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520B1 -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의 정제방법 - Google Patents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의 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520B1
KR920009520B1 KR1019900008572A KR900008572A KR920009520B1 KR 920009520 B1 KR920009520 B1 KR 920009520B1 KR 1019900008572 A KR1019900008572 A KR 1019900008572A KR 900008572 A KR900008572 A KR 900008572A KR 920009520 B1 KR920009520 B1 KR 920009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nf
recombinant human
chromatography
necrosis factor
tumor necr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917A (ko
Inventor
박순재
배태옥
이혜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럭키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럭키,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럭키
Priority to KR1019900008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9520B1/ko
Publication of KR920000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의 정제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의 정제과정에 있어서 음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하여 분리한 크로마토그램.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제과정에 있어서 페닐-세파로즈를 이용하여 분리한 크로마토그램.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제과정에 있어서 세파크릴 S-300을 이용하여 분리한 크로마토그램.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제과정에 있어서 헤파린-세파로즈를 이용하여 세분화시킨 재조합 인체 종양 괴사인자(TNF-α)의 크로마토그램.
제5도는 상기의 정제과정을 거쳐 정제된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를 15% 소디움도데실설페이트 플리아크릴아미드 전기영동(SDS-PAGE)한 결과.
상기 도면에서, A는 효모에서 발현된 rTNF-α을 포함한 전체단백질(50μg)이며, B는 암모니움 설페이트 침전후의 rTNF-α(50μg)이고, C는 DEAE 음이온 교환 수지 통과후의 rTNF-α을 포함한 분획(30μg)이며, D는 페닐-세파로즈 후의 단백질(50μg))이며, E는 S-300 세파크릴 통과 후의 B분획의 rTNF-α(50μg)이며, F는 헤파린-세파로즈에서 세분화된 B분획의 rTNF-α(50μg)이며, G는 분자량이 알려진 표준단백질들의 결과이다.
본 발명은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의 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효모에서 발현된 유전자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를 고순도와 고역가로 분리, 정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1962년 O'Malley 등 다당류지질(lipopolysaccharide)의 주입으로 자극받은 쥐로부터 얻은 혈철을 종양을 갖고 있는 다른 쥐에 투여하자 출혈성 괴사[hemorrhagic necrosis)가 유발됨을 발견하였다(J. N. C. I., 29, pp 1169-1175(1962)]. 그 후, 1974년 Carswell 등도 Mycobacterium bovis 계통의 Bacillus Calmette- Guerin으로 감염시킨 생쥐, 쥐, 토끼 등에 엔도톡신을 처리한 후 얻어진 혈청이 숙주인 생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암세포만을 괴사시킴이 발견되었다[Proc. Natl. Acad. Sci., USA, 72, pp. 36663670(1975)].
이렇게 혈청내의 암세포를 괴사시키는 인자를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α)라고 불리게 되었는데, 이들 TNF-α는 일반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특정한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괴사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백혈구에서 생산되는 시토킨(cytokin)으로는 TNF-α 외에도 TNF-β가 있음이 발견되었다[J. Biol. Ghem., 259, pp 686(1984)]. TNF-α는 유사분열물질(mitogen)로 자극된 거식세포에서 분비되는 반면 TNF-β는 유사분열물질로 자극된 임파세포에서 분비된다.
1985년 Bharat Aggarwal 등은 HL-60 전골수 백혈병 세포주를 4β-포르볼 12-미리스테이트 13-아세테이트(PMA)로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으로부터 처음으로 인체 TNF-α를 분리정제하는데 성공하였다[J. Biol. Chem., 260, pp 2345-2354(1985)]. 정제방법으로 TNF가 함유된 세포배양액을 조절된 다공유리(controlled-pore glass)에 흡착시킨 후, DEAE-음이온 교환 수지와 모노-Q 컬럼 그리고 역상 고압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차례로 이용하여 성취되었다. 정제된 TNF의 분자량은 약 17,000달톤이었으며, 등전점은 5.3이었다.
정제된 TNF-α의 아미노산 조성이 결정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Wang등에 의하여 인체 TNF-α의 cDNA가 확정되었다[Science, 228, pp. 149-154,(1985)]. 그 결과 TNF-α는 23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체내의 합성시에 76개의 시그널 시퀀스가 분리되면서 157개의 아미노산을 가진 성숙한 단백질로 생체내에 존재함이 밝혀졌다.
E. coli에서 인체 TNF-α가 다량 발현됨으로써 처음으로 물리화학적 특성을 자세히 연구할 수가 있었고, Jones 등에 의하여 X-레이 크리스탈 로그래피 방법에 의한 3차 구조가 규명되었다[Nature, 338, pp. 225-228(1989)].
최근에는, 유전공학기법에 의해 다량의 인체 TNF-α가 생산됨으로써 새로운 항암제의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대두되었으며, 더욱이 동물 및 시험관내 실험에서 TNF를 α-, β- 또는 γ-인터페론 등과 병용투여하였을 경우 항바이러스나 항증식효과 등에서 TNF-α나 인터페론을 단독적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상승효과를 나타냄이 발견됨으로써[proc. Natl, Acad, Sci., USA, 80, pp. 5397-5401, (1983): Cancer Res., 49, pp. 5618-1622,(1989)], 타항암제와의 병용투여제제로써 TNF-α의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효모에서 발현된 유전자 재조합 인체 TNF-α를 높은 생리활성을 가지며 임상에 적용가능하도록 고순도로 대량 정제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효모로 부터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를 정제하는 방법인 것으로,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가 발현되어 있는 효모를 페닐메틸설포닐플루오라이드가 함유된 완충용액에 현탁하여 분쇄시킨 후 침전물을 제거하고, 얻어진 용액에 암모니움 설페이트를 60% 농도가 되게 더 첨가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여 침전된 단백질을 얻은 다음, 1종 이상의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후, 헤파린-세파로즈 컬럼(Heparin-Sepharose column)을 이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를 정제하는 방법인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정제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재조합 안체 TNF-α가 발현되어 있는 효모를 완충용액[10mM Tris(Tris 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1mM PMSF(페닐메틸설포닐플루오라이드), pH 8.0]에 현탁시킨 후 0.5 내지 0.75mm 직경의 유리구슬로 다이노밀(Dynomil)에서 세포막을 분쇄시킨다. 여과 장치에 의해 유리구슬을 제거한 후 분쇄된 효모용액을 원심분리하여 불용성침전물을 제거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재조합 인체 TNF-α를 함유하는 상등액에 암모니움 설페이트 40%농도로 첨가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고, 그 용액에 암모니움 설페이트 60% 농도가 되게 더 첨가하여 침전되는 단백질들을 얻어낸다. 이 침전된 단백질들을 완충용액에 용해시킨 후 투석을 통하여 암모니움 설페이트를 제거한다.
그런 다음, 상기와 같이 얻어진 단백질 용액을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 그래피하여 부분정제된 재조합 인체 TNF-α를 얻는다. 음이온 교환 수지로는 DEAE-셀룰로즈, DEAE-세파크릴 또는 q-세파로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음이온 교환 수지에 강하게 흡착하는 단백질, 핵산 및 발효 배지에서 유래된 색소로부터 재조합 인체 TNF-α를 어느 정도 분리시킬 수 있다.
이어서, 재조합 인체 TNF-α를 함유하는 분획을 수집하여 여기에 NaCl이 함유된 완충용액으로 미리 평형화시킨 소수성 컬럼을 통과시켜 크로마토그래피한다. 이때, 재조합 인체 TNF-α를 칼럼에 흡착시키지 않고 용출되게 함으로써 재조합 인체 TNF-α보다 소수성이 강한 오염 단백질로부터 분리시킨다. 젤로서는 페닐-세파로즈 또는 옥틸-세파로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얻은 재조합 인체 TNF-α용액에 암모니움 설페이트를 65%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여 재조합 인체 TNF-α를 침전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재조합 인체 TNF-α침전물을 얻은 다음 최소량의 완충용액으로 용해시킨 재조합 인체 VDYDDOR을 젤-여과 크로마토그래피한다. 이때, 젤로는 S-200 세파크릴이나 S-300 세파크릴 또는 G-75 세파덱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소듐 도데실설페이트-폴리아크릴아미드 전기영동(SDS-PAGE)하여 젤에서 용출된 재조합 인체 TNF-α 분획들의 순도를 측정한 결과 95%이상의 높은 순도를 나타내었다.
그런 다음, 상기 과정에서 얻은 재조합 인체 TNF-α를 투석하여 염을 제거한 후에 다시 헤파린-세파로즈를 이용한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다. 특히, 헤파린-세파로즈를 이용한 친화성 컬럼을 사용하면, SDS-PAGE에서 단일 밴드로 나타나는 종양괴사인자라 할지라도 비활성의 차이를 보여주는 더 세분화된 분획들로 분리됨으로써 가장 높은 활성의 인체 TNF-α를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전술한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는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선행하고 이어서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 젤 크로마토그래피의 순으로 수행하는데,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 젤 내부에 있는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단백질의 크기에 따라 젤을 선택할 수 있으며 소수성 수지에 비하여 가격면에서도 경제적이고 불순물에 오염된 후 세척 및 재생이 용이하므로 가장 먼저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는 음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다음에 이어서 수행함으로써 전 단계에서 용출된 용액에 소금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전처리과정 없이 바로 로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음이온 수지에 의하여 불순단백질 핵산 및 발효배지에서 유래된 색소로부터 TNF-α가 어느 정도 순수하게 분리되었기 때문에 고가인 소수성 수지의 수명을 길게하는 잇점이 있다. 다음 단계로 수행하는 젤-크로마토그래피는 저분자량의 불순 단백질과 재조합 TNF-α를 분리시키는 초고속 원심분리기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서, 액상 크로마토그래피의 최종단계에 수행하는 것이 재조합 TNF-α정제순도를 95%이상 높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정제방법은 발현숙주에 관계없이 일반적인 효모나 박테리아로부터 발현된 유전자 재조합 인체 TNF-α의 정제에 모두 응용될 수 있으며,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해 재단법인 한국종균협회에 1990년 5월 8일에 기탁번호 제10692호로 기탁된 Saccharomyces cerevisiae LUCK-TNF-2Y로 부터 재조합 인체 TNF-α를 정제하는데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재조합 인체 TNF-α가 발현된 효모균주로는 Saccharomyces cerevisiae LUCK-TNF-2Y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재조합 인체 TNF-α가 발현된 효모 150g을 300ml의 완충용액[10mM Tris, 1mM PMSF, pH 8.0]에 현탁시켜서 0.6mm의 유리구슬로 다이노밀에서 15분간 분쇄시킨 후, 여과장치를 통하여 유리구슬을 제거하였다. 약 100ml의 완충용액으로 유리구슬을 완전히 씻어낸 후 이두용액을 합쳤다. 이 용액을 15,000x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한 후 상등액만을 취하였다.
이 상등액에 암모니움 설페이트 분말을 최종 농도가 40%가 되게 첨가하고, 4℃에서 6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평형시켰다. 그 후 15,000xg에서 1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얻었다. 이 상등액에 암모니움 설페이트 분말을 최종농도가 60%가 되게 더 첨가하고 약 2 내지 6시간 정도 평형화시킨 후, 15,000xg에서 1시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얻었다. 이때 약 40g의 침전물을 얻었다.
이 침전물을 100ml의 10mM Tris-HC1, pH 8.0로 용해시킨 후, 동일 완충용액에서 4℃에서 투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전체부피가 약 200ml로 증가되었다.
[실시예 2]
DEAE-셀룰로즈 컬럼(용적 부피; 250ml)을 10mM Tris-HC1, pH 8.0으로 평형화시킨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단백질 용액 200ml을 4℃에서 칼럼을 투여하였다.
DEAE-음이온 교환수지에 흡착되지 않은 단백질 및 기타 물질을 상기완충용액으로 충분히 씻어낸 후 상기 완충용액에서 NaCl농도가 각각 OM과 0.2M이 되도록 만든 용액 1ℓ로 선형구배시키며, 이때의 용출속도는 7.6cm/시간으로 하였다. DEAE-음이온 교환 수지에서 용출된 각 분획의 단백질을 280nm의 파장에서 검출한 결과를 제1도에 나타내었다.
재조합 인체 TNF-α에 해당하는 분자량을 갖는 컬럼 분획들을 수집한후(제1도에서 검은 막대 부분), NaCl을 첨가하여 최종농도를 2M로 맞추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 의하여 얻어진 재조합 인체 TNF-α용액(500ml)을 10mM Tris-HCl, pH 8.0, 2M NaCl 용액으로 평형화시킨 페닐-세파로즈(Pharmacia사 제품)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용적 부피: 200ml)에 35.6cm/시간의 속도로 투여하였다. 이때 재조합 인체 TNF-α는 젤 메디아에 흡착되지 않고 컬럼에서 용출되었으며 재조합 인체 TNF-α보다 소수성이 강한 단백질들만이 젤에 흡착되었다.
이 흡착된 오염 단백질들은 염기의 농도를 낮추어 컬럼에서 용출시켰다. 이 과정을 280nm의 파장에서 검출하여 제2도에 나타내었다. 15% SDS-PAGE상에서 재조합 인체 TNF-α의 순도가 높은 분획들을 수집하고(제2도에서 검은 막대 부분), 여기에 암모니움 설페이트의 최종농도가 65%되게 가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침전물들을 100ml의 20mM Tris, pH 8.0에 용해시켰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은 rTNF-α용액(100ml)을 20mM Tris-HCl, 02MNaCl, pH 8.0으로 평형화시킨 세파크릴 S-300(부피 8l)에 투여하여 3cm/시간의 용출속도로 단백질을 분리시켰다. 제3도는 이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제3도에서 A와 B 분획 모두 rTNF-α가 나타났으며, 모두 거의 비슷한 생리활성을 나타내었다. B분획의 단백질 양이 A보다 많고 또한 순도도 월등히 높았으므로 B분획들을 모아서 10mM Tris-HCl, pH 8.0에서 투석하여 염기를 제거하였다. 이때 단백질 용액의 부피는 약 500ml였다. 이 용액을 YM10 아미콘 필터로 농축하여 최종 부피가 200ml가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용액을 헤파린-세파로즈(Pharmacia사 제품) 크로마토그래피(용적부피: 150ml)하였다. 이때, 평형 용액으로는 10mM Tris-HCl, pH 8을 사용하였다. 재조합 인체 TNF-α를 투여하고, 평형용액으로 충분히 세척한 후, NaCl의 농도구배가 OM에서 0.2M이 되게 각기 600ml의 용액으로 선형구배하여 용출시켰다. 그결과를 제4도에 나타내었는바, 재조합 인체 TNF-α는 더 세분화되었다.
제4도의 A, B 및 C 분획을 15% SDS-PAGE하였을 경우, A, B 및 C 분획 모두가 재조합 인체 TNF-α의 분자량과 동일한 위치에 단일 단백질 밴드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A, B 및 C분획 모두 거의 동일한 정도의 순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세포병변에 의한 단백질의 비활성면에서는 각각의 피크에서 나온 재조합 인체 TNF-α가 약간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A, B 및 C의 분획중 B분획에서 얻은 재조합 인체 TNF-α가 가장 생리활성이 높았으며, A는 B분획보다 약 2.5배 가량 낮은 비활성을 보여주었다. 대체적으로 이들 어느 분획도 고역가의 생리활성을 유지하고 있는 재조합 인체 TNF-α임이 확인되었으나 그 구성상의 미세한 차이에 의하여 헤파린-세파로즈 컬럼에서 더 세분화된 것으로 사료된다.
재조합 인체 TNF-α의 비활성 측정
10% 우태자혈청이 첨가된 MEM 배지로 T75플라스크에서 배양한 HeLa 및 L929를 세포부유액(1.5×105세포/ml)을 96공 플레이트 100μl씩 적가하고, 30℃를 유지하는 5% CO2인큐베이터에서 18내지 24시간 배양하여 세포단층을 만든후, MEM으로 2배 또는 4배 연속 희석한 재조합 인체 TNF-α 100μl씩을 37℃를 유지하는 5% CO2배양기에서 24시간 방치하여 결과를 확인한 다음 크리스탈 바이오렛으로 염색하여 6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재조합 TNF-α희석시 액티노마이신 D가 1μg/ml 들어 있는 MEM으로 희석하며 상대적인 역가 검증을 위해 Genzyme 사이에 구입한 TNF-M(4×107units/mg)을 이용하였다. 세포가 50% 죽는 지점을 종점으로 하여 TNF의 세포 병변 효과를 측정하였다. 비활성의 결정을 위한 단백질의 농도는 Pierce 사에서 구입한 BCA 방법을 이용하였다.
제4도에서 헤파린-세파로즈 컬럼을 이용하여 얻은 A, B 및 C분획의 재조합 인체 TNF-α의 활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kpo00001

Claims (5)

  1.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가 발현된 재조합 숙주세포를 전처리과정을 거쳐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함에 있어서, 전처리과정에서 얻어진 조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를 순차적으로, 먼저 음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고 이어서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 젤 크로마토그래피한 후, 헤파린-세파로즈 컬럼을 이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의 정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는 DEAE-셀룰로즈, Q-세파로즈 또는 DEAE-세파크릴 수지를 이용하여서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의 정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는 S-200 세파크릴, S-300 세파크릴 또는 G-75 세파덱스 수지를 이용하여서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의 정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는 페닐-세파로즈 또는 옥틸-세파로즈 수지를 이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의 정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조합 숙주세포는 대장균 또는 효모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의 정제방법.
KR1019900008572A 1990-06-12 1990-06-12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의 정제방법 KR920009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8572A KR920009520B1 (ko) 1990-06-12 1990-06-12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의 정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8572A KR920009520B1 (ko) 1990-06-12 1990-06-12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의 정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917A KR920000917A (ko) 1992-01-29
KR920009520B1 true KR920009520B1 (ko) 1992-10-17

Family

ID=1929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572A KR920009520B1 (ko) 1990-06-12 1990-06-12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의 정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95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917A (ko) 1992-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oshimura et al. Purification of a human monocyte-derived neutrophil chemotactic factor that has peptide sequence similarity to other host defense cytokines.
JP2579981B2 (ja) M―csfの生産方法
Watanabe et 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ytokine-induced neutrophil chemoattractant produced by epithelioid cell line of normal rat kidney (NRK-52E cell)
US4824938A (en) Water-soluble dry solid containing proteinaceous bioactive substance
JPH11507033A (ja) トロンボポイエチンを精製する方法
JPS58201794A (ja) ヒトインターフェロンβの濃縮精製法
KR920009520B1 (ko) 재조합 인체 종양괴사인자(TNF-α)의 정제방법
US5338834A (en) Ultrapure human interleukin-6
JP3016793B2 (ja) 還元型の非グリコシル化組換ヒトil▲下2▼、その取得方法、及び薬物としてのその使用
JP2008502708A (ja) タンパク質を単離および/または精製する方法
JPH0611705B2 (ja) 血小板減少症治療剤
US5391706A (en) Purification of GM-CSF
EP0446850B1 (en) Process for purifying recombinant human beta-interferon
US4526782A (en) Process for recovering interferon
CA1340244C (en) Dna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novel plasmids comprising themnovel polypeptide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novel anti-tumor agents comprising said polypeptides
EP0299746B1 (en) Purification of gm-csf
EP0210588B1 (en) Antitumor polypeptide and a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950004015B1 (ko) 재조합 종양괴사인자(TNF-α)의 개선된 정제방법
EP0401379B1 (en) STABILIZED COMPOSITION OF INTERLEUKIN-1$g(b)
KR960013393B1 (ko) 재조합 효모에서 발현된 알파 인터페론의 정제방법
KR920009503B1 (ko) 재조합 인 알파-인터페론의 정제방법
JPS641118B2 (ko)
KR900008571B1 (ko) 효모에서 발현된 인체 γ-인터페론의 정제방법
KR0160934B1 (ko) 효모에서 봉입체로 발현된 재조합 인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의 정제방법
JPH0618779B2 (ja) 造血機能回復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0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