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849B1 - 자동차 도어용 래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용 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849B1
KR930000849B1 KR1019870004234A KR870004234A KR930000849B1 KR 930000849 B1 KR930000849 B1 KR 930000849B1 KR 1019870004234 A KR1019870004234 A KR 1019870004234A KR 870004234 A KR870004234 A KR 870004234A KR 930000849 B1 KR930000849 B1 KR 930000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r
recess
latch
wall surface
latch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4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276A (ko
Inventor
이찌오 이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고오교
우에무라 마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고오교, 우에무라 마사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고오교
Publication of KR880007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도오용 래치
제1도는 자동차에 대한 자동차용 도어 로크 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2도는 자동차의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의 자동차용 도어 로크 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도어용 래치(Latch)의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Ⅳ-Ⅳ선 단면도.
제5도는 내지 제10도는 동작 설명도.
제11도는 요(凹)부와 스트라이커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제12도는 제9도의 Ⅶ 부분 확대도.
제13도는 제10도의 Ⅶ 부분 확대도.
제14도는 닫힌 상태의 도어에 그것을 개방시키고자 하는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 있어서의 래치요소와 폴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15도는 제14도의 XV 부분 확대도.
제16도는 도어를 천천히 닫았을 경우의 폴 로크 상태에 있어서의 래치요소와 폴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17도는 래치요소의 요부에 있어서의 탄성체의 형상이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18도 및 제19도는 종래의 자동차 도어용 래치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틀 2, 52 : 래치요소
4, 54 : 스트라이커 7 : 몸체
9 : 요부 10 : 선행측 벽면
11, 15 :탄성체 14, 58 : 후행측 벽면
17, 18, 62 : 발톱 27 : 무음체
53 : 폴 59 : 심부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용 래치에 관한 것이로서, 상세하는, 작동시에 있어서의 큰 음향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 도오용 래치에 관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4,073,519호에 표시되어 있는 종래의 자동차 도어용 래치는, 자동차의 도어를 닫을 경우, 제18도에 바와 같이, 우선 래치요소(52)가 스트라이커 (54)에 근접한다. 이어서 래치요소의 요부(55)의 입구 벽면(56)이 스트라이커에 맞닿는다. 맞닿은 후, 래치요소(52)는 제18도에 표시된 개방위치로부터 제19도에 표시된 풀 로크위치까지 스트라이커에 의해서 화살표(63) 방향으로 돌려진다. 그 과정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커(54)는 상기 래치요소(52)에 설치된 요부(55)에 면하고, 그 입구로부터 심부(59)까지 상대저으로 진입한다. 또 상기 와 같이 래치요소(52)가 풀 로크 위치까지 돌아가므로서, 풀 로크용의 발톱(62)이 폴(53)과 걸어 맞추어진다. 이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진 결과, 제19도와 같은 풀 로크 상태가 달성된다.
이와 같이 동작이 행하여지는 경우, 사기 요부(55)의 입구 부준에서는, 상기 요부(55)에서 상기회동방향의 선행측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소음(消音)부재(57)가 상기 스트라이커(54)와 맞닿을 시의 음향 발생을 방지한다. 그러나 그 맞닿음 충격으로 래치요소(52)가 화살표(63)방향으로 급 회동하면, 상기 요부(55)의 입구 부분에서의 상기 회동방향의 후행측 벽면(58)이 상기 스트라이커(54)에 닿아서, 충돌음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요부(55)의 심부(59)에서의 폭(60)은, 일반적으로, 상기 스트라이커(54)의 설계상의 직경 보다도 크게 설계된다. 그 이유는 상기의 폭(60)을 스트라이커 (54)의 일반적인 직경과 같게 설계해두면, 간혹 스트라이커(54)의 치수 공차에 의해서 스트라이커의 직경이 커질경우, 상기 심부(59)에 끼워져 들어간 스트라이커(54)를 그곳으로부터 해방시키고자 할때, 그곳의 벽면이 스트라이커에 걸려서, 그 심부(59)로부터의 스트라이커(54)의 빠져 나옴이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의 폭(60)을 스트라이커(54)의 직경 보다도 작게 한 경우에는, 상기와 동일한 현상이 생기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스트라이커(54)의 직경과 비교해서 폭(60)이 크면, 상기 도어를 닫을때의 동작광정에서, 상기 요부의 심부(59)에 상기 스트라이커(54)가 진입했을 때, 심부 (59)의 벽면과 스트라이커(54)와의 사이에는 틈이 생긴다. 이 때문에 상기 스트라이커 (54)에 대해서 상기 래치요소(52)는 요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래치요소(52)가 요동하면 상기 심부(59)에서의 후행측 벽면(61)이 상기 스트라이커(54)에 닿아서 소리가 발생한다.
그런데 상기 패치요소의 급회동을 원인으로 하는 상기의 훙돌음은 상기 요부의 입구에서의 후행측 벽면(58)에 소음부재를 부착하므로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심부(59)에서의 후행측 벽면(61)은, 풀 로크상태에서 상기 스트라이커(54)와 걸어맞춤을 위한 면이다. 따라서, 그곳에는 소음 부재를 부착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상기 틈의 존재를 원인으로 하는 상기의 음향 발생은 불가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자동차의 도어를 닫을때, 래치요소의요소입구의 벽이 스트라이커에 닿고, 이어서 그 스트라이커에 의해서 래치요소가 개방위치로부터 풀 로크 위치까지 돌려져, 그 회동 과정에서 래치요소의 요부내로 스트라이커가 진입하고, 또 상기 풀 로크 위치까지 돌려져, 그회동 과정에서 래치요소의 요부내로 스트라이커가 진입하고, 또 상기 풀 로크 위치에서 패치요소의 풀 로크 발톱이 풀과 걸어맞추어져서 풀 코크 상태가 달성되도록 한 자동차 도어용 래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동작이 큰 음향의 발생없이 조용히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차 도어용 랫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스트라이커에 대해서 상기 래치요소의 요부 입구의 벽이 맞닿을때의소리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 도어용 래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 스트라이커에 대하여 상기 래치요소의 요부 입구의 벽이 맞닿쳤을 때의 충격에 의해서 래치요소가 급회동하여, 상기 요부의 입구 부분에서의 상기 회동방향의 후행측 벽면이 스트라이커와 충돌하여도, 그 충돌시의 소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도어용 래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요부의 심부에 진입할때, 소리의 발생원인 그 자체를 없게 하여, 조용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자동차 도어용 래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요부의 심부 폭을 상기 스트라이커의 직경이 하로 하고 있다. 따라서 요부의 심부 양 벽면과 스트라이커와의 상이에는 틈이 없다. 이 때문에, 스트라이커에 대해서 래치요소는 요동할 수가 없다. 즉, 소리의 발생원인이 없다. 따라서 상기 심부로의 스트라이커 침입은 조용히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와같이 요부의 심부 폭을 상기 스트라이커의 직경 이하의 치수로 하여도, 그 심부에 끼워 들어간 스트라이커를 해방시킬때 원활히 해방되도록 한 자동차 도어용 래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요부의 심부에서의 선행측 벽면을 탄성체로서 형성하고, 또한 그 형상을 유연한변형의 가능한 형상으로 하였다. 이 때문에, 상기 스트라이커를 상기 심부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할때, 상기 벽면은 상기 스트라이커의 이동에 따라서 유연하게 변형한다. 그 결고, 스트라이커의 원활한 이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상기 요부에서의 심부에는 양 벽면과 스트라이커와의 사이의 틈을 없도록 한 것이다. 더우기 이 심부에서으 ㅣ후행측 벽면은, 도중까지는 탄성체로서 형서되고 그안쪽은 경질재로 된다하더라도, 스트라이커가 이들 경계를 통항때, 스트라이커의 진행에 장해가 되는 단차가 그 경계에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스트라이커를 심부로 향해 원활히 진입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도어용 래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폴이 패치요소에서의 풀 로크용 발톱을 걸리게 할때, 그 동작이 조용히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차 도어용 래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를 닫을때, 도어의 관성에 의해서 래치요소는 개방위치로부터 풀 로크 위치를 약간 오버해서 둔다. 다음에 그 래치요소는 개방위치를 향해서 되돌아 회동한다. 그 과정에서, 상기 풀 로크 위치에서, 상기 래치요소의 풀 로크용 발톱의 걸어맞춤면이, 폴에서의 걸림면과 맞닿는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걸어맞춤면에 마련된 무음체가 걸림면과 맞닿는다. 이 때문에, 상기 걸림은 큰 충격음은 발생없이 조용히 이루어진다.
본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조용한 동작 목적으로 상기 걸어맞춤면의 무음체를 설치할지라도, 상기 래치요소에 개방위치로 향한 큰 힘이 가해졌을때는, 상기 무음체가 눌려 압축되어서 상기 풀 로크용 발톱의 단단한 걸어맞춤면 그 자체가 상기 폴의 걸림면에 직접 맞닿고, 그 결과, 풀 로크 위치에서의 사기래치요소의 걸림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도어용 래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무음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와같은 충격음의 발생의 방지 효과를 긴 수명을 통해서 발휘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용 래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무음체는 상기 걸어맞춤면에 형서오딘 요부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의 경우, 상기와 같이 무음체가 압축되어, 상기요부에 의해서 음체의용적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무음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 상태가 해제된 후에는 무음체가 다시 원형상으로 복귀하여, 상기와 같은 충격음의 발생 방지효과를 장기간 동안 발휘한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및 제2도에 있어서, 자동차용 도어 포크 장치에는, 자동차(40)의 보디 (41)에 부착한 스트라이커(4)와, 도어(42)에 부착한 도어용 래치(44)로서 구성된다. 이 도어용 래치(44)는 제2도 및 제3도에 잘 표시되어 있는바와같이, 기틀(1)과, 거기에 각각 창작해 놓은 래치요소(2) 및 폴(3)을 포함한다. 상기기틀(1)은 금속판, 예를들면 철판을 프레스 성형하거나, 혹은 합성수지 재료를 틀성형하므로서 주지하는 바와 같이 형성되고 있다. 5는 스트라이커 도입용의 홈을 나타낸다. 다음에 래치요소(2)는 축(6)으로서 기틀(1)에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래치요소(2)는 그 몰체(7)가 경질재료, 예를들면 철 등의 금속제로서,형성되고, 그 주위는 일부를제외하고는 피복체(8)로 피복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7)는 다른 경질재, 예로서 세라믹스로 구성해도 좋다. 상기피복체(8)로서는 고무 또는에라스토머가 사용되며, 몸체(7)와 완전히 일체화되고 있다. 상기 래치요소(2)는, 스트라이커와의 끼워맞춤용의 요부(9)와 하프 로크용의 발톱(17) 및 풀 로크용의 발톱(18)을 가지고 있다. 상기 기워맞춤용의 요부(9)는, 제11도에 명시된 바와 같이, 입구에서의 양벽면(10, 14)사이의 폭 치수(W)가 스트라이커(4) 직경(D)보다 크고, 심부에 이를수록 폭치수가연속으로 좁아지며, 풀 로크 상태에서 스트라이커가 위치한는 부분(가장 깊은부분)에서의 양 벽면(10, 14) 사이의 폭 칫(W') 스트라이커의직경(D)보다 다소 좁게 (예로서 0.2mm정도 좁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건 명세서주에서는, 이 요부(9)에 있어서, 상기 폭 치수가 스트라이커(4)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있는 구간을 도입부(9a)라고 하며, 풀 로크 상케에성 스트라이커 (4)와 접하는 상태가 되는 구간을 끼워맞춤부(9c)라 하고 이들 상호간의 구간을 안내부(9b)라 한다.
또한 당연히, 상기 안내부(9b)에서의 상기 폭 치수는 상기 스트라이커(4)의 직경과 동일 내지는 그보다 작다. 상기 요부(9)의 내면에서 벽면(10)은 스트라이커에 의해서 래치요소(2)가 제3도에 나타낸 개방위치로부터 제10도에 나타낸 풀 로크 위치를 향해서 눌러 돌려지는 방향으로 선행측으로 벽면으로서, 그곳은 탄성체(11)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탄상체(11)는, 상기 피복체(8)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탄성체 (11)는, 스트라이커(4)의 초기에 맞닿는 부이(12 : 제5도 참조)로부터 폴 로크 위치에 있어서의 스트라이커와의 맏닿는 부위(23 : 제10,11도 참조)까지의 전 범위에서의 벽면(10)을 구성하고 있다. 즉, 도입부(9a), 안내부(9b), 끼워맞춤부 (9c)의 전 구간 벽면(10)이 이 탄성체(1!)로 구성되어 있다. 벽면(14)은 상기 눌러 돌리는 방향의후행측의 벽면이다. 이 벽면(14)은, 요부(9)으 입구측 부분만이 탄성체(15)로 구성되어 있다. 이 탄성테(15) 또한 상기 피복체(8)의 일부로서구성되어 있다. 이 탄성체(15)는, 상기 의벽면(14)에 있어서, 상기 초기 맞닿는 부위(12)와 대향하는 부분으로부터, 요부 (9)의 폭(W'')이 스트라이커(4)의 직경(D)과 같아지는 부분(24 : 제11도 참조)을 남고, 또 풀 로크 위치에서의 스트라이커와의 맞닿는 부위(16 : 제10,11도 첨조)까지는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의 벽면(14)을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도입부(9a)와, 안내부 (9b)에서의 도입부쪽 부분에서, 이들 부분에서,이들 부분의 상기 후행측 벽면(14)이 탄성체(15)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곳으로부터 풀 로크 끼워맞춤부(9c)까지의 범위, 즉 풀 로크 위치에서의 스트라이커(4)와의 맞 닿는 부위(16)까지으 범위에서 상기의 면(14)은 경질재료로서 형성되고 있다. 즉 몸체(7)의 금속면이 노출하고 있다. 상기 탄성체(11)와 탄성체 (15)는 각각 단면 형상을 제4도와 같이 형성하여, 탄성체(11)에는 탄성체 (15)보다도 탄성체(11)쪽이 스트라이커(4)와의 접촉면적이 작아져서 탄성 변형하기 쉽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탄성체(11)는 제1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단면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종다. 또한, 탄성체(11)에는탄성체(15)보다도 연질의재료를 써, 그것들을 동형으로형성하여도 좋다. 다음에 상기 풀 로크용의 발톱(18)은, 제12도에 잘 나타나 있듯이 몸체(7)가 노출하고 있는 걸어맞춤면(18a)을 가지고 있다. 그 걸어맞춤면(18a)에서 래치요소(2)의 중심에 가까운 부분에는 요부(26)가 형성되어 있다. 그 요부(26)에는 상기 피복체(8)의 일부에 의해서 구성된 무음체(憮音體)(27)가 갖추어져 있다, 그 무음채(27)의 표면은 상기 걸어맞춤면(18a)보다도 돌출해 있다. 그 돌출 치수 P는 예컨대 0.1∼0.2mm 정도이다. 다음, 폴(3)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축(20)으로서 기틀(1)에 원추형으로 집합되어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주지(周知)의 스프링으로 제3도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고 있다. 이 폴(3)을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걸리도록 한 발톱(21)과, 피 조작부(22)등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물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도의 상태에서 도어(42)를 보디 (41)로 향해서 이동시키면, 도오용 래치(44)는 스트라이커(4)에 대해서 제3도와같이 접근하여 온다. 그리고 곧 제5도와 같이 개방위치에 있는 래치요소(2)는, 그 요부(9)의 벽면(10)의 초기 맞닿는 부위(12)에서 스트라이커(4)와 맞닿는다. 그러면 그 스트라이커(4)에 의해서 래치요소(2)는 제5도의 화살표(C) 방향으로 돌려진다. 래치요소(2)가 이와같이 회동하면, 스트라이커(4)는 요부(9)를 향해서 순차 진입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초기 맞닿는 부위(12)는 탄성체(11)로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곳이 스트라이커(4)에 맞닿을때에 큰 음향의 발생은 없다. 또 그 맞닿음의 충격이 크면 래지요소 (2)는 화살표(C) 방향으로 튀어 돌아가므로서, 제6도오 같이 벽면(14)이 스트라이커에 맞닿는다. 그러나 그 벽면(14)은 탄성체(15)로서 구성도어 있으므로, 큰 충돌음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상기와같은 더어의 닫힘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르는 도어용 래치의 이동이 계속됨으로 인하여, 제7도와 같이 벽면(10)이 다시 스트라이커(4)에 맞닿는다. 그러나 이 맞닿는 부분도 탄성체(11)로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큰 음향의 발생은 없다.
상기와 같은 경과를 거치면서 래치요소(2)의 회동이 계속되므로 즉 제8도에서와 같이, 풀(3)의 걸림발톱(21)이 하프 로크용의 발톱(17)을 건너서 넘는다. 이때, 탄성체(19)는 걸림발톱(21)의 충돌에 의한 충격음 발생을 방지한다. 그리고 또한 도어의 닫힘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르는 도어용 래치의 이동이 계속됨으로 인하여, 래치요소(2)는 제8도의 화살표(E) 방향으로 더 회동한다. 그 결과 스트라이커 (4)는 요부(9)의심부로 계속 진입한다. 이어서, 제2도와 같이, 도오(42)에 부착되어 있는 웨지 스트립 (45)이 압축되어서 상기 도오(42)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때 래치요소(2)는 제9도와 같이 풀 로크 위치를 약간 오버한 위치까지 돌고 있다. 또 폴(3)은 걸림발톱(21)에서의 걸림면(21a)이 풀 로크 발톱(18)의 걸어맞춤면(18a)과 대향하는 위치까지 돌아가 있다. 이러한 상태후에, 도어(42)는 상기 웨지 스트립 (45)의 탄성력에 의해서 외부쪽으로 밀려 되돌아간다. 그 결과, 도어용 래치(45)는 스트라이커(4)에 대하여 제9도의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하여 래치요소(2)는 제9도의 화살표(G) 방향으로 되돌아간다. 이와같이 하면 제10도 및 제13도에 표시된 바ㅘ 같이, 풀 로크용 발톱 (18)에서의 무음체(27)가 폴(3)의 걸리면(21a)에 맞닿으므로, 그 맞닿을시 큰 음향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동작과장에서, 초기 맞닿는 부위(12)가 스트라이커(4)에 맞닿고 나서, 스트라이커(4)가 요부(9)의심부에까지 이르는 과정을, 제11도에 의거 상술한다. 제11도에서 (a)에 표시한 바와같이 초기 맞닿는 부위(12)가 스트라이커(4)에 맞닿을 경우, 초기 맞닿는 부위(12)는 탄성체(11)로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큰 음향의 발생은 없다. 다음에 스트라이커(4)는 요부(9)의 도입부(9a)를 진입하낟. 그 ㅗ가정에 있어서는, 래치요소(2)가 스트라이커(4)에 대하여 요동을 하여도, 도입부 (9a)에서의 양 벽면(10,14)은 공히 탄성체(11,15)로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큰 음향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다음, 스트라이커(4)는 안내부(9b)를 끼워맞춤부(9c)로 향하에 하여 전진한다. 이때는 양 벽면(10,14)과 스트라이커(4)와의 사이에 틈이 없다. 따라서 래치요소(2)는 스트라이커(4)에 대해서 요동하지 않으며, 음향의 발생은 없다. 상기와 같이 스트라이커(4)가 안내부(9b)를 전진시키는 과장에서, 스트라이커(4)는 (c)에 표시돈바와같이, 후행측의 벽면(14)에서 탄성체(15)의 부분과 금속면이 노출하는 부분과의 경계를 통과한다. 이 통과의 경우, 경계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서 이들 부분 상호간의 단(段)차가 생기지 않으므로, 스트라이커(4)는 경계를 원활하게 통과한다. 즉, 상기 경계부근에서 양 벽면(10,14)간의 폭이 스트라이커(4)의 직경과 같을때는, 물론 단차가 생기지 않는다. 한편, 이미 상기 경계보다도 앞(도입부(9a)측)의 위치에서 양 벽면(10, 14)간의 폭이 스트라이커(4)의 직경보다 자강지고 있을때는, 앞서 말한 바와같이 벽면(14)에 비해 벽면(10)쪼이 변형하기 쉽도록 형성해 놓았으므로, 스트라이커(4)는 벽면(10)을 압축변형시키면서 진행한다. 이 때문에, 벽면(14)에서 상기 단차는 생기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안내주(9b)로 전진한 스트라이커(4)는(d)와 같이 끼워맞춤부 (9c)에 도달한다. 즉, 풀 로크 상태의 위치까지 도달한다. 이 경우, 스트라이커(4)는 요부(9)의 저부에 설치된 탄선체(13)가 받혀짐으로서 그곳에 충돌에 의한 충격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스트라이커(4)는, 래치요소(2)와의 충돌에 의한 큰 음향의 발생없이, 풀 로크 상태의 위치까지 진입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풀 로크가 된 상태에서 스트라이커(4)는 금속면이 노출하고 있는 맞닿는 부위(16)에 맞닿는다. 이 때문에, 리채요소(2)와 스트라이커(4)와의걸어맞춤 상태는 확실하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폴 로크 상태에서 가령 자도차에 탄 사람이 도어에 강하게 기대었을때, 도어용 래치(44)에는 제10도에 화살표(H)로 표시하는 방향의 큰 힘이 가해진다. 이와 같은 힘이 가해지면, 래치요소(2)는 스트라이커(4)에 의해서 화살료(I)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끌리는 결과가 되어, 그 화살표 (I)방향으로 돌아가고자 한다. 그럴때는 제14도, 제15도 표시와같이, 걸어맞춤면 (18a)이 직접 폴(3)의 걸림면(21a)에 맞닿는다. 그 결과, 래치요소(2)의 상기 화살표 방향으로의 회동은 정지되고, 상기 풀 로크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도어에 기대는 힘이 없어지면, 상기 요부(26)내의 무음체(27)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제10도 및 제13도에 나타낸 상태로 복귀한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같이 자동차의 도어를 닫을때, 도어(42)를 손으로 밀면서 천천히 닫을 경우에, 도어(42)는 닫힘 동작의 관성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래치요소 (2)는 제9도와 같이 풀 로크 위치를 넘어서 돌지는 않는다. 그 대신, 래치요소(2)가 풀 로크 위치에 도달했을때에,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3)은, 그 걸림면(21a)에 풀 로크 발톱(18)의 걸어맞춤면(18a)을 따라 미끄러져 들어가 발톱(18 )과 걸어맞추어지고자 한다. 이때, 상기 무음체(27)는 발톱(18)의 선단보다는 약간 안쪽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걸림면(21a)에 풀로크 발톱(18a)과 대향하는 상태가 될때가지 폴(3)이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도 확실한 풀 로크 상태가 달성된다.
다음에 스트라이커(4)와 패치요소(2)와의 걸어맞춤 상태를 풀때에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피조작부(22)ㄹ르 제10도에서의 화살표(J)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하여 걸림발톰(21)은 풀로크 발톱(18)으로 부터 풀리고, 래치요소(2)는 반시계방향으로 제3도의 개방위치까지 회동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스트라이커(4)는 요부 (9)로부터 빠져 나온다. 이때, 상기의 벽면(10)은 대단히 유연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트라이커(4)는 원활하게 요부(9)로부터 빠져 나올수가 없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체(11, 15, 13, 19)와 무음체(27)는 독립적으로 형성하고, 각각을 몸체(7)의 각각소정의 장소에 부착하여도 좋다.
다음에 상기 래치요소(2)에 있어서, 상기요부(9)는 제11도에서 (b)의 상태가 되는 부분보다도 안쪽 부분의 폭을, 스트라이커(4)의 직경(D)과 같은 폭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Claims (4)

  1. (a) 자동차 도어에 부착하도록 한 기틀(1)과, (b) 스트라이커(4) 끼워맞춤용의 요부(9)를 가지며, 또한 상기 기틀(1)에 대하여 개방위치와 풀 로크 위치와의 사이의 회동을 자재로 원추형 접합(추착)시키고 있는 래치요소(2)를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용 래치에 있어서, 상기 요부(9)는 입구의 폭 치수가 상기 스트라이커(4)의 직경 보다 크며, 심부의 폭 치수가 스트라이커의 직경 이하이며, 이들 사이에서는 상기 심부측에 도달할수록 폭의 치수가 연속적으로 좁아지고, 또한 이들 중간 위치에서 폭 치수가 상기 스트라이커의 직경과 동일하게 되도록 형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요부(9)에 있어서, 상기 래치요소(2)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풀 로크 위치를 향해서 회전할때의 회동방행 선행측 벽면은 요부(9)의 입구로부터 심부까지의 전 범위가 탄성체로서 구성되고 있는 한편, 상기 요부에 있어서, 상기 회동방향의 후행측 벽면(10)은 요부(9)의 입구로부터 요부의 폭 치수가 스트라이커(4)의 직경과 같아지는 부분을 심부측으로 넘는 점까지의 범위가 탄성체로서 구성되고, 상기의 점으로 부터 상기 심부까지의 범위가 경질재로서 구성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선행측의 벽면(10) 탄성체(11)는, 후행측 벽면(14)의 탄성체(15)보다도 변형하기 쉽도록 형성하여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래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측의 벽면(10)고 후행측의 벽면(14)은 상기 선향측의 벽면이 상기 후행측의 벽면보다도 변형하기 쉽도록 상기 스트라이커(4)에 대한 서너행측의 벽면의 맞닿는 면적을 스트라이커에 대한 후행측 벽면의 맞닿는 면적보다도 작게 하여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래치.
  3. (a) 자동차의 도어에 부착하도록 한기틀(1)과, (b) 스트라이커(4)를 끼워맞추기 우한요부(9)와 풀로크용의 발톱(18)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기틀(1)에 대하여 회동자재로 원추형 접합시킨 래치요소(2)와, (c) 상기 기틀에 대해서 회동자재로 원추형 접합시킨 폴(3)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요소(2)와 폴(3)과의 위치관계를 개방위치로부터 풀 로크위치에 도달한 래치요소가 그 풀 로크 위치에 있어서, 상기 풀 로크용 발톱(18)에서의 걸어맞춤면(18a)이 상기 폴에서의 걸림면과 맞닿고 래치요소(2)의 개방위치로의 복귀 회동이 저지되는 위치관계로 만들어 놓은 자동차 도어용 해치에 잇어서, 상기 풀 로크용의 발톱(18)에 있어서의 걸어맞춤면 (18a)의 일부에는 요부(9)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요부에는 탄성재료로서 형성된 무음체(27)를, 그 무음체의 일부가 상기 걸어맞춤면 보다도 돌출하는 상탤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래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4) 끼워맞춤용의 요부(9)는 입구의 폭 치수가 상기 스트라이커의 직경보다 크고, 심부의 폭 치수가 스트라이커의 직경 이하이며, 이들 사이에서는 상기 심부측에 도달할수록 포 치수가 연속적으로 좁아지고 또한 그 중간위치에서 폭 치수가 상기 스트라이커의 지경과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스트라이커(4) 끼워맞춤용의 요부(9)에 있어서, 상기 래치요소(2)가 상기 개방우치로부터 풀 로크 위치로 향해서 회전할때의 회동방향의 선행측 벽면(10)은, 요부의 입구로부터 심부까지의 전 범위가 탄성체(11)로서 구성도어 있는 한편, 상기 요부(9)에 있어서, 상기 회동방향의 후행측 벽면(14)은 요부의 입구로부터, 요부의 폭 치수가 스트라이커(4)의 직경과 같아지는 부분을 심부측으로 넘는 점까지의 범위가 탄성체(15)로서 구성되고, 상기 점에서 상기 심부까지의 범위가 경질재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선행측의 벽면 탄성체(11)는, 후행측의 벽면 탄성체(15)보다도 변형되기 쉽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래치.
KR1019870004234A 1986-12-19 1987-04-30 자동차 도어용 래치 KR930000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3395 1986-12-19
JP61303395A JPS63156182A (ja) 1986-12-19 1986-12-19 自動車用ドアロツク
JP61-303395 1986-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276A KR880007276A (ko) 1988-08-26
KR930000849B1 true KR930000849B1 (ko) 1993-02-06

Family

ID=1792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4234A KR930000849B1 (ko) 1986-12-19 1987-04-30 자동차 도어용 래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156182A (ko)
KR (1) KR9300008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297Y2 (ja) * 1989-01-27 1995-05-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DE102015204190B4 (de) * 2015-03-09 2020-12-17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Verriegelungseinheit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464B2 (ja) * 1979-12-21 1984-03-09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276A (ko) 1988-08-26
JPS63156182A (ja) 198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6564A (en) Vehicle door latch
US3848911A (en) Motor vehicle door latch
US4580823A (en) Lock arrangement for a vehicle sliding door
JPS5811878Y2 (ja) 自動車用ドアロツク装置
JPH04115072A (ja) 車載用のラッチ装置
JP2729571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H061022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におけるポ−ル
KR930000849B1 (ko) 자동차 도어용 래치
JP3072911B2 (ja) ロック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ラッチ装置
JPH08230612A (ja) シートベルト用のバックル
JPS592273Y2 (ja) 自動車用ドアロツクストライカ
JP2001063517A (ja) 樹脂モールドされた部品
JPH0130512Y2 (ko)
JPH0639861B2 (ja) 自動車ドア用ラツチ
JPH01223902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3098947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拘束機構
JPH0720297Y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S5918022A (ja) 開閉体のロツク装置
JPH0145322Y2 (ko)
JPS6020779Y2 (ja) 自動車用ドアラツチ装置
JPH0127685Y2 (ko)
JP2794395B2 (ja) 収納装置
JP4095201B2 (ja) 戸当り
JP3794466B2 (ja) 開閉ロック装置
JP2566369Y2 (ja) 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6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