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535Y1 - 자동차용 후사경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후사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535Y1
KR930000535Y1 KR2019900021087U KR900021087U KR930000535Y1 KR 930000535 Y1 KR930000535 Y1 KR 930000535Y1 KR 2019900021087 U KR2019900021087 U KR 2019900021087U KR 900021087 U KR900021087 U KR 900021087U KR 930000535 Y1 KR930000535 Y1 KR 930000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pring
tension spring
base plate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10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210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5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535Y1/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후사경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후사경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후사경에 관련된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플레이트 11 : 하우징
15 : 고정플레이트 16 : 스프링시트
17 : 탄발스프링 18 : 인장스프링
19 : 와셔
본 고안은 자동차용 후사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러를 소장하는 하우징이 외력을 받았을때 절곡하여 파손되지 않게 하는 구성을 갖는 자동차용 후사경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설치되는 후사경은 주차시에 혹은 좁은 길의 교행시에 다른 차량과 접촉될 우려가 대단히 높은 부분으로 되고 있다.
차량의 후사경은 다른 물체와 접촉하여 외력을 받게 되며, 네크 부분이 부러져 파손되거나 이음새가 빠져버리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후사경이 다른 물체로 부터 외력을 받았을때, 그 외력에 순응해서 절곡되어 있다가 외력이 소멸되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한 후사경이 실용화되고 있다.
제2도는 절곡되었다가 원래 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후사경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차체에 고정 부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1)에 대하여 전, 후방향으로 꺾어져 절곡될 수 있는 하우징(2)으로 이루어진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1)에는 1쌍의 축받이(3)을 보유히는 브라켓트(4)가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2)은 이에 대하여 상기한 축받이(3)에 각각 지지되는 1쌍의 아암축(5)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6)를 내부에 보유하고 있으며, 또한 고정플레이트(6)와 상기한 브라켓트(4)사이는 인장스프링(7)에 의해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방식의 후사경에서 미러(8)는 홀더(9)에 의해 보전된다.
이와같은 구성은, 하우징(2)이 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을 받았을때 하우징(2)은 한쪽 축받이(3)에 지지된 아암축(5)을 지점으로 회동하면서 인장스프링(7)을 감아 늘임에 따라 외력에 순응하여 파손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외력이 소멸되면, 다시 인장스프링(7)의 인장력이 작용하여 하우징(2)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런데 하우징(2)이 절곡될때, 인장스프링(7)은 고정플레이트(6)의 일측면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늘어나게 되므로, 절곡시에 불쾌한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인장스프링(7)은 비교적 과도하게 늘어나기 때문에 쉽게 피로하여 그 탄성계수가 변하여 사용수명을 짧게하는 구조적인 문제점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으로 목적은 내부에 설치되는 인장스프링의 피로 변형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또 인장스프링의 동작중에 소음이 생기지 않게 한 자동차용 후사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내부에 미러가 소장된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사이는 인장스프링에 의해 연결되고,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브라켓트가 보유하는 1쌍의 축받이로, 상기한 하우정과 일체로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의 아암축이 지지되어서 상기한 하우정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절곡 가능하게 구성된 자동차용 후사경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플레이트의 스프링시트로 탄발스프링이 지지되어서 상기한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한 인장스프링용 상기한 탄발스프링의 내부를 통과하여 그 종단부에 장착된 와셔와 연결됨으로써 상기한 와셔를 개재한 탄발스프링의 탄발력과 인장스프링의 인장력사이의 조화에 의해 상기한 고정플레이트가 하우징에 밀착하여 일체로 되게 구성함을 특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후사경의 단면도로서, 부호(10)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칭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에는 전, 후방향으로 꺾어져 절곡될 수 있는 하우징(11)이 연결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O)에 대한 하우징(11)의 연결은 1쌍의 축받이(12)를 보유하는 브라켓트(13)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장착되고, 또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상기한 축받이(12)에 각각 지지되는 1쌍의 아암축(14)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15)가 내부에 설치되어서 종래의 후사경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고정플래이트(15)는 상기한 그 중심부에서 하우징(11)의 내측으로 연장된 스프링시트(1O)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스프링시트(18)에는 탄발스프링(17)이 끼워져서 하우징(11)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일단부가 연결된 인장스프링(18)은 상기한 탄발스프링(17)의 내부를 통과해서 그 종단부에 장착된 와셔(19)가 연결됨으로써 상기한 탄발스프링(17)에 대하여 인장력을 가하게 되고, 이로인해 고정플레이트(15)는 하우징(11)과 밀착하여 일체로 된다.
상기한 탄발스프링(17)과 와셔(19)사이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가 되게 접합시켜 놓는 것이 좋다.
본 고안에 있어서도 미러(20)는 홀더(21)에 의해 보전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후사경은 하우징(11)이 외력을 받아 절곡될 때 인장스프링(18)의 인장력이 와셔(19)를 개재하여 탄발스프링(17)을 압축시키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또 반대로 탄발스프링(17)의 탄성력은 인장스프링(18)의 인장력에 저항하게 되므로 와셔(19)의 위치는 이들 상충되는 힘이 조화를 이루게 되는 지점으로 변동하면시 하우징(11)의 절곡에 따르는 양 스프링(17), (18)의 길이변화를 흡수하게 된다.
또, 절곡된 하우징(11)이 복귀할 때에는 탄발스프링(17)과 인장스프링(18)의 고유탄성이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하우징(11)이 복귀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고정플레이트가 하우징으로 밀착되게 하는 힘이, 탄발스프링과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이 이루는 조화에 의해 나타나게 한 것이기 때문에하우징의 절곡시에 야기되는 인장스프링의 늘어남은 과도하지 않게 되어 피로현상이 생기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사용 수명이 길어지는 이점이 있으며, 게다가 인장스프링는 구조적으로 다른 부분과 마찰을 일으키지 않게 되어 있어서 작용중에 소음을 일으키는 일도 없고, 또한 탄발스프링과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은 하우징이 절곡될 때는 상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반대로 하우징이 복귀될 때는 상호 같은 방향으로 작용됨에 따라 하우징의 절곡 및 복귀작동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장점도 갖고 있다.

Claims (1)

  1.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대부에 미러가 소장된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사이는 입장스프링에 의해 연결되고,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브라켓트가 보유하는 1쌍의 축받이(12)로, 상기한 하우징과 일체로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의 아암축이 지지되어서 상기한 하우징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절곡 가능하게 구성된 자동차용 후사경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플레이트(15)의 스프링시트(16)로 탄발스프링(17)이 지지되어서 상기한 하우징(11)의 내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한 인장스프링(18)을 상기한 탄발스프링(17)의 내부를 통과하여 그 종단부에 장착된 와셔(19)와 연결됨으로써 상기한 와셔(19)를 개재한 탄발스프링(17)의 탄발력과 인장스프링(18)의 인장력 사이의 조화에 의해 상기한 고정플레이트(15)가 하우징(11)에 밀착하여 일체로 되게 구성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사경.
KR2019900021087U 1990-12-27 1990-12-27 자동차용 후사경 KR930000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1087U KR930000535Y1 (ko) 1990-12-27 1990-12-27 자동차용 후사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1087U KR930000535Y1 (ko) 1990-12-27 1990-12-27 자동차용 후사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535Y1 true KR930000535Y1 (ko) 1993-02-10

Family

ID=1930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1087U KR930000535Y1 (ko) 1990-12-27 1990-12-27 자동차용 후사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5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79438A (ja) 車輌用後写鏡ユニット
KR100743503B1 (ko)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US3575375A (en) Rear view mirror assembly
KR930000535Y1 (ko) 자동차용 후사경
KR100814759B1 (ko) 유격 보상 텔레스 스토퍼를 구비한 전동식 텔레스코프조향장치
JP2632116B2 (ja) 車両用灯具
US2851586A (en) Pivotal headlight assembly for motor vehicles
JPH11125290A (ja) 筒型防振装置
JP3167626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2524793B1 (ko) 자동차용 틸팅-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KR102524799B1 (ko) 정밀 작동 가능한 자동차용 틸팅-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
US20230406184A1 (en) Armrest assembly with adjustable mounting shaft
JPS6037856Y2 (ja) 自動車用ミラ−装置
US20230391263A1 (en) Step apparatus for vehicle
JP5082744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S60240540A (ja) 車輛用バツクミラ−
KR0169633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호스 고정구조
JP3298482B2 (ja) 車両用後写鏡におけるハーネスの止め構造
KR100223249B1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고정구조
KR960040842A (ko) 자동차용 룸미러의 쳐짐 방지장치
CN117400701A (zh) 用于车辆的遮阳板总成
KR200205672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고정 구조
KR0132529Y1 (ko) 차량용 컵홀더
JPS6040367Y2 (ja) 自動車用緩衝機構付ミラ−装置
JPS632804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