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281B1 -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 - Google Patents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281B1
KR101247281B1 KR1020070003951A KR20070003951A KR101247281B1 KR 101247281 B1 KR101247281 B1 KR 101247281B1 KR 1020070003951 A KR1020070003951 A KR 1020070003951A KR 20070003951 A KR20070003951 A KR 20070003951A KR 101247281 B1 KR101247281 B1 KR 101247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at vehicle
link
hinge
vehicle
comb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6466A (ko
Inventor
노경덕
김경호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3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281B1/ko
Publication of KR20080066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 F41H7/02Land vehicles with enclosing armour, e.g. tanks
    • F41H7/04Armou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는, 전투차량의 전면부에 형성된 차량부 제1 힌지와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선수익과; 일단부가 상기 선수익의 후면에 형성된 선수익 힌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구동힌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링크와; 상기 구동힌지와 일단부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들의 타단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2 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선수익을 개폐시키는 선수익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Bow plane of combat vehicle}
도 1은 종래의 선수익 장치가 장착된 전투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가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
101: 선수익 102: 제1 링크
103: 제2 링크 104: 구동 힌지
105: 선수익 힌지 106: 차량부 제1 힌지
107: 차량부 제2 힌지 108: 연결부재
109: 동력전달부재 110: 구동 실린더
120: 전투차량 130: 선수익 구동수단
본 발명은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투차량의 수상운행시 발생하는 유체저항을 감소시키고 전투차량으로의 유체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갑차등과 같은 전투차량은 육상에서 뿐만 아니라 하천이나 해안지역과 같은 수상에서도 주행이 가능하도록 설계 제작된다. 전투차량이 육상으로 주행하다가 수상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유체저항을 받게 되며, 또한 전투차량 전면이 침수되어 전투차량 상부로 유체가 범람하여 주행의 불안정성을 가속시킨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전투차량은 상기와 같은 전투차량의 수상 운행시 발생하는 유체저항과 전투차량 내부로의 유체유입을 막기 위하여 선박의 선수익 구조를 전투차량의 전면부에 설치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선수익 장치가 장착된 전투차량(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의 전투차량(10)은 전면부에 선수익(12)를 장착하고 있다. 선수익(12)은 전투차량(11)의 전면부에 힌지(13)로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다. 전투차량의 전면부에 장착된 선수익(12)은 수상 운행시 펼쳐진 상태로 운행하므로 유체저항을 최소시키며, 전투차량의 상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전투차량(11)에 장착된 종래의 선수익(12)은 사람에 의해 직접 개폐되며 지 지대(14)에 의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된다. 지지대(14)에 의해 선수익(12)이 고정되므로 선수익(12)의 펼쳐진 각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선수익 장치는 사람이 직접 개폐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전투차량에 장착되는 선수익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선수익의 개폐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는, 전투차량의 전면부에 형성된 차량부 제1 힌지와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선수익과; 일단부가 상기 선수익의 후면에 형성된 선수익 힌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구동힌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링크와; 상기 구동힌지와 일단부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들의 타단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2 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선수익을 개폐시키는 선수익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수익 구동수단은, 상기 제2 링크들의 타단부와 결합하고 상기 전투차량의 전면부에 형성된 차량부 제2 힌지에 결합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전투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 실린더와; 상기 구동 실린더의 직선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연결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섹터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중앙부 외주면에는 상기 섹터기어와 치합되도록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실린더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실린더는 공압 실린더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밖에도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100)은 전투차량(120)의 전면부에 형성된 차량부 제1 힌지(106)과 힌지 결합한 선수익(101)과, 일단부가 선수익(101) 내면에 형성된 선수익 힌지(105)와 결합하고 타단부에는 구동힌지(104)가 형성된 제1 링크(102)와, 일단부가 구동힌지(104)와 힌지 결합한 제 2링크(103) 및 제2 링크(103)의 타단부와 결합하고 제2 링크(103)를 회전시켜 선수익(101)을 개폐시키는 선수익 구동수단(130)을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제1 링크(102) 두 개가 선수익(105)과 선수익 힌지(105)와 결합하고, 제2 링크(103) 두 개가 각각 두 개의 제1 링크(102)의 타단부와 힌지 결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링크(102)와 제2 링크(10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선수익 구동수단(130)은 연결부재(108), 구동 실린더(110) 및 동력전달부재(109)를 포함한다.
전투차량의 내부에는 구동 실린더(110)가 설치된다. 구동 실린더(110)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일 수 있다. 구동 실린더 로드(110a)는 동력전달부재(109)와 힌지(111) 결합한다. 구동 실린더 로드(110a)가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동력전달부재(109)는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동력전달부재(109)는 일단부(109b)는 구동 실린더 로드(110a)와 힌지(111) 결합하며, 타단부(109a)는 연결부재(108)의 중앙부에 치합되어 구동 실린더 로드(110a)의 직선 왕복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킨다. 동력전달부재(109)의 타단부(109a)는 연결부재(108)의 중앙부에 치합할 수 있도록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109)는 섹터기어일 수 있다.
연결부재(108)는 제2 링크(103)의 타단부와 연결되며, 전투차량의 전면부(120)의 형성된 차량부 제2 힌지(107)에 결합하여 회동한다. 제2 링크(103)의 타단부는 연결부재(108)와 연결되어 연결부재(108)가 길이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하는 경우 제2 링크(103)도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링크(103)의 일단부와 힌지 결합하는 제1 링크(102)도 회동하게 된다. 연결부재(108)는 원기둥 형 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2 링크(103)의 타단부가 연결부재(108)의 양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않으며 연결부재(108)의 양끝단 안쪽에서도 제2 링크(103)의 타단부가 연결부재(108)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108)는 전투차량의 전면부(120)에 형성된 차량부 제2 힌지(107)에 결합한다. 연결부재(108)의 중앙부는 동력전달부재(109)와 치합한다. 이에 따라 동력전달부재(109)에서 전달된 회전력은 연결부재(108)에 전달되어 연결부재(108)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의 작용을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가 펼쳐지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5는 수평면에 대하여 선수익이 대략적으로 60°정도 펼쳐진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수평면에 대하여 선수익이 대략적으로 100°정도 펼쳐진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수평면에 대하여 선수익이 완전히 펼쳐진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전투차량은 육지를 운행하는 경우에는 선수익(101)이 전투차량에 접힌 상태로 운행한다. 즉 선수익(101)은 전투차량이 수상운행시 발생하는 유체저항을 최소화하며, 전투차량으로의 유체유입을 막는 역할을 하므로 전투차량이 육지를 운행하는 경우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선수익(101)은 접혀져 전투차량 의 상부(120)에 접촉하게 된다.
다음으로 전투차량이 수상으로 진입하게 되는 경우에는 전투차량의 운전자는 전투차량 내부에 설치된 구동 실린더(110)에 유압을 가하게 되고, 이 유압에 의해서 구동 실린더 로드(110a)가 외부로 인출되며 직선운동을 한다. 구동 실린더(110)의 로드(110a) 일단부는 동력전달부재(109)의 일단부(109b)와 힌지(111) 연결된다. 이에 따라 구동 실린더(110)에 유압이 가하여져 구동 실린더 로드(110a)가 앞으로 밀어져 나옴에 따라 구동 실린더 로드(110a)와 힌지(111) 연결된 동력전달부재(109)는 회전운동하게 된다. 연결부재(108)의 중앙부에는 기어가 형성된 동력전달부재(109)의 타단부(109a)와 치합되도록 기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08)의 중앙부에 형성된 기어는 동력전달부재(109)의 타단부(109a)와 치합되어 있으므로 동력전달부재(109)가 회전운동을 함에 따라 연결부재(108) 역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연결부재(108)는 제2 링크(103)의 타단부와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108)의 회전에 의해 제2 링크(103) 역시 회동하게 된다. 제2 링크(103)의 일단부는 제1 링크(102)와 구동힌지(104)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제1 링크(103)은 선수익(101)에 형성된 선수익 힌지(도 2의 105)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 링크(103)의 회전에 의해서 제1 링크(102)이 회전하며 선수익(101)이 개폐된다.
선수익(1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실린더(110)에 연결된 제1 링크(102)와 제2 링크(103)에 의해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은 선수익(101)이 수평면에 대하여 대략 100°정도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7은 선수익(101)이 수평면에 대하여 대략 135°정도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선수익 장치(100)는 구동 실린더 로드(110a)가 인출되는 길이에 따라 제2 링크(103) 및 제1 링크(102)의 회전되는 정도가 결정되므로 선수익(101)의 개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선수익 장치(100)를 구비한 전투차량은 물결이나 파도의 정도, 수심의 깊이 또는 전투차량의 속도 등 여러 수상운행 조건에 따라 선수익(101)의 개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투차량의 수상운행시 선수익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선수익의 펼쳐진 각도를 수상조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전투차량의 전면부에 형성된 차량부 제1 힌지와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선수익;
    일단부가 상기 선수익의 후면에 형성된 선수익 힌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구동힌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링크;
    상기 구동힌지와 일단부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의 타단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2 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선수익을 개폐시키는 선수익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선수익 구동수단은,
    상기 제2 링크의 타단부와 결합하고 상기 전투차량의 전면부에 형성된 차량부 제2 힌지에 결합하는 연결부재;
    상기 전투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 실린더; 및
    상기 구동 실린더의 직선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연결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기어로 이루어지는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섹터기어로 이루어지는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중앙부 외주면에는 상기 섹터기어와 치합되도록 기어가 형성된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실린더는 유압 실린더인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실린더는 공압 실린더인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
KR1020070003951A 2007-01-12 2007-01-12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 KR101247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951A KR101247281B1 (ko) 2007-01-12 2007-01-12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951A KR101247281B1 (ko) 2007-01-12 2007-01-12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466A KR20080066466A (ko) 2008-07-16
KR101247281B1 true KR101247281B1 (ko) 2013-03-25

Family

ID=3982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951A KR101247281B1 (ko) 2007-01-12 2007-01-12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2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936B1 (ko) * 2010-08-09 2012-06-13 현대로템 주식회사 수륙양용차량용 선수익 장치
KR102138361B1 (ko) 2019-03-29 2020-07-27 국방과학연구소 전방 형상 변형이 가능한 수상주행차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248Y1 (ko) * 1988-07-07 1993-01-25 구메 유다까 직기의 바디구동장치
KR960002421B1 (ko) * 1989-06-21 1996-02-17 에프 엠 씨 코포레이션 수중 지지 및 추진 시스템
JP2000144667A (ja) 1998-11-06 2000-05-26 Shin Meiwa Auto Engineering Kk スノーブレードのカッティングエッジ固縛装置
KR20040039772A (ko) * 2002-11-04 2004-05-12 국방과학연구소 수륙양용차량의 수상운행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248Y1 (ko) * 1988-07-07 1993-01-25 구메 유다까 직기의 바디구동장치
KR960002421B1 (ko) * 1989-06-21 1996-02-17 에프 엠 씨 코포레이션 수중 지지 및 추진 시스템
JP2000144667A (ja) 1998-11-06 2000-05-26 Shin Meiwa Auto Engineering Kk スノーブレードのカッティングエッジ固縛装置
KR20040039772A (ko) * 2002-11-04 2004-05-12 국방과학연구소 수륙양용차량의 수상운행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466A (ko) 200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7281B1 (ko) 전투차량의 선수익 장치
CN205186489U (zh) 曲柄滑块式叶片摆动机构以及包括该机构的直翼推进器
FR3102139A1 (fr) Dispositif de propulsion hydraulique formant pompe helice et navire equipe d&#39;un tel dispositif
AU2016421822B2 (en) Stabilizer fin for a watercraft
CN108313253A (zh) “x”舵和“十”字舵可转换舵系及其艉舵承密封装置
KR101291122B1 (ko) 선박용 러더 및 이를 갖춘 선박
CN104192287B (zh) 一种变结构船用翼桨
KR101488000B1 (ko) 선박의 추진 장치
CN110525120A (zh) 一种可收放桨叶的新型的水陆两栖车轮
CN206171775U (zh) 一种船舶可调桨
CN101424086B (zh) 挖掘机用摆转装置
JP4077776B2 (ja) 排雪用シャッタ装置
KR101185408B1 (ko) 터널 추진기
KR101434143B1 (ko)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236944B1 (ko)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FI124952B (fi) Siivenkääntömekanismi ja u-aura
CN219584458U (zh) 一种水下机器人的推进结构
CN101570975B (zh) 挖掘机铲斗用摆转装置
RU2292288C2 (ru) Реверс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удна
KR20120138923A (ko) 터널식 스러스터 및 이를 갖춘 선박
RU2568633C1 (ru)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подводного вождения танка
CN114104247B (zh) 一种齿轮传动的喷水推进装置操纵机构
JP4105673B2 (ja) 切換式除雪車
CN216184237U (zh) 一种转向驱动桥
KR101325704B1 (ko) 선박의 부가 추력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