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735B1 - 급변화 다이 조립체 - Google Patents

급변화 다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735B1
KR930000735B1 KR1019900016199A KR900016199A KR930000735B1 KR 930000735 B1 KR930000735 B1 KR 930000735B1 KR 1019900016199 A KR1019900016199 A KR 1019900016199A KR 900016199 A KR900016199 A KR 900016199A KR 930000735 B1 KR930000735 B1 KR 930000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die head
passage
transfer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6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380A (ko
Inventor
에프. 스티븐슨 제임스
에이치. 밀러 윌리엄
Original Assignee
젠코프 인코포레이티드
프랭크 씨이. 로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코프 인코포레이티드, 프랭크 씨이. 로오트 filed Critical 젠코프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10015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7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74Bypassing means, i.e. part of the molten material being diverted into downstream stages of the extru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2Articles with an irregular circumferenc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e.g. window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31Curv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2Extrusion nozzles or dies being adjustable, i.e. having adjustable exit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3Extrusion nozzles or dies using dies or die parts movable in a closed circuit, e.g. mounted on movable endless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29C48/335Multiple annular extrusion nozzles in coaxial arrangement, e.g. for making multi-layered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49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two or more extruders to feed one die or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4Coating solid articles, i.e. non-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급변화 다이 조립체
제1도는 본 발명인 급변화 조립체의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인 급변화 조립체에 의해 제조된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의 다이 헤드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인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의 바닥판을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인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의 이송부재의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5-5면을 따라 취해진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의 이송부재의 단부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인 급변화 다이 조립체의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를 피복한 실시예의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인 압출기 다이 조립체를 피복한 실시예의 다이헤드, 이송부재 및 다이판의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8-8면을 따라 취해진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를 피복한 실시예의 다이판의 정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급변화 조립체의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를 피복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제조된 피복 압출물의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인 급변화 조립체의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의 이중 압출 실시예의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11-11면을 따라 취해진 급변화 조립체의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의 이중 압출 실시예중 다이헤드의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인 급변화 조립체의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와 압출물 스위치 부조립체의 정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인 급변화 조립체의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 및 압출물 스위치 부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급변화 조립체 12 : 압출기 다이 조립체
14 : 압출물 스위치 부조립체 16 : 다이헤드
18 : 원통형의 이송부재 19 : 단부기둥
20 : 이송부재통로 22, 23 : 제1 및 제2다이헤드 통로
22A, 23A : 중심축 24 : 축부
26 : 다이면 27 : 다이판
28 : 배열(alignment) 개구부 29 : 다이판
30 : 개구부 32 : 이송통로
34 : 이송 개구부 36 : 핸들부재
38 : 제2이송통로 39 : 제2이송 개구부
40 : 제3다이헤드 통로 41 : 제4다이헤드 통로
42 : 제2이송부재 44 : 제2다이헤드
45 : 이송부재통로 50, 52 : 제1 및 제2다이헤드 통로
54 : 하우징 56 : 스위치 부재
60, 62 : 제1 및 제2하우징 공급 통로 64 : 압출통로
70 : 핸들 부재 80 : 구멍(bore)
81 : 절단부 82 : 테이퍼 분할기판
99 : 이송개구아크(arc) 100 : 아크
본 발명은 압출물 제조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러가지의 압출물 외형 형상과 압출물 이송물질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편리하고 급변화 가능한 만곡 또는 일직선상의 압출물을 압출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출기의 열 챔버(chamber)에 고무 등의 고형의 압출 가능 물질을 채우는 것으로 구성되는 압출 공정은 해당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물질은 유동 가능한 상태로 챔버에서 가열되고 상기 챔버로부터 회전 나사에 의하여 다이 조립체내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압출물은 컨베이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옮겨진다.
종래의 자동차 및 냉장고 문 시일 등의 고무와 같은 외형을 갖는 압출된 생산품은 선형 압출된 형태로 국한되었다. 모난 형태의 가지는 외형 시일을 얻기 위하여, 예를들어 선형 압출물은 분리 성형 단계에 의해 최종 시일 형태를 형성하기 위하여 구부러지거나 코너를 형성하기 위하여 각 단부가 결합된다. 부가적 공정단계는 시간과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고 포텐셜 작동 문제점을 유발시킨다. 특히, 최종 제품의 코너 결합부가 요소의 길이부 보다 더 약하게 되어 포렌셜 시일 파손점이 되거나 또는, 상기 결합점이 압출물 길이부의 단면에 비해 단면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또는 찌그러지게 되어 외관상 보기가 좋지 못하며 시일 효율을 감소시킨다.
Miller(본 출원의 양수인)의 계류중인 특허출원 제 07/207, 838호에서와 같이, 변형되지 않은 단면 형상을 갖는 만곡되거나 굽혀진 압출물을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의 발명으로 결합 압출물의 길이부가 만곡 또는 구부러지는 문제점이 제거되었다. 그러나, 제조되는 압출물의 외형을 변화시키는데 대해서 아직 여러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압출기 다이 조립체의 외형 또는 다이 조립체에 존재하는 압출 물질의 외형을 변화시키는 공정은 전형적으로 압출기 및 압출 공정 라인은 폐쇄시킬 것을 요구한다. 만일 다이 변화에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면, 원치않는 압출 물질이 가교 또는 분화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온(hot)물질이 압출기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미 제조된, 그러나 아직 완성되지 않은 압출물을 컨베이어로 또는 다른 종래의 방법으로 나머지 제조 라인을 통해 운반하고 경화, 냉각 또는 가교 공정으로 완성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상기 라인을 재가동 하기 위하여는 이미 제조된 압출물을 연속 압출물로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라인을 통해 손으로 이송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공정은 시간이 걸림에 따라 상당한 압출 물질이 소비된다. 또한 압출기는 다른 압출물질의 압출이 시작되도록 세척(cleaning)이 요구된다. 상기 공정은 압출기의 정화 또는 라인의 파손과 또한 소정의 요구되는 원형으로의 변화에 15분에서 수시간까지 걸린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외형 형상을 갖는 압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급변하는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를 포함하는, 유동 압출물을 형성화하기 위한 급변화 조립체를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압출물질 스위치 부조립체가 다이 부조립체에 선택적인 물질을 공급하기 위하여 급변화하며 제공된다.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는 압출물을 소정의 세로 외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다른 외형형상을 갖는 압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이의 급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압출물 물질 스위치 부조립체도 다른 압출 물질의 압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편리하고도 신속히 사용되어진다.
압출기 다이부조립체는 만곡된 압출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이헤드 및 이송부재를 포함한다. 다이헤드는 이송부재 통로로부터 신장도는 제1 및 제2다이헤드와, 이송부재에 의하여 맞물리는 이송부재통로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다이면은 또한 상기 다이헤드상에 포함된다. 다이면이 각각의 다이헤드 통로와 각기 연결되므로써, 다이헤드 통로는 이송부재 통로와 각 다이면의 중간에 배치된다. 바람직한 압출물 외형 형상을 얻기 위하여 개구부를 가진 다이판은 각 다이면에 고정된다. 다이헤드가 다른 압출물 외형형상을 갖는 다이판을 각각 포함하는 다소간의 다이헤드 통로를 포함함을 주의해야 한다.
이송부재는 다이헤드에 관한 상대 이동을 위하여 다이헤드의 이송부재 통로내에 지지된다. 본 출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한실시예에 있어서, 이송부재는 이송통로와 이송 개구부를 거쳐 다이 헤드에 압출물질을 공급하도록 압출물 공급원과 작동 가능하게 서로 결합된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이송부재는 다른 압출물질을 수용하기 위하여 압출물 스위치 조립체와 작동가능하게 서로 결합된다.
이송 개구부는 제1중심축을 갖고, 제1 및 제2다이헤드 통로는 각기 제2 및 제3의 중심축을 갖는다. 제1중심축 및 제2중심축은 각기 이송 개구부 또는 제1다이 헤드 통로의 이동에 따라 가동된다. 제1중심축 및 제3중심축은 또한 각기 이송 개구부 또는 제2다이 헤드 통로의 이동에 따라 이동된다. 축에 대응하는 형태의 이동은 이송 개구부가 다이 헤드 통로에 연통될때 다이 헤드 통로중 하나를 압출시킨다.
조립체의 작동중에, 이송 개구부는 제1또는 제2다이헤드 통로에 연통된다. 이송부재와 다이헤드 사이의 상대 이동은 다이헤드를 유출하는 압출물질 통로의 선택적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더우기 계류중인 Miller의 특허출원 제07/207,838호에서와 같이, 다이 조립체가 다이헤드에 존재하는 바와 같은 압출물의 선택적이고 가변적인 굽힘을 가능하게 한다. 압출물에서의 바람직한 세로 만곡은 제1 또는 제2다이헤드 통로에 대해 이송 개구부를 이동함으로써 얻어진다. 상대 이동의 결과로써, 압출물이 다이 헤드를 유출함에 따라 압출물이 흐르는 통로의 길이와 압출물의 흐름이 전체적으로 만곡된 세로방향의 압출물 형상을 얻도록 선택적으로 변화된다.
제1다이 이송 통로와 조합되어진 다이판에 의해 형성된 외형과는 다른 외형으로 압출제조될때, 이송부재와 다이헤드는, 다른 외형의 압출물이 제2다이 이송 통로와 조합된 다이판을 사용하여 생산됨으로써 이에 따라 이동된다. 이송부재와 다이헤드의 이동으로 이송 개구부는 제2다이 이송 통로에 연통되도록 신속히 이동한다. 상기 위치에서, 압출물질은 더이상 제1다이 이송 통로에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제1다이 이송 통로는 깨끗이 비워지거나 또는 다이판이 다른 외형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른 다이판에 충당되도록 대체된다. 제1다이 이송 통로로부터 제2다이 이송통로까지 거의 1초가 걸리는 급변화를 함으로써, 압출기와 제조 라인이 다이판 변화에 따라 중지됨이 없이, 또한 다이 헤드나 다른 유지 상태에서 통상의 세척을 한다. 압출기가 턴오프될 필요없이 구형 및 신형 압출물 외형이 신속히 라인의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재결합된다.
급변화 조립체의 제2실시예에는 압출 물질 스위치 부조립체가 포함된다. 스위치 부조립체는 압출물질을 다이 부조립체의 다이 헤드에 공급하기 위하여 압출물 공급원과 이송 부재 사이에 서로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압출 공급 통로를 갖는 하우징 및 스위치 부재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제1 또는 제2압출기로부터 압출물질이 공급되어지는 다이 조립체의 위치 사이에서 상대 이동을 하는 스위치 부재를 지지한다.
급변화 조립체의 작동동안 다른 압출 물질을 제외한 같은 외형을 갖는 압출물의 제조가 이루어진다. 스위치 부조립체의 사용은 압출물질을 다이부조립체에 공급하여 압출 물질의 한 형태를 갖는 한개의 압출기로부터 다른 압출물질의 형태를 갖는 두번째 압출기로 급변화되도록 한다. 하우징 및 스위치 부재는 제1압출기와 이송부재 또는 제2압출기와 이송부재 사이에서 연통되도록 신속히 이동된다. 예를들어, 제1압출기에 더이상 압출물질이 공급되지 않을 때, 압출기는 깨끗이 비워지거나 또는 다른 압출 물질이 제공된다. 제1 압출기로부터 제2압출기로 급변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압출기와 제조라인은 물질 변화 생성시 중지됨이 없이, 또한 통상의 세척 또는 다른 유지 상태를 계속한다.
스위치 부조립체를 사용한 이송 물질은 제1압출기가 물질을 다이 헤드에 공급하도록 작동되고, 바람직한 대체 물질을 갖는 제2압출기가 정상 상태에서 작동되는 동안 변화된다. 스위칭의 상기 바람직한 모드의 사용으로 라인 동작의 중단을 최소화 시킨다. 부가적으로 스위치 부조립체와 이송 개구부사이의 물질 부피가 다른 압출물질사이의 혼합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만큼 작음을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장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낸 이하의 첨부도면 및 그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된다.
제1, 6 및 제10∼13도에 도시된, 압출물 배치를 위한 급변화 조립체(10)는 본 발명에 따라 다른 외형 형상을 갖는 압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급변화 된다. 특히, 제1도는 압출물의 전체적인 세로 배치 및 외형을 제어하는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12)를 갖는 급변화 조립체를 설명한다. 제12∼13도는 다이 부조립체에 공급된 압출물질의 형태를 급변화시키기 위해 압출기 다이부조립체와 압출 스위치 부조립체(14)를 갖는 급변화 조립체를 부가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동일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부가적 제2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는 프라임 (')을 부착하여 사용한다.
제1도의 실시예로 돌아가서 압출기(A)가 압출물의 통로 및 만곡을 선택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압출물의 전체적인 세로 및 외형 배치를 조절하는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12)와 접촉되도록 도시된다. 실시예에서 개략적으로 기술된 바와 같이, 압출기 다이 조립체는 세부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종래의 장치인 압출기(A)에 인접하도록 장착된다.
제1도에서,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는 다이 헤드(16)와 원통형의 이송부재(18)를 포함한다. 제2도에 도시된 다이헤드(16)는 이송부재(18)를 지지하기 위한 원통형의 구멍을 포함하는 이송 부재 통로(20)를 갖는 직사각형 금속부재를 포함한다. 다이헤드는 부가적으로 이송 부재 통로(20)로부터 확장하는 제1 및 제2다이헤드 통로(22, 23)를 포함한다. 각 다이 헤드 통로는 각기 중심축(22A, 23A)을 포함한다. 다이 헤드 통로의 축부(24)는 다이 헤드상의 이송 부재 통로로부터 조합된 다이면 (26)으로 갈라진다. 다이면(26)이 각 다이헤드 통로에 각기 조합되므로써, 각 다이 헤드 통로는 이송부재통로와 그 조합된 다이면 사이에 위치된다.
제3도는 다이헤드와 끼워 맞춰진 이송 부재(18)의 단부 기둥(19)을 중앙에 정렬시키기 위하여 그 안에 배열 개구부(28)를 갖는 바닥판(27)을 도시하였다. 바닥판은 종래의 패스너(도시안됨)를 사용하여 다이헤드(16)에 고정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 헤드에 고정될때, 바닥판(27)은 각 다이헤드 통로의 축부(25)를 형성한다.
다이판(29)은 제1도의 부분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다이 이송통로를 덮고 있는 다이헤드(16)에 고정된다. 다이판은 소정의 바람직한 압출물 외형 형상을 얻기 위하여 형성된 개구부(30)를 포함한다. 도시된 다이헤드는 부가적 이송 부재 통로를 포함하기 위하여 기하학적 형태로 변형되어 다이면에 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각 다이면(26)은 바람직한 외형 형상의 압출물 제조를 위해 다른 형태로된 개구부(30)를 갖는 다이판(29)를 포함한다.
이송부재(18)는 다이헤드의 상대 이동을 위하여 다이헤드(16)의 이송 부재 통로(20)내에 지지된다.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원통형의 이송부재(18)는 이송부재통로(20)내의 다이헤드(1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더우기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는 원통형 구멍으로 구성되고, 이송 통로축(32A)을 갖는 이송통로(32)를 포함한다. 또한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이송개구부(34)는 이송 통로축(32A)에 대해 수직인 축(34A)을 포함한다.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부재(18)는 동작적으로 압출기(A)에 서로 결합된다. 급변화 조립체를 사용한 압출물의 제조시, 압출물질은 압출기(A)로부터 이송통로(32)와 이송개구부(34)를 경유하여 제1 또는 제2다이 이송통로(22, 23)로 유동한다. 이송부재가 다이 헤드(16)내에서 회전가능함으로써, 제1 또는 제2 다이 헤드통로가 바람직한 압출물의 외형으로 형성되도록 다이판에 인접되는 통로에 따라 선택되어진다. 바람직한 이송 통로는 제1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부재(18)에 고정된 핸들 부재(36)를 수동으로 회전함으로써 선택되어 이송 개구부(34)와 바람직한 다이 이송 통로가 연통된다. 선택적으로, 이송부재(18)는 수압, 공기력 또는 다른 작동구(actuator)(도시안됨)로 제어되는 컴퓨터와 결합된다.
이송부재(18)는 다이헤드(16)내에서 신속히 이동되는데 예를들면, 약 1초 내에 이송개구부(34)가 제1다이 이송 통로(22)의 연통으로부터 제2다이 이송 통로(2 3)의 연통으로 변화된다. 한번 이송 개구부(34)가 제2다이 이송통로(23)에 연통되면, 압출 물질은 더 이상 제1다이 이송 통로(22)에 공급되지 않고, 그 통로가 깨끗이 비워지거나 또는 다이판(29)이 다른 바람직한 압출 외형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다이판과 대체된다. 조립체가 하나의 외형 압출물로부터 다른 압출물을 급변화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은 다이 변화 또는 유지를 위해 압출기 및 제조 라인이 중지되는 것을 제거할 수 있다.
더우기, 압출물의 외형을 급변화 시키기 위해 다이이송 통로 사이의 이송 부재(18)의 이동을 이용한, 개개의 다이이송 통로에 대한 이송 개구부(34)의 선택적 이동이 또한 압출물의 통로 및 만곡을 조절한다. 압출물의 바람직한 소정의 전체적 외형에서 각도 또는 만곡을 얻기 위한 이송부재(18)의 이동은 다이판 개구부로 이동하는 압출물을 따라 통로를 가변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통로 길이의 변화에 따라, 압출물이 급변화 조립체(10)를 유출하는 바와 같이 구부러진다. 이송 개구부와 다이 이송 통로 사이의 이동은 또한 이송 개구부축(34A)과 다이 헤드 통로축(22A 또는 23A)사이의 상대 이동이다. 다른 하나에 대한 축의 이동은 다이헤드 통로를 유출하는 압출물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한 전체적인 형태에 대하여 압출물을 굽히기(bending)위한 상대 이동은 상술된 바와 같이, 숙련된 작동자 또는 발동자와 결합되어 사용되어진 제어된 컴퓨터에 의해 핸들 부재를 수동으로 이동함으로써 제공되어 진다.
제6도는 피복된 다른 압출 물질을 갖는 압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12′)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다른 피복된 실시예에 있어서, 한개의 압출기(A′)에 연통된 이송 부재(18′)는 다이헤드(16′)내에 지지되고, 다이헤드를 통해 두번째 압출기(B)로 끼워 맞춰지도록 신장된다. 그리하여 이송부재는 동작적으로 다른 압출기와 그의 양단에서 서로 결합되어 각각 압출물질을 공급한다.
제7도에 도시된 이송부재는 압출기(A′)에 연통되는 이송통로(32′)와 이송 개구부(34′)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제2이송통로(38)와 제2이송 개구부(39)가 또한 제공된다. 제2 이송통로(38)는 원통형 구멍을 포함하고, 제2이송 통로축(38A)을 가진다. 제2이송 개구부(39)는 또한 제7도에 예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이송통로축(38A)에 수직인 축(39A)을 포함한다.
예시되어진 피복된 다이 부조립체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 통로축(32A′)과 제2이송통로축(38A)은 나란하게 되고 마주보는 방향인 이송부재(18′)의 축방향으로 신장된다. 이송 개구부축(34A′)과 제2이송 개구부축(39A)은 또한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하다. 제7도에 예시된 이송 부재의 형태에서 이송 개구부(34′)와 제2이송 개구부(39)는 각기 압출물질이 제1 다이 헤드 통로(22′)와 제3다이 헤드 통로(40)에 제공되어지도록 서로 간격을 두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있어서, 제1 및 제2 다이헤드 통로(22′, 23A)는 이송통로(20′)로부터 다이면(26′)로 밖으로 신장하는 원통형 구멍을 포함한다. 각 다이 헤드 통로는 중심축(22A′, 23A)을 포함한다. 제4 다이 헤드 통로(41)는 또한 제3다이 헤드 통로(40)에 마주보도록 다이헤드내에 제공되고 중심축(41A)을 포함한다.
제7도와 제8도는 피복된 실시예에 제공된 다이판(29′)을 예시한다. 다이판은 다이헤드(16′)의 다이면(26′)에 고정된 제1부분(29′)을 두부분(29′, 29A′)에 제공된다. 다이판은 제1 및 제3다이 헤드 통로(34′, 40)를 덮는 종래 수단에 의해 다이 헤드에 고정된다. 다이판의 제1부분은 바람직한 압출물 외형을 얻기 위해 형성된 개구부(30′)를 포함하고, 제조된 압출물상에 제공되도록 피복 압출물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80)을 포함한다. 제7도 및 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80)은 구멍(80)과 다이 개구부(30′)사이에 연통되는 절단부(81)를 가진다. 다이판의 제2부분(29A′)은 또한 종래 수단에 의해 다이판(29′)의 제1부분에 고정되고, 다이 개구부(30′)에 일치되는 다이 개구부(30A′)를 포함한다. 상기 형태로 다이판의 제1 및 제2부분 모두에 다이 개구부가 배치되면 상기 판들을 고정되어진다. 다이판의 상기 실시예를 이용하여, 제3다이헤드 통로(40)로부터 유출된 압출기(B)에서 압출물질은 제1다이헤드통로(22′)로부터 유출된 압출기(A′)에서의 압출물질과 한 지주(leg)의 표면상에 피복된다. 다이헤드를 유출시킴으로써, 피복된 압출물(R)은 그의 한 지주상에 피복된 압출기(A′)로부터 압출물(F)을 갖는, 제9도에 도시된 형태를 가진다.
제6도의 피복된 실시예에서 다이헤드(16′)는 제1 및 제2다이헤드 통로(22′, 23′)와 제3 및 제4다이헤드통로(40, 41)를 제공한다. 제1∼5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피복된 실시예의 이송부재(18′)는 다른 바람직한 외형을 갖는 피복된 압출물을 제조하도록 제1 및 제3 다이헤드 통로(22′, 4)에 연통되는 이송 개구부(34′, 39)의 위치로부터 제2 및 제4다이헤드통로(23′, 41)에 연통되는 이송 개구부의 위치로 급변화된다. 상기는 제1도의 급변화 조립체에 관하여 앞서 논의된 수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송부재(18′)는 제6도에서와 같은 핸들 부재(36′)나 또는 상술된 것과 같은 작동(actuating)장치(도시안됨)에 연결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다이헤드 내에서 회전된다.
다른 압출물질로된 이중 압출물 외형을 갖는 압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의 또다른 실시예가 제10도와 제11도에서 참고번호 12″로 예시되어진다.
다른 이중 압출물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부재(18″)는 다이헤드(16″)내에 지지되고, 제2이송부재(42)는 제2다이헤드(44)내에 지지된다. 선택적으로, 늘어난 단일 이송부재(도시안됨)가 두개의 마주보는 이송부재 대신에 사용된다. 단일 이송부재가 제1 및 제2이송부재(18″, 42)대신에 사용되면, 이송부재는 바닥판(27″)구멍을 통해 신장되며,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컴퓨터 제어 및 작동장치에 단일 커플링 또는 단일 핸들 부재(36″)를 사용함으로서 회전된다. 단일 이송부재 실시예에 있어서, 양이송 개구부의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양출물의 양 압출물질 부분의 전체적 세로 형태는 같게 된다.
제10도에 도시된 두개의 이송부재 실시예에 있어서, 제2다이헤드(44)는 제2이송부재(42)를 지지하기 위한 원통형 구멍으로 구성된 이송부재 통로(45)를 포함한다. 다이헤드는 부가적으로 이송부재통로(45)로부터 신장한 제1 및 제2다이헤드 통로(50, 52)를 포함한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27″)은 다이헤드(18″)와 제2다이헤드(44)중간에 끼워 맞춰진다. 두개의 이송부재가 사용될때, 바닥판은 다이헤드와 끼워 맞춰진 각 표면상에 정렬 개구부(도시안됨)를 포함한다. 바닥 판내의 정렬 개구부는 적당한 동작 위치로 이송부재를 중앙에 오도록 제1 및 제2이송부재와 바람직하게 끼워 맞춰진다. 다이헤드 사이에 고정될때, 바닥판(27″)은 하나의 다이헤드(18″)상에 다이헤드 통로(22″, 23″)의 축부(25″)와 두번째 다이헤드(44)상에 다이헤드 통로(50, 52)의 축부(46)를 형성한다.
이송부재(18″, 42)는 각 압출기(A″, C)에 각기 연통된 이송통로(32″, 48)와 이송 개구부(34″, 47)를 포함한다. 제1 다이헤드 통로(22″, 50)를 통해 물질이 압출될 때, 이송 개구부(34′, 48)는 제10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이 헤드 통로(22″, 50)에 연통된다. 예를들어, 다른 다이판을 이용한 다른 바람직한 압출물 외형을 얻기 위하여 제2다이헤드 통로(23″, 50)에 연통된다. 예를들어 다른 다이판을 이용한 다른 바람직한 압출물 외형을 얻기 위하여 제2다이헤드 통로(23″, 52)를 통해 압출물질이 바람직하게 압출되어질때, 이송부재는 그들의 각 다이헤드내에서 신속히 그리고 동시에 이동된다.
이송부재(18″, 42)의 이송 개구부(34″, 47)가 제 2다이 헤드 통로(23″, 5 2)에 한번 연통되면, 압출물질은 더 이상 제1다이헤드 통로에 공급되지 않으므로, 상기 통로 또는 그들 각 다이판은 상기와 같이 깨끗이 비워지거나 대체되는 반면, 압출기 및 제조라인은 계속 동작된다. 테이퍼 분할기 판(82)은 또한 바닥판(27″)상에 제공되어, 다이헤드 통로(22″, 50)를 유출하는 압출물질이 다이 개구부(30′)에 유입되도록 서로 연통되어진다.
부가적으로, 제11도에 예시된 바와 같은 다이헤드(16″)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원호(99)로 나타낸 이송 개구부(48)의 직경은 제1 및 제2다이헤드 통로(50)사이의 다이헤드에 의해 한정된 참고부호 100의 원호보다 더 크게 된다. 상기 형태가 압출 흐름 또는 다이헤드내의 압출을 방해할 위험을 가지기 때문에 이로인한 다이헤드내의 압력은 거의 감소되는데, 이와 같은 방해는 이송 개구부가 완전히 막혀버려 이송 부재가 다이헤드 통로 사이의 위치로 올바르게 이동되지 못하더라도, 이송 개구 원호(99)가 다이헤드 통로 사이의 원호(100)보다 더 크게 될 때 감소된다. 이송 부재의 잘못된 위치를 피하기 위하여, 이송 개구부가 바람직한 다이헤드 통로에 대하여 적당히 배치된 위치에 일치하게 회전하도록 다이헤드 외부에 기계적 정지가 생겨난다. 그러한 기계적 정지는 또한 바람직한 소정의 세로 압출 형태를 얻기 위해 이송 부재를 적당한 위치로 제공시킨다.
바람직한 소정의 전체 형태에서 각도나 만곡을 얻기 위한 빠른 이동에 관한 이송부재(18″, 42)의 동작은 제10도에 도시된 핸들 부재(36″)나, 또는 제11도의 참고번호 37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수압, 공기력 또는 다른 작동자로 제어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얻어진다. 그러한 동작은 상술된 동작과 거의 유사하므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겠다. 그러나,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의 이중 압출물 외형 실시예에서 두개의 이송 부재의 사용은 작동자가 압출물(R″) 각 부분의 통로 길이를 동시에 또는 각기 가변시킬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각기 압출물의 다른 물질 부분의 통로를 변화시킴으로써, 서로 형태가 변화되는 다른 압출 물질의 제조된 압출 부분에 단일 압출물 외형이 제공된다.
제12∼13도에 예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도에서 이미 논의된 형태인 참고부호12″인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는 참고부호 14인 압출 스위치 부조립체와 동작적으로 서로 결합한다. 압출 스위치 부조립체(14)는 두개의 압출기(D 또는 E)와 결합되어,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12″)에 공급된 압출물질을 다른 바람직한 압출물질로 급변화시킨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 스위치 부조립체(14)는 하우징(54)과 스위치 부재(56)를 포함한다. 하우징(54)은 압출기 다이부조립체(12″)의 이송부재(18″)와 결합되고, 스위치 부재 지지용 원통형 구멍(58)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부가적으로 각 압출기(D 또는 E)에 각기 연통되는 제1 및 제2하우징 공급 통로(60, 62)를 포함한다. 압출통로(64)는 또한 하우징내에 제공되고,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의 이송부재(18″)의 이송통로(32″)에 연통된다. 각각의 제1 및 제2공급 통로와 압출기 통로는 하우징의 구멍(58)에 연통되며 그로부터 신장하는 원통형 구멍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덤프 포트(66)는 하우징의 구멍(58)에 연통되는 원통형 구멍을 또한 포함하여 그로부터 신장된다. 덤프포트를 이용하여 압출기 D나 또는 E 의 압출물질이 바람직하게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된다.
제12도 및 13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치 부재(56)는 구멍(58)내에 끼워 맞춰진 원통형 부재를 포함한다. 하우징 내에서 스위치 부재의 끼워 맞춤 동작시, 이송부재(18″)의 이송통로(32″)가 압출물질을 압출기 다이 부조립체(12″)에 공급하기 위하여 압출기 D나 또는 E에 연통되도록 선택적으로 위치됨으로써, 스위치 부재는 그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스위치 부재는 제12도에서와 같이, 스위치 부재(56)에 고정되는 핸드부재(7 0)를 수동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그 위치 사이로 이동된다. 선택적으로, 스위치 부재는 제13도의 참고번호 72로 예시된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수압, 공기압 또는 다른 작동구로 제어되는 컴퓨터에 연결된다.
스위치 부재(56)는 스위치 부재를 통해 신장하는 제1및 제2스위치 통로(68, 69)를 포함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통로는 스위치 부재내의 다른 하나에 나란히 배치된다. 각 압출기 D 또는 E는 동작에 지장을 주는 스위치 부재와 하우징 사이의 물질의 펌핑을 피하기 위하여 그러한 통로에 연통된다.
압출기 E로부터 이송부재(18″)로, 하우징 공급통로(62)와 제1스위치통로(6 8)를 경유하여 이송 통로(32''')로 압출물이 공급될때, 스위치 부재(56)는 제12도에 예시된 위치로 이동된다. 압출 물질이 변화되고, 물질을 압출기 D로부터 다이헤드에 공급할때, 스위치 부조립체는 제13도에 예시된 그의 제2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위치에서, 압출물은 상기 제2압출기로부터 하우징 공급 통로(60)와 제2스위치 통로(69)를 통해 이송통로(32''')로 공급된다.
덤프 포트(66)는 압출기 스위치 조립체로부터 바람직하지 못한 압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제공된다. 덤프 포트를 제공함으로써, 압출기 D나 E어느 것도 스위치 부조립체의 동작시 중지 되지 않는다. 현재 압출 물질을 공급하는 압출기는 스위치가 꺼진 후까지 계속 동작하고, 새로운 물질을 공급하는 압출기는 스위치가 꺼지기 전의 정상 상태에서 동작되도록 한다. 이송부재(32''')에 공급되지 않는 압출물질은 과다 압출 물질로부터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덤프포트(66)를 경유하여 하우징(54)를 유출한다.
본 발명은 이하 청구범위에서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일탈하지 않고 구성 및 외형의 변화가 가능하다.

Claims (15)

  1. 유동 압출물을 형상화 하기 위한 다이 조립체에 있어서, 대응하는 다이면과 이송부재 통로 사이에 배치된 제1 및 제2다이헤드 통로와 상기 제1및 제2다이 헤드 통로와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다이면과, 이송부재 통로를 가지는 다이헤드와, 압출물을 다이헤드에 공급하기 위하여 이송통로와 이송 개구부를 갖고 그들 사이의 상대 이동을 위하여 다이헤드으 이송부재 통로내에 지지되는 이송 부재를 포함하고, 이송 개구부는 제1중심축을 갖고, 제1다이헤드 통로는 제2중심축을, 그리고 제2다이헤드 통로는 제3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은, 상기 이송 개구부가 상기 제1다이헤드 통로에 연통될때 제1다이헤드 통로를 유출하는 압출울을 대응되게 형상화 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이송 개구부 또는 제1다이헤드통로에 대하여 이송 개구부 또는 제1다이 헤드 통로의 이동중에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그리고 제1중심축과 제3중심축이 또한, 이송 개구부가 제2다이 헤드 통로에 연통될떼 제2다이헤드 통로를 유출하는 압출물을 대응되게 형상화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이송 개구부 또는 제2다이 헤드 통로에 대하여 이송 개구부 또는 제2다이 헤드 통로의 이동중에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변화 다이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부재는 압출물을 상기 다이헤드에 공급하기 위하여 제2이송 통로와 제2이송 개구부를 포함하고, 제2이송 개구부는 제1중심축에 평행하게 되는 제4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제4중심축은 제2 및 제3중심축에 대하여 제1중심축과 함께 가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부재의 상기 제1및 제2이송통로는 압출물을 다른 압출기로부터 상기 다이헤드로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다이헤드 통로에 각기 인접한 제3및 제4다이헤드 통로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제2다이헤드는 상기 다이 헤드에 인접하게 고정되도록 상호 결합되고 상기 제2이송통로와 제2이송 개구부를 갖는 상기 이송부재의 일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부재통로와 축방향으로 정렬된 제2이송 부재 통로를 포함하며, 제3 및 제4다이면은 제3및 제4다이헤드 통로와 각기 연결되어 상기 대응하는 제3 및 제4다이면과 제1 및 제2이송부재 통로 사이에 놓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분할기가 상기 제1및 제3다이헤드통로와 제2 및 제4다이헤드 통로를 분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조립체.
  7. 제2, 5, 6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개구부와 제2이송 개구부가 각기 제1 및 제3다이헤드 통로와 또는 각기 제2 및 제4다이헤드 통로에 유동적으로 연통되며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통로와 제2이송 통로가 상기 이송부재의 세로로 신장하고, 이송 개구부, 제2이송 개구부, 그리고 제1 및 제4중심축에 대해 직각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압출물을 압출기로부터 제1이송통로와 제1 또는 제2다이헤드 통로에 공급하기 위한 제1단부와, 압출물을 다른 압출기로부터 제2이송 통로와 제3 또는 제4다이헤드 통로에 공급하기 위한 제2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헤드 통로가 각 이송 개구부로부터 그들의 연결된 다이면 방향으로 분기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조립체.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다이면이 그들 위에 장착된 제1다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및 제4다이면은 그들위에 장착된 제2다이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조립체.
  12. 제2, 4, 11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판이 그들의 각 다이 헤드 통로와 액체를 연통시키는 제1다이 개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판이 또한 그들의 각 다이헤드 통로와 액체를 연통시키는 제2다이 개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조립체.
  14. 유동 압출물을 형상화하기 위한 조립체에 있어서, 다이 조립체와 압출기 스위치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 조립체는 다이헤드와 이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헤드는 상기 제1 및 제2다이 헤드 통로와 각기 연결된 제1 및 제2단이면과 제1 및 제2다이헤드 통로, 이송부재 통로를 가지며, 상기 다이헤드 통로는 대응하는 다이면과 상기 이송통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부재는 다이헤드내에 지지되어 이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압출물을 상기 다이헤드에 공급하기 위한 이송 통로와 이송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이송 개구부는 제1중심축을 가지고, 상기 제1다이 헤드 통로는 제2중심축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제2다이헤드통로는 제3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은, 상기 이송 개구부가 상기 제1다이헤드 통로에 연통될때 제1다이헤드 통로를 유출하는 압출물을 대응되게 형상화 시키기 위하여, 각기 다른 이송 개구부 또는 제1다이헤드 통로에 대하여 이송 개구부 또는 제1다이 헤드 통로의 이동에 대해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1중심축과 제2중심축은 또한 상기 이송 개구부가 상기 제2다이 헤드 통로에 연통될때 제2다이헤드 통로를 유출하는 압출물을 대응되게 형상화 시키기 위하여, 각기 다른 이송 개구부 또는 제2다이헤드 통로에 대하여 이송 개구부 또는 제2다이헤드 통로의 이동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압출기 스위치 조립체는 하우징 및 스위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제1 및 제2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스위치 부재를 지지하고, 다른 압출 물질을 다이 조립체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다이 조립체와 제1 또는 제2압출기 중의 하나와 연통하며, 그리고 상기 스위치 부재는 제1 및 제2공급 통로를 가지며, 상기 스위치 부재는 압출물을 상기 제1압출기로부터 제1공급 통로를 통하여 상기 다이헤드 이송부재의 이송통로로 공급하는 제1위치와, 압출물을 제2압출기로부터 제2공급 통로를 통하여 상기 다이헤드 부재의 상기 이송 통로까지 공급하는 제2위치에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변화 다이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 스위치 조립체 하우징은 바람직하지 못한 압출물질을 압출기 스위치 조립체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구멍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KR1019900016199A 1990-02-12 1990-10-12 급변화 다이 조립체 KR9300007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78,373 1990-02-12
US07/478,373 US5067885A (en) 1988-06-17 1990-02-12 Rapid change die assembly
US478373 1990-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380A KR910015380A (ko) 1991-09-30
KR930000735B1 true KR930000735B1 (ko) 1993-01-30

Family

ID=23899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6199A KR930000735B1 (ko) 1990-02-12 1990-10-12 급변화 다이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067885A (ko)
EP (1) EP0442195B1 (ko)
JP (1) JPH0794143B2 (ko)
KR (1) KR930000735B1 (ko)
BR (1) BR9004657A (ko)
CA (1) CA2025514C (ko)
DE (1) DE69025589T2 (ko)
ES (1) ES208533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9588A (en) * 1990-02-12 1993-06-15 Gencorp Inc. Die assembly control
US5424023A (en) * 1993-06-03 1995-06-13 Crane Plastics Company Limited Partnership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curved extruded products
US5474720A (en) * 1994-03-11 1995-12-12 Friedrich Theysohn Gmbh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elongated shaped bodies of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US5679379A (en) * 1995-01-09 1997-10-21 Fabbricante; Anthony S. Disposable extrusion apparatus with pressure balancing modular die units for the production of nonwoven webs
JP2963380B2 (ja) * 1995-11-15 1999-10-18 株式会社日本製鋼所 熱可塑性樹脂の造粒方法および造粒装置
US5902540A (en) * 1996-10-08 1999-05-11 Illinois Tool Works Inc. Meltblowing method and apparatus
US6680021B1 (en) 1996-07-16 2004-01-20 Illinois Toolworks Inc. Meltblowing method and system
US5904298A (en) * 1996-10-08 1999-05-18 Illinois Tool Works Inc. Meltblowing method and system
US6117924A (en) * 1996-10-22 2000-09-12 Crane Plastics Company Limited Partnership Extrusion of synthetic wood material
US5882573A (en) * 1997-09-29 1999-03-16 Illinois Tool Works Inc. Adhesive dispensing nozzles for producing partial spray patterns and method therefor
US6051180A (en) * 1998-08-13 2000-04-18 Illinois Tool Works Inc. Extruding nozzle for producing non-wovens and method therefor
US6200635B1 (en) 1998-08-31 2001-03-13 Illinois Tool Works Inc. Omega spray pattern and method therefor
US6602554B1 (en) 2000-01-14 2003-08-05 Illinois Tool Works Inc. Liquid atomization method and system
US6589454B1 (en) * 2000-05-18 2003-07-08 Albert Santelli, Jr. Method for making extruded test specimens usable in evaluating mechanical and other material properties of plastic used in the manufacture of extruded products
US7374416B2 (en) * 2003-11-21 2008-05-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d width extrusion of filamentary curtain
US7316557B2 (en) * 2004-05-08 2008-01-08 Good Earth Tools, Inc. Die for extruding material
US7513676B2 (en) * 2004-05-08 2009-04-07 Good Earth Tools, Inc. Extruder screw with long wearing surfaces
BRPI0418868A (pt) * 2004-05-28 2007-11-20 Pirelli método e aparelho para fabricar pneus
US7798434B2 (en) 2006-12-13 2010-09-21 Nordson Corporation Multi-plate nozzle and method for dispensing random pattern of adhesive filaments
US8579623B2 (en) * 2008-04-10 2013-11-12 Edward Williams Extruder stabilizer assembly
US8074902B2 (en) 2008-04-14 2011-12-13 Nordson Corporation Nozzle and method for dispensing random pattern of adhesive filaments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18256A (en) * 1926-07-13 1927-02-22 Firm Gebruder Buhler Mold disk for dough presses
US2062338A (en) * 1934-01-13 1936-12-01 Tanzi Mario Macaroni die
US2502247A (en) * 1946-09-13 1950-03-28 Clarks Potteries Ltd Earthenware pipe making machine
US3046602A (en) * 1960-05-02 1962-07-31 Dow Chemical Co Extruding apparatus
US3048890A (en) * 1960-07-06 1962-08-14 Olive M Soubier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plastic articles
US3093860A (en) * 1961-03-16 1963-06-18 Oliver Tire & Rubber Co Adjustable extruding die
US3080608A (en) * 1961-03-30 1963-03-12 Jurian W Van Riper Plastic material extrusion apparatus
US3111714A (en) * 1962-05-14 1963-11-26 Phillips Petroleum Co Self-centering extrusion die
US3313003A (en) * 1963-10-04 1967-04-11 Brown & Williamson Tobacco Extrusion dies for plastic materials
US3345444A (en) * 1963-12-16 1967-10-03 Monsanto Co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intermittent pattern
US3425092A (en) * 1964-07-24 1969-02-04 Jun Taga Apparatus for moulding sections of circularly bent tubing from thermoplastic material
US3292213A (en) * 1964-09-23 1966-12-20 Dow Chemical Co Tube extrusion apparatus
FR1425435A (fr) * 1964-12-07 1966-01-24 Rhone Poulenc Sa Filière d'extrusion à orifice variable
DE1479010A1 (de) * 1965-10-28 1969-05-08 Basf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kleiden von Rohren mit thermoplastischen Stoffen
US3405210A (en) * 1966-03-18 1968-10-08 Owens Illinoi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uding plastic material
NL128301C (ko) * 1966-05-10 1900-01-01
US3490113A (en) * 1967-06-05 1970-01-20 Certain Teed Prod Corp Apparatus for making curved plastic shapes
US3809519A (en) * 1967-12-15 1974-05-07 Ici Ltd Injection moulding machines
FR2033631A5 (en) * 1969-02-26 1970-12-04 Amengual Jean Multiple spinnerets for plastics-sheathed - yarn
US3809516A (en) * 1970-12-31 1974-05-07 S Komaki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light-weight concrete panel with pattern designs on its surface
DE2100095A1 (de) * 1971-01-02 1972-07-27 Hoechst Ag Doppelkopf zur Extrusion von Hohlsträngen
GB1370945A (en) * 1971-04-16 1974-10-16 Triplex Safety Glass Co Conveying apparatus
US3761213A (en) * 1971-06-01 1973-09-25 Glacier Industries Confection extrusion nozzle
DK126372B (da) * 1971-06-02 1973-07-09 Maskinfab K As Knudepunktsfordeler til transportanlæg.
US3845152A (en) * 1972-03-29 1974-10-29 Du Pont Selective isomerization of polyenes having terminal conjugated unsaturation
DE2220319A1 (de) * 1972-04-21 1973-11-08 Siemens Ag Mehrfachpresskopf fuer strangpressen zum gleichzietigen umhuellen mehrerer elektrischer leiter oder kabel
NO129892B (ko) * 1972-12-01 1974-06-10 Graenges Essem Plast As
US4025262A (en) * 1974-11-18 1977-05-24 General Electric Company Variable length extrusion die
IN144765B (ko) * 1975-02-12 1978-07-01 Rasmussen O B
JPS5725375B2 (ko) * 1975-03-07 1982-05-29
CH587117A5 (en) * 1975-05-22 1977-04-29 Maillefer Sa Extruder die turret supporting alternative extrusion dies - for rapid changeover of coating dies to suit different profiles
ES222540Y (es) * 1976-07-26 1977-03-16 Cables De Comunicaciones, S. A. Cabezal para aislamiento multiple de conductores.
FR2395123A2 (fr) * 1977-06-23 1979-01-19 Megias Ets Joseph Procede perfectionne de formage de la paroi d'un tube en matiere synthetique
US4219516A (en) * 1978-11-24 1980-08-26 Mobil Oil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flow of molten polymer to multiple extrusion die orifices
US4257320A (en) * 1979-05-14 1981-03-24 Brown International Corporation Whole fruit peel oil extractor
DE2921943A1 (de) * 1979-05-30 1980-12-11 Waskoenig & Walter Kabel Werk Verfahren zum wechseln der einfaerbung extrudierter kabelumhuellungen
US4461738A (en) * 1979-09-07 1984-07-24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continuous extrusion molding
US4276250A (en) * 1979-10-29 1981-06-30 Sherwood Medical Industr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tubular extrusions having axial sections of material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CA1127907A (en) * 1980-01-08 1982-07-20 William G. Reed Angled dough cutter
DE3122744C2 (de) * 1981-06-09 1984-08-09 Küster & Co GmbH, 6332 Ehringshausen Extruderdüse sowie mittels der Extruderdüse hergestellte Schläuche oder Rohre
DE8212640U1 (de) * 1982-05-03 1982-09-16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schliessbare austragsduese fuer thermoplastische kunststoffe
JPS58220717A (ja) * 1982-06-17 1983-12-22 Toyoda Gosei Co Ltd コ−ナ部を有する押出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59188424A (ja) * 1983-04-12 1984-10-25 Meiji Gomme Kasei:Kk 曲り管の自動成型装置
US4483812A (en) * 1983-04-15 1984-11-20 Cosden Technology, Inc. Valve plate and feedblock design for co-extrusion apparatus and co-extrusion process using same
US4536147A (en) * 1984-06-29 1985-08-20 Groff Edwin T Food processing apparatus
JPS6151022A (ja) * 1984-08-21 1986-03-13 Toyo Soda Mfg Co Ltd 高密度弾性ポリウレタンの製造法
US4648821A (en) * 1984-08-31 1987-03-10 Nabisco Brands, Inc. Apparatus for co-extrusion of a dough mass having dissimilar inner and outer portions
FR2589781A1 (fr) * 1985-11-08 1987-05-15 Swisscab E A Schon Sa Procede de changement de couleur en cours d'extrusion d'une gaine autour d'un conducteur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JPS62169614A (ja) * 1986-01-22 1987-07-25 Kansai Kako Kk 押出成形機のヘツド
CH678507A5 (ko) * 1986-03-06 1991-09-30 Maillefer Sa
US4793786A (en) * 1986-11-07 1988-12-27 Perfect Products, Inc. Extrusion of arcuate products
US4929167A (en) * 1987-06-12 1990-05-29 Pepper Kenneth V Apparatus for producing a helical tube
US4761129A (en) * 1987-07-07 1988-08-02 Swisscab E.A. Schoen S.A. Device for changing color during the extrusion of a sheath around a conductor
US4826423A (en) * 1987-08-19 1989-05-02 Chevron Research Company Construction of thermoplastic tubes with tubular ribs by helical winding upon a mandrel
DE3735279A1 (de) * 1987-10-17 1989-04-27 Kabelmetal Electro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arbigen kennzeichnung von adern elektrischer kabel und leitungen
US4906171A (en) * 1988-06-17 1990-03-06 Gencorp Inc. Directed flow di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285950A (ja) 1994-10-11
BR9004657A (pt) 1991-11-19
DE69025589D1 (de) 1996-04-04
EP0442195A3 (en) 1991-11-21
DE69025589T2 (de) 1996-09-05
US5067885A (en) 1991-11-26
KR910015380A (ko) 1991-09-30
CA2025514A1 (en) 1991-08-13
ES2085336T3 (es) 1996-06-01
JPH0794143B2 (ja) 1995-10-11
CA2025514C (en) 1994-05-03
EP0442195A2 (en) 1991-08-21
EP0442195B1 (en) 1996-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0735B1 (ko) 급변화 다이 조립체
US4906171A (en) Directed flow die assembly
US4888146A (en) Method and apparatus of forming extruded article
US5711349A (en) Flow divider with diverter valve
US4548569A (en) Accumulator head
US5069853A (en) Method of configuring extrudate flowing from an extruder die assembly
JPS6316248B2 (ko)
US5401454A (en) Extrusion die and method of controlling flow through the die
US8490643B2 (en) Diverter valve
EP0468268B1 (en) Coextrusion apparatus for varying the inner and/or outer profile of a tubular extrudate
JP2530396B2 (ja) 筒状押出し体の内側輪郭の変更用の共押出し装置及び方法
US3884452A (en) Blow-molding plasticizing manifold
CN110114201B (zh) 包括改进的挤出头的挤出设备
CN110087854A (zh) 包括改进的挤出头的挤出设备
JP2013545644A (ja) 特にプラスチック材料のための押出成形装置
US5971736A (en) Device for joining at least two material flows in a laminar coextrusion machine
WO2005023514A1 (ja) 樹脂製多層チューブの押出成形装置
JP2603515B2 (ja) 樹脂切替装置
CN108068196B (zh) 一种复合型挤出模头
EP3670142B1 (en) Dual compound extruder apparatus with rotatable head and methods for forming a coextruded strip
JP2002001794A (ja) 二軸押出機用混練調整装置
JPH05177692A (ja) プラスチック混練押出機
JP2773429B2 (ja) ブロー成形機の材料替え、色替え方法
JPS60172518A (ja) 押出成形用ダイ
BR102018005090B1 (pt) Aperfeiçoamento em sistema para movimento alternado do conjunto de extrusão em uma sopradora de extrusão contínu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