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1797A - 심층 스플라인과 개량된 상승램프를 갖는 동기화기 - Google Patents

심층 스플라인과 개량된 상승램프를 갖는 동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1797A
KR920011797A KR1019910023965A KR910023965A KR920011797A KR 920011797 A KR920011797 A KR 920011797A KR 1019910023965 A KR1019910023965 A KR 1019910023965A KR 910023965 A KR910023965 A KR 910023965A KR 920011797 A KR920011797 A KR 920011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orce
flange
friction
r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3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220B1 (ko
Inventor
다글라스 레이놀즈 죠셉
죠지 오레 토마스
Original Assignee
프랑크 엠 사죠벡
이턴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633,738 external-priority patent/US5092438A/en
Priority claimed from US07/633,743 external-priority patent/US5092439A/en
Application filed by 프랑크 엠 사죠벡, 이턴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프랑크 엠 사죠벡
Publication of KR920011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2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16D23/06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the blocking mechanism comprising an axially-extending shouldered pin passing through a hole in a radial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16D2023/065Means to provide additional axial force for self-energising, e.g. by using torque from the friction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16D2023/0656Details of the tooth structure; Arrangements of tee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심층 스플라인과 개량된 상승램프를 갖는 동기화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레인지형 보조부가 있는 복합트랜스미숀의 개략예시도, 제2도는 제3도의 2-2선에서 잘라본 복동 동기화기 기구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에서 잘라본 기구의 부분 단면도

Claims (17)

  1. 기어와 축이 서로가 관련하여 회전하게 되어 있는 축(28a)을 갖는 축(28)상의 축운동에 항거하여 앙치된 제1기어(54)에 대한 핀형동기화기 기구(62)로 그 기구는 다음 구성을 하는데; 제1마찰(116)과 죠(104)수단들은 각각 제1기어(54)에 눌려 부설된 마찰(96) 및 죠(100)수단들과 연결가능하게 되어 각기 제1기어(54)를 축(28)에 동기화하고 확실하게 연결하게 되어, 제1기어(54)쪽으로 축방향으로 유도된 기어변경력(Fo)역활을 하게 하며 제1기어(54)쪽의 직경방향으로 뻗은 플랜지(110)를 움직이게 되어 있으며 제1죠수단(104)과 축운동을 하는 플랜지(110)를 연결하는 수단(112)과 제1죠수단(104)과 축운동을 하는 플랜지(110)를 움직이게 되어 있으며 제1죠수단(104)은 축에 눌려 고정된 외부 스플라인 이빨(29)의 공통쌍으로 축방향으로 뻗은 플랭크 면(29´)사이의 간격안에 연속적으로 교합하게 배설된 축방향으로 뻗은 스플라인 이빨(108)을 포함하고, 그 교합스플라인 이빨(108, 29)은 관련회전을 방지하고 그들 사이의 미끄럼 운동을 하게 하는 구성이며; 제1, 제2불럭커수단(118d, 110e)은 동기화에 앞서 죠수단(104, 100)의 연결을 방지하는 연결이 된때 조작가능하고, 제1불럭커수단(118d)은 제1마찰수단(116)에서 단단하게 축방향으로 뻗어서 플랜지(110)내의 구멍(110c)으로 들어가게된 다수의 원주방향으로 가격이난 핀같은 수단(118)구실을 하게 되어 있으며, 제2불럭커 수단(110e)이 구멍(110c)둘레 구실을 하게 되어 있고; 서전 통전수단(120)이 기어변경력(Fo)에 의하여 플랜지(110)의 최초출운동 역할을 하는 연결력과 마찰수단(116, 96)을 연결하게 되며 핀같은(118)수단을 경유하여 플랜지(110)에 전달된 최초동기화 회전력을 내는 마찰수단(116, 96)의 연결역활을 하는 불럭커수단(118d, 110e)을 연결하게 되며 불럭커수단(118d, 110e)을 경유하여,제1마찰수단(116)에 기어변경력(Fo)을 전달하여 마찰수단(116, 96)의 연결력을 증대하게 하고 그 구성은 다음 특징을 하고 있는데; 플랜지(110)를 연결하는 수단(112)이 제1죠수단(104)과 축(28)에 관력하여 플랜지(110)의 원주방향 운동을 하게 하고 있으며; 적어도 외부 스플라인 이빨사이의 공간의 하나가 쌍을 이룬 플랭크면(29´)의 하나안에 형성된 제1램프 면(29f)을 갖고 있고 그 제1램프면(29f)은 축(28a)과 플랭크 면(29´)에 수직인 평면에 관련한 90도 보다 작은 각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리고 반작용수단(111)은 플랜지(110)에서 직경방향으로 안쪽으로 하나의 공간으로 뻗어서 있으며, 그 반작용 수단(111)은 실질적으로 제1램프면(29f)에 평행인 제2램프면(111b)을 포함하고, 기어변경력(Fo)의 방향에서 플랜지(110)사에 축방향 부가력(Fa)을 내는 하나의 방향내의 동기화 회전력 역할을 하게 연결가능하게 되어 마찰수단(116, 96)의 연결력을 증대하게 되어 있는 구성을 한 특징을 하는 구성의 핀형 동기화기 기구.
  2. 더욱이, 제1 기어(54)에 관련하여 축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고정되고, 축(28a)주위의 축(28)상에서 회전하게 설비된 제2기어(52)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2마찰(114) 및 죠(102)수단은 각기 제2기어(52)에 눌려 고정된 마찰(94) 및 죠(98)수단들을 연결가능하여 제2기어(52)쪽으로 축방향으로 유도된 기어변경력(Fo)역할을 하는 축(28)에 제2기어(52)를 동기화 및 확실한 연결을 하게 되어 있어, 그 플랜지(110)를 제2기어(52)쪽으로 움직이게 하고, 제2죠수단(98)에 관련한 축운동에 항거하여 플랜지(110)를 안착하는 수단(112)이 있고, 그리고 제2죠수단은 축(28)의 외부 스플라인 이빨(29)내에 연속적으로 교합하게 배설된 내부스플라인 이빨(106)을 포함하고 있어, 관련 회전을 방지하게 되며 그들 사이에서 미끄럼 운동을 하게 하고 있으며; 제3, 제4블럭커수단(118c, 110d)은 동기화에 앞서 제2죠수단(102)의 연결을 방지하게 연결된때 조작가능하고, 제3불럭커수단(118c)은 제2 마찰수단(114)에서 단단하게 축방향으로 뻗고 플랜지 구멍(110c)으로 뻗은 다수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이난 핀같은 수단(118)구실을 하고 있고 제4의 불럭커수단(110d)은 그들이 뻗어서 통과하는 구멍(110c)주위구실을 하며; 사전통전수단(120)은 기어변경력(Fo)에 의하여 플랜지(110)의 중립위치에서 제2기어(52)쪽으로의 최초 축운동 역할을 하는 제2마찰수단(114)을 연결하게 되어 있고 제2마찰수단의 연결역할을 하는 제3, 제4불럭커수단(118c,110d)을 연결되게 하여 제2마찰 수단(114)으로부터 뻗은 핀같은 수단(118)을 경우하여 플랜지(110)에 전달된 최초 동기화 회전력을 내며 제3, 제4불럭커수단(118c, 110d)을 경유하여 제2마찰수단(114)에 기어변경력(Fo)을 전달하게 되어 제2마찰수단(114)의 연결력을 증대하게 하고; 하나의 플랭크면(29´)내에 형성된 또 다른 제1램프면(29h)과 축(28a)에 수직인 평면에 관련하여 90도 보다 작은 각을 형성하는 제1램프면(29h)이 있고; 그리고 반작용 수단(111)은 실질적으로 다른 제1램프면(29h)에 평행인 기타 제2램프면(111c)을 포함하며 한방향으로 동기화 회전력 역할을 하게 연결가능하여 기어변경력(Fo)의 방향에서 플랜지상의 축방향 부가력(Fa)을 내게 하여 제2마찰수단(114)의 연결력을 증대하게 구성되어 있는 동기화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제1기어(54)는 제2기어(52)보다 더 낮은 속도를 마련하고 그리고 제1기어(54)와 연합된 램프각은 제2기어와 연합된 램프각보다 평면에 관련하여 더 큰각을 갖는 구성인 동기화기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제1죠수단(104)내부 스플라인 이빨(108)의 직경 방향으로 안쪽에 뻗은 부분(108a)이 그의 내측 직경구실을 하고; 플랜지(110)와 정지수단(110m, 110h, 112c)을 포함하는 플랜지를 연결하는 수단(112)은 제1죠수단(104)과 축(28)에 관련하여 플랜지(110)의 원주방향운동을 제한 하게 되어 있고; 축 스프라인(29)내의 제1리세스(recesses)(29c, 29n)가 고리형홈 구실을 하며, 그 리세스는 가동죠부품(104)의 내부 스플라인 이빨(108)의 내측 직경(108a)보다 큰 최소외측 직경(29d)을 갖이며 그 리세스의 한끝(29n)의 여러 플랭크(flank)면(29´)은 각기 제1자동 통전램프면(29f)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리고 반작용수단(111)은 플랜지(110)에서 직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뻗고 제1램프면(29f)에 인접한 위치의 축 스플라인(29)사이의 공간에 받혀지게 되어 있는 여러반작용 수단이 되어 있으며, 그 여러반작용 수단은 욱 스프라인 리세스(29c, 29n)의 최소 외부직경(29d)보다 큰 내측 직경(111e)구실을 집단적으로 하고 여러 반작용 수단(111)은 각기 제2자동통전 램프면(111b)의 하나를 포함하고, 적어도 제1기어(54)와 연합된 연결된 마찰수단(116, 96)으로 부터 한 방향에서 동기화 회전력 역활을 하는 인접한 제1램프면(29f)과 교합연결되게 하여 기어변경력의 방향으로 플랜지상에 축방향으로 부가력을 내게 하고 마찰수단의 연결력을 증대하게 되어 있는 동기화기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제2원주방향으로 면한 프랭크면(29´)이 리세스(29c, 29n)의 한끝에서 여러 축 스플라인(29)의 제2프링크면(29´)에 반대되게 되어 있고, 측(28a)에 수직인 평면에 관련하여 90도보다 작은 각을 형성하는 제3의 자동 통전 램프면(29e)을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그 반작용 수단(111)은 제4자동 통전 램프면(111a)을 포함하고 있어, 제1기어(54)와 연합된 연결된 마찰수단(116, 96)에서 한 방향에 반대되게 동기화 회전력 역할을 하는 제3 램프면(29e)과 교합연결을 하게 되어, 부가적 축력을 내게 하여 마찰수단(116, 96)의 연결력을 증대하게 되어 있는 동기화기 기구.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1, 제2, 가동 죠수단(104, 102)내부 스플라인 이빨(108), (106)에 직경방향으로 안쪽에 뻗은것(10a, 106a)은 각기 그들의 안쪽 직경구실을 하며; 플랜지(110)와 정지수단(110m, 110n, 112c)을 포함하는 플랜지(110)를 안착하고 있는 수단들(112)은 축방향으로 가동 죠수단(104, 102)에 관련하여 플랜지(110)의 원주방향운동을 제한하게 되어 있고; 축 스플라인(29)내의 제1, 제2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갈라져 있는 리세스(29c, 29n, 29b, 29m)는 그들 사이의 축스플라인(29)의 기둥같은 부분(29a)에 의하여 분할된 고리형 홈 구실을 하고 있으며, 그 리세스들은 가동죠부품(104, 102)의 내부 스플라인 이빨(108, 106)의 내부직경(108a, 106a)보다 큰 최소외부 직경(29d)을 갖으며, 기둥같은 부분(29d)의 여러플랭크면(29´)은 각기 제1, 제2자동통전램프면(29f, 29h)의 하나를 포함하고 있고 그 반작용수단(111)은 플랜지(110)에서 직경방향으로 안쪽에 뻗어 기둥같은 부분(29a)에 인접한 위치에서축 스플라인(29)사이 간격을 두고 받혀지게 되어 있는 여러 반작용 수단이 되어 있으며 그 여러반작용 수단은 집단적으로 축 스플라인 리세스(29c, 29n, 29b, 29m)의 최소외경(29d)보다 큰 내경(111e)구실을 하고, 여러 반작용 수단(111)은 각기 기둥(29a)의 제1, 제2램프면(29f, 29h)과 각각 교환 연결이 되어 있는 제3, 제4자동통전 램프면(111c, 111b)의 하나를 포함하고 있어 적어도 제1, 제2기어(54, 52)와 각각 연합된 연결된 마찰수단으로부터 한방향으로 동기화 회전력 역활을 하고 각 마찰수단의 연결력을 증대하게 되는 기어변경력의 방향에서 플랜지(110)상에 축방향으로 부가력을 내게 되어 있는 동기화기 기구.
  7. 제1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마찰수단(116, 96)과 램프면(29f, 111b)의 평균 회전반경비(Rc/Rr)는 1 : 1에서 4 : 1까지의 범위내이고 램프면의 각은 평면에 관련하여 50-80도의 범위내인 동기화기 기구.
  8. 제1항, 제4항, 제5항, 제6항에 있어서, 한쌍의 플랭크면(29´)의 다른 플랭크면(29´)은 평면과 관련하여 90도보다 작은 각에서 그안에 형성되어 있는 제3램프면(29e)을 갖고 있으며; 그리고 그 반작용 수단(111)은 실질적으로 제3램프면(29e)에 평행되고, 한방향에 반대인 동기화 회전력 역활을 하면서 연결가능한 제4램프면(111a)을 포함하고 기어변경력(Fo)의 방향으로 플랜지(110)상에 축 방향으로 부가력(Fa)을 내게 되어 마찰수단(116 ,96)의 연결력을 증대하게 되어 있는 동기화기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한방향으로의 동기화 회전력에 의하여 연결된 램프면(29f, 111b)의 각은 그 한 방향에 반대 되는 방향의 동기화 회전력에 의하여 연결된 램프면(29e, 111a)의 각도보다 크게 되어 있는 동기화기 기구.
  10. 제8항에 있어서 한방향과 반대방향에서 각각 올림 기어변경과 내림 기어변경과 일치하는 동기화 회전력이 각각 한방향에서의 동기화회전력에 의하여 연결된 램프면의 램프각(29f, 111b)과 제1기어(54)에 걸리고 다른 방향에서의 동기화 회전력에 의하여 연결된 램프면(29e, 111a)의 팸프각보다 크게 되어 있는 동기화기 기구.
  11. 축(28a)주위에 기어와 회전축을 갖는 축(28)의 축운동에 항거하여 회전하게 축방향으로 간격진 제1, 제2기어(54, 52)가 안착 설비된 핀형 동기화기 기구(62)로 그 기구가 다음 구성을 하고 있는데; 각 기어(54, 52)에 눌려부설된 기어마찰(96, 94)과 죠(100, 98)수단과 제1, 제2의 축방향으로 간격지고 축방향으로 가동한 마찰수단(116, 114)과 연결가능하여 각각 축(28)과 제1, 제2기어(54, 52)를 동기화하게 되어 있는 마찰수단(96, 94)과 축(28)에 눌려 부설된 외부스플라인 이빨(29)의 축방향으로 뻗은 플랭크면(29´)에 공통으로 면한 쌍 사이의 간격에 연속적으로 교합하게 배설된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내부 스플라인 이빨(108, 106)을 포함하는 축방향으로 운동가능한 죠수단(104, 102)과 연결가능한 죠수단(100, 98)과 관련회전을 방지하고, 그들 사이의 미끄럼 운동을 허용하는 교합스플라인 이빨을 구성하며, 동기화에 앞서 죠수단(104, 102)의 연결을 방해하게 연결된때 조작가능한 불럭커수단(118d, 118c, 110e, 110d)과 제1, 제2가동마찰수단(116, 114)에서 플랜지(110)의 구멍(110c)으로 축방향으로 단단하게 뻗어 있는 다수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진 핀(118)을 포함하는 블럭커수단(118d, 118c)과, 플랜지(110)의 반대쪽에 그리고 연합된 구멍(110c)주위구실을 하는 불럭커숄더(110e 110d)와 연결가능한 축방향으로 간격진 불럭커숄더(118d, 118c)를 갖인 각 핀들(118)과; 기어변경력에 의하여 중립위치에서기어(54, 52)의 하나쪽으로 플랜지(110)의 최초 축운동의 역할을 하는 연결력과 제1, 제2가동마찰수단(116, 114)중의 어느 하나와 연결되며, 핀(118)을 경유하여 플랜지(110)에 전달된 동기화 회전력을 내는 마찰수단(116, 114)의 연결역할 불럭커수단(118d, 118c, 110e, 110d)을 연결하며, 연결된 불럭커수단을 경유하여 연결된 마찰수단 (116, 114)에게 기어변경력을 전달하여, 연결된 마찰수단의 연결력을 증대하게 되는 사전통전기수단(120)과; 그 수단은 다음 특징을 하고 있는데; 축방향으로 가동 죠수단(104, 102)에 관련하여 플랜지(110)의 원주 방향운동을 하게 하는 플랜지(110)를 안착하는 수단(112)과; 적어도 플랭크면(29´)쌍의 하나안에 형성된 제1램프면(29f)을 갖는 외부 스플라인 이빨사이의 간격의 최소한 하나와 축(28a)과 플랭크면(29´)에 수직인 평면에 관련하여 90도 보다 작은 각을 형성하는 제1램프면(29f)과; 그리고 플랜지(110)에서 직경방향으로 안쪽으로 하나의 공간에 뻗어 있는 반작용 수단(111)과 그 반작용수단(111)은 실질적으로 제1램프면(20f)에 평행인 제1램프면(111b)을 포함하고 제1기어(54)와 연합된 연결된 마찰수단(116)으로부터 한방향내의 동기화 회전력 역할을 하게 연결가능 하여 기어변경력의 방향으로 플랜지(110)상에 축방향으로 부가력을 내게 하여 제1기어(54)와 연합된 마찰수단(116)의 연결력을 증대하게 되어 있는 특징을 한 구성의 핀형 동기화기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제2가동죠수단(104, 102)내부 스플라인 이빨(108, 106)의 직경방향으로 내부 확대한 부분(108a, 106a)이 그의 내경 구실을 하고; 플랜지(110)를 안치한 수단(112)과 플랜지(110)가 정지수단(110m, 100n, 112c)을 포함하고 있어 축방향으로 가동죠수단(104, 102)에 관련한 플랜지(110)의 원주방향 운동을 제한하게 되어 있으며; 축 스플라인(29)내의 제1, 제2의 축방향으로 간격진 리세스(29c, 29n, 29b, 29m)가 그들 사이의 축 스플라인(29)의 기둥같은 부분(29a)에 의하여 분리된 고리형 홈 구실을 하고, 그 리세스는 가동죠수단(104, 102)의 내부스플라인 이빨(108, 106)의 내측직경(108a, 106a)보다 큰 최소외경(29d)을 갖으며 여러 기둥모양 부분(29a)의 제1공통 원주방향으로 면한측이 축에 수직인 평면에 관련하여 90도 보다 작은 각을 형성하는 제1, 제2동 통전램프면(29f, 29h)을 포함하고 있고; 반작용수단(111)이 플랜지(110)로 부터 직경방향으로 안쪽에 뻗어있고 기둥모양 부분(29a)에 인접한 위치에서 축 스플라인(29)사이에 간격을 두고 받혀진 여러 반작용 수단이 되어 있으며, 그 여러 반작용 수단은 집중 적으로 축 스플라인 라세스의 최소외경(29d)보다 큰 내경구실을 하고 있고 그 반작용수단(111)은 기둥모양 부분(29a)의 제1, 제2램프면(29f, 29h)과 교합연결을 각각하는 제3, 제4기둥 통전 램프면(111c, 111b)을 포함하고 최소한 제1, 제2기어(54, 52)와 각각 연합된 연결된 마찰수단으로 부터 한 방향의 동기화 회전력 역할을 하여 기어변경력의 방향에서플랜지(110)상에 축방향 부가력을 내게 하는 구성인 동기화기 기구.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마찰수단(116, 114, 96, 94)과 램프면(29f, 29h, 111c, 111b)의 평균회전 반경비(Rc/Rr)가 1 : 1에서 4 : 1까지의 범위이고 램프면 각은 평면에 관련하여 50-80도 범위내인 동기화기 기구.
  14. 제11항,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여러 기둥모양 부분(29a)의 제1측에 반대되는 제2의 원주방향으로 면한측이 축(28a)에 수직인 평면에 관련하여 90도 보다 작은 각을 형성하는 제5, 제6자동 통전 램프(29e, 29g)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리고 반작용수단(111)은 제7, 제8자동 통전면(111a, 111d)을 포함하며 각각 기둥모양 부분(29a)의 제5, 제6램프면(29e, 29g)과 교합 연결을 하게 되어 각각 제1, 제2기어(54, 52)와 연합된 연결된 마찰수단에서 한방향에 반대인 동기화 회전력 역할을 하여 부가축력을 내어 각 마찰수단의 연결력을 증대하게 되어 있는 구성의 동기화기 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한방향으로의 동기화 회전력에 의하여 연결된 램프면(29f, 29g, 111c, 111b)의 각이 한방향에 반대인 방향에서의 동기화 회전력에 의하여 연결된 램프면(29e 29g, 111a, 111d)의 각보다 크게 되어 있는 구성인 동기화기 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한방향과 그 반대방향에서의 동기화 회전력이 제1, 제2기어(54, 52)와 한 방향에서의 동기화 회전력에 의하여 연결된 램프면(29e, 29g, 111a, 111d)으로의 올림 기어변경과 내림 기어 변경에 일치하고, 다른 방향에서의 동기화 회전력에 의하여 연결된 램프면(29f, 29h, 111c, 111b)의 램프각보다 크게 되어 있는 구성인 동기화기 기구.
  17.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제1기어(54)는 제2기어(52)보다 저속비를 마련하고, 그리고 제1기어(54)와 연합된 램프각은 제2기어(52)와 연합된 램프각의 것보다 평면에 관련하여 더 큰각을 갖는 구성인 동기화기 기구.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되는 것임.
KR1019910023965A 1990-12-24 1991-12-23 심층 스플라인과 개량된 상승램프를 갖는 동기화기 KR950010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633,738 US5092438A (en) 1990-12-24 1990-12-24 Synchronizer with self-energizing
US633,738 1990-12-24
US633,743 1990-12-24
US07/633,743 US5092439A (en) 1990-12-24 1990-12-24 Synchronizer with deep splines & improved boost ramp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797A true KR920011797A (ko) 1992-07-24
KR950010220B1 KR950010220B1 (ko) 1995-09-12

Family

ID=2709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3965A KR950010220B1 (ko) 1990-12-24 1991-12-23 심층 스플라인과 개량된 상승램프를 갖는 동기화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492836B1 (ko)
JP (1) JP3194100B2 (ko)
KR (1) KR950010220B1 (ko)
CN (1) CN1058560C (ko)
AU (1) AU636832B2 (ko)
BR (1) BR9105691A (ko)
DE (1) DE69111586T2 (ko)
ES (1) ES2075370T3 (ko)
MX (1) MX91027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1423A (en) * 1990-12-24 1992-11-10 Eaton Corporation Self-energizing synchronizer for equalizing shift time and effort of a multi-ratio transmission
GB9322319D0 (en) * 1993-10-29 1993-12-15 Eaton Corp Neutral position detent for synchronizer
US5497867A (en) * 1993-12-27 1996-03-12 Eaton Corporation Synchronizer with cone cup locater pins
GB9516492D0 (en) * 1995-08-11 1995-10-11 Eaton Corp Synchronizer with self-energizing
US6102180A (en) * 1996-09-16 2000-08-15 Eaton Corporation Pin-type synchronizer
CN1070592C (zh) * 1998-02-20 2001-09-05 李蕴藻 一种带负荷齿轮传动锥面摩擦变速器
SE525351C2 (sv) * 2003-06-24 2005-02-08 Volvo Lastvagnar Ab Kopplingselement i en motorfordonsväxellåda samt sätt att framställa ett dylikt kopplingselement
DE102005007957A1 (de) 2005-02-22 2006-08-31 Zf Friedrichshafen Ag Synchronisiereinrichtung für ein Schaltgetriebe,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es
KR100837404B1 (ko) 2006-10-18 200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광전 소자
DE102006049276A1 (de) * 2006-10-19 2008-04-30 Zf Friedrichshafen Ag Vorrichtung zum drehfesten Verbinden einer Welle mit einem drehbar auf der Welle gelagerten Bauteil
CN101968087A (zh) * 2010-09-07 2011-02-09 高斯图文印刷系统(中国)有限公司 一种渐开线离合花键结构
CN102494048A (zh) * 2011-12-01 2012-06-13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双中间轴变速器的同步结构
CN105221683B (zh) * 2014-06-10 2017-10-13 孙振台 牵引驱动同步调速器及具有该调速器的多驱动轴变速箱
DE102015102141B4 (de) * 2015-02-13 2017-04-27 Hoerbiger Antriebstechnik Holding Gmbh Transmitter für ein Schaltgetriebe für ein Kraftfahrzeug, Baugruppe mit Transmitter, Getriebewelle und Gangrad sowie Getriebe
CN108138863B (zh) * 2015-07-22 2020-07-10 伊顿智能动力有限公司 具有减小的轴向长度的提升同步器组
CN106979256B (zh) * 2017-05-10 2022-08-12 山东科技大学 一种高速齿轮轴定向转动控制装置
CN109737150B (zh) * 2019-01-25 2023-12-08 武汉精密同创机械有限公司 汽车变速箱同步器
CN109720197A (zh) * 2019-02-18 2019-05-07 福建万润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驱动装置及车辆
CN112283261B (zh) * 2020-10-09 2022-05-03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同步器优化方法及同步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8083A (en) * 1957-11-07 1961-04-04 Clark Equipment Co Positive lock synchronizer
GB1001973A (en) * 1961-10-27 1965-08-18 Smith & Sons Ltd 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og clutches
DE2725039A1 (de) * 1977-06-03 1978-12-14 Daimler Benz Ag Sperrsynchronisierung fuer wechselgetriebe von kraftfahrzeugen, insbesondere von nutzfahrzeugen
DE3622464C1 (ko) * 1986-07-04 1987-12-17 Getrag Getriebe- Und Zahnradfabrik Gmbh, 7140 Ludwigsburg, De
JPH01141235A (ja) * 1987-11-27 1989-06-02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同期噛合い式クラッチ装置
US4844218A (en) * 1988-03-28 1989-07-04 Eaton Corporation Friction material configuration
US5078244A (en) * 1990-12-24 1992-01-07 Eaton Corporation Self-energizing synchron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11586T2 (de) 1996-03-21
BR9105691A (pt) 1992-09-01
JP3194100B2 (ja) 2001-07-30
KR950010220B1 (ko) 1995-09-12
JPH04285328A (ja) 1992-10-09
EP0492836A1 (en) 1992-07-01
AU9003491A (en) 1992-06-25
CN1062784A (zh) 1992-07-15
MX9102791A (es) 1992-08-01
DE69111586D1 (de) 1995-08-31
CN1058560C (zh) 2000-11-15
AU636832B2 (en) 1993-05-06
EP0492836B1 (en) 1995-07-26
ES2075370T3 (es) 199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1797A (ko) 심층 스플라인과 개량된 상승램프를 갖는 동기화기
US3366208A (en) Synchronizer
EP0713024B1 (en) Self-energizing synchronizer
JP3577610B2 (ja) ピン式シンクロナイザ機構
US4836348A (en) Synchronizing mechanism for shifting clutches
EP0756098B1 (en) Synchronizer clutch assembly
JPS5834235A (ja) 複動同期式クラツチ用ばね装置
US3414098A (en) Positive clutch with multiple friction synchronizing disks
JPH094653A (ja) 自己増力式同期クラッチ
EP0492849B1 (en) Self-energizing synchronizer with force limiting
KR950019314A (ko) 자기에너자이징 메카니즘을 지닌 동기화기
EP0834667B1 (en) Pin-type synchronizer
EP0168184A1 (en) Inertia lock type synchronous clutch mechanism
EP0834666B1 (en) Pin-type synchronizer
US20020079183A1 (en) Self-energizing synchronizer
US6571927B2 (en) Transmission synchronizer pin arrangement
JPH10103375A (ja) ピン型同期装置
JP2020012558A (ja) 機械的変速機、特に、車両用変速機のためのシンクロナイザ
WO2017086858A1 (en) A latch cone ring for a synchronizing arrangement
KR20020041285A (ko) 싱크로나이저
US5819900A (en) Pin-type synchronizer
JPS6252241A (ja) 歯車変速機の同期装置
CN111102303B (zh) 多锥同步环组件和同步器
JPH0545849Y2 (ko)
RU2195590C1 (ru) Планетарная коробка переда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