b)를 지지하는 축(3)이 설치된다. 두 아이들 롤러(32a, 32b)가 비임의 양 단부의 축에 설치된다. 아이들 롤러의 축의 위치는 구동롤러와 하나의 아이들 롤러가 동시에 지면에 닿도록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는 보행이나 뛰는 운동시에 몸무게가 작용하는 위치에 따라 전방의 다각형과 후방의 다각형으로 구성된 두 지지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실제로 보행운동은 먼저 발 뒤꿈치가 지면에 닿으므로써 일어난다. 이러한 동작중에는 몸무게가 발뒤꿈치상에 전달된다. 멈추기를 원한다면 몸무게는 앞발의 전방부에 실리게 되고 몸무게가 지면으로 전달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에서 이러한 자연스러운 운동으로 발의 무게를 전방 또는 후방 지지 다각형으로 변환시키므로써 스케이트를 작동하거나 제동시키는 제어방법을 고려하고 있다. 사람이 서 있는 위치에서 발바닥상에 몸무게를 지지하는 경향을 고려하고 신발에 의해 마련된 표면의 하중 분포를 고려하여, 구동 롤러의 축은 전방롤러 보다 후방 롤러에 가깝게 설치한다. 이러한 위치는 스케이트의 제동위치를 손쉽게 유지할 수 있고 서 있을때의 안전성을 제공한다.
동력전달장치(제5도 내지 제9도)는 샤시부(1)에 지지된 축(34')에 한단이 관절연결된 레버(33')로 구성된다. 레버의 타단은 아이들 폴리(36)를 그 중심에 그리고 두 바퀴(37a, 37b)를 양단에 설치하고 있는 축(35')에 설치된다(제9도). 이 두 바퀴는 요크(40)의 부재(40a, 40b)에 의해 장착된 제1축(39)에 대하여 페달이 선회할때 페달(6)의 전방 종방향 모서리에 마련된 이동 궤도(39a, 39b)안에서 이동된다. 한단이 중심부재(42)에 고정된 제1케이블(41)은 레버(33')의 폴리(36)위로 그리고 중심부재(42)에 지지된 폴리(43)위로 통과하여 케이블이 고정된 드럼(44)의 제1부분에 감긴다. 귀환시스템으로 작용하는 스프링(46)을 통해서 한단이 고정된 제2케이블(45)은 제1케이블(41)과 반대방향으로 드럼(44)의 제2부분에 감긴다. 크기를 제한하기 위해서 그렇지만 제2케이블(45)이 충분한 길이를 갖기 위해서, 제2케이블(45)은 폴리(47)에 감겨진다.
드럼(44)은 구동롤러가 시계반대방향으로만 구동되도록 래치트(또는 자유륜)시스템을 통하여 구동롤러를 설치한 축(3)상에 설치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드럼(44)은 지주(49)와 협동하도록 된 기어(48)를 지지하고 있으며 이의 위치 및 기능을 후술한다.
제동장치는 구동롤러의 축(3)에 키이로 고정된 디스크(50)와, 중심부재에 의해 작동하는 마찰 브레이크로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찰 브레이크는 한단이 샤시부(21)에 고정되고 타단이 중심부재(42)에 케이블을 통해 고정된 벨트(51)로 구성된다. 귀환 스프링(52)은 중심부재에 부착된 벨트의 한단과 샤시부(1)사이에 마련된다.
제동 및 동력전달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선택 및 제어장치는 요크(40), 중심부재(42), 지주(49) 그리고 선회 멈춤부(53)로 구성된다. 요크(40)의 부재(40a, 40b)는 샤시부에 부착된 제2축(54)에 대하여 선회하는 앵글레버(angle lever)를 형성하고, 레버의 한단은 페달(6)의 뒷부분을 선회시키는 축(39)을 갖고 있다. 레버의 타단은 스프링(56)의 작용에 의해 요크의 상방향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멈춤부(55a, 55b)를 형성하고, 페달의 뒷부분이 경우에 따라 준비위치 또는 제동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선회 멈춤부(53)는 요크(40)이 (링크로드로써 작동하는) 부재(40a, 40b)의 떨어진 거리만큼의 길이를 갖고 그 사이에서 요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U형 부품으로 구성된다. 이 U형 부품은 그 부재의 단부를 가로지르는 샤시부에 고정된 제3축(57)에서 선회한다. 선회 멈춤부(53)의 반대쪽 단부는 요크(40)의 횡방향 아암의 뒷부분이 적절히 위치하도록 하는 노치(58)로 구성된다. 중심부재(42)와 지주(49)는 선회 멈춤부(53)의 아암안에 그리고 제3축(57)상에 설치된다. 중심부재(42)는 제3축(57)의 양측면에서 두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상부는 그 자유단에서 요크(40)쪽으로 연장된 후크(59)로 구성되고, 하부는 그 끝이 제동벨트 케이블(51)에 부착된 아암(60)이다. 중심부재의 상부는 그 위로 동력전달 케이블(41)이 통과하는 풀리(43)(제10도)의 스트랩(strap)을 형성하도록 오목하게 되어 있다.
지주(29)는 거의 U형의 형태이고 이의 횡방향 아암을 가로질러 가는 제3축(57)에서 선회한다. 요크(40)가 선회 멈춤부(53)의 노치(58)상에 위치할때, 상부의 측면 아암(61)은 접촉하지는 않지만 요크(40)의 횡방향 아암 위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하부의 측면 아암(62)은 귀환 스프링(63)의 작용에 의해 기어(48)의 톱니와 맞물려 있다.
제5도 내지 제10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스케이트의 작동은 아래와 같다. 제5도는 스케이트가 준비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 위치는 발아래 고정된 스케이트로 스케이트는 들어 올려져 있으며 따라서 어떠한 힘도 받지 않고 있다. 발(8)의 전방(발끝과 발가락)은 끈(64) (또는 다른 장치)에 의해 페달(6)에 지지되어 있고 발뒤꿈치(8a)는 페달로부터 들려지게 하는 장치에 의해 페달(6)의 뒷부분에 헐겁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선택 및 제어장치는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선회 멈춤부(53)는 귀환 스프링(52)에 의해 뒤로 당겨지는 중심부재(42)와 접촉하므로써 뒤로 선회된다. 요크(40)는 스프링(56)에 의해 샤시부(1)에 대하여 멈춤부(55a, 55b)에 의해 정지되어 있다. 지주(49)는 귀환스프링(63)에 의해 기어(48)의 톱니와 맞물려 있다.
이러한 준비위치에서 스케이트를 지면에 위치하게 할때, 발뒤꿈치(8a)나 앞부분(8)으로 페달(6)을 누르므로써 추진작동 또는 제동작동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6도 내지 제8도는 선택 및 제어장치가 추진되는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발뒤꿈치(8a)로 즉 스케이트를 후방롤러로써 지면에 부착하게 되면, 페달(6)은 요크(40)을 요동시켜 뒤로 내려가게 되고, 후크(59)의 전방에 그리고 아래에 위치한 횡방향 아암은 지주(49)의 상부의 측면아암(61)을 지탱하고, 하부의 측면아암(62)을 기어(48)로 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지면상에서 발을 구동롤러(2a, 2b)에 위치시키면, 페달은 앞으로 선회하고, 바퀴(37a, 37b)를 통하여 레버(33')가 앞으로 선회되도록 힘이 작용하여 제1케이블(41)을 당기게 된다. 중심부재(42)의 풀리(43)을 감고 지나가는 케이블(41)은 요크에 반하여 중심부재를 누르게 되고 후크(53)를 요크의 횡방향 아암에 반하여 누르게 된다.
요크의 귀환 스프링은 더이상 작동할 수 없게 되고 요크는 후크(57)아래에서 유지된다. 상기에 의해 중심부재는 축(57)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벨트(51)가 중심부재의 아암(60)에 의해 당겨지지 않기 때문에 제동장치는 작동하지 않는다.
케이블(41)은 드럼(44)의 제2부분에 감겨져 있는 제2케이블(45)에 부착된 스프링(46)의 작용과 반대로 풀리면서 드럼(44)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롤러는 드럼안에 설치된 래치트 시스템을 통해 시계반대방향으로 구동된다. 추진력을 필요로하여 다음발을 디디기 위해 지면으로 부터 스케이트를 들어 올릴때, 케이블(41)은 드럼에 다시 감기고 스프링(46)이 완화된 위치로 귀환하여 선택 및 제어장치가 준비위치로 복기한다.
제7도는 선택 및 제어장치가 제동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스케이트가 지면위에 있는 준비위치로 부터 스케이트를 전방롤러로써 지면에 디디게 되면, 페달(6)은 레버(33)를 작동시켜 앞으로 요동하게 한다. 레버의 풀리(35)를 통해 감겨 지나가는 케이블(41)은 중심부재(42)를 요크의 횡방향 아암 아래에서 앞으로 선회시키는 동시에, 선회 멈춤부(53)는 요크 아래에서 귀환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서 전진하여 요크의 하향 회전을 제한한다. 지주(49)는 그 귀환 스프링의 작용에 의하여 기어(48)와 맞물리도록 위치하고 어떠한 운동도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드럼(44)은 잠겨지고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케이블(41)의 길이는 고정된다. 페달의 작용을 계속하면 중심부재(42)는 앞으로 요동하여 아암(60)을 반대방향으로 견인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롤러(2a, 2b)에 부착된 디스크(50)의 림에 스치게되는 벨트(51)를 당기게 된다. 여러 부재의 위치에 의하여 발로써 앞으로 회전시킴에도 불구하고 동력전달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케이트를 보다 간단하게 구성하기 위하여, 선회 멈춤부(53)와 중심부재(42)를 단일 부품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중심부재는 요크의 부재가 샤시부에 부착될때 요크의 횡방향 아암의 하부 모서리로 부터 축(57)까지의 거리와 같은 반경을 갖고 축(57)에 중심이 있는 원통부에 의해 뒤로 연장되어 질수 있다.
상기에서 위치의 선택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 또는 아래에 서로 끼워지는 두 부재 즉 요크와 중심부재에 의해 이루어짐을 알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선택 및 제어장치는 앞에서 설명한 것이 아닌 밸브 또는 수축장치(contractor)의 작용에 의해 공기역학장치 또는 전기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와 같은 다른 동력전달장치 또는 제동장치를 작동시키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모든 경우에 선택 및 제어작동은 준비위치로부터 시작된다.
- 페달 뒷부분을 작동시키므로써, 제동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작동위치가 선택되며, 이에 따라 페달의 앞부분을 작동시키므로써 그 자체로서 작동된다.
- 페달 앞부분을 작동시키므로써, 페달의 뒷부분에 다시 힘을 가할지라도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제동위치가 선택된다.
제1실시예에 관한 변형예들도 상기의 제2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언급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 및 정심을 벗어남이 없이 많은 변형 및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알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준비위치와 이 준비위치에서 스케이터가 발뒤꿈치로써 페달의 뒷부분에 트러스트력을 가할때마다 이루어지는 작동위치 사이에서 발을 지지하는 페달이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축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된 롤러샤시부와, 스케이터가 준비위치에서 그의 발끝으로 페달의 앞부분에 트러스트력을 가할때마다 작동되도록 샤시부상에 설치된 제동장치와, 스케이터가 그의 발로써 페달의 작동위치로 부터 압축위치로 페달을 변화시키는 하향 트러스트력을 가할때마다 작동되도록 샤시부상에 설치되고 페달의 각 작동시에 롤러에 구동력이 발생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연결된 동력전달장치와, 스케이터가 발을 들때 페달을 압축위치로 부터 준비위치로 귀환시키는 스프링 같은 탄성수단으로 구성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제동장치 및 동력전달장치의 일부가 선택 및 제어장치를 형성하고, 이 선택 및 제어장치의 적어도 두개의 부재는 페달의 뒷부분에 트러스트력을 가하여 준비위치에서 작동위치를 선택한 후에 페달의 앞부분에 트러스트력을 가함으로써 추진되거나 추진이 금지되는 위치로써 페달의 앞부분에 트러스트력을 가함으로써 제동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부재중 하나가 다른 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서로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자유륜(free wheel)장치가 동력전달장치와 이에 연결되는 각 구동롤러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페달의 뒷부분이 각각 페달의 준비위치와 작동위치에 상응하는 전방위치와 후방위치인 두 위치 사이를 수직 종방향 평면에서 자유롭게 선회하도록 그 양단에 관절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로드에 의하여 샤시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스프링과 같은 적어도 두개의 탄성변형부재의 하나는 링크로드를 그 후방위치로 부터 전방위치로 귀환시키도록 제공되고 다른 하나는 페달을 그 압축 위치로 부터 작동위치 또는 준비위치로 귀환시키도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5. 제4항에 있어서, 제1스프링은 링크로드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선회함으로써 인장된 후에 페달의 압축시에 상기 제1스프링의 장력이 페달의 구동작용을 보조하도록 동력 전달장치와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6. 제5항에 있어서, 동력전달장치가 피니언과 맞물리도록 샤시부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기어 또는 치형부품과, 페달의 압축운동을 상기 기어 또는 치형부품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7. 제6항에 있어서, 기어 또는 치형부품이 관절 연결된 링크로드에 의해 선회 가능한 페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8. 제6항에 있어서, 페달 아래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푸쉬로드가 페달의 압축시에 기어 또는 치형부품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지주와 협동하도록 구성되는 반면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변형부재가 기어 또는 치형부품을 그의 위치로 귀환시키도록 구성되면, 여기서 푸쉬로드의 아래에서 상부위치에 있는 지주가 페달에 의해 상승되어 작동위치에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9. 제5항에 있어서, 제1스프링은 제1스프링의 장력이 페달의 압축에 의한 방향과 같은 방향에서 토오크를 구동롤러에 가하도록 선택되고, 관절 연결된 링크로드의 상부부분의 한 지점과 기어 또는 치형 부품의 한 지점 사이에서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10. 제1항에 있어서, 제동장치는 샤시부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프링과 같은 탄성변형부재가 정상상태에서는 제동장치의 해체 위치에서 유지되게 하는 레버로 구성된 제어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는 스케이터가 그의 발끝으로 페달에 트러스트력을 가할때마다 페달의 앞부분이 레버를 제동위치로 선회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11. 제1항에 있어서, 페달을 특히 페달의 앞부분을 다른 위치들 사이에서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특히 페달의 압축시에 페달이 제동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샤시부에 고정된 캠과 적어도 하나의 바퀴를 포함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12. 제2항에 있어서, 선택 및 제어장치는 페달의 뒷부분을 관절 연결하는 제1축을 구비하고 샤시부에 고정된 제2축에 대하여 선회되는 요크와, 요크를 향한 후크를 지탱하고 아이들 폴리와 협동하도록 된 제1부분과 제동장치의 일부분을 고정하는 단부에 아암을 형성하는 제2부분으로 부재를 분할하는 것으로 샤시부에 고정된 제3축에 대하여 선회되는 중심부재와, 그 상부측면 아암이 요크와 상호 작동하며 다른 하부측면 아암이 동력전달 장치상에 마련된 기어와 맞물리는 동시에 하부측면 아암이 요크와 접촉하지 않을때 상부 측면 아암을 기어와 맞물리도록 위치시키는 귀환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으로 제3측상에서 관절 연결된 U형 지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13. 제2항에 있어서, 동력전달장치는 한 단이 샤시부에 관절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한단이 팔의 앞부분에 마련된 요동 궤도와 상호 작동하는 바퀴와 케이블이 지나는 풀리를 지탱하고, 한단이 중심부재에 고정되며 다른 한단이 중심부재의 폴리를 감고 지나서 래치트 시스템을 통해 구동롤러를 설치한 축에 고정된 드럼의 일부분에 감기고, 상기 드럼은 케이블이 다시 감기도록 하는 귀환 시스템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14. 제2항에 있어서, 제동장치가 구동롤러를 설치한 축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와, 중심부재에 의해 작동되는 마찰 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15. 제14항에 있어서, 마찰 브레이트는 한단이 샤시부에 고정되며 다른 한단이 중심부재의 아암에 고정되는 벨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16. 제1항에 있어서, 발판이 스케이터의 발과 페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발판은 발판의 종축이 페달이 종축과 예를 들면 0°내지 ±30°의 각도를 갖는 다른 위치에서 페달에 고정될 수 있도록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17. 제1항에 있어서, 페달 또는 발판에 대하여 스케이터 발의 앞부분 만이 고정되어 그의 발뒤꿈치는 자유롭게 들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18. 제1항에 있어서, 샤시부의 중앙부에 비교적 큰 직경의 구동롤러가 설치되고, 샤시부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같은 또는 다른 직경의 아이들 롤러를 부착하고, 전방롤러 또는 후방롤러에 대하여 각각 구동롤러에 아래로 접한 두 평면이 180°보다 극히 몇도 또는 몇십도만이 적은 둔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KR1019840000460A 1983-01-14 1984-02-01 롤러 스케이트 KR930001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555 1983-01-14
FR8300555A FR2539312A1 (fr) 1983-01-14 1983-01-14 Patin a roulettes
FR?83-21086 1983-12-30
FR21086 1983-12-30
FR8321086A FR2557466B2 (fr) 1983-01-14 1983-12-30 Patin a roulet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905A KR850004905A (ko) 1985-08-19
KR930001626B1 true KR930001626B1 (ko) 1993-03-08

Family

ID=26223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0460A KR930001626B1 (ko) 1983-01-14 1984-02-01 롤러 스케이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602801A (ko)
EP (1) EP0114131B1 (ko)
JP (1) JPS59186574A (ko)
KR (1) KR930001626B1 (ko)
AT (1) ATE26800T1 (ko)
DE (1) DE3463340D1 (ko)
FR (1) FR2557466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85582B1 (fr) * 1985-08-05 1987-11-13 Vincent Yvon Patins a roulettes propulseurs
US4807893A (en) * 1988-03-21 1989-02-28 Huang Chuan H Roller skate
US5224719A (en) * 1992-05-15 1993-07-06 Goodspeed Byron Lester Skateboard
US5310202A (en) * 1992-05-15 1994-05-10 Goodspeed Byron Lester Skateboard
US5397138A (en) * 1994-01-21 1995-03-14 Mangelsdorf; Gary Braking mechanism for in-line skate
US5492345A (en) * 1994-08-25 1996-02-20 Kruczek; Leszek Self propelled roller skate
US5895065A (en) * 1996-02-29 1999-04-20 Khomo; Malome T. Method and means of enhancing human powered locomotion
DE19701721B4 (de) * 1997-01-20 2006-05-24 Henry Tunger Rollschuh mit einem über die Fußauflagefläche beaufschlagbaren Rollschuhantrieb
AT406123B (de) * 1997-09-29 2000-02-25 Atomic Austria Gmbh Schwenkbare verbindungseinrichtung zwischen einem sportgerät und einer aufstandsfläche für einen fuss eines benutzers sowie bindung zur halterung des fusses auf einem sportgerät
US6398229B1 (en) * 2000-07-17 2002-06-04 Dean Saylor Three-wheeled roller skate and method therefor
IL146860A0 (en) * 2001-12-02 2002-08-14 Osher Michael Occupant driven mobile device
FR2833671B1 (fr) * 2001-12-19 2004-02-13 Siemens Vdo Automotive Mecanisme de retour d'effort
CN1324236C (zh) * 2004-04-06 2007-07-04 关慎捷 重力发动机和旱冰鞋
US7568706B2 (en) * 2006-09-13 2009-08-04 Kenneth Yat Chung Ng Mechanism for conversion of vertical force to a torque and motive device and method employing same
US20100230925A1 (en) * 2009-03-11 2010-09-16 Todd Thielbar Four Wheel Human Powered Striding Cycle
FR2955780A1 (fr) * 2010-02-01 2011-08-05 Paul Chavand Chaussures ou sous-semelles roulantes permettant une marche rapide
SE534628C2 (sv) * 2010-02-09 2011-11-01 Marsblade Ab Inlinesskena
KR101218594B1 (ko) * 2010-09-07 2013-01-07 김지훈 바퀴 구동수단이 구비된 인라인 스케이트
SE1150246A1 (sv) 2011-03-18 2012-08-21 Marsblade Ab Bindning samt en skida, skridsko eller sko med en sådan bindning
CN102553214B (zh) * 2012-01-20 2014-06-25 王葆敏 自跑鞋
EP2703053A1 (en) 2012-08-31 2014-03-05 Marsblade AB Coupling means
LV15401B (lv) * 2017-11-07 2019-12-20 BODNIEKS Māris Skrituļslida
USD842409S1 (en) * 2018-04-10 2019-03-05 Matthew Novick Set of roller skates powered by pump ac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046C (de) * C. F. LEONHARDT in Stuttgart, Kolbstrafse 1, und J. GREINER in Efslingen, Martinstrafse Neuerung an Strafsenrollschuhen
US903525A (en) * 1908-03-09 1908-11-10 Charles O Wellnitz Roller-skate.
US968517A (en) * 1909-04-14 1910-08-23 Alexander N Pierman Roller-skate.
US1070168A (en) * 1912-08-23 1913-08-12 Charles A Nordling Skate.
DE332471C (de) * 1920-05-27 1921-01-31 Emil Luebcke Rollschuh mit Tretantrieb
US1437314A (en) * 1921-06-01 1922-11-28 John J Jorgensen Roller skate
FR54250E (fr) * 1945-11-08 1948-06-25 Perfectionnements aux mécanismes pour le changement progressif de la vitesse de zéro jusqu'à l'infini
US2536569A (en) * 1947-03-19 1951-01-02 Edward L Purkey Propelled wheeled skate
JPS5244882B1 (ko) * 1969-12-18 1977-11-11
FR2300588A1 (fr) * 1975-02-17 1976-09-10 Bauduin Jean Pierre Pedicycle
DE2730235A1 (de) * 1976-01-14 1979-03-29 Otmar Fuss Rollschuhe
DE2726961A1 (de) * 1977-06-15 1979-01-04 Adolf Schmidt Rollschuh
JPS55103881A (en) * 1979-02-05 1980-08-08 Naito Masatoshi Advance sport tool
US4394028A (en) * 1981-03-13 1983-07-19 Wheelwright Joseph S Skate
US4417737A (en) * 1982-09-13 1983-11-29 Hyman Suroff Self-propelled roller sk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14131A2 (fr) 1984-07-25
JPS59186574A (ja) 1984-10-23
FR2557466B2 (fr) 1986-05-30
US4602801A (en) 1986-07-29
EP0114131A3 (en) 1984-08-15
EP0114131B1 (fr) 1987-04-29
FR2557466A2 (fr) 1985-07-05
DE3463340D1 (en) 1987-06-04
KR850004905A (ko) 1985-08-19
ATE26800T1 (de) 198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626B1 (ko) 롤러 스케이트
US4706974A (en) Roller skate
JP2735775B2 (ja) スケート用ブレーキ装置
KR930002149B1 (ko) 추진식 롤러스케이트
US3964759A (en) Ski binding for ski boot
JPH06205868A (ja) スケート用ブレーキ装置
JPH07503870A (ja) ローラスケートブレーキ装置
CA2137452C (en) Braking device for roller skates
JP5337999B2 (ja) ブレーキ機構を備えたローラースキー板またはスケート靴、および前記スポーツアイテムにブレーキをかけるための方法
US20080084034A1 (en) Personnel transportation devices
GB2363078A (en) An in line roller skate
US1552541A (en) Skate
KR20080030514A (ko) 풋 바이크
CN113842299A (zh) 一种老人用防跌倒助行器
JP4775615B2 (ja) 走行具
JP3875935B2 (ja) 走行具
KR100543832B1 (ko)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
US1154510A (en) Skate.
KR960006892Y1 (ko) 스케이드 보드
KR200414574Y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200203778Y1 (ko) 클러치와 브레이크를 가진 롤러 스케이트
GB2431887A (en) Self-propelled skate
KR200339041Y1 (ko) 바퀴달린 썰매
KR20010109787A (ko) 클러치와 브레이크를 가진 롤러 스케이트
RU61144U1 (ru) Коньки роликовы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