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248Y1 - 직기의 바디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의 바디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248Y1
KR930000248Y1 KR9203342U KR920003342U KR930000248Y1 KR 930000248 Y1 KR930000248 Y1 KR 930000248Y1 KR 9203342 U KR9203342 U KR 9203342U KR 920003342 U KR920003342 U KR 920003342U KR 930000248 Y1 KR930000248 Y1 KR 930000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lash
loom
word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3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오 다까하시
다까쯔그 가또
시게루 데루시마
Original Assignee
구메 유다까
닛산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80008432A external-priority patent/KR890002463A/ko
Application filed by 구메 유다까, 닛산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구메 유다까
Priority to KR9203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2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2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60Construction or operation of slay
    • D03D49/62Reeds mounted on slay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2General arrangements of driving mechanism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3/00Weavers' tools, e.g. knot-tying tools
    • D03J3/02Reed and heald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기의 바디구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직기의 바디구동장치 일 실시예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바디구동장치의 요부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바디구동장치가 장착된 직기의 개략정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제1도와 유사하지만, 제1도의 바디구동장치의 구동을 예시하는 측면도.
제6도는 제1도와 유사하지만, 본 고안에 의한 바디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바디구동장치의 요부정면도.
제8도는 종래 직기의 바디구동장치의 개략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슬레이스워드축 5 : 슬레이스워드
6 : 바디홀더 7 : 바디
8 : 회전축 9 : 크랭크
10 : 피봇축 11 : 베어링부재
12 : 편심축 13 : 아암
15 : 유압실린더 17 : 스톱퍼
18 : 요동링크 20,24 : 연결로드
22 : 레버 25 : 서어보모우터
16 : 섹터기어 27 : 워엄기어
28,29 : 스톱퍼
본 고안을 일반적으로 직기의 바디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디의 후퇴위치를 거의 바꾸는 일없이, 전진위치를 바꿀수 있는 바디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여러종류의 바디구동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것을 제8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제8도에 도시된 바디구동장치에서 구동캠(101)은 직기의 프레임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요동레버(102)는 캐종동부(102a)를 통하여 구동체(101)에 의해 요동자재하게 구동되며, 그 피봇부(102b)에서 피봇된다. 슬레이스우드(103)는 공통의 피봇부(102b)에서 피봇되며, 바디(104)가 설치되어 있다. 슬레이스워드(103)는, 개구된 경사(105)와 접촉하는 직포(107)의 클로드펠(106)에 대해서 위입된 윗를 바디치기하며, 또한, 링크(108),(109)는 연결핀(11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링크(108)는 그 자유단부에서 레버(102)의 자유단부(102c)와 연결되는 반면, 링크(109)는 그 자유단부에서 슬레이스워드(103)의 중앙돌출부(103a)와 연결된다. 이러한 바다구동장치에 의해 연결핀(110)의 위치를 선택함으로서 바디(104)의 전지(바디치기운동)위치를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바디구동장치는, 연결핀(110)의 위치의 선택에 의해 기본적으로는 링크(108),(109)에 의해서 구성된 연결로드의 길이 또는 레버(102)와 슬레이스워드(103) 사이의 각을 변경하는 것이기 때문에, 바디(104)의 전진위치가 제8도의 A1에서 B1으로 변환된 경우, 바디의 후퇴위치도 또한 A2에서 B2로 변환되어 버린다. 그래서 이와같이 바디의 전진 및 후퇴위치가 변화하면, 위입이 가능한 기간은, 제8도의 B2∼A1까지의 범위인 각 θ의 범위로 되므로, 위입이 가능한 기간이 줄어든다.
이와 같은 위입이 가능한 기간 또는 각 θ가 줄어드는 것을 막기위해서는, 바디의 전진위치를 A1에서 B1과같이 전진시킨 경우도, 그 후퇴위치 B2를 전의 후퇴위치 A2에 가까운 위치에 두는 것이 필요하다. 더우기, 바디의 후퇴위치가 변화한다고 하는 것은, 연결로드가 가장 짧게 되었던 경우의 바디의 후퇴위치에 일치해서 경사의 개구장치를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경사의 개구량이 크게된다고 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고속화에 적합하고, 또, 후퇴위치를 거의 바꾸지 않고 전진위치를 바꿀 수 있는 바디의 구동장치를 얻을 수 있는 향상된 바디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직기용 바디구동장치는 바디를 구동시키기 위해 요동링크를 통해 슬레이스워드를 크랭크에 연결하고 있으며, 요동링크는 피봇측상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 그 둘레를 요동하고, 피봇측의 위치는 일정한 패턴에 딸 일정 방향내에 일정량으로 변한다.
따라서, 크랭크의 운동은 요동링크를 통해 슬레이스워드에 전달됨으로서 바디를 요동운동시키며, 요동링크의 피봇측에 대한 위치를 선택함으로서, 바디의 전진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요동링크의 요동중심을 변경시킴으로서, 바디의 전진위치를 변경시킨다.
또, 본 고안에 있어서는, 바디의 후퇴위치를 거의 바꾸지 않고 바디의 전진위치만을 바꾸므로, 바디의 전진위치를 바꿀때에도 위입가능각 θ이 거의 변하지 않음으로서 위입가능각 θ을 비교적 크게 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고안의 바디구동장치를 장착한 직기는 고속화에 적합하고, 더우기, 바디의 후퇴위치를 거의 바꾸지 않으므로 경사의 개구량도 특별히 크게는 되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면에 있어서, 전체 도면에 걸쳐 동일한 번호는 동일하게 대응하는 구성부분을 가리킨다.
이하, 제1도∼제5도와 관련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직기의 바디구동장치의 일실시예 설명한다. 바디구동장치는 프레임 F을 구비한 직기에 내장되어 있다.
프레임 F에는 한쌍의 대향부(1),(1)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뻗은 지주(2)가 구성되어 있으며, 슬레이스워드축(3)은 지주(2)에 고정된 베어링부재(4)에 의해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고, 슬레이스워드(5)는 슬레이스워드축(3)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바디홀더(6)는 슬레이스워드(5)의 자유단부에 고차되어 있으며, 바디홀더(6)와 함께 움직이도록 바디(7)를 확실하게 유지한다.
크랭크(9)는 직기의 주측(도시하지 않음)과 동기하게 회전하는 회전축(8)에 고정되어 있으며, 회전축(8) 둘레를 회전하는 크랭크핀(9a)을 지닌다.
피봇축(10)은 직기의 고정부재(도시하지 않음)에 대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부재(11)에 의해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피봇축(10)에는 피봇축(10)에 대해 편심적인 편심축(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피봇축(10)의 일단부에는 아암(13)이 직각으로 돌설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피봇축(10)의 축과 평행하게 아암(13)의 자유단부에서 돌설되어 있는 핀(14)에 유압실린더(15)의 피스톤로드(15a)의 단부가 선회하게 연결되어 있다.
유압실린더(15)는 핀(16)둘레에 약간 선회되도록 핀(16)에 의해 직기의 고정부재(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어 있으며, 아암(13)의 스톱퍼(17)(제1도)는 직기프레임 F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아암(13)은 스톱퍼(17)와 접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V자형상의 단면(제1도)을 지니는 요동링크(18)는 편심축(12)에 선회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요동링크(18)의 중앙부(18a)는 편심축(12)에 선회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두개의 마주보는 저단아암부(18b)가 일체로 형성되어 중앙부(18a)에서 뻗어있으며, 두개의 마주보는 상단아암부(18c)가 일체로 형성되어 중앙부(18a)에서 뻗어있으며, 각각의 저단아암부(18b) 및 상단아암부(18c)의 교차측은 예각을 형성한다. 핀(19)은 자유단부에서 저단아암부(18b)를 연결하도록 고착되어 있으며, 핀(21)은 자유단부에서 상단아암부(18c)를 결하도록 고착되어 있고, 핀(19)은 연결로드(20)를 통해서 크랭크(9)의 크랭크핀(9a)과 연결되고, 핀(21)은 연결로드(24)를 통해서 슬레이스워드(5)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레버(22)에 고착된 핀(23)과 연결되어 있다. 레버(22)는 일반적으로 슬레이스워드축(3)에 대해 슬레이스워드(5)에 반대방향으로 돌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바디구동장치의 구동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회전축(8)는 크랭크핀(9a), 연결로드(20) 및 핀(19)을 통해서 제4도의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편심축(12)둘레를 요동한다.
따라서, 슬레이스워드(5)는 핀(21), 연결로드(24), 핀(23) 및 레버(22)를 통해서 제4도와 화살표 E방향으로 회전하며, 또한 바디(7)는 제4도의 양방향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러한 작동에 있어서, 제1도 및 제4도는 바디(7)가 바디치기를 달성하기 위한 전진위치에 도달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반면 제5도는 바디(7)가 후진위치 또는 최후미위치에 달한 다른 상태를 도시한다.
제1도, 제4도 및 제5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는 제1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에서 유압실린더(15)에 의해 설정된다. 유압실린더(15)의 피스톤로드(15a)가 상기 상태에서 가상(또는 이점쇄선으로)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당겨진 경우, 아암(130은 피봇축(10)둘레를 화살표 G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편심축(12)도 함께 회전한다. 그 결과, 이 바디구동장치의 링크장치는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에서 가상으로 나타낸 상태로 변한다. 이러한 상태변경작동은 제4도 및 제5도에 있어 동일하다.
바디(7)는 전진위치는, 유압실린더(15)의 피스톤로드(15a)가 제1도에 가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당겨져 있는 경우,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전진되도록 변한다. 그러나, 바디(7)의 후진위치는 제5도에 가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다지 변하지 않는다. 피스톤로드(15a)를 수직으로 움직이기 위한 유압실린더(15)의 동작은 일정한 패턴에 따라 실행된다. 예를 들면, 파일 제직기의 경우에 있어서, 일정한 패턴은, 실선의 상태로 두번의 바디치기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계속해서 가상으로 도시된 상태로 한번의 바디치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유압실린더(15)는 종래에 알려진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작용하게 일정한 패턴을 달성하도록 작동하여, 즉, 제어장치는 유압실린더(15)를 일정한 패턴에 따라 작동시킨다.
이와 달리, 진단을 제거하기 위한 일정한 패턴은, 직기를 시동하는 동안의 시간주기로 가상으로 도시된 상태로 바디치기가 이루어진 후 실선의 상태로 바디치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직기를 시동하는 동안의 시간주기로 실선의 상태로 바디치기가 이루어진후 가상의 상태로 바디치기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실선 및 가상으로 나타낸 상태는 피봇축(10)의 회전량 및/또는 피봇축(10)에 대한 편심축(12)의 편심도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서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 바디구동장치가 상기 일정한 패턴에 따라 작동된 파일제직기에 적용된 경우를 설명한다.
유압실린더(15)의 피스톤로드(15a)가 제1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한 경우, 아암(13)은 스톱퍼(17)와 접하도록 위쪽으로 회전한다.
실선의 상태에 있어서, 요동링크(18)는 크랭크(9)의 회전하에 편심축(12) 둘레를 요동함으로서, 슬레이스워드(5) 및 바디(7)를 전후로 요동시킨다.
이때, 피봇축(10) 및 편심축(12)은 실선의 위치에 놓이므로, 바디(7)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위치 AF 및 후퇴위치 AB사이에 요동한다.
이 상태하에서, 2번 바디치기가 이루어진후, 유압실린더(15)의 피스톤로드(15a)는 다음번의 바디치기시기에 당경지게되므로 편심축(12)을 가상위치로 옮긴다. 이것은 편심축(12)을 위쪽으로 옮겨서, 전지위치 BF를 상기의 전진위AF에 대해 상당히 앞으로 이동시키고, 후퇴위치 BB를 후퇴위치 AB는 대해서 약간만 앞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하에서, 바디(7)는 전진위치 AF에서 바디치기 되어 있는 두개의 위사에 의해 전지위치 BF에서 이루어진다. 즉, 파일사는 종래의 파일제직기와 마찬가지로 루프의 형태로 돌출한다. 이 바디치기의 다음번의 바디치기 사이의 시간동안, 유압실린더(15)의 피스톤로드(15a)는 돌출됨으로서 편심축(12)을 실선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따라서, 이 경우에 있어서, 위사북침운동은 전진위치 AF에서의 바디(7)와 후진 위치 BB에서의 바디(7)사이에 형성된 위사북침운동가능각 θ내에 달성되지만, 본 고안에 의하면, 후퇴위치 AB에서 부터 후퇴위치 BB까지의 바디(7)의 이동량이 적으므로, 종래의 바디구동장치의 경우보다 더큰 위사복침운동 가능각 θ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고속의 직기구동에서도 위사북침운동이 실현되며, 더욱기, 후퇴위치 AB와 BB사이의 이동량이 더 작기 때문에, 경사의 크기는 후퇴위치 AB 및 다른 후퇴위치 BB에 따라 결정하는 이경우에 있어 거의 동일하다. 그 결과, 본 고안에 의하면, 경사의 크기가 필요이상으로 크게 되지 않는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제6도 및 제7도는, 피봇축(10)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장치를 제외하고는 제1도 내지 제5도의 실시예와 유사한 본 고안에 따른 바디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워엄휘일로서 작용하는 섹터기어(26)는 피봇축(10)과 동축이 되도록 피봇축(10)의 단부에 고착되어 있으며, 서어보모우터(25)의 출력축(25a)이 고착된 워엄기어(27)는 섹터기어(26)와 맞물려져 있다. 따라서, 피봇축(10)은 시어보모우터(25)를 구동함으로서 편심축(12)의 위치를 이동하도록 회전하며, 스톱퍼(28),(29)는 섹터기어(26)의 양측단과 접한다. 이와관련하여, 섹터기어(26)가 스톱퍼(28),(29)와 접하게 되는 때 서어보모우터(25)의 회전저항이 증가되는 경우, 서어보모우터(25)는 그 작동 및 회전이 멈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달리, 일정한 회전위치에 도달하는 때 서어보모우터(25)를 멈추도록 서어보모우터(25)의 회전양을 검출하기 위해 부호기(encoder)(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도 제1도 내지 제5도의 실시예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두개의 장치가 피봇축(10)을 회전할때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레버를 피봇축(10)에 고착시켜 직기의 주축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캠에 의해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직물의 파일의 길이는 피봇축(10)위치의 적절한 선택시 바디(7)의 전진위치 BF를 적절히 선택하여 변화시킴으로서, 다른 길이의 파일을 가지는 장식성이 높은 파일직무을 제작할수도 있다.

Claims (1)

  1. 주축으로 구동되는 크랭크(9), 상기 크랭크(9)에 제1단에 연결된 제1연결로드(20), 중앙부(18a), 상기 중앙부(18a)와 일체적으로 상기 제1연결로드(20)의 제2단에 연결된 제1아암부(18b), 및 상기 중앙부(18a)와 일체적인 제2아암부(18c)를 지니며, 상기 제1아암부(18b)가 상기 제2아암부(18c)와 각을 이루고 있는 요동링크(18), 제1축부, 및 상기 요동링크(18)의 상기 중앙부(18a)가 설치되어 있는 제2축부(12)로 이루어져, 상기 요동링크(18)의 상기 중앙부(18a)의 축 둘레를 요동회동할 수 있고, 상기 제2축부(12)가 상기 제1축부에 대해 편심적인 피봇축(10), 상기 요동링크(18)의 상기 제2아암부(18c)에 제1단이 연결된 제2연결로드(24), 슬레이스워드축(3) 둘레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되며, 그위에 바디(7)가 설치되어 있는 슬레이스워드(5), 상기 슬레이스워드(5)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로드(24)의 제2단과 연결된 슬레이스워드레버(22), 회전자재의 출력축(25a)을 지니는 서어보모우터(25), 상기 피봇축(10)의 상기 제1축부에 고정된 섹터기어(26), 및 상기 섹터기어(26)와 맞물리고, 상기 서어보모우터(25)의 출력축(25a)으로 구동되는 워엄기어(27)로 이루어지는 직기의 바디구동장치.
KR9203342U 1988-07-07 1992-03-03 직기의 바디구동장치 KR930000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3342U KR930000248Y1 (ko) 1988-07-07 1992-03-03 직기의 바디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8432A KR890002463A (ko) 1987-07-08 1988-07-07 직기의 바디 구동장치
KR9203342U KR930000248Y1 (ko) 1988-07-07 1992-03-03 직기의 바디구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432A Division KR890002463A (ko) 1987-07-08 1988-07-07 직기의 바디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248Y1 true KR930000248Y1 (ko) 1993-01-25

Family

ID=26627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3342U KR930000248Y1 (ko) 1988-07-07 1992-03-03 직기의 바디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2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281B1 (ko) * 2007-01-12 2013-03-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281B1 (ko) * 2007-01-12 2013-03-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3605B1 (ko) 미싱의중압체높이조정장치
US4305434A (en) Weaving loom
US4957143A (en) Reed operating system for loom
US5176181A (en) Shed-forming device for griffe frames
US5722465A (en) Mechanism for adjusting the terry pile height
JP2975387B2 (ja) 筬の駆動方法及び装置
US4848415A (en) Machine for forming a tucked selvedge, lightened and of low thickness, in fabrics produced on shuttle-less looms
KR930000248Y1 (ko) 직기의 바디구동장치
US4546803A (en) Relief means for the drive mechanisms of components alternatingly rocking between two end positions
JPS5830428B2 (ja) 織機の開口装置
EP0369428A2 (en) A windshield wiper structure
US3948297A (en) Device for operating the weft needles in shuttle-less textile looms
JP3386407B2 (ja) 布移動式パイル形成装置
US41082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weaving machine for forming a fabric selvedge
CN205974910U (zh) 一种剑杆毛巾织机的筘动起毛机构
JP3283399B2 (ja) クランク開口装置
JPH04352853A (ja) 織機の筬駆動装置
US4427037A (en) Shuttleless looms
CN218478852U (zh) 一种喷水织机的绞边总成
JPH0220738B2 (ko)
JPH07324253A (ja) レピア織機における緯入れ装置及び筬打ち装置
EP0525490B1 (en) Conjugate cam shedding machine for looms
US3964524A (en) Loom lay drive linkage
US3378042A (en) Mechanism for simultaneously varying the speed of movement and dwell time of a reed
JPH07324254A (ja) レピア織機における緯入れ装置及び筬打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