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341Y1 - 편향 요크 - Google Patents

편향 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341Y1
KR930000341Y1 KR2019900016290U KR900016290U KR930000341Y1 KR 930000341 Y1 KR930000341 Y1 KR 930000341Y1 KR 2019900016290 U KR2019900016290 U KR 2019900016290U KR 900016290 U KR900016290 U KR 900016290U KR 930000341 Y1 KR930000341 Y1 KR 930000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yoke
neck
circumferential surface
floc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6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강룡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6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341Y1/ko
Priority to MYUI91001008A priority patent/MY107948A/en
Priority to CN91209902U priority patent/CN2101327U/zh
Priority to SU4895724/21A priority patent/RU2025819C1/ru
Priority to US07/715,919 priority patent/US52046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3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 H01J29/823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around the neck of the tube
    • H01J29/826Def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향 요크
제1도는 이 발명에 관련된 편향요크의 주요부 구조률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예시한 편향요크를 칼라음극선관에 부찬시킨 사용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통상적인 종래 기술의 편향요크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플럭 8 : 네크홀더부
10 : 플랜지 14 : 래치트
18 : 톱니 20 : 세페레이터
24 : 수직코일 30 : 수평코일
이 고안은 칼라음극선관의 펀넬 외주에 장착되는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향요크 조립 후에도 수평 및 수직코일의 위치를 칼라음극선관의 네크 주위에서 원부방향에 따라 임의로 조정할 수 있게한 편향요크에 관한 것이다.
칼라음극선관은 그 후단부의 펀넬 외주면에 편향요크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편향요크는 그 자체를 구성하고 있는 수직 및 수평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계로 전자비임을 편향시켜서 칼라음극선관의 화면상에 전자비임이 주사되어 화상이 현출되게 해준다.
따라서 칼라음극선관의 펀넬 외주면에서 편향요크의 위치정밀도는 화상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것으로 되고 있으며, 이 위치정밀도는 네크 외주상에서 편향요크의 위치를 네크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정적컨버젼스와 퓨리티를 조정하는 요크풀백(Yoke pull-back), 또는 펀넬부상에 장착되는 편향요크의 경사자세 및 네크 외주의 원주방향 위치설정을 통하여 동적컨버젼스를 조정하는 비임로테이션으로 구별된다.
칼라음극선관의 펀넬부에 편향요크를 조립하는 종래의 방식을 제4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편향요크를 구성하는 세퍼레이터(S)는 외주면에 1쌍의 수직코일(V)을, 그리고 내주면에 이들 수직코일(V)에 직교 배치되는 1쌍의 수평코일(H)을 보유한 채로 칼라음극선관(C)의 네크부(N)측으로 삽입되어 클램핑수단(R)에 의해 고정부착된다.
상기한 편향요크의 조립에 있어서 요크풀백은 클램핑수단(R)을 죄어 붙이기 전에 편향요크률 네크부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조정함이 통상이고, 또한 이와 동시에 네크부 외주에서 편향요크를 천천히 돌려가면서 비임 로테이션이 가장 적합한 상태로 되게 조정한 다음 클램프수단(R)을 죄어 붙이므로서 실질적으로 요크풀백의 조정과 동시에 편향요크의 원주방향 위치설정도 같이 행해진다.
이렇게 클램핑수단(R)이 죄어 붙여진 다음에는 칼라음극선관(C)의 펀넬부와 편향요크 사이에 쐐기(wedge)(W)를 개재시켜서 편향요크의 경사자세를 교정한다.
상술한 조립방식에 있어서, 요크풀백과 비임로테이션의 조정은 편향요크가 다른 물체에 의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행하기 때문에 요크풀백을 맞추면 비임로테이션이 어긋나게 되거나 반대로 비임로테이션을 맞추면 요크풀백이 어긋나게 되어 조정작업이 어렵게 되는 결점이 있다.
또 일단 위치조정이 끝난 편향요크는 쐐기(wedge) 접착제(실리콘 본드)에 의해 영구히 칼라음극선관(C)에 접합되어 버리므로 나중에 편향요크의 위치설정 잘못으로 인한 불량품이 발견되면 쐐기와 접착제는 제거하고 편향요크를 분리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어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편향요크조립체가 일본국 특허공보소화 51-7703호를 통하여 1986년 3월 8일에 소개된 바 있다. 이 편향요크조립체는 세퍼레이터를 수직코일과 수평코일이 배열되는 코온부와, 클램핑 수단에 의해 네크 외주로 결합되는 네크홀더부로 분할 형성함으로써 클램핑수단이 네크홀더부를 네크부 외주로 죄어 붙인 상태에서도 코온부는 독자적으로 칼라음극선관의 펀넬부 외주면에서 임의로 회전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먼저 요크풀백을 조정하여 놓고 클램핑수단을 죄어 붙인 다음, 비임로테이션을 조정할 수 있게 한 것이므로 작업의 간편화와 조정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대단히 유리하다.
그러나 여기에 개시된 구조는 코온부와 네크홀더부 사이의 상대적 위치조정이 마찰접촉에 의해 나타나게 되어 있어서 이들의 최종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 즉 볼트, 너트 혹은 록크링과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이 요구되는 방식이므로 구조의 복잡화와 부품수의 증가를 피할 수 없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 고안은 네트홀더부와 코온부로 분할 형성되어 네크부 외주에 고정 부착되는 네크홀더부에 대하여 코온부가 상대적인 회전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형식의 편향요크에 있어서 부품수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제조하기 쉬운 간단한 구조의 편향요크를 제안한다.
이 고안에 관련된 편향요크는 네크홀더부의 일측에 형성된 플럭이 코온부의 대향측 개구로 삽입 접속됨으로써 일체로 조립된다.
네크홀더부의 플럭은 외주면에 복수개의 래치트(ratchet)를 등분 배열하고 있으며, 이들 래치트는 코온부의 대향측 개구 내주면에 헝성되어 있는 톱니와 계합(engagement)되어 네크홀더부에 대한 코온부의 상대적인 회전을 1피치씩 규제하게 된다.
래치트가 톱니를 스무스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래치트는 이라스틱 브리지(elastic bridge)에 의해 지지된다.
코온부의 내 외주면에는 각각 수평 및 수직코일 1쌍이 상호 직교를 이루어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접착제에 의해 코온부와 일체로 접착된다.
이 고안의 이점은 이하의 도면을 참조한 상세 설명을 통하여 보다 더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아눌라 클램프밴드(annular clamp band)(2)가 삽착되는 세그멘탈 피시스(segmental picecs)(4)를 일측에 형성하고, 그 반대측으로 튜브라 플럭(tublar plug)(6)이 연장된 네크홀더부(8)가 도시되어 있다.
세그멘탈피시스(4)와 튜브라 플럭(6)의 사이에는 플랜지(10)가 형성되어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또 튜브라 플럭(6)의 외주에는 이것과 일체로 복수개의 이라스틱브리지(12)가 등분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이라스틱브리지(12)는 대략 중간부에 래치트(14)를 보유하고 있다.
상기한 튜브라 플럭(6)은 이에 대향하는 코온부(15)의 개구(16)로 삽입 접속된다.
코온부(15)의 개구(16) 내주면에는 플럭(6)의 래치트(14)와 계합(engage)되는 톱니(tooth)(1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톱니(18)는 래치트(14)와 동일하게 개구(16)의 내주면에 등분 배열되어 있다.
한편, 코온부(15)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좌우 대칭형을 이루는 1쌍의 세퍼레이터(20)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세퍼레이터(20)는 스냅액팅커넥션(snap acting connections)(22)에 의해 합체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코온부(15)의 외주면 양측에는 수직코일(24)이 감겨진 코어(26)가 클램프(28)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며, 또 내주면에는 제2도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코일(30)이 전기한 수직코일(24)과 직교를 이루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코온부(15)에 대한 수직코일(24)과 수평코일(30)의 부착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접착제에 의존하고 있다.
제2도는 이 고안에 관련된 편향요크를 칼라음극선관에 장착시킨 예를 나타낸다.
네크홀더부(8)의 플랜지(10)가 코온부(15)의 개구(16) 주변과 접촉할 때까지 네크홀더부(8)의 플럭(6)을 코온부(15)의 개구(16)에 삽입 접속한 다음, 이들을 칼라음극선관(C)의 네크(N)측에서 코온부(15), 네크홀더부(8)의 순으로 삽입시키고, 요크풀백이 조정되는 위치에서 아눌러 클램프밴드(2)의 체결볼트를 죄어 붙여 네크 홀더부(8)가 테크(N)의 외주 상에 고정되게 한다.
다음에 코온부(15)를 네크홀더부(8)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켜서 비임로테이션을 조정한다.
코온부(15)가 네크홀더부(8)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을 하게 될 때, 톱니(18)에 계합된 래치트(14)는 1퍼치씩 톱니(18)를 타고 넘어가게 된다.
제3도는 래치트(14)와 톱니(18) 사이의 계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래치트(14)를 지지하고 있는 이라스틱브리지(12)는 래치트(14)가 톱니(18)를 타고 넘을 때 받게 되는 외력을 탄성 변형으로 해소시켜 줌으로써 코온부(15)가 원만하게 회전될 수 있게 한다.
톱니(18)의 피치는 비임로테이션의 최소원주이동거리 1㎜에 맞추어 설정되어야 한다.
14인치 칼라음극선관을 예로 들면, 유효화면 길이의 1/2인 140.4㎜와 주사선의 기울기 0.5㎜와의 비율을 산정하고, 이 값에 네크부의 반경치 14.5㎜와 톱니의 퍼치(X)비율을 대입하여 140.4 : 1.0=14.5 : X, 140.4X=14.5, 고로 X의 값은 0.103㎜로 설정되어 코온부(15)의 회전에 의한 비임로테이션 조정이 단계적으로 이루어 지게 되는 것이다.
비임로테이션의 조정이 끝나고 나면 종래와 마찬가지로 웨지(W)에 의해 펀넬에 대한 코온부(15)의 기울기가 조정된 다음 접착제(실리콘 본드)로 접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고안은 상호 분할된 네크홀더부와 코온부 사이를 래치트와 톱니로 계합시켜서 상대적인 회전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부품수의 증가나 구조의 복잡화를 초래하지 않고도 편향요크의 위치선정을 정밀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칼라 음극선관(C)의 네크(W) 외주에 고정부착되는 세그멘탈 피시스(4)가 일측에 형성되고, 그 반대측에 플랜지(10)를 경계로 하여 플럭(6)이 연장됨과 아울러 이 플럭(6)의 외주면에 래치트(14)를 보유하는 복수개의 이라스틱 브리지(12)가 등분 배열되어 있는 네크 홀더부(8)와, 서로 합체되는 좌우 대칭형의 세퍼레이터(20)로 형성되어 내 외주면에 각각 1쌍의 수직코일(24)과 수평코일(30)을 장착하고 있으며, 전기한 네크홀더부(8)의 플럭(6)과 접속되는 일측 개구(16)의 내주면에 전기한 복수개의 래치트(14)와 계합되는 톱니(18)가 동일하게 등분 배열되어 있는 코온부(15)로 이루어진 편향요크.
KR2019900016290U 1990-10-24 1990-10-24 편향 요크 KR930000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6290U KR930000341Y1 (ko) 1990-10-24 1990-10-24 편향 요크
MYUI91001008A MY107948A (en) 1990-10-24 1991-06-07 Deflection yoke
CN91209902U CN2101327U (zh) 1990-10-24 1991-06-10 偏转线圈
SU4895724/21A RU2025819C1 (ru) 1990-10-24 1991-06-10 Отклоняющая система
US07/715,919 US5204648A (en) 1990-10-24 1991-06-14 Deflection yo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6290U KR930000341Y1 (ko) 1990-10-24 1990-10-24 편향 요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341Y1 true KR930000341Y1 (ko) 1993-01-25

Family

ID=19304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6290U KR930000341Y1 (ko) 1990-10-24 1990-10-24 편향 요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04648A (ko)
KR (1) KR930000341Y1 (ko)
CN (1) CN2101327U (ko)
MY (1) MY107948A (ko)
RU (1) RU2025819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706B1 (ko) * 1992-11-10 1995-10-07 삼성전관주식회사 투사형 수상관용 편향요크 및 포커스 마그네트의 고정구조
KR970003294Y1 (ko) * 1994-05-30 1997-04-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극선관의 네크부 고정구조
KR100220994B1 (ko) * 1996-05-29 1999-09-15 이형도 분리형 타입과 일체형 타입을 겸할 수 있는 편향 요크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FR2751786B1 (fr) * 1996-07-25 1998-10-16 Thomson Tubes & Displays Dispositif de fixation d'un deviateur sur le col d'un tube a rayons cathodiques
JP3543900B2 (ja) * 1996-12-27 2004-07-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陰極線管装置
JPH1196934A (ja) * 1997-09-22 1999-04-09 Sony Corp 偏向ヨー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0270A (en) * 1968-04-03 1970-03-10 Kidde & Co Walter Adjustable mounting means for a convergence assembly
US3761848A (en) * 1973-01-02 1973-09-25 Denki Onkyo Co Ltd Means securing a deflection yoke to the neck of a cathode ray teche
US3939447A (en) * 1975-01-07 1976-02-17 Rca Corporation Spring mount for a cathode ray tube yoke
US4353094A (en) * 1980-10-27 1982-10-05 Zenith Radio Corporation Adjustable yoke assembly
US4564824A (en) * 1984-03-30 1986-01-14 Microwave Applications Group Adjustable-phase-power divider apparatus
JPS627658A (ja) * 1985-07-05 1987-01-14 矢作製鉄株式会社 炭素含有耐火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01327U (zh) 1992-04-08
US5204648A (en) 1993-04-20
RU2025819C1 (ru) 1994-12-30
MY107948A (en) 1996-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0341Y1 (ko) 편향 요크
US5584738A (en) Cathode ray tub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74165B1 (ko) 음극선관용편향요크
SU741813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отклон ющей системы электронно-лучевой трубки
JP3976846B2 (ja) 陰極線管用の電子ビーム偏向装置およびアッセンブリー
JPH03257742A (ja) 偏向ヨーク
KR870001640A (ko) 편향요크
KR950000503Y1 (ko) 편향요크
KR900006822Y1 (ko) 편향요크의 링홀더구조
KR0123222Y1 (ko) 편향요크의 크로스아암 고정장치
JP2814269B2 (ja) 偏向ヨーク
KR910007957Y1 (ko)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
KR200145774Y1 (ko) 편향 요크용 세퍼레이터
JPH0747788Y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偏向ヨーク
KR200147756Y1 (ko) 음극선관
KR920001579Y1 (ko) 슬리트(Slit)형 세퍼레이터
KR200142305Y1 (ko) 세퍼레이터의 터미널 고정 구조
JPS597725Y2 (ja) 陰極線管装置
KR950003478Y1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취부구조
KR950006114Y1 (ko) 수직편향코일의 조립중심조절이 가능한 편향요크
KR100431265B1 (ko) 편향요크
KR950002698Y1 (ko) 편향요크의 고정장치
JP3041903B2 (ja) 偏向ヨーク
JPS5846520Y2 (ja) 撮像管保持装置
KR100356290B1 (ko) 편향요크의 코일 세퍼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