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3832B1 -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 - Google Patents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3832B1
KR100543832B1 KR1020030075570A KR20030075570A KR100543832B1 KR 100543832 B1 KR100543832 B1 KR 100543832B1 KR 1020030075570 A KR1020030075570 A KR 1020030075570A KR 20030075570 A KR20030075570 A KR 20030075570A KR 100543832 B1 KR100543832 B1 KR 100543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rame
shoe
land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9666A (ko
Inventor
김병갑
Original Assignee
김병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갑 filed Critical 김병갑
Priority to KR1020030075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3832B1/ko
Publication of KR20030089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8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retractable wheel, i.e. movable relative to the chassis out of contact from surfac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일반적으로 로울러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허리를 굽혀서 손으로 조작해야 하는것을 전혀 손을대지 않고 로울러슈즈를 착용한체 신발 뒷축을들어 지면에 툭 치듯 압입하여 로울러를 돌출시키고, 신발 앞면부 밑창에 장착된 슬라이딩패드부를 짓누르면서 후방으로 미는 간단한 동작으로 로울러를 내입 가능토록 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로울러를 돌출하기 위한 것으로 신발뒷축에 장착되어 이동력을 발생하는 로울러작동부;
상기 로울러작동부와 슬라이딩패드부의 이동력을 구속하거나 해제함으로써 로울러가 개폐되도록 유도하는 스토퍼부;
상기 이동력으로 하여금 전후방 로울러를 동시에 수직 이착륙으로 돌출 또는 내입시키는 로울러랜딩부;
신발본체 전면부 분할로울러를 다양한 형태로 장착 가능하게 해주는 로울러장착부재; 및,
주행시 보행전환 또는 돌발사태에 따른 급정거 요구시 신속한 동작으로 상기 로울러를 내입 가능케하는 슬라이딩패드부와 안전을 위한 것으로 주 보행시 로울러개폐여부를 선택하여 차단할 수 있는 안전장치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의 랜딩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토퍼, 판스프링, 슬라이딩패드, 로울러, 브라켓

Description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 {roller landing}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 슈즈에 있어서, 로울러작동부와 로울러랜딩부 그리고 슬라이딩패드부와 스토퍼부를 연결장착한 것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 슈즈에 있어서, 슈즈부 전측 3조랜딩부와 뒷축 2조랜딩부 등을 도시한 측 단면도 그리고 스토퍼부 및 슬라이딩패드부를 연개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 슈즈에 있어서, 신발밑창에 각기 형성된 장치구성등을 도시한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 슈즈에 있어서, 스토퍼부를 도시한 평면도와 측 단면도 및 이를 분리하여 나열한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 슈즈에 있어서, 슈즈부 전측 3조랜딩부와 뒷축 2조랜딩부의 이동식 로울러랜딩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 슈즈에 있어서, 슈즈부 전측 3조랜딩부와 뒷축 2조랜딩부의 회전식 로울러랜딩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신발본체 110...슬라이딩패드부
120...신발밑창 130...로울러장착홀
140...신발뒷축 160...루버
200...로울러구동부 210...브라켓
220...일방향걸림턱 230...피봇(pivot)
250...로울러랜딩부 260...고정프래임
270...구동프래임 280...가이드래버
285...안내요홈 290...가이드바
300...로울러작동부 330...지지축
360...스토퍼부 380...통공
삭제
삭제
430...원형회전봉 435...판스프링
500...로울러 500a..분할로울러
520...압축코일스프링 630...베벨기어
640...미끄럼베어링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일반적으로 로울러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허리를 굽혀서 손으로 조작해야하는것을 전혀 손을대지 않고 로울러슈즈를 착용한체 신발 뒷축을 들어 지면에 툭 치듯 압입하여 로울러를 돌출시키고, 신발 앞면부 밑창 토(toe)부분에 장착된 슬라이딩패드부를 짓누르면서 후방으로 미는 간단한 동작으로 상기 로울러를 신속하게 수직 하강으로 내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특히, 주행과 보행에 따른 흐름을 깨트리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체 주 보행 전환을 손쉽게할 수 있도록 모든기능과 조작등이 신발 밑창에서 완성되도록 한 하이브리드슈즈로 장치 사용자가 효율적인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안출된 것이다.
종래의 롤러슈즈 및 인라인스케이트 등은 전 세계적으로 스포츠용 운동기구로 보급되어 폭넓게 활용하고 있으나 근래에는 단거리 대중교통의 주행 수단으로 애용되고 있는점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롤러슈즈나 인라인스케이트 등은 주행과 보행 전환을 위한 로울러의 랜딩방법이 지극히 단순하여 동작정지후 허리를 굽혀서 손으로 작동하거나 반대편 발로 압입터치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서 이 역시 장치 사용자의 주행 및 보행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가되어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과 돌발사태에 대한 급정거 요구시 신속한 대처가 불가능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 또는 주행중에 있어서 로울러의 랜딩을 위한 로울러작동부를 신발뒷축 끝 부분에 장착하여 보행시 주행전환은, 먼저 한쪽신발 뒷축을 들어 지면에 툭 치듯 압입하여 로울러를 돌출시켜 편발로 주행을할 수 있게 되며 또 다른 한쪽발도 편발주행중 동일한 방법으로 돌출시켜 양발로 주행할 수 있게 되고, 주행시 보행전환과 돌발사태에 따른 급정거 요구시에는, 분할로울러가 장착되지 않은 신발밑창 앞면부 토(toe)부분을 지면에 짓눌러 마찰식 브래이크기능으로 활용하여 속도를 줄임과 동시에 또한 토 부분에 장착된 슬라이딩패드부를 후방으로 밀면서 스토퍼부에 의해 구속된 이동력을 해제시킴으로써, 앞뒤 로울러가 동시에 신속하게 수직하강으로 내입하여 랜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 등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도록 보행 및 주행중에 있어서 그 동작 흐름을 깨지않고 그대로 유지한체 다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아울러 모든 기능과 조작등이 신발밑창에서 완성되도록 하여 장치사용상 조작에 따른 간편성을 유도하였으며 특히, 전면부 분할로울러를 다양한 형태로 장착이 가능하게 해주는 로울러장착부재 및 주 보행시 로울러의 개폐여부를 선택적으로 차단, 사고로부터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두고 완성한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로울러를 돌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발뒷축(140)에 장착되어 이동력을 발생하는 로울러작동부(300);
상기 로울러작동부(300)와 슬라이딩패드부(110)의 이동력을 구속하거나 해제함으로써 로울러가 개폐되도록 유도하는 스토퍼부(360);
상기 이동력으로 하여금 전후방 로울러를 동시에 수직 이착륙으로 돌출 또는 내입시키는 로울러랜딩부(250);
신발본체(1000전면부 분할로울러(500a)를 다양한 형태로 장착 가능케 해주는 로울러장착부재(350); 및,
주행시 보행전환 또는 돌발사태에 따른 급정거 요구시 신속한 동작으로 상기 로울러를 내입 가능케하는 슬라이딩패드부(110)와 안전을 위한 것으로 주 보행시 로울러개폐여부를 선택하여 차단할 수 있는 안전장치부(3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 슈즈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발본체(100)와 로울러작동부(300)및로울러랜딩부(250), 그리고 스토퍼부(360)와, 슬라이딩패드부(110), 로울러장착부재(350),안정장치부(320)등으로 구성되며, 신발본체(100) 저면부에 로울러(500)또는 분할로울러(500a)를 각각 전후방에 장착하여 돌출시킨 상태로써, 신발뒷축(140)에 내제된 것으로 로울러랜딩부(250)가 뒷축전방에 로울러작동부(300)가 후방에 위치하여 신축성과 탄성이좋은 루버(160)로 일부분 도포되어 뒷축 끝부분을 압입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뒷축상단부에는 주행 또는 보행중에 있어서, 로울러(500)의 개폐여부를 선택적으로 조작 차단하여 사고로부터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로울러(500)내입을 위한 슬라이딩패드부(110)가 신발밑창(120)앞쪽 저면부에 구성되어 이동력을 발생하고 또한 로울러작동부(300)에 의해 발생되는 이동력을 통합수용할 수 있도록 스토퍼부(360)가 신발본체(100)중심부 즉 허리쇠부분에 장착되어 구속과 해제를 병행 하게됨으로써 상기 로울러랜딩부(250)가 승하강하게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있다.
도2는, 신발밑창(120)에 장착된 로울러의 2,3조랜딩부와 로울러작동부(300)등을 도시한 측 단면도 및 로울러장착부재(350)등을 연개하여 도시한 평면도로써 신발본체(100)저면부에 장착된 각기로울러의 설치구조와 형상및 로울러랜딩부(250)로 상기 로울러작동부(300)에서 인가된 이동력이 2조또는 3조로 구성된 로울러랜딩부(250)측 구동프래임(270)을 밀거나 끌어당김으로써 고정프래임(260)과 가이드바(290)에 일체로 연결된 로울러(500)와 지지축(330)이 안내요홈(285)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되는 구성으로 되어있으며, 다수의 분할로울러(500a)를 쉽게 장착시키기위하여 마련된 로울러장착부재(350)와 돌출된 로울러(500)를 내입하기 위한것으로 전면부에 슬라이딩패드부(110)와 연개된 스토퍼부(360)가 신발밑창(120)중심부 허리쇠부분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3은, 본발명의 일실시예로써, 신발밑창(120)에 각각 형성된 장치 구성등을 도시한 평면도로써 신발앞쪽 슬라이딩패드부(110)는, 전후이동이 가능토록 신축성 및 탄성이좋은 루버(160)가 함께 일체로 구성되며 신발뒷축(140)또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로울러(500)및 분할로울러(500a)를 장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도면과 같이 예시되어있다.
도4는, 신발밑창(120)의 중간부분, 즉 허리쇠부분에 장착되어 로울러작동부(300)의 이동력을 구속하고 또 슬라이딩패드부(110)의 이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로울러작동부(300)의 이동력을 해제시키는 스토퍼부(360)로 판스프링(435)과 일체로된 일방향걸림턱(220)이 구동프래임(270)에 의거 고정프래임과 함께 압박된체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패드부(110)의 이동력에 따라 가이드래버(280)가 구동프래임(270)을 인위적으로 절체시켜 구속력을 해제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져있다.
도5는, 신발밑창(120)에 장착된 2,3조랜딩부를 도시한 측 단면도로써 신발본체(100)저면부에 장착된 각기로울러의 설치구조와 로울러랜딩부(250)로 상기 로울러작동부(300)에서 구동인가된 이동력이 2조또는 3조로 구성된 로울러랜딩부(250)측 구동프래임(270)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로울러(500)가 수직상승 및 수직하강하는 구성으로 되어있으며 수직상승시 압축코일스프링(520)에 의해 탄성복원력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있다.
도6은, 도5와 동일한 구성이나 특이한 점은 이동력 대신 회전력으로 하여 치결합된 베벨기어(630)가 상호 회동하여 로울러(500)와 일체로된 지지축(330)을 구동프래임(270)에 형성된 켐형태의 미끄럼구조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져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로울러 작동부(300)는, 신발뒷축(140) 끝 부분에 장착되되 구동프래임
(270)이 전 후 이동될 수 있도록 신축성과 유연성 또는 탄성이 좋은 루버(160)로 내 외장을 도포하고, 고정프래임(260)과 대향되게 구성된 상기 구동프래임(270)일 측 단부에 압축 코일스프링(520)을 억지끼움 결합하여 인위적인 압입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이동력을 로울러랜딩부(250)에 인가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프래임(270)단부에 가이드바(290)가 삽입되도록 요홈부를 형성하여 압입구동시 상기 가이드바(290)가 요홈부내에서 앞 뒤로 이동할 수 있게된다.
또한, 구동프래임(270)의 좌우 유격방지를 위하여 안내요홈(285)을 형성하고 고정프래임(260)의 가이드바(290)를 안내요홈에 삽설하여 전후 이동시 좌우 흔들림 또는 유격등을 방지하고, 인위적 압입구동시 앞으로 전진하였다가 곧바로 압축코일스프링(520)의 탄성력에 의하여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된다.
이때, 이동된 구동프레임(270)은 로울러랜딩부(250)측의 구동프래임(270)을 일정거리 많큼 이동시키게되고 도2 또는 도5,6에서와 같이 로울러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장착된 상기 구동프래임(270)과 축 지지연결된 가이드바(290)와 지지축(330)이 고정프래임(260)의 안내요홈(285)를 타고 로울러구동부(200)를 수직으로 들어올려 신발밑창(120)으로부터 돌출시키게 되고 돌출된 로울러는 압축코일스프링(520)과 상기 구동프래임(270)배면에 장착된 인장스프링(525)미도시부분 에 의하여 다시금 탄성복귀력을 유지하게 되는것으로 스토퍼부(360)의 구속과 해제에 따라 수직적승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승강이후 하강이 쉬워지도록 상기 구동프래임(270)의 바닥면에는 미끄럼베어링(640)을 일체로 형성하고 더불어 장치사용자의 하중을 하강시에 작용할 수 있도록 안내요홈(285)의 상승부가 비스듬히 형성되어 이동력을 구속하고 있는 스토퍼부(360)를 구속에서 해제시키게 되면 스프링의 탄발력에 따라 신속하게 미끌리면서 상기의 로울러구동부(200)를 들어올린 가이드바(290)와 지지축(330)이 동시에 고정프래임(260)의 안내요홈(285)을 타고 순식간에 함께 수직으로 하강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와 같은 로울러랜딩부(250)는, 전후 이동력을 바탕으로 한 승하강 랜딩이며, 또 다른 일실시예로써 도6에서와 같이 회전식 승 하강 랜딩은, 신발본체(100)의 전후방으로 부터 인가되는 회전력을 회전봉(430)으로 인가받아 스프링의 탄발력과 병행하여 구동하는 것으로서 서로 대향되게 장착 체결된체 치 결합된 복수의 베벨기어(630)가 구동프래임(270)을 회동시켜 지지축(330)을 들어올리게 하는 구성으로 이 또한, 고정프래임(260)에 형성된 안내요홈(285)을 따라 상기 가이드바(290)와 지지축(330)이 수직 승 하강하는 것으로 특이한 점은 가이드바(290)와 지지축(330)이 상승시 구동프래임(270)에 형성된 요홈부가 캠 형태의 미끄럼구조로 되어 구동프래임(270)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착 지지된체 미끄럼식 승 하강이 가능토록 지지축걸림요홈부(335)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 한편, 스토퍼부(360)는, 전 후 이동력을 구속 또는 해제하여 로울러구동부(200)를 돌출 및 내입시키는 주 제어장치로 도1,2,4에서와 같이 신발본체(100)의 허리쇠 부분에 장착되어 판스프링(435)을 단속하는 것으로 고정프래임(260)과 구동프래임(270) 그리고 일방향걸림턱(220)과 원형회전봉(430) 및 가이드래버(280) 압축코일스프링(520)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토퍼부(360)의 고정프래임(260)은, 신발밑창(120)과 일체로 고정되되 내면에 다각형을 갖춘 구동프래임(270)을 수용하여 축 지지하고 또한 상기 구동프래임(270)의 내면 중심축에 압축코일스프링(520)또는 비틀림스프링등을 더 내제하여 축 지지로부터 일방향으로만 탄성되고, 구동프래임(270)양 단부에 가이드래버(280)가 축설되어 이동력전달을 위한 전후 판스프링(435)과 일체로 연결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스토퍼부(360)는 신발본체(100)의 허리쇠부분에 장착되되 일방향걸림턱(220)을 형성하여 고정프래임(260)과 구동프래임(270)사이에 내면상 삽설되어 항상 일방향으로만 탄성되는 구동프래임(270)과 판스프링(435)상의 일방향걸림턱(220)이걸림유지를 하게되어 압입 구동에따라 전진은 가능하나 역진은 스토퍼기능에 의해구속되어 이후 신발 앞면부에 장착된 슬라이딩패드부(110)의 인위적인 압입마찰 이동력에 준하여 상기 스토퍼부(360)의 역진방지 기능을 해제함과 동시에 판스프링(435)에 실린 탄발력 즉 탄성복귀력에 따라 신속하게 후퇴하여 랜딩하는 것이다.
삭제
더불어, 상기 슬라이딩패드부(1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밑창(120)의 전면부 토(toe)부분에 장착되어 힘을 가한 압입 또는 마찰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밀리는 이동력을 이용 상기 스토퍼부(360)의 역진방지 즉 구속기능을 해제하는 것으로써, 장치부위의 신발밑창(120)은 루버(160)에 의하여 소정의 넓이많큼 전후 이동이 가능케되며 패드와 일체로 고정된 브라켓(210)이 판스프링(435)과 연결되어 이동력이 상기 스토퍼부(360)에 인가되는 구성으로써 슬라이딩패드부(110)는 신발밑창(120)보다 더 돌출되게 성형되어진다.
계속하여, 로울러장착부재(350)는, 전 후방 로울러를 축 지지하면서 수직 승하강을 돕는 장착부재로써 특히, 전면부 분할로울러(500a)를 다양한 크기와 장착 수량 또는 여러형태로 구성할 수 있도록 고정프래임(260)과 구동프래임(270)그리고 판스프링(435)등에 가변성을 주어 신발밑창(120)내에서 상기 분할로울러(500a)및 로울러(500)가 기능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고, 판스프링(435)은 보행시 신발본체(100)가 상하 롤링이 가능하도록 탄성과 유연성이 좋아지도록 그 두께 와 넓이등을 적절히 조절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끝으로, 신발본체(100)외주면에 장착되는 안전장치부(320)는, 주행 또는 보행시 로울러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로울러랜딩부(250)의 지지축(330)과 고정프래임(260)사이에 가이드래버(280)의 고정핀으로 하여금 장금장치(미도시부분)를 두어 전후 이동력을 차단 하므로써 로울러의 돌출시는 내입이 안되고 내입시는 돌출이 안되도록 기능해제등을 포함하여 주 보행시 안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로울러의 개폐여부를 선택하여 차단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동을 종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행중 주행을 위한 준비단계로 한쪽신발 뒷축을 들어 지면에 툭 치듯 압입하면 신발뒷축(140)에 장착된 구동프래임(270)이 압축코일스프링(520)을 밀침과 동시에 로울러랜딩부(250)의 구동프래임(270)과 일체로 된 가이드바(290)를 밀쳐서 전진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서 구동프래임(270)에 형성된 안내요홈(285)에 삽설된 전후방 로울러구동부(200)의 지지축(330)이 안내요홈(285)을 따라 수직 상승하게 되므로써 신발밑창(120)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압입과 동시에 이동되는 판스프링(435)은 전후방 연결되어 신발 허리쇠 부분에 장착된 스토퍼부(360)에 의하여 걸림상태를 유지하게 되어서 상기 전후방 로울러가 다시금 내입을 할 수 없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선 돌출된 편발을 사용하여 주행을 진행하면서 다른 한쪽발도 동일한 방법으로 돌출시켜 양발로 주행을 할 수 있게되고, 이후 주행시 보행을 위한 내입 및 돌발사태에 따른 정지등은, 상술된 바와 같이 기 돌출된 로울러는 신발밑창(120) 전면부에 장착된 슬라이딩패드부(110)를 짓눌러 마찰식 브래이크기능으로 활용하여 속도를 줄임과 동시에 상기의 이동력을 판스프링(435)을 통해서 스토퍼부(360)의 가이드래버(280)를 회동시켜 걸림유지를 해제하고 판스프링(435)에 유지된 기 탄발력 즉 탄성복귀력에 따라 상기 판스프링(435)을 후퇴시켜 돌출된 로울러가 신속히 수직 하강으로 내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보행 및 주행중에 있어서, 그동작 흐름을 깨지않고 그대로 유지한체 다음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것과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모든기능이 신발밑창에서 완성되도록하여 간편성을 제공하는것 그리고, 주 보행시에 있어서 안전장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되는 것과 아울러 돌발상황시 급속착지 및 급정거로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사용자가 순간적인면에서 효울적인 안전성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8)

  1. 신발밑창(120)에 로울러(500)및 분할로울러(500a)가 장착되는 로울러슈즈에 있어서,
    신발뒷축(140)에 장착되어 인위적인 압입구동에 의해 이동력을 발생하는 로울러작동부(300);
    상기 로울러작동부(300)와 슬라이딩패드부(110)의 이동력을 구속하거나 해제하여 로울러가 수직상승 또는 수직하강되도록 유도하는 스토퍼부(360);
    상기 이동력으로 하여금 전후방 로울러를 수직 승하강식으로 돌출 또는 내입시키는 로울러랜딩부(250);
    신발본체(100) 전면부 분할로울러(500a)를 다양한 형태로 장착 가능케하는 로울러장착부재(350); 및,
    주행시 보행전환 또는 급속착지및 급정거요구시 신속하게 로울러를 내입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패드부(110)와 주 보행시 안전상 로울러 개폐여부를 선택 차단할 수 있는 안전장치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작동부(300)는, 고정프래임(260)과 대향되게 구성된 구동프래임(270)일측단부에 압축코일스프링(520)을 억지끼움 결합하고 구동프래임(270)단부에 가이드바(290)가 삽입되도록 요홈부를 형성 압입구동시 가이드바(290)가 요홈부내에서 앞 뒤로 이동되고, 구동프래임(270)의 유격방지를 위해 안내요홈(285)을 형성 고정프래임(260)의 가이드바(290)를 안내요홈(285)에 삽설하되구동시 상기 구동프래임(270)과 축 지지연결된 가이드바(290)와 지지축(330)이 고정프래임(260)의 안내요홈(285)를 타고 로울러구동부(200)를 수직으로 들어올려 신발밑창(120)으로부터 돌출시키며 돌출된 로울러는 스프링의 탄성복귀력을 유지한체 스토퍼부(360)의 구속력 해제에 따라 수직하강으로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랜딩부(250)는, 승하강이 쉬워지도록 구동프래임(270)바닥면에 미끄럼베어링(640)이 일체로 형성되고 안내요홈(285)의 상승부가 비스듬히 형성되어 스토퍼부(360)의 구속력 해제시 각 스프링의 탄성복귀력과 신체하중에 따라 신속하게 미끌리면서 로울러구동부(200)를 들어올린 가이드바(290)와 지지축(330)이 함께 고정프래임(260)의 안내요홈(285)을 타고 수직 하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랜딩부(250)는, 원형회전봉(430)으로부터 인가받은 회전력을 베벨기어(630)를 통하여 구동프래임(270)을 회동시켜 지지축(330)을 들어올리고 상기 지지축(330) 상승시 구동프래임(270)에 형성된 요홈부가 캠 형태의 미끄럼구조로 되어 구동프래임(270)에서 이탈하지않고 안착 지지된체 미끄럼식 승 하강이 가능토록 지지축(330) 걸림요홈부(3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
  5. 제 1항에 있어서, 스토퍼부(360)는, 고정프래임(260)과 신발밑창(120)이 일체로 고정되고 내면에 다각형을 갖춘 구동프래임(270)이 축 지지되며 구동프래임(270)내면 중심축에 압축코일스프링(520)이 삽설되어 축 지지로부터 일방향으로만 탄성되고, 구동프래임(270)양단부에 가이드래버(280)가 축설되어 슬라이딩패드부(110)측 판스프링(435)과 일체로 연결장착되고, 구동부 판스프링(435)은 고정프래임(260)과 구동프래임(270)사이에 내면상 삽설되어 항상 일방향으로만 탄성되는 구동프래임(270)과 판스프링(435)의 일방향걸림턱(220)이 걸림 유지되어 압입구동시 전진 후 고정되고 역진은 스토퍼기능에 의거 구속되어 항상 슬라이딩패드부(110)의 이동력에 따라 역진기능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안전장치부(320)는, 신발뒷축(140) 로울러랜딩부(250)의 지지축(330)과 고정프래임(260)사이에 가이드래버(280)의 고정핀으로 장금장치되고이동력이 구속 차단되어 돌출시는 내입이 안되고 내입시는 돌출이 안되며 기능해제 등과 아울러 로울러의 개폐여부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
  8. 삭제
KR1020030075570A 2003-10-28 2003-10-28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 KR100543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570A KR100543832B1 (ko) 2003-10-28 2003-10-28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570A KR100543832B1 (ko) 2003-10-28 2003-10-28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704U Division KR200342303Y1 (ko) 2003-11-05 2003-11-05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666A KR20030089666A (ko) 2003-11-22
KR100543832B1 true KR100543832B1 (ko) 2006-01-23

Family

ID=3238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570A KR100543832B1 (ko) 2003-10-28 2003-10-28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38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317B1 (ko) * 2006-02-11 2008-02-18 김설민 로울러슈즈 어셈블리
KR101042776B1 (ko) * 2007-08-27 2011-06-20 권혁숙 자전거 전원 제어 장치
KR101256365B1 (ko) * 2012-01-27 2013-04-25 주식회사 미디온 착탈식 바퀴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666A (ko) 200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626B1 (ko) 롤러 스케이트
JPH0356074B2 (ko)
ITMI20091419A1 (it) Talloniera a piu' posizioni ed aggancio/sgancio facilitato per attacchi da sci alpinistico.
KR100543832B1 (ko)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
ITVI20080182A1 (it) Metodo di frenatura di attrezzi sportivi, dispositivo di frenatura ed attrezzo sportivo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di frenatura
KR200222388Y1 (ko) 도로용 롤러-보드
GB2363078A (en) An in line roller skate
KR200342303Y1 (ko) 이동식 승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
WO2012100680A1 (zh) 步行轮滑两用鞋
RU2599701C2 (ru) Роликовый конек
KR100391949B1 (ko) 도로용 롤러-보드
KR20050052219A (ko) 승하강식 랜딩 기능을 구비한 로울러슈즈
CN101274136A (zh) 滑雪板减速器
KR100546005B1 (ko) 충격 흡수구조를 갖는 인라인 신발
DE19631882A1 (de) Sportgerät mit Rollen
EP2630999A1 (en) Rotary attachment device for snowboards
KR200414574Y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39041Y1 (ko) 바퀴달린 썰매
KR200323155Y1 (ko) 인라인 스케이트 속도 감속 및 정지 장치
KR20060001897A (ko) 윈도우식 승 하강 랜딩구조를 갖는 로울러슈즈
CN211705863U (zh) 一种滑草装置
JP3937091B2 (ja) 歩行補助具
JP4084056B2 (ja) 歩行補助具
KR200316658Y1 (ko) 인라인 스케이트
EP0904809B1 (de) Schwenkbare Verbindungseinrichtung zwischen einem Sportgerät und einer Aufstandsfläche für einen Fuss eines Benutzers sowie Bindung zur Halterung des Fusses auf einem Sportgerä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