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134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차단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차단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134B1
KR920009134B1 KR1019880008658A KR880008658A KR920009134B1 KR 920009134 B1 KR920009134 B1 KR 920009134B1 KR 1019880008658 A KR1019880008658 A KR 1019880008658A KR 880008658 A KR880008658 A KR 880008658A KR 920009134 B1 KR920009134 B1 KR 920009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blocker
concrete structure
case member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509A (ko
Inventor
다하라 데쯔오
Original Assignee
신니혼 주시까꼬 컴파니, 리미티드
다하라 메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17572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1797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4935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94133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4935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94134A/ja
Application filed by 신니혼 주시까꼬 컴파니, 리미티드, 다하라 메쓰오 filed Critical 신니혼 주시까꼬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90002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차단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작업단계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작업단계를 도시하는 단면 다이어그램.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작업단계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작업단계를 도시하는 평면 다이어그램.
제6도는 제2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작업단계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작업단계를 도시하는 단면 다이어그램.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제1고무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제2고무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선 A-A를 따라 절단된 도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 다이어그램.
제14도는 제13도의 선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
제15도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덮개판 및 하드그릴의 다른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단제 3, 22 : 밀봉케이스 부재
6, 27, 53 : 차단제-주입튜브 7, 28, 54 :배출튜브
8, 31, 46 :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 9, 32, 47 : 균열
10, 30, 48 : 앵커볼트 11, 51 : 체결니트
12, 29 : 패킹부재 24 : 개구부
25 : 차단제-주입구멍 26 : 배출구멍
41 : 패킹그릴 42 : 조립홈
44 : 조립돌출부 43 : 제1고무부재
45 : 제2고무부재 49, 73 : 덮개판
55 : 밀봉공간 71 : 장방형 하드그릴
본 발명은 터널, 지하실, 댐, 둑, 수영장 또는 옥외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생긴 갈라진 틈에서 누수 또는 유출로 인한 범람을 방지하는 방법 및 이 차단 작업을 실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로부터 물의 누수 또는 유출로 인한 범람을 방지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갈라진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부에 V-형 노치를 형성하고, 수지-주입튜브를 V-형 노치로 삽입하고, 삽입된 수지-주입튜브 주위에 급결 모르타르를 발라 콘크리트 벽에 수지-주입튜브를 고정시키고, 주입노즐을 수지-주입튜브에 장착하고, 우레탄형 발포(發疱) 수지가 수지-주입튜브를 통하여 주입되고, 주입된 우레탄형 발포수지는 물에 접촉하여 거품이 일면서 균열동공부 및 분기(分岐)된 균열부로 침투하여 접착 및 경화되어 물의 차단 효과를 얻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V-형 노치가 형성되는 차단방법에서는, 드릴링에 의해서 콘크리트 벽면상의 균열을 따라 V-형 노치를 굴착하는 단계, 수지-주입튜브를 삽입하는 단계, 및 급결시멘트를 바르는 단계를 필요로 하고, 작업의 완료에는 장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 종래의 차단방법은 트를 차단작업을 요하는 터널에서의 차단작업에는 적당하지 않다. 더우기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균열이 휘어지거나 주균열선에서 직각으로 갈라지거나 또는 주변부로 갈라진 것은 완전한 차단 효과를 거두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종래방법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된 균열의 실질적인 차단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심지어 주균열이 휘어졌을때도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차단효과가 주균열뿐 아니라 분기된 균열부 및 주변균열부에도 동시에 달성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차단방법의 구조 및 기능을 여기에 요약하여 기술한다.
외부에서 균열을 덮기 위한 필요한 체적 및 소정의 개구 면적을 갖는 다수의 차단제-밀봉부재는 서로 연결되고 콘크리트 구조물 벽면의 균열선을 따라 장착된다. 소정의 높이를 갖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케이스 부재 또는 두꺼운 고무 시이트 또는 금속 시이트로 형성된 케이스 부재는 차단제-밀봉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차단제-밀봉부재는 균열선을 덮을 수 있는 소정의 개구면적 및 체적을 갖고 고압에 견딜 수 있다면 만족할만 하다. 차단제- 밀봉부재에는 차단제 주입용 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주입구멍 이외에 물 및 공기 배출용 배출구멍이 배치된다.
콘크리트 구조물 벽면에 차단제-밀봉부재를 장착할 때, 일반적으로 밀봉부재가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차단제-밀봉부재는 앵커볼트에 의해 콘크리트 벽면에 압착된 상태로 고정되지만 차단제-밀봉부재가 타이트하고 용이하게 장착되는 한 다른 고정방법도 채택될 수 있다.
다수의 차단제-밀봉부재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주균열선을 따라 연결되고 장착된 후 발포(發疱)수지, 점착물등으로 이루어진 차단제가 각 차단제-밀봉부재의 내부로 주입되고 충전(充塡)된다.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의 주입압력 또는 팽창압력은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내에서 상승하고 차단제는 차단제-밀봉부재에 의해 덮힌 콘크리트 벽면상의 주균열뿐만 아니라 주변 또는 분기균열의 깊숙한 부분까지 침투하여 균열은 넓은 지역에 걸쳐 차단될 수 있다. 더욱이, 차단제는 차단제-밀봉부재에 의해 덮힌 전 콘크리트 벽면상에 소정의 두께로 일체로 부착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로부터 물의 누수 및 유출로 인한 범람을 방지할 수 있다.
차단제의 예로는 우레탄형 발포수지 및 에폭시수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기술된다.
제1실시예(제1도 내지 제3도)
본 발명은 제1실시예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되었다.
이 실시예에서는, TACSS 또는 NL Paste라는 상표명으로 시장에서 거래되는 우레탄형 발포수지가 차단제(1)로서 사용되고, 250mm×30mm의 치수를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 케이스 부재(3)가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2)로서 사용되었다. 케이스 부재(3)의 두 장측면(4)은 아래쪽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테이퍼지고 케이스 부재의 상면의 네모서리 상에는 볼트구멍(5)들이 형성되어 있었다. 쇼트 밸브(13)를 구비한 차단제-주입튜브(6) 및 밸브(14)를 구비한 배출튜브(7)가 상면의 두 지점에 부착된다. 도면에서, 8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을 나타내고, 9는 균열을 나타내고, 10은 앵커볼트를 나타내고, 11은 케이스 부재(3)용 체결너트를 나타내고, 12는 패킹부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a)도 및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세트로서 네 개의 앵커구멍이 균열선을 따라 형성되고 앵커볼트(10)는 이 구멍으로 삽입된다.
그후 장방형의 패킹부재(12)가 배치되고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3)가 배치되고 앵커볼트(10)는 볼트구멍(5)을 관통하고 체결너트(11)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7)에 압착된 상태로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2)를 고정하도록 앵커볼트(10)에 나합된다. 제1(b)도 및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2)는 서로 연결되고 유사하게 고정된다.
그 다음, 차단제-주입튜브(6) 및 배출튜브(7)의 밸브(13 및 14)는 열리고, 8배 팽창가능한 우래탄형 발포수지는 압력하에서 차단제-주입튜브(6)로부터 케이스 부재(3)로 도입된다. 압력하의 수지의 도입은 케이스 부재내의 물 및 공기를 배출튜브(7)를 통하여 배출되게 한다. 물 및 공기의 충분한 배출후에, 배출튜브(7)의 밸브(14)는 닫히고, 이 시점에서, 8배 팽창가능한 케이스 발포수지는 거품이 일면서 팽창하고, 팽창압력은 케이스 부재(3)내의 콘크리트 구조의 벽면상의 전체 균열부로 발포수지를 침투시키고 그로 인하여 분기(分岐)된 균열부의 깊숙한 곳까지 침투한다. 주입의 종료후, 차단제-주입튜브(6)의 밸브(13)가 닫히고, 벽면상의 패킹부재(12)의 존재 때문에 케이스 부재의 내부는 폐쇄된채로 밀봉되고 케이스 부재(3)는 앵커볼트에 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에 타이트하게 고정된다. 그러므로, 발포 및 팽창력은 발포수지를 균열부(9)내로 밀어낸다.
따라서, 발포수지는 균열부(9)의 전체 깊숙한 부분으로 침투가 가능하게 되고 수지는 콘크리트 구조물내의 동공부에 채워져 접착되고 경화되므로 균열부로부터 물의 누설 또는 유출로 인한 범람이 방지된다.
전술한 작업은 모든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2)에 수행되고 따라서 제1(c)도 및 제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균열부로 부터의 물의 누설 및 유출로 인한 범람이 방지된다.
발포수지가 경화된 후,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2)는 영구히 부착되거나 작업완료후 제거될 수 있다. 심지어 휘어진 균열(9)일때라도 케이스 부재(3)는 아래로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를 갖는 측면들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므로 작업능률이 매우 양호하다.
제2실시예(제4도 내지 제6도)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고로 하여 기술된다.
본 실시예에서, 우레탄형 발포수지는 차단제로서 사용되고, 아치형의 요홈부를 갖는 차단제- 밀봉케이스부재(22)는 평면에 대해 원형인 플랫-헤드 케이스 부재(21)로서 사용된다.
도면에서 23은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22)의 원주요홈부를 나타내고, 24는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의 개구부를 나타내고, 25는 차단제-주입구멍을 나타내고, 26은 배출구명을 나타내고, 27은 차단제-주입구멍(25)에 부착된 밸브를 구비한 차단제-주입튜브를 나타내고, 28은 배출구멍에 부착된 밸브를 구비한 배출튜브를 나타내고 29는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22)의 주연부에 부착된 고무패킹 부재를 나타내고, 30은 앵커볼트를 나타내고, 31은 콘크리트 벽을 나타내고, 32는 균열을 나타내고, 33은 발포수지를 나타내고, 34는 앵커볼트(30)용 체결너트를 나타내고, 35는 앵커볼트(30)용 관통구멍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 다수의 앵커볼트(30)가 균열선을 따라 삽입된다. 앵커볼트(30)를 삽입할 때,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22)의 배치는 각 밀봉케이스 부재(22)가 실질적으로 밀봉케이스 부재(22)의 중심에서 균열(22)을 차단하도록 결정되고, 앵커볼트(30) 삽입을 위한 위치는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22)의 상기 결정된 배치의 관통구멍에 따라 결정된다. 그 다음,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22)는 균열을 갖는 콘크리트벽에 끼워지고 앵커볼트(30)는 관통구멍(35)으로 삽입되고 앵커볼트(30)는 고무패킹을 압착하도록 체결하도록 체결너트(31)에 의해 체결되고,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22)는 콘크리트 벽(31)에 고정된다. 그 후 인접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22)가 전술한 케이스 부재(22)의 요홈부(23)에 끼워지도록 인접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22)는 전술한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22)에 연결되고 전술한 것과 같은 식으로 인접케이스 부재(22)는 앵커볼트(30) 및 체결너트(34)에 의해 압착상태에서 콘크리트 벽(31)에 고정된다. 위의 작업을 반복하므로서, 다수의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22)가 균열선을 따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원한다면 부기된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36)가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의 분기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콘크리트 벽(31)상에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의 열이 형성된 후, 발포수지는 차단제- 밀봉케이스(22)의 차단제 주입튜브(27)로부터 압력하에서 도입되고,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22)내의 물 및 공기는 발포수지(33)가 압력하에서 도입될 때 배출튜브(28)로부터 배출된다. 물 및 공기가 충분히 배출될 때 발포수지(33)는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22)의 내측공간에 충전되고 배출튜브(28)의 밸브는 닫힌다. 이 시점에서, 차단제-주입튜브(28)로부터 압력하에서 도입된 발포수지(33)는 케이스 부재(22)의 내측공간에 밀봉되고 압력이 상승되므로 수지(33)는 고압하에서 균열(32)의 내측부로 침투되고 균열이 (32)의 깊숙한 부분 및 분기부분으로 충분히 침투하게 된다. 발포수지가 충분히 주입된 후, 차단제-주입튜브(27)는 닫힌다. 모든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에 압력하에 발포수지를 주입하는 공정을 수행하므로서 발포수지는 전균열선을 따라 균열의 깊숙한 부분, 주변 부분, 분기부분으로 침투하게 되고, 콘크리트 벽에 형성된 균열의 공간에 발포수지가 채워져 점착되고 경화화므로서 물의 유출로 인한 범람 및 누수가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 앵커볼트(30)는 집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차단제 밀봉케이스 부재(22)가 독립적으로 콘크리트 벽(31)에 고정될 때, 먼저 앵커볼트(30)가 삽입되고,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22)는 삽입된 앵커볼트(30)에 고정되고, 후속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22)가 고정되는 방법이 채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 채택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제3실시예(제7도 내지 제10도)
제7도 내지 제10도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서는, 5cm 간격에서 대칭으로 형성된 키홀-형 조립홈(42)를 갖는 7cm 두께의 긴 고무시이트로 구성된 제1고무부재(43), 및 양단부에 키흘-형조립 돌출부(44)가 형성된 20cm 길이의 짧은 고무스트립으로 구성된 제2고무 부재(45)로 구성된 패킹그릴(41, packing grill)이 제작되고, 제1고무 부재(43)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고무부재(45)의 조립돌출부(44)는 대응하는 키홀-형 조립홈(42)에 끼워져 이들 고무부재를 서로 연결하고 장방형 그릴을 형성한다.
도면에서, 46은 콘크리트 벽을 나타내고, 47은 균열을 나타내고, 48은 앵커볼트를 나타내고, 49는 스테인레스 덮개판을 나타내고, 50은 앵커볼트용 관통구멍을 나타내고, 51은 체결너트를 나타내고, 52는 차단제-주입구멍을 나타내고, 53은 밸브가 구비된 차단제-주입튜브를 나타내고, 54는 물 및 공기 배출용으로 밸브가 구비된 배출튜브를 나타내고, 55는 차단제가 주입된 밀봉 공간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먼저, 다수의 앵커볼트(48)가 콘크리트 벽면(45)상의 균열선(47)을 따라 삽입된다. 앵커볼트(48)는 장착될 덮개판(49)의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삽입된다.
그 다음, 긴 제1고무 부재(43)가 20cm의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고무 부재(45)들은 균열(47)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제2고무 부재(45)의 조립돌출부(44)는 제1고무 부재(43)의 조립홈(42)에 끼워져 고무부재들이 서로 연결되고 가로 20cm 세로 25cm의 크기를 갖는 장방형 패킹그릴(41)이 형성된다. 이 패킹그릴(41)은 스티킹, 본딩 또는 못질에 의해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덮개판(49)이 관통구멍으로 삽입되고 앵커볼트(48)가 체결너트(51)에 의해 체결되어 패킹그릴(41)을 콘크리트 벽면(46)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채택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패킹그릴(41)은 대향하는 제1고무 부재(43)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방식으로, 많은 패킹그릴(41)이 균열선(47)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형성된 패킹그릴(41)은 뚜껑판(49)에 눌러지고, 앵커볼트(48)는 관통구멍(50)으로 삽입되고, 앵커볼트(48)는 체결너트(51)에 의해 체결되고, 따라서 압착된 상태에서 패킹그릴(41) 및 덮개판(49)은 콘크리트 벽면(46)에 압착된다.
그후, 덮개판(49)에 장착된 배출튜브(54)가 열리고, 이 상태에서, TACSS라는 상표명으로 시장에서 거래되는 것과 같은 우레탄형 발포수지가 차단제-주입튜브 (53)에서 압력하에서 도입된다. 압력하에서 차단제의 도입은 배출튜브(54)로부터 차단제-밀봉공간내의 물 및 공기를 배출시킨다. 물 및 공기가 충분히 배출된 후 배출튜브(54)의 밸브는 닫히고, 주입된 발포수지는 거품이 일고 팽창하여 차단제-밀봉공간에 충전된다. 이 팽창력은 발포수지를 콘크리트 벽(46)의 균열(47)내로 깊숙히 침투시키고 심지어 균열(47)의 깊숙한 분기부분까지 침투하게 한다. 주입공정의 종료후, 차단제-주입튜브(53)의 밸브는 닫힌다. 차단제-밀봉공간(55)은 패킹그릴(41) 및 덮개판(49)에 의해 콘크리트 벽에 타이트하게 고정되므로 발포수지의 누설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발포수지는 균열(47)속으로 깊숙히 침투하므로 균열(47)에서의 물의 누수나 유출로 인한 범람이 방지된다.
모든 차단제-밀봉공간(55)에 상기 공정을 수행하므로서, 물의 누수 및 유출로 인한 범람이 콘크리트 벽(46)상의 전 균열선에서 방지될 수 있다.
제4실시예(제11도 내지 제12도)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된 제4실시예에서는, 제3실시예의 패킹그릴(51) 대신에 일체로 성형된 두꺼운 고무시이트가 사용되었다. 특히 장방형 패킹그릴(61)은 균열(47)을 따라 장착되고, 패킹그릴(51) 및 중앙부가 약간 부풀어오른 덮개판(69)은 압착된 상태로 콘크리트 벽(46)에 고정된다. 기타의 특징은 제3실시예의 특징들과 동일하다.
제5실시예(제13도 내지 제15도)
제13도 내지 제15도에 도시된 제5실시예에서는, 차단제-밀봉공간(55)은 그 하단에 부착된 고무패킹(70)을 갖는 스테인레스 강의 장방형 하드그릴(70), 고무패킹(72)을 통하여 하드그릴(71)의 상단부에 압착된 상태로 부착된 덮개판(73), 및 콘크리트 벽(46)에 의해 형성된다. 차단제-밀봉공간(55)의 소정의 크기는 하드그릴(71)의 수지벽 부분에 의해 유지된다. 하드그릴(71)은 앵커볼트(48)에 의해 고정되고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판(73)은 앵커볼트(48)에 의해 직접 부착되는 식으로 부착되거나,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릴 (71)에 부착된 다른 앵커볼트(74)에 의해 덮개판(73)이 장착되는 식으로 장착된다. 본 실시예는 큰 체적을 필요로 하여 그릴의 높이를 증가시킬 경우 효과적이다. 기타의 구조적 특징 및 기능은 제4실시예의 특징 및 기능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기술에서 명백히 알 수 있듯이 콘크리트 벽에 형성된 균열에서의 물의 누수 및 유출로 인한 범람은 단지 차단제-밀봉부재를 고정시키고 차단제를 주입하므로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은 근본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더우기, 차단제는 주요 균열부 뿐만 아니라 균열의 주변부 및 분기부로 깊숙히 침투할 수 있으므로 완전한 차단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우기, 주 균열선이 굽혀지거나 만족되었을지라도 차단제는 평탄한 형태로 주입되므로 차단효과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Claims (7)

  1. 외부에서 균열을 덮기 위한 필요한 체적 및 소정의 개구 면적을 갖는 다수의 차단제-밀봉부재를 서로 연결하고, 균열선을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에 상기 연결된 부재를 장착하고, 차단제-밀봉부재내로 압력하에서 발포수지등으로 구성된 차단제를 도입하고, 압력하에서 도입된 차단제를 차단제- 밀봉부재내에 채워 차단제-밀봉부재내의 압력을 상승시키고, 상기 상승된 압력으로 인해 균열의 내부 깊숙한 곳까지 차단제를 침투시키기 위해, (a)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선을 따라 다수의 앵커볼트를 삽입하는 제1단계, (b) 균열선을 따라 패킹부재를 배치하고,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들이 균열선을 따라 밑면이 터진 상기 케이스 부재들을 연속되게 배치하고, 콘크리트 구조물 벽면에 압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 부재들이 고정되도록 상기 앵커볼트에 의해 케이스 부재를 체결하는 제2단계 및 (c)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에 압착된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내로 우레탄형 발포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로 구성된 차단제를 주입하고, 차단제를 주입압력으로 균열의 내부로 압출시키고, 케이스부재내의 차단제가 균열의 등공에 채어지는 제3단계로 구성되어 균열로부터 물의 누수 및 유출로 인한 범람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차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는 아래쪽으로 넓어지는 두 대향된 경사면 및 개구밑면 및 볼트구멍이 형성된 상면, 상기 상면상에 배치된 밸브를 구비한 차단제-주입튜브 및 밸브를 구비한 배출튜브로 구성되어 균열로부터 물의 누수 및 유출로 인한 범람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차단방법.
  2. 케이스 부재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상의 균열을 덮도록 콘크리트 벽면상에 배치하고, 앵커볼트에 의해 상기 케이스 부재를 고정시키며, 케이스 부재의 차단제-주입구멍으로부터 각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로 압력하에서 발포수지, 접착제등으로 이루어진 차단제를 도입하고, 각 케이스 부재내에 차단제가 충전되도록 각 차단제 밀봉케이스 부재의 배출구멍을 차단하고, 균열의 내부로 가 차단제를 압출하여 차단제의 접착 및 경화를 성취하도록 깊숙한 부분 및 주변부로 차단제를 주입하여 균열로부터 물의 누수 및 유출로 인한 범람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차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에는 인접 케이스 부재의 주연부의 일부분과 동일한 형태로 주연부의 일부분에 아치형 요흠부가 형성되고 그 저면은 터져 있고 차단제-주입구멍 및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패킹부재가 그 주연부에 배치된 구조를 취하며, 연속되는 균열부분이 연속되는 케이스 부재에 의해 효율적으로 덮이도록 상기 연속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의 주연부를 상기고정된 케이스 부재의 요홈부에 끼우고, 앵커볼트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에 상기 상태에서 상기 연속케이스 부재를 고정시키고, 균열선을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에 차단제-밀봉부재를 계속적으로 고정하는 상기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균열로부터 물의 누수 및 유출로 인한 범람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차단방법.
  3. 원판형 및 주연부의 곡룰과 동일한 아치형 요홈부를 갖고 그 저면은 터져 있고 케이스 부재의 소정의 높이에서 차단제-주입구멍 및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하단 주연부상에 패킹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제-밀봉케이스 부재.
  4. (a)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상에 균열선을 따라 다수의 앵커볼트를 삽입하는 제1단계, (b) 앵커볼트에 덮개판을 고정하는 제2단계 및 (c) 체결된 덮개판 상에 형성된 차단제-주입구멍으로부터 우레탄형 발포 수지, 에폭시수지등으로 이루어진 차단제를 주입하고, 차단제-밀봉공간내로 차단제를 충전하고, 팽창압력 또는 주입압력에 의해 균열의 내부로 차단제를 침투시키고 차단제의 접착 및 경화에 의해 균열을 차단하는 제3단계로 구성되어 균열로붙 물의 누수 또는 유출로 인한 범람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차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균열선을 따라 소정의 개구면적을 다수의 두꺼운 패킹그릴을 배치하고, 다수의 평판덮개판 또는 만곡중앙부를 갖는 상기 다수의 덮개판을 두꺼운 패킹그릴상에 배치하고, 분기된 콘크리트 벽면에 두꺼운 패킹그릴이 압착되도록 앵커볼트에 의해 덮개판을 체결하고 따라서 분기된 콘크리트 벽면, 패킹그릴 및 덮개판에 의해 소정의 체적을 갖는 차단제-밀봉공간을 형성하여 균열로부터 물의 누수 및 유출로 인한 범람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차단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그릴은 두꺼운 장방형 고무부재와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차단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그릴은 소정의 위치에 조립홈 또는 조립돌출부를 갖는 다수의 두꺼운 판형고무부재로 구성되어 고무부재가 그릴의 형태로 서로 연결되도록 조립돌출부가 조립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차단방법.
  7. (a) 콘크리트 구조물 벽면상의 균열선을 따라 다수의 앵커볼트를 삽입하는 제1단계, (b) 그 하단부에 패킹부재를 부착하고 덮개판을 고정하는 제2단계 및 (c) 덮개판상에 형성된 차단제-주입구멍으로부터 우레탄형 발포수지, 에폭시 수지등으로 이루어진 차단제를 주입하고, 차단제-밀봉공간내로 차단제로 충전하고, 팽창압력 또는 주입압력에 의해 균열의 내부로 차단제를 침투시키고, 차단제의 접착 또는 경화에 의해 균열을 차단하는 제3단계로 구성되어 균열로부터 물의 누수 또는 유출로 인한 범람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차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균열선을 따라 장착된 소정의 개구면적을 갖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제의 다수의 하드그릴을 배치하고, 분기된 콘크리트 벽면에 압착된 상태로 하드그릴이 고정되도록 앵커볼트에 의해 하드그릴을 체결하며, 상기 덮개판은 편평하거나 만곡중앙부를 가지며 분기된 콘크리트 벽면, 하드그릴 및 덮개판에 의해 소정의 체적을 갖는 차단제-밀봉공간이 형성되도록 패킹부재를 통해 하드그릴의 상단에 고정되어 균열로부터 물의 누수 또는 유출로 인한 범람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차단방법.
KR1019880008658A 1987-07-13 1988-07-12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차단방법 및 장치 KR920009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75723A JPS6417971A (en) 1987-07-13 1987-07-13 Cutoff method and instrument for cracking of concrete structure
JP87-175723 1987-07-13
JP62249358A JPH0194133A (ja) 1987-10-01 1987-10-01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ひび割れの止水方法
JP87-249358 1987-10-01
JP62249359A JPH0194134A (ja) 1987-10-01 1987-10-01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ひび割れの止水方法
JP87-249359 1987-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509A KR890002509A (ko) 1989-04-10
KR920009134B1 true KR920009134B1 (ko) 1992-10-13

Family

ID=27324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658A KR920009134B1 (ko) 1987-07-13 1988-07-12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차단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63006A (ko)
EP (1) EP0299860B1 (ko)
KR (1) KR920009134B1 (ko)
CA (1) CA1319524C (ko)
DE (1) DE387145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71549C (en) * 1989-12-11 2001-02-06 William L. Welch Founda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EP0469717B1 (en) * 1990-06-30 1995-08-09 Hayashi Kensetsu Kogyo Kabushiki Kaisha A method and device for injecting a repairing agent into concrete
US5223272A (en) * 1990-11-09 1993-06-29 Ronald Pringle Apparatus for repairing cracked walls
US5431553A (en) * 1991-09-26 1995-07-11 Miller Pipeline Corporation Manhole seal molding apparatus
JP2581626B2 (ja) * 1991-10-02 1997-02-12 日本メンテ開発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補修剤注入プラグ
JPH05247958A (ja) * 1991-10-07 1993-09-24 Yutaka Fujikaw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漏水止水工法
US5226279A (en) * 1992-03-09 1993-07-13 Rendon Herrero Oswald Sealing method for the treatment of portland cement concrete
US6156248A (en) * 1994-09-21 2000-12-05 Walling; Larry H. Method for putty application
US6050799A (en) * 1997-09-26 2000-04-18 Galyon; Glenn Charles Auto glass repair system
US6309493B1 (en) * 1999-02-11 2001-10-30 Flexible Products Company Method for filling cracks in a concrete structure with foamable polyurethane prepolymer
US20080105195A1 (en) * 2003-06-20 2008-05-08 Vaerewyck Gerard J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and impregnating porous structures
US9963870B2 (en) 2004-07-01 2018-05-08 Darren E. Merlob Structural crack repair apparatus and method
WO2009149170A1 (en) * 2008-06-03 2009-12-10 Triton Systems, Inc. Armor repair kit and methods related thereto
WO2011143588A2 (en) 2010-05-13 2011-11-17 Structural Group, Inc. System and method for leaking crack repair
US9194140B2 (en) * 2010-11-04 2015-11-24 Garland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concrete
US9162248B2 (en) * 2011-12-12 2015-10-2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Backpressure injection foot
US20140083031A1 (en) * 2012-08-24 2014-03-27 Ronald Lindsay Dunlop Void former and method of reinforcing
JP6445554B2 (ja) * 2013-07-26 2018-12-26 アレヴァ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Areva GmbH 水中にある容器の壁の損傷を修繕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5135040A (ja) * 2013-12-16 2015-07-27 Jfeシビル株式会社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補強構造
US9476212B2 (en) * 2014-06-10 2016-10-25 Seyed Hossein Abbasi System and method for structural rehabilitation and enhancement
US9725917B2 (en) * 2015-05-08 2017-08-08 John Huh Restorative waterproofing membran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WO2018129561A1 (en) * 2017-01-09 2018-07-12 SECREST, Robert, Luke A device for stabilizing and repairing cracks in concrete structures and a method for its use
CA2983543C (en) 2017-10-24 2019-07-23 Jason May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cracks and joints
CN112630415B (zh) * 2020-12-04 2023-04-11 上海建工五建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墙体贯穿裂缝检测及堵漏装置及其应用方法
US11959245B2 (en) * 2021-02-08 2024-04-16 Amir Rudyan Injectable tie back cover for waterproof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using same
CN113235652A (zh) * 2021-05-28 2021-08-10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一种综合管廊变形缝渗漏封堵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98524A (fr) * 1924-09-12 1925-12-18 Procédé de consolidation, par cémentation, des revêtements fissurés d'ouvrages souterrains
US1883196A (en) * 1930-01-20 1932-10-18 Louis S Wertz Process of repairing masonry structures
US1905405A (en) * 1931-07-03 1933-04-25 Edward J Winslow Repair device for closing ruptures in concrete structures
US1953452A (en) * 1931-10-28 1934-04-03 Louis S Wertz Process of repairing masonry structures
US2313110A (en) * 1940-02-28 1943-03-09 Louis S Wertz Process for filling cavities
US2524419A (en) * 1946-03-01 1950-10-03 Vacuum Concret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zing vacuum in molding plastic material, such as concrete
US3102829A (en) * 1961-04-21 1963-09-03 Electric Auto Lite Co Injection device
US3202732A (en) * 1962-05-14 1965-08-24 Shell Oil Co Repairing refractory lined vessels
CH419560A (fr) * 1965-05-04 1966-08-31 Sogerep S A Procédé d'obturation d'une fente dans un ouvrage de maçonnerie
GB1594467A (en) * 1977-08-12 1981-07-30 Balfour Beatty Ltd Restoration of artificial and natural structures
CA994616A (en) * 1972-11-01 1976-08-10 Balfour, Beatty And Company Limited Artificial and natural structures
SE373625B (sv) * 1973-06-15 1975-02-10 Stabilator Ab For tetning av sprickor och kaviteter i olika slag av byggnadsverk, sasom byggnadsverk i berg, betong, murverk, tre, avsett forfarande
DE2363794A1 (de) * 1973-12-21 1975-07-03 Fred Uhl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festigung von morbidem und statisch gefaehrdetem sandstein
IT1143957B (it) * 1980-03-14 1986-10-29 Mariano Mura Procedimento di impregnazione di clacestruzzi e di altri materiali con monomeri organici mediante la polimerizzazione di essi con vapore saturo a pressione o di acqua calda additivata e mezzi atti all'attuazione del procedimento
US4352262A (en) * 1980-08-18 1982-10-05 Edelmann Frank E Method of sealing cracks and apparatus therefor
US4360994A (en) * 1980-12-01 1982-11-30 Hodges Bonnie E Concrete crack sealing system
DK8504588A (ko) * 1982-03-01 1987-04-09
US4465648A (en) * 1982-07-26 1984-08-14 Nippon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repairing refractory wall of furnace
JPS6149071A (ja) * 1984-08-17 1986-03-1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クラック等に接着材を注入する接着材注入装置
CH659103A5 (fr) * 1984-07-18 1986-12-31 Wellington B V Dispositif et procede pour le colmatage, l'etanchement et la consolidation de fissures.
US4622085A (en) * 1986-02-14 1986-11-11 Ryowa Engineering Co.,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jecting an adhesive
DE3620490A1 (de) * 1986-06-19 1987-12-23 Hilti Ag Verfahren zur bauwerks-sanierung
US4793162A (en) * 1986-08-07 1988-12-27 Spt, Inc. Method for repairing failed waterstops and products relating to same
KR890002508A (ko) * 1987-07-03 1989-04-10 고니시 신이찌로오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접착제 주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71451D1 (de) 1992-07-02
KR890002509A (ko) 1989-04-10
EP0299860A1 (en) 1989-01-18
EP0299860B1 (en) 1992-05-27
CA1319524C (en) 1993-06-29
US5063006A (en) 199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913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차단방법 및 장치
CA1074143A (en) Injection sealable waterstop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US4195850A (en) Gasket strip for butt joint compression seal
US4128069A (en) Method of mounting a heat-insulating composite wall structure in a liquefied gas transportation and/or storage tank
US20080190055A1 (en) Sealing Device Between Two Structural Bodies
EP0007722B1 (en) Extrusion apparatus
CN113152698A (zh) 一种用于构筑物变形缝处止水带结构及其施工方法
JP2023158151A (ja) セグメント用止水部材及びセグメント用止水構造
CA2193995C (en) Predetermined crack joint rail
JPS6098035A (ja) ジヨイナ−
JPH0694732B2 (ja) 止水剤封止箱
JPH0546427B2 (ko)
JP2905313B2 (ja) 建造物の鉄骨柱脚における柱脚固定方法
JP3838484B2 (ja) 鋼管矢板の継手およびその施工法
JPS6098034A (ja) 目地用ジヨイナ−
JPH0960306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止水器具
CN217439327U (zh) 一种装配式建筑防水密封装置
JPH0726613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継手構造
JP2645985B2 (ja) 護岸ブロック間のシール材及びその施工方法
JPH03258881A (ja) Pcボックスカルバートの接合方法
KR200255534Y1 (ko) 옹벽의 누수차단장치
JPH07166555A (ja) 法面用密着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法面密着施工方法
KR860002039Y1 (ko) 터널, 지하도 등의 누수받음 장치
JPH02167928A (ja) 地山補強工法
JP2561589B2 (ja) コンクリート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