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577B1 - 대리석조 물품 - Google Patents

대리석조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577B1
KR920008577B1 KR1019870005012A KR870005012A KR920008577B1 KR 920008577 B1 KR920008577 B1 KR 920008577B1 KR 1019870005012 A KR1019870005012 A KR 1019870005012A KR 870005012 A KR870005012 A KR 870005012A KR 920008577 B1 KR920008577 B1 KR 920008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article
marbled
mentio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5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944A (ko
Inventor
요시까즈 마끼
고지 다까바따께
유지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닛뽕쇼꾸바이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나까지마 미쓰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1136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8936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7302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28057A/ja
Application filed by 닛뽕쇼꾸바이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나까지마 미쓰루 filed Critical 닛뽕쇼꾸바이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0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5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6Unsaturated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09/00Use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303/00 - B29K2307/00, as reinforcement
    • B29K2309/08G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대리석조 물품
본 발명은 대리석조 물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내균열성이며 내변형성이고 빛을 아름답게 산란시키는 반투명한 대리석조 물품에 관한 것이다.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중합체 시럽을 상압하에 주입성형하여 대리석조 물품을 생산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대리석조 물품의 수요는 외관과 같은 그들의 매우 바람직한 성질 때문에 증가하고 있다. 공지된 주입성형 방법은 생산성이 낮기 때문에 열과 압력의 적응하에 경화시키는 압축 성형 기술에 의해 대리석조 물품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함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점차 인식되어 왔다.
압축 성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본국 특허공개 제90,921/83호는 예를들어 80°내지 120℃ 범위의 낮은 온도에서 수산화 알루미늄과같은 충전제를 혼입시킨 SMC를 성형하여 인조대리석을 수득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방법으로 수득된 인조대리석은 투명도가 부족하므로, 상기의 방법은 상업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아직도 실용성이 없다.
현재까지는 열과 압력의 적용을 필요로 하는 성형방법에 의해 반투명한 아름다운 대리석조 물품을 수득하는 것이 극히 어려웠다. 이러한 난점은 명백히 양립할 수 없는 두 인자 즉, (1) 수지의 수축(경화에 의한 수축 및 가열에 의한 수축)에 기인할 수 있는 수지와 충전제 또는 강화제 사이의 경계면의 부착 결손에 기인하는 성형품의 불투명화 및 (2) 수지의 수축 능력의 손실에 기인하는 수지 자체의 불투명화에 의해 설명되어질 수 있다.
우리는 종래의 대리석조 물품에서 직면하는 전술된 문제점들의 해결책을 연구해 왔다. 우리는 결국 투명하게 보이고 내균열성이고 내변형성인 대리석조 물품이, 열 및 압력의 적용하에서, 특수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스트렌형 중합체 및 충전제로서 수산화 알루미늄을 특수한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서 제조 가능함을 알았다. 상기의 결과로서 본 발명은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 및 압력이 적응에 의존하고 높은 생산성을 갖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내균열성이고 내변형성인 아름다운 반투명성 대리석조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본 발명의 목적은, (A)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비스페놀 A형 디올 10 내지 100몰%를 함유하는 다가알코올을 필수 성분으로 사용하여 유도되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20 내지 50중량%, (B) 교차 결합 단량체의 20 내지 50중량%, 및 (C) 스티렌형 중합체 20 내지 60중량%로 이루어진(단, 성분(A),(B) 및 (C)의 총량은 100중량%이다.)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 중에 수산화 알루미늄 20 내지 300중량부를 분산시켜 제조되는 수지 성형용 조성물을 압축 성형 및 경화시킴으로서 수득되는 대리석조 물품에 의하여 성취된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1및 R2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또는 3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A는
Figure kpo00002
(식중, X는 염소 또는 브롬이고, p는 0 또는 1 내지 4의 정수이다.)또는 시클로헥실렌을 나타내며, m 및 n은 독립적으로 0 또는 1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m+n은 0 또는 1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며, 단, A가
Figure kpo00003
를 나타낼 경우 m,n 둘 모두가 0일 수는 없다.
본 발명에 상용되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A)는 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범위의 산가 및 8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00범위의 분자량을 가지며, 예를들어 포화이염기성 산 및 다가알코올 성분과 임의적으로 혼합된 α, β-불포화이염기성 산을 함유하는 산성분을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 기류 속에서 15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20℃범위의 온도에서 축합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과 같은 통상의 방법들에 의해 수득되는 생성물이다. 이것은 다가알코올 성분 중에 구조식 I로 표시되는 비스페놀 A형 디올을 10 내지 100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몰%의 양으로 사용하여 유도시킨다. 불포화폴리에스테르(A)의 제조에 필수성분의 하나인 다가알코올 중의 비스페놀 A형 디올이 함량이 10몰%미만이면 상기의 조성물을 성형하고 경화시켜 수득된 생성물은 투명성이 부족하고, 성형된 조성물의 경화 과정 동안에 스티렌형 중합체 (C)가 조성물의 나머지 부분으로 부터 분리되고 생성물의 표면을 더럽히는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를 일으킨다.
불포화폴리에스테르(A)의 제조 동안에 사용되는 비스페놀 A형 디올은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물질이다. 구조식 중에서 m 및 n이 1 내지 10의 정수일 경우, 이러한 불포화폴리에스테르(A)는 통상 수소화 비스페놀 A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비스페놀 A를 필요하다면 아민화합물과 같은 부가반응 촉매의 존재하에 비스페놀 A 1몰당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 2 내지 10몰과 반응시켜서 수득한다.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대표적인 비스페놀 A형 디올은 다음과 같다 : 수소화 비스페놀 A, 비스페놀 A-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비스페놀 A-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 비스페놀 A-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 테트라클로로-비스페놀 A-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테트라클로로-비스페놀 A-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 테트라클로로-비스페놀 A-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 디클로로-비스페놀 A-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디클로로-비스페놀 A-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 디브로모-비스페놀 A-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디브로모-비스페놀 A-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 수소화 비스페놀 A-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수소화 비스페놀 A-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 및 수소화 비스페놀 A-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
불포화폴리에스테르(A)의 제조에 사용되는 α, β-불포화 이염기산의 대표적인 예로서, 말레산, 할로겐화 말레산, 푸마르산 및 말레산무수물을 들 수 있다.
포화이염기산의 대표적인 예로서 프탈산, 프탈산무수물,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무수물, 테트라클로로프탈산무수물, 테트라브로모프탈산무수물, 호박산, 아디프산 및 세바신산을 들수 있다. 열저항성, 방수성 및 광택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의 불포화산은 상기의 이염기산 중에서 70몰% 이상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포화폴리에스테르(A)와 제조에 필요한 다가알코올로서는 필요하다면 전술된 비스페놀 A형 디올 외에도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글리세롤 또는 펜타에리트리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불포화폴리에스테르 (A)의 사용량은 성분 (A), (B) 및 (C)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양에 대하여 20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5중량%범위이다. 상기의 양이 50중량%를 초과한다면, 생성된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수산화 알루미늄을 수지조성물에 분산시키는 동안의 작업성을 저하시키며 수지 성형 조성물을 경화시켜 수득된 생성물의 투명성을 저하시킨다. 그 결과 수득한 인조 대리석은 상업적 가치가 적다. 20중량% 미만의 양일 경우, 성형된 생성물은 반투명도가 부족하고 열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교차 결합용 단량체(B)의 예로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비닐톨루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디알릴프탈레이트, 디비닐벤젠, 트리메틸롤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나열된 교차 결합용 단량체 중에 스티렌이 특히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이들 단량체는 수회에 걸쳐서 독립적으로 또는 다른 단량체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없다.
교차 결합용 단량체(B)의 사용양은 성분(A), (B) 및 (C)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양에 대해 20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중량% 범위이다. 만약 단량체의 양이 20중량%미만이라면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 수산화알루미늄을 수지 조성물에 확산시키는 동안에 작업성을 저하시킨다. 50중량%를 초과하는 양이면 성형 및 수지성형 조성물의 경화로 수득된 생성물의 투명도가 낮아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티렌형 중합체(C)는 대략 5,000 내지 1,000,000,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400,000 범위의 분자량을 가지며 스티렌 단독 또는 스티렌을 50중량%이상, 바람직하게는 55중량%이상을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반응시켜서 수득되는 폴리스티렌 또는 스티렌형 공중합체이다. 상기의 스티렌형 중합체(C)의 사용량은 성분(A), (B) 및 (C)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양에 대하여 20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5중량% 범위이다. 만약 상기와 양이 20중량%미만이면 수지 성형 조성물은 심하게 수축하여 경화시키는 동안에 쉽게 균열 및 변형되고, 결국 수득된 생성물은 표면 평활성 및 투명성이 부족하다. 60중량%이상의 양이면 수지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증가하여 수산화알루미늄을 수지조성물에 확산시키는 동안의 작업성을 저하시키고 수득된 생성물의 표면광택이 저하된다.
스티렌형 중합체(C)의 제조에 스티렌과 임의적으로 공중합되는 단량체성분의 대표적인 예로서, 메타크릴산 및 그의 에스테르, 아크릴산 및 그의 에스테르,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에스테르, 부타디엔,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들 수 있다. 상기의 단량체 성분의 양은 스티렌형 중합체(C)를 형성하는 단량체의 양에 대하여 50중량%가 초과되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
스티렌형 중합체(C)의 조제에 사용되는 스티렌이 아닌 단량체 성분의 총량이 50중량%이상이면 성형 및 수지 성형조성물의 숙성에 의해 수득된 생성물은 투명도가 부족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은 전술된 불포화폴리에스테르(A), 교차결합용 단량체(B) 및 스티렌형 중합체(C)로 이루어져 있고 예를들어 이들 세성분을 잘 교반시키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수득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수득된 수지 조성물에 수산화 알루미늄을 분산시킨다. 분산에 사용되는 수산화알루미늄의 양은 수지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20 내지 3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250중량부 범위이다. 상기의 양이 20중량부 미만이면 수지 성형 조성물이 경화 과정에서 과도한 비율로 수축하여 수득된 생성물은 변형되기 쉽고 불균일 분포된 표면 광택을 나타낸다. 300중량부 이상의 양이면 수산화 알루미늄 분산시의 작업성이 저하되고 수득된 생성물은 빈약한 투명성을 갖는다.
수지 조성물 중에 수산화 알루미늄을 확산시키기 이하여, 밴버리형 혼연기와 같은 저속 혼합기, 분산기, 피막 물질 제조를 위해 고안된 페인트 분산기 또는 혼합물과 같은 고속 교반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언급된 장치들 중에서 높은 혼합력의 저속 혼합기가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상기의 수지 조성물에 충전제, 내부 주형 방출제, 중합억제제, 증점제, 섬유질 강화제, 틱소트로피제, 가소제, 방염제, 방염가공제 및 착색제와 같은 여러가지 첨가제를 상황에 따라서 수지 조성물에 수산화 알루미늄을 분산시키기 전, 동안 또는 이후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킬 정도로 많지 않은 양으로 가할 수 있다.
수산화 알루미늄과 조합하여 사용 가능한 충전제의 구체적인 예로서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탄산칼슘, 활석, 점토, 실리카, 알루미나, 석영, 칼슘실리케이트 및 유리분말을 들 수 있다. 내부 주형 방출제의 예로서 스테아르산, 아연스테아레이트, 및 칼슘스테아레이트를 들 수 있다. 여기에 사용가능한 중합 억제제로는 히드로퀴는, 벤조퀴는 및 t-부틸히드로퀴는을 들 수 있다. 사용되는 점착부여제의 예로서는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칼슘을 들 수 있다. 사용되는 섬유성 강화제의 예로서 유리섬유, 밀드섬유, 비닐론섬유, 및 알루미나위스커를 들 수 있다. 상기의 섬유성 강화제는 수지조성물의 100중량부에 대해 0 내지 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중량부 범위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수지 조성물에 수산화 알루미늄을 분산시켜 수득된 수지성형 조성물의 압축성형 및 경화는 수지성형 조성물과 경화제를 혼합하고, 압축성형, 주입성형, 트렌스퍼성형 또는 사출성형에서와 같이 열 및 압력의 적용하에서 생성된 혼합물을 성형시키고, 성형된 혼합물을 경화시킴으로써 유리하게 실행될 수 있다. 상기의 성형을 80℃ 내지 16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50℃의 온도로 가열된 금속제 성형기 또는 사출기로 실행할 때 표면 광택이 뛰어나고 내균열성이고 내변형성인 아름다운 반투명한 대리석조 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위해서 모든 종래의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경화제의 예로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라우로일퍼옥사이드, 비스-(4-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및 t-부틸퍼옥시옥토에이트와 같은 유기과산화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과 같은 아조 화합물이 있다. 상기의 경화제를 수지성형조성물에 가하는 시간은 특별히 정해진 것은 아니다. 수산화알루미늄을 분산시키기 전, 후 또는 동안에 부가시킬 수 있다. 경화제의 부가량은 통상 수지조성물의 양에 대해 0.3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중량%범위이다.
본 발명의 대리석조 물품은 제조된 대리석조 물품의 모양의 단순성 또는 복합성에 관계없이 열과 압력을 적응시키는 본 발명의 성형 방법에 의해 높은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대리석조물은 열 및 압력의 적응에 의존하는 종래의 성형방법으로 제조된 대리석조 물품에서 관찰되었던 균열, 변형 및 표면 광택의 부족과 같은 결점이 전혀없는 아름답고 반투명한 생성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리석조 물품은 육조, 주방조리대, 및 화장실물품과 같은 주택재료 및 단추, 건축재료 및 차량부품과 같은 FRP제에의 적용에 광범위한 유용성을 나타낼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서술될 것이다. 다음에 오는 "부"는 달리 구체화 되지 않는 한 "중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1]
종래의 방법에 따라, 말레산무수물 98부 및 비스페놀 A-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분자당 평균 2.2 프로필렌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며, 평균 분자량 356을 갖는다.) 374부를 150°내지 210℃ 범위의 온도에서 15시간동안 불활성가스 기류 중에서 축합반응시켜 산가 25를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를 얻는다.
이어서, 수득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55부, 스티렌 45부 및 히드로퀴는 0.01부를 혼합하여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이하 "수지(1)"이라 칭한다.)를 생성시킨다. 뱀버리형 반죽기에서 생성된 수지(1) 100부와 폴리스티렌(평균분자량 50,000을 갖는다.) 120부, 수산화알루미늄(소와경금속 공업(주)에서 생산되고, "Higilite H-320"의 지정상표로 시판됨) 350부, 경화제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1.3부, 및 유리섬유(길이 6mm) 60부를 혼합하고 열 및 압력의 적용하에 성형에 필요한 재료를 생성시킨다.
300×300mm크기의 금속제주형틀에 수득된 물질 750g을 놓고 135℃에서 70kg/㎠의 압력하에서 5분 동안에 성형시킨다. 그 결과 두께 5mm의 성형된 대리석조 물품을 수득하며, 이것은 21%의 빛투과도를 나타내며 아름답게 빛을 산란시키기에 충분한 반투명성을 지니며, 0.27%의 수축성을 나타내며, 내균열성 및 내변형성이다.
[실시예 2]
산가 25를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는 말레산 무수물 78.4부, 이소프탈산 33.2부, 프로필렌글리콜 34.2부(0.45몰) 및 비스페놀 A-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분자당 평균 2.7에틸렌옥사이드 단위를 지니며 평균분자량 348을 갖는다.) 209부(0.60몰)를 불활성 가스 기류 중에서 150°내지 230℃ 범위의 온도로 20시간 동안 축합중합반응시켜서 수득한다.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이하 "수지(2)"라 칭한다.)는 상기의 불포화폴리에스테르 55부. 스티렌 45부 및 히드로퀴는 0.01부를 혼합하여 수득한다.
이어서, 뱀버리형 혼연기에서, 상기의 수지(2) 100부와 폴리스티렌(평균분자량이 100,000이다.) 40부, 수산화알루미늄(소와경금속 공업(주), 지정상표 "Higili te H-310") 300부, 경화제로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1.3부, 아연스테아레이트 4부, 및 유리섬유(길이 6mm) 20부를 혼합하여 열 및 압력의 적용하에 성형에 필요한 재료를 생성시킨다.
300×300mm 크기인 금속제 주형틀에서 상기 수득된 재료 750g을 70kg/㎠의 압력조건하에서 135℃에서 5분 동안 성형시킨다. 그 결과 두께 5mm인 성형된 대리석조 물품을 수득하며, 이것은 18%의 빛 투과도를 나타내며, 빛을 아름답게 산란시키기에 충분한 반투과성을 가지며, 0.20%의 수축성을 나타내고, 내균열성 및 내변형성이다.
[실시예 3]
언급된 폴리스티렌 대신에 스티렌 공중합체(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몰비=55/45, 평균분자량 100,000이다.)를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두께 5mm인 성형된 물품을 수득한다. 그 결과 20%의 빛투과도, 0.17%의 수축성을 가지며 내균열성 및 내변형성인 반투과성 대리석조 물품을 수득한다.
[실시예 4]
산가 25를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는 말레산무수물 78.4부, 이소프탈산 33.2부, 프로필렌글리콜 26.6부(0.35몰) 및 수소화비소페놀 A 168부(0.70몰)를 불활성 가스 기류 중에서 150°내지 230℃ 범위의 온도에서 15시간동안 축합반응시켜서 수득한다.
이어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이하 "수지(3)"이라 칭한다.)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55부, 스티렌 45부, 및 히드로퀴는 0.01부를 혼합하여 수득한다. 뱀버리형 혼연기에서 상기의 수지(3) 100부와 폴리스티렌(평균분자량이 100,000이다.) 25부, 수산화 알루미늄(소와경금속 공업(주), 지정상표 "Higilite H-310") 200부, 경화제로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1.3부, 아연 스테아레이트 2부, 및 유리섬유(길이 6mm) 20부를 혼합하여 열 및 압력의 적응하에 성형에 필요한 재료를 생성시킨다.
300×300mm 크기인 금속제주형틀에서, 상기의 재료 750g을 70kg/cm2의 압력조건하에서 5분 동안 성형시킨다. 그결과 두께 5mm인 성형된 대리석조 물품을 수득하고, 이것은 15%의 빛 투과도를 가지며, 빛을 아름답게 산란시키기에 충분한 반투명도를 지니며, 0.15% 수축성을 나타내고, 내균열성 및 내변형성이다.
[실시예 5]
산가 30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는 말레산 무수물 98부 및 수소화비스페놀 A 260부를 사용하고 실시예 4의 방법에 따라 수득된다.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이하 "수지(4)"라 칭한다.)는 상기의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50부, 스티렌 50부, 및 히드로퀴는 0.01부를 혼합시켜 수득한다. 열 및 압력의 적응하게 성형에 필요한 재료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따르고, 수지(4)의 100부와 스티렌형 공중합체(스티렌 95몰% 및 아크릴산 5몰%를 함유하고 평균분자량 150,000을 갖는다.) 100부, 수산화알루미늄(소와경금속 공업(주), 지정상표 "Higilite H-320") 200부, 경화제로서 t-부틸퍼옥시옥토에이트 1.3부, 아연스테아레이트 3부, 및 유리섬유(길이 6mm) 20부를 혼합하여 제조된 수지조성물 135부를 사용하여 수득한다. 상기의 재료를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성형시킬 때, 두께 5mm인 성형된 대리석조 물품이 수득되고 이것은 17% 빛 투과도를 나타내고, 빛을 아름답게 산란시키기에 충분한 반투명성을 지니며, 0.16%의 수축성을 나타내고, 내균열성 및 내변형성이다.
[실시예 6]
산가 29를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는 실시예 2의 방법을 따르고 말레산 무수물 78.4부, 이소프탈산 33.2부, 프로필렌글리콜 64.6부(0.85몰) 및 비스페놀 A-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평균분자량 348이다.) 69.6부(0.2몰)를 사용하여 수득한다.
이어서, 상기의 불포화폴리에스테르 55부, 스티렌 45부, 및 히드로퀴는 0.01부를 혼합시켜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이하 "수지(5)"라 칭한다.)를 수득한다. 수지(1) 대신에 수지(5)를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성형재료 및 성형된 물품을 수득한다. 수득된 두께 5mm인 성형된 대리석조 물품은 12%의 빛 투과도 및 0.25% 수축성을 나타내고 내균열성 및 내변성이다.
[실시예 7]
유리 섬유의 사용을 생략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의 방법에 따라 성형 재료 및 성형된 물품을 수득한다. 수득된 두께 5mm인 성형된 대리석조 물품은 24%의 빛 투과도 및 0.32%수축성을 나타내고 내균열성 및 내변형성이다.
[실시예 8]
산가 35를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는 말레산 무수물 98부 및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분자당 평균 2.2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며 평균 분자량 676을 갖는다.) 689부를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수득한다.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이하 "수지(6)"이라 칭한다.)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55부, 스티렌 45부, 및 히드로퀴논 0.01부를 혼합하여 수득한다. 성형 재료 및 성형된 물품은 수지(1) 대신에 동량의 수지(6)를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수득한다. 수득된 두께 5mm의 대리석조 물품은 16%의 빛 투과도 및 0.26%의 수축성을 나타내고 내균열성 및 내변형성이다.
[실시예 9]
산가 30을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는 말레산 무수물 98부 및 수소화비스페놀 A-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분자당평균 8.5프로필렌 단위를 함유하고 평균분자량 733을 갖는다.) 748부를 사용하고 실시예 4의 방법에 따라 수득한다.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이하 "수지(7)"이라 칭한다.)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60부, 스티렌 40부 및 히드로퀴는 0.01부를 혼합하여 수득한다. 성형 재료 및 성형된 물품은 수지(4) 대신 동량의 수지(7)을 함유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방법에 따라 수득한다. 수득된 두께 5mm의 성형된 대리석조 물품은 18%의 빛 투과도 및 0.l6%의 수축성을 나타내고 내균열성 및 내변형성이다.
[대조예 1]
산가 35를 갖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는 말레산 무수물 78.4부, 이소프탈산 33.2부 프로필렌글리콜 79.8부를 사용하고 실시예 4의 방법에 따라 수득한다. 상기의 불포화폴리에스테르 55부, 스티렌 45부, 및 히드로퀴는 0.01부를 혼합하여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이하 "비교수지(1)"이라 칭한다.)를 수득한다.
성형된 비교물품은 수지(3) 대신에 비교수지(1)을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의 방법에 따라 수득한다. 두께 5mm인 성형된 비교물품은 5%의 빛 투과도를 나타내고, 백색의 불투명한 외양을 띄며 0.15%의 수축성을 나타내고 표면에 폴리스티렌이 삼출된 외양의 수지를 가지며 표면 광택이 불충분하다.
[대조예 2]
성형된 비교물품은 폴리스티렌의 사용을 생략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의 방법에 따라 수득한다. 두께 5mm의 성형된 비교 물품은 3%의 빛 투과도를 나타내며, 백색의 불투명한 외양을 띄고 전 표면에 걸쳐 불균일한 광택의 분포를 나타낸다.
[대조예 3]
성형된 비교물품은 폴리스티렌의 양이 10부로 변화됐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의 방법에 따라 수득한다. 두께 5mm의 성형된 비교물품은 4%의 빛투과도를 나타내고 백색의 불투명한 빛 투과도를 띄고 불균일한 광택분포를 나타낸다.

Claims (9)

  1. (A)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비스페놀 A형 디올 10 내지 100몰%를 함유하는 다가알코올을 필수성분으로서 사용하여 유도되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20 내지 50중량%, (B) 교차결합용 단량제 20 내지 50중량%, (C) 스티렌형 중합체 20 내지 60중량%로 이루어진(단, 성분 (A),(B) 및 (C)는 총 100중량%이다.) 수지조성물 100중량부에 수산화 알루미늄 20 내지 300부를 분산시켜 제조된 수지성형용 조성물을 압축성형 및 경화시켜 수득된 대리석조 물품.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R1및 R2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3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A는
    Figure kpo00005
    (식중, X는 염소 또는 브롬이고, p는 0 또는 1 내지 4의 정수이다.) 또는 시클로헥실렌이며, m 및 n은 독립적으로 0 또는 1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m+n은 0 또는 1 내지 10의 정수이며, 단, A가
    Figure kpo00006
    를 나타낼 경우, m 및 n의 양자가 0이 될 수 없다.
  2.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일반식(I)에서 A가
    Figure kpo00007
    를 나타내고, m 및 n은 독립적으로 1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며, m+n은 2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는 대리석조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p가 0인 대리석조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일반식(I)에서, A가 시클로헥실렌을 나타내고, m 및 n은 독립적으로 0 또는 1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m+n은 0 또는 1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는 대리석조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언급된 일반식(I)에서, m 및 n은 각각 0을 나타내는 대리석조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불포화폴리에스테르가 10 내지 40범위의 산가 및 1,500 내지 5,000범위의 분자량을 가지며, 언급된 스티렌형 중합체가 스티렌 단독 또는 스티렌을 55중량% 이상으로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시켜 수득된 분자량 20,000 내지 400,000 범위내의 중합체인 대리석조 물품.
  7.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수산화 알루미늄의 양이 언급된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80 내지 250중량부 범위내인 대리석조 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수지 조성물 중에 섬유질 강화제를 더분산시킨 대리석조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언급된 섬유질 강화제가 유리섬유인 대리석조 물품.
KR1019870005012A 1986-05-20 1987-05-20 대리석조 물품 KR9200085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631 1986-05-20
JP61113681A JPS62289369A (ja) 1986-05-20 1986-05-20 溶断ドリルピアシングを伴う加工装置
JP61273026A JPS63128057A (ja) 1986-11-18 1986-11-18 人造大理石物品の製法
JP273026 1986-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944A KR870010944A (ko) 1987-12-19
KR920008577B1 true KR920008577B1 (ko) 1992-10-01

Family

ID=2645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5012A KR920008577B1 (ko) 1986-05-20 1987-05-20 대리석조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5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944A (ko) 198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3377A (en) Granite-like artificial stone
JP2744023B2 (ja) 反応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れを成形硬化してなる人造大理石
US5202366A (en) Crosslinkable polyest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properties
US5324757A (en) Resin-based artificial marble compositions
EP0607900B1 (en) Resin composition for artificial marble, bulk molding compound and sheet molding compound us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eparing artificial marble using the same
US5314729A (en) Artificial marble
US6146556A (en) Polymer additives for forming objects
US3810863A (en) Polymerizabl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4233413A (en) Resin composition with low shrinkage
US3665055A (en) Polymerizabl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KR20010051060A (ko)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성형 재료용 조성물
KR920008577B1 (ko) 대리석조 물품
JP2000510190A (ja) 着色充填材および無機充填材の均一な分布を有する熱成形可能なアクリルシート
EP0052642A1 (en) FLAME RESISTANT MOLDING COMPOSITION.
JPH0257086B2 (ko)
JPS58108218A (ja) 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S62273249A (ja) 大理石調物品の製法
JP3389020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品
KR20100029503A (ko) 시멘트를 포함하는 인조 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JP2572434B2 (ja) 御影石調人工石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45992B1 (ko) 인조대리석제조용아크릴변성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의제조방법및이를함유한수지조성물
JPH0931314A (ja) 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20010051002A (ko) 투명도가 높은 성형품을 얻을 수 있는 시트형 성형 재료및 그 성형품
JP2002003552A (ja) 重合性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800001656B1 (ko) 증점특성에 우수한 성형재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