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845B1 - 반도체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845B1
KR920010845B1 KR1019890015486A KR890015486A KR920010845B1 KR 920010845 B1 KR920010845 B1 KR 920010845B1 KR 1019890015486 A KR1019890015486 A KR 1019890015486A KR 890015486 A KR890015486 A KR 890015486A KR 920010845 B1 KR920010845 B1 KR 920010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type
region
wiring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5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100A (ko
Inventor
미츠루 시미즈
쇼조 사이토
요시오 오카다
슈조 후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도시바 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다케다이 마사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도시바 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다케다이 마사다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00007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 H01L27/0259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bipolar transistors as protec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도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단면도.
제3도는 IC 칩의 평면도.
제4도는 종래의 입력보호회로의 구성을 도시해 놓은 등가회로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회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N형 반도체기판 12 : P웰(well) 영역
13, 14, 15 : N+형 영역 16, 26 : 패드(pad)
17, 18 : 기생바이폴라트랜지스터 22, 23, 24 : N+형 영역
25 : N웰 영역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입력보호회로가 내장된 반도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문제점]
인체 등에 대전된 정전기에 의해 반도체장치가 정전파괴된다는 것은 주지된 사실인바, 즉 정전방전[靜電放電 ; 이른바 ESD(electro static discharge)]에 의해 반도체장치의 특성열화(特性劣火)와 접합파괴 및 산화막파괴 등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소자가 미세화됨에 따라 집적회로(IC)의 정전파괴에 대한 내량(耐量)도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제3도는 일반적인 IC칩의 평면도로서, 칩(31)의 표면의 주변에는 여러개의 패드(32~34)가 배치되어 있다. 그중 패드(32)는 전원전압(Vcc)이 인가되는 전원패드이고, 패드(33)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는 접지패드이며, 패드(34)는 신호입력용 또는 신호출력용의 신호패드이다. 상기 전원패드(32)에는 전원전압(Vss)용의 배선(35)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접지패드(33)에는 접지전압(Vss)용의 배선(36)이 각각 접속되어 있는데, 이들 양 배선(35, 36)은 각각 칩표면의 전역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또한, IC에는 일반적으로 신호입력용 패드와 입력버퍼간에 입력보호회로를 설치하여 상기 ESD에 의한 내부소자의 파괴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4도는 종래의 반도체장치에 설치된 입력보호회로의 내부 등가회로도로서, 신호입력용 패드(41)는 확산층등에 의한 기생저항(42) 및 배선층에 의한 기생저항(43)을 매개로 입력버퍼(44)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상기 양 기생저항(42, 43)의 접속점에는 기생바이폴라트랜지스터(45)의 에미터가 접속되고, 이 기생바이폴라트랜지스터(45)의 콜렉터는 접지전압(Vss)에 접속되어 있다. 또, 입력버퍼(44)의 입력단과 접지전압(Vss)사이에는 다이오드(46)가 접속되어 있다.
제5도는 상기 제4도에 도시해 놓은 입력보호회로 중 기생바이폴라 트랜지스터(45) 부분의 소자구조를 도시해 놓은 단면도로서, N형 기판(51)에는 P웰(well) 영역(52)이 형성되어 있고, 또 P웰 영역(52)에는 N+형 영역 (53~5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N+형 영역(54)의 표면에는 저항(42)를 매개로 패드(41)가 접속되어 있으며, N+형 영역(53) 및 N+형 영역(55)은 각각 접지전압 (Vss)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기생바이폴라트랜지스터(45)는 N+형 영역(54)이 에미터 (또는 콜렉터)로서, N+형 영역(53) 및 N+형 영역(55)이 콜렉터 (또는 에미터)로서, P웰 영역 (52)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가드 링 확산층등의 P+영역이 베이스로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반도체장치를 MIL규격하에서 ESD시험을 하는 경우에는 Vss 기준에 의한 것과 Vss 기준에 의한 것의 두가지 시험이 있다. Vss 기준에 의한 ESD시험은 통상 제3도의 접지패드(33)를 0 volt로 설정하여 행하여 지고, Vcc 기준에 의한 ESD시험은 통상 제3도에 전원패드(32)를 0 volt로 설정하여 행하여진다.
제4도는 도시된 입력보호회로가 설치된 종래의 반도체장치에 대해 Vss 기준에 의한 /ESD시험을 하는 경우, 패드(41)에 인가된 과잉전압은 기생바이폴라트랜지스터(45)를 매개로 제5도 내부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접지전압(Vss)에 흡수되므로 과잉전압에 의한 파괴가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전원패드(32)를 0 volt로 설정하여 행하는 Vcc 기준에 의한 시험의 경우에는 패드(41)에 인가되는 과잉전압이 빠져나가는 경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ESD에 대한 내량이 Vss 기준의 경우보다 작아지게 된다. 실제로는 반도체장치가 어떠한 상태이더라도 ESD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종래의 반도체장치는 Vcc 기준에 의한 ESD 내성이 작아서 신뢰성이 낮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Vcc 기준 및 Vss 기준의 양쪽에 대한 ESD 내성이 크고,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는, 제1도전형의 반도체기체와, 이 기체내에 형성되어 신호입력용의 패드와 접속되는 제2도전형의 제 1 반도체영역, 상기 기체내에 형성되어 제 1 전위(Vcc)의 배선에 접속되는 제2도전형의 제 3 반도체 영역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작용]
상기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에 있어서는 입력보호회로에 형성되어 있는 기생바이폴라트랜지스터의 기준전압측을 한쪽은 전원전압용의 배선에, 다른 한쪽은 접지전압용의 배선에 각각 접속함에 따라 양전압기준에 대한 정전파괴내량이 커지게 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입력보호회로중 기생바이폴라트랜지스터부분의 소자구성을 도시해 놓은 단면도로서, N형 기판(11)에는 P 웰 영역(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P웰 영역(12)에는 N+형 영역(13~15)이 형성되어 있다. 그중 N+형 영역(14)의 표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폴리실리콘과 확산층 등에 의한 저항을 매개로 신호입력용 패드(16)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N+형 영역(13)은 전원전압(Vcc)용의 배선, 즉 제3도에 도시된 배선(35)에 접속되어 있고, N+형 영역(15)은 접지단자(Vss)용의 배선, 즉 상기 제3도에 도시된 배선(36)에 접속되어 있다. 그 결과, 제1도의 참조번호 17, 18로 나타낸 것과 같은 기생바이폴라트랜지스터가 존재하게 된다. 즉, N+형 영역(14)을 에미터(또는 콜렉터)로 하고 N+형 영역(13) 및 N+형 영역(15)을 콜렉터(또는 에미터)로 하며, P웰 영역(12)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가드 링 확산층 등의 P+영역을 베이스로 하여 기생바이폴라트랜지스터가 구성된다. 또 상기 N+형 영역(13) 및 N+형 영역(15)은 패드(16)에 접속되어 있는 N+형 영역(14)으로부터 통상의 입력전압에서는 PN접합에 의한 전류가 용이하게 발생하지 않을 만큼 떨어진 거리에 형성되어 있어서 ESD에 의한 과잉전압이 패드(16)에 입력된 때에만 상기 도시하지 않은 가드 링 확산층 등의 P+영역을 베이스로 해서 상기 기생바이폴라트랜지스터가 도통하여 전원전압(Vcc) 또는 접지전압(Vss)중 어느 것이든 흡수되기 쉬운 쪽의 배선으로 과잉전압이 흡수되게 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N형 반도체기판(11) 대신에 P형 반도체기판(21)을 사용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상기 P형 반도체기판(21)위에는 N+형 영역(22~24)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P형 기판(21)에는 여타 회로를 위한 N웰 영역(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N+형 영역(23)의 표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폴리실리콘, 확산층 등에 의한 저항을 매개로 신호입력용 패드(26)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N+형 영역(22)은 전원전압(Vcc)용의 배선 즉, 제3도에 도시된 배선(35)에 접속되어 있고, N+형 영역(24)은 접지단자(Vss)용의 배선, 즉 제3도에 도시된 배선(36)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N+형 영역(22) 및 N+형 영역(24)은 패드(26)에 접속되어 있는 N+형 영역(23)으로부터, 보통의 입력전압에서는 PN접합에 의한 전류가 용이하게 발생하지 않을 만큼 떨어진 거리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도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ESD와 같은 과잉전압이 패드(26)에 인가되는 경우에는 전원전압 Vcc 또는 접지전압 Vss 중 어느 쪽이든 흡수되기 쉬운 쪽의 배선으로 과잉전압이 흡수되도록 되어 있다.
[발명의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에 의하면, 정전파괴에 대한 내량이 증가하여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제1도전형의 반도체기판(12)와, 이 반도체기체(12)내에 형성되어 신호입력용 패드(16)와 접속되는 제2도전형의 제 1 반도체영역(14), 상기 반도체기체(12)내에 형성되어 제 1 전위(Vcc)의 배선에 접속되는 제2도전형의 제 2 반도체영역(13), 상기 반도체기체(12)내에 형성되어 제 2 전위(Vss)의 배선에 접속되는 제2도전형의 제 3 반도체영역(15)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KR1019890015486A 1988-10-28 1989-10-26 반도체장치 KR920010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72586A JPH02119262A (ja) 1988-10-28 1988-10-28 半導体装置
JP63-272586 1988-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100A KR900007100A (ko) 1990-05-09
KR920010845B1 true KR920010845B1 (ko) 1992-12-19

Family

ID=17515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5486A KR920010845B1 (ko) 1988-10-28 1989-10-26 반도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94874A (ko)
JP (1) JPH02119262A (ko)
KR (1) KR9200108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4342B2 (ja) * 1989-09-01 1997-08-25 東芝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入力保護回路を備えた半導体装置
DE3930697A1 (de) * 1989-09-14 1991-03-28 Bosch Gmbh Robert Steuerbare temperaturkompensierte spannungsbegrenzungseinrichtung
KR960002094B1 (ko) * 1990-11-30 1996-02-10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입력보호회로를 갖춘 반도체장치
JP3033793B2 (ja) * 1990-11-30 2000-04-1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US5304839A (en) * 1990-12-04 1994-04-19 At&T Bell Laboratories Bipolar ESD protection for integrated circuits
US5514893A (en) * 1992-01-05 1996-05-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miconductor device for protecting an internal circuit from electrostatic damage
WO1994005042A1 (en) * 1992-08-14 1994-03-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s device having protection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
US5293057A (en) * 1992-08-14 1994-03-08 Micron Technology, Inc.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for semiconductor device
US5268588A (en) * 1992-09-30 1993-12-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miconductor structure f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US5365103A (en) * 1993-02-25 1994-11-15 Hewlett-Packard Company Punchthru ESD device along centerline of power pad
JPH07283405A (ja) * 1994-04-13 1995-10-27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保護回路
US5528064A (en) * 1994-08-17 1996-06-18 Texas Instruments Inc. Structure for protecting integrated circuits from electro-static discharge
JPH08181284A (ja) * 1994-09-13 1996-07-12 Hewlett Packard Co <Hp> 保護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32123B2 (ja) * 1994-11-10 2002-10-07 株式会社東芝 入力保護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JP2822915B2 (ja) * 1995-04-03 1998-11-11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643904B2 (ja) * 1995-04-20 1997-08-25 日本電気株式会社 静電保護素子
US5637887A (en) * 1995-06-07 1997-06-10 Lsi Logic Corporation Silicon controller rectifier (SCR) with capacitive trigger
US5682047A (en) * 1995-06-07 1997-10-28 Lsi Logic Corporation Input-output (I/O) structure with capacitively triggered thyristor for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US5745323A (en) * 1995-06-30 1998-04-28 Analog Devices, Inc.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for protecting CMOS transistors on integrated circuit processes
EP0758129B1 (en) * 1995-08-02 2001-05-23 STMicroelectronics S.r.l. Flash EEPROM with integrated device for limiting the erase source voltage
AU6388796A (en) * 1995-09-11 1997-04-01 Analog Devices, Inc.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network and method
KR100214566B1 (ko) * 1997-04-22 1999-08-02 구본준 입력 보호회로
US5936284A (en) 1997-11-03 1999-08-10 Sgs-Thomson Microelectronics S.R.L.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and transistor
JPH11204729A (ja) * 1998-01-12 1999-07-3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GB2336241B (en) * 1998-01-15 2000-06-14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Substrate-triggering electrostatic dicharge protection circuit for deep-submicron integrated circuits
KR100493006B1 (ko) * 1998-06-16 2005-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기보호역할을겸하는블락가드링구조
US6411480B1 (en) 1999-03-01 2002-06-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ubstrate pumped ESD network with trench structure
US6304423B1 (en) * 1999-06-08 2001-10-16 Delphi Technologies, Inc. Input protection circuit for a semiconductor device
JP2003031669A (ja) * 2001-07-13 2003-01-31 Ricoh Co Ltd 半導体装置
JP2004235199A (ja) * 2003-01-28 2004-08-19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
US7541648B2 (en) * 2005-01-21 2009-06-02 Micron Technology, Inc.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circuit
CN105912069B (zh) * 2016-06-27 2018-05-01 无锡中感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双极型晶体管和电流偏置电路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474A (en) * 1977-06-22 1979-01-22 Hitachi Ltd Gate protection unit
JPS58182861A (ja) * 1982-04-21 1983-10-25 Hitachi Ltd 半導体装置
JPS6132464A (ja) * 1984-07-24 1986-02-15 Nec Corp Cmos型集積回路装置
JPH0656850B2 (ja) * 1984-08-30 1994-07-27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S6173375A (ja) * 1984-09-19 1986-04-15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S62115764A (ja) * 1985-11-15 1987-05-27 Hitachi Vlsi Eng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IT1186227B (it) * 1985-12-03 1987-11-18 Sgs Microelettronica Spa Dispositivo di protezione contro le sovratensioni in ingresso per un circuito integrato di tipo mos
JPH0821632B2 (ja) * 1987-01-10 1996-03-04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JPS63233560A (ja) * 1987-03-23 1988-09-29 Toshiba Corp 入力保護回路を備えた半導体集積回路
JPS63276265A (ja) * 1987-05-08 1988-11-14 Nec Corp 半導体集積回路の入出力保護回路
US4819047A (en) * 1987-05-15 1989-04-04 Advanced Micro Devices, Inc. Protection system for CMOS integrated circuits
US4789917A (en) * 1987-08-31 1988-12-06 National Semiconductor Corp. MOS I/O protection using switched body circuit desig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100A (ko) 1990-05-09
JPH02119262A (ja) 1990-05-07
US4994874A (en) 1991-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0845B1 (ko) 반도체장치
US5218222A (en) Output ESD protection circuit
US4876584A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US5548134A (en) Device for the protection of an integrated circuit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s
KR910009355B1 (ko) Mos형 반도체장치의 입력보호회로
US5594265A (en) Input protection circuit formed in a semiconductor substrate
US5336908A (en) Input EDS protection circuit
JPH06177330A (ja) 半導体装置
US5675469A (en) Integrated circuit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and ESD protection circuit
US5814865A (en) Bimodal ESD protection for DRAM power supplies and SCRs for DRAMs and logic circuits
JPH07283405A (ja) 半導体装置の保護回路
KR930005501B1 (ko) 입력보호회로를 구비한 반도체장치
KR100194005B1 (ko) Esd 보호 회로를 갖는 반도체장치
KR100402337B1 (ko) Dram및로직회로용의scr및dram전원용의바이모덜esd보호회로
JPH07122715A (ja) 半導体装置
KR930009026B1 (ko) 정전보호회로
US6414830B1 (en) ESD protection circuit for integrated circuit with operating voltages exceeding power supply voltages
KR100192469B1 (ko) 이에스디 보호회로
KR960002096B1 (ko) 정전 방전 보호 기능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
JPS5961161A (ja) 半導体装置
JPS58186959A (ja) 半導体装置
JP2830092B2 (ja) 半導体装置の静電保護素子
JPS60120569A (ja) 入力回路
JPH01218041A (ja) 静電気保護素子
US20020093059A1 (en) Protective circuit for a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