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147B1 - 데이타 저장 및 검색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타 저장 및 검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147B1
KR920008147B1 KR1019890000144A KR890000144A KR920008147B1 KR 920008147 B1 KR920008147 B1 KR 920008147B1 KR 1019890000144 A KR1019890000144 A KR 1019890000144A KR 890000144 A KR890000144 A KR 890000144A KR 920008147 B1 KR920008147 B1 KR 920008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group
tape
segmenta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0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304A (ko
Inventor
신야 오자끼
마사끼 야마다
알렌 톰슨 브루스
Original Assignee
휴렛트-팩카드 리미티드
리차드 디.톰슨
소니 코포레이션
와까야마 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트-팩카드 리미티드, 리차드 디.톰슨, 소니 코포레이션, 와까야마 쇼지 filed Critical 휴렛트-팩카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90012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7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9Table of cont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8Table of contents on a tape [TT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82Tape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11B2220/91Helical scan format, wherein tracks are slightly tilted with respect to tape direction, e.g. VHS, DAT, DVC, AIT or exabyte
    • G11B2220/913Digital audio tape [DAT] format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데이터 저장 및 검색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a, b 및 g도는 사용자(호스트)에 의해 데이터 저장 장치에 보내진 데이터 레코드의 순차 및 논리리 세그먼테이션 마크를 도시한 도면.
제1b 및 c도는 제1a도의 데이터 레코드의 순차 및 논리 세그먼테이션 마크를 테이프상에 저장하기 위한 2가지 상이한 배열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1e 및 f도는 제1d도의 데이터 레코드의 순차 및 논리 세그먼테이션 마크를 테이프상에 저장하기 위한 2가지 상이한 배열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헬리컬 스캐닝을 사용하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부를 형성하는 테이프 텍크의 주요 부품들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헬리컬 스캐닝을 사용하여 테이프상에 레코드된 2개의 데이터 트랙을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 방법에 따라 레코드된 데이터 트랙의 메인 데이터 영역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 방법에 따라 레코드된 데이터 트랙의 서브 데이터 영역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테이프의 데이터 영역내에서 그룹으로 되어 있는 데이터 프레임의 배열 상태와 각 프레임 그룹내에 레코드된 인덱스의 세부형태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데이터 레코드의 순차 및 논리 세그먼테이션 마크가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 방법에 따라 테이프에 저장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의 주요 부품들의 블록도.
제9도는 데이터 저장 장치의 그룹 프로세서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기능 블록도.
제10도는 테이프를 따라 다음 논리 세그먼테이션 마크를 검색할 때 장치에 의해 실행된 알고리즘의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6 : 고정 주파수 버스트 2 : 블록간 갭
3 : 블록 4, 40 : 인덱스
10 : 테이프 11 : 헬리컬 스캔 테이프 덱크
12 : 회전 헤드 드럼 13 : 공급 릴
14 : 권취 릴 20, 21 : 경사 트랙
23 : 서브 영역 25 : 메인 영역
39 : 프레임 그룹 54 : 시스템 제어기
본 발명은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 및 세그먼테이션 정보를 테이프 상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 방법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의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레코드내에 구성된 사용자 데이터 워드의 스트림을 호스트로부터 수신하도록 배열되는 데이터 자장 장치는 공지되어 있는데, 이 장치는 또한 레코드내로의 데이터 워드의 분할을 나타내는 제1세그먼테이션 표시와 함께 데이터 워드를 테이프에 기입하도록 배열된다. 그러므로 공지된 일례에서, 데이터 워드들은 수신된 레코드에 대응하는 그룹으로 기입되는데, 이 그룹은 상술한 제1세그먼테이션 표시를 구성하는 블록간 갭에 의해 분리된다.
또한, 콜렉션(collection)으로의 레코드의 분할을 나타내는 제2세그먼테이션 표시(파일 마크)를 테이프에 기입하는 방법도 공지되어 있다. 이 세그먼테이션 표시들은 저장 장치에 의해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특수 신호에 응답하여 테이프에 기입된다. 상술한 예의 경우에, 제2세그먼테이션 표시하는 고정 주파수 버스트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일 마크는 레코드들 간의 소정의 매우 특수하고 밀접한 연관 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므로, 이 레코드의 세그먼테이션은 저레벨에 있고, 많은 경우에 레코드의 중요한 고레벨 분할을 반영하지 못한다. 특히, 레코드 셋트와 특정한 단말 사용자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연관 관계는 레코드 자체의 내용에 의하지 않고서는 통상적으로 표시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일 마크에 의해 제공된 것 외에 레코드의 분할을 나타낼 수 있는 세그먼테이션 정보를 테이프에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워드 및 제1과 제2세그먼테이션 표시를 수신하여 이들을 테이프에 기입하는 단계외에, 제2표시에 의해 표시된 콜렉션과 별개인 레코드 셋트 내로의 상기 레코드의 다른 세그먼테이션을 나타내는 다른 세그먼테이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신호들에 의해 표시된 다른 세그먼테이션을 나타내는 제3세그먼테이션 표시를 테이프에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방법이 제공된다. 물론, 제1, 제2 및 제3세그먼테이션 표시는 서로 및 상기 사용자 데이터 워드와 구별될 수 있도록 기입된다.
제3세그먼테이션 표시를 사용하면, 예를 들어, 데이터 워드자체를 해독하지 않고서 상이한 단말 사용자에 속하는 레코드 셋트를 식별할 수가 있다.
양호하게도, 제2 및 제3세그먼테이션 표시는 동일 레코드 다음의 세그먼테이션을 표시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기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3표시는 콜렉션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 상기 제2표시와 무관하게 셋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3세그먼테이션 표시의 사용은 이들이 테이프로부터 데이터를 용이하게 검색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예를들면 제3세그먼테이션 표시가 상이한 단말 사용자에 속하는 레코드 셋트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한데, 다음의 이러한 표시 검색을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은 호스트가 모든 중재 레코드 또한 레코드의 콜렉션을 검사하지 않고서 다음 단말 사용자의 레코드로 스킵할 수 있게 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메인 데이터 영역 및 서브 데이터 영역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경사 트랙들을 기입하는데 헬리컬 스캔(helical scan) 레코딩 방법이 사용된다. 하부 레코드 구조에 무관하게, 제1, 제2 및 제3세그먼테이션 표시를 보유하는 인덱스를 각각 포함하는 고정 크기 블록들내에 사용자 데이터 워드를 저장하는데 메인 데이터 영역이 사용된다.
유리하게도, 상술한 양호한 실시예에서, 테이프에 모두 기입된 제3세그먼테이션 표시수를 표시하는 카운트가 누산된다. 이 카운트의 값은 트랙의 서브 데이터 영역내에 레코드되고, 테이프가 특정한 제3세그먼테이션 표시를 용이하게 검색 하도록 데이터 검색중에 사용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다음 설명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3개 부분, 즉 본 발명에 의해 실행된 세그먼테이션 개념을 일반적인 용어로 설명하는 제1부문, 제1부문내에서 설명된 논리 세그먼테이션 개념의 헬리컬 스캔 실행에 의해 사용된 테이프 포맷을 설명하는 제2부문, 및 이 부문내에서 설명된 포맷을 실시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 장치를 설명하는 제3부문으로 나뉘어져 있다.
(1) 논리 세그먼테이션
사용자(호스트 컴퓨터)로부터 테이프 저장 장치로의 데이터의 공급은, 이 세그먼테이션이 저장 장치를 통과한 별도 팩키지(레코드)내로의 데이터의 실제 세그먼테이션이든지, 또한 특수 신호 형태로 호스트에 의해 저장 장치에 표현되는 레코드의 고레벨 개념적 구성이든지, 데이터의 사용자 세그먼테이션에 의해 달성된다. 데이터의 이 사용자 세그먼테이션은 호스트에 대한 특정 유의성(significance)을 갖게 되므로(그러나, 이 유연성은 일반적으로 테이프 저장 장치에 공지되어 있지 않다), 이의 존재상태가 인입 데이터의 실제 세그먼테이션을 통해 저장 장치에 표현될 수 있더라도 논리 세그먼테이션으로서의 사용자 세그먼테이션을 고찰하는 것이 적합하다.
사용자 세그먼테이션은 계층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제1계층 레벨은 저장 장치를 통과하기 위한 레코드 내로의 데이터의 실제 세그먼테이션에 의해 구성된 세그먼테이션이다. 제2레벨 세그먼테이션 계층은 레코드를 전체 레코드의 콜렉션으로 분리시키는 세그먼테이션인데, 이 세그먼테이션은 일반적으로 특수 신호에 의해 저장 장치에 표현된다.
테이프 저장 장치는 사용자 세그먼테이션 정보를 레코드 및 회복시킬 수 있어야 한다. 더욱이, 이 장치는 장치 자체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관계없이 이러한 세그먼테이션에 근거하여 검색하는데 필요하게 된다.
제1a도는 기존 형태의 호스트가 테이프 저장 장치에 공급할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의 순차 및 특수 세그먼테이션 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이 예에서, 데이터는 가변 길이 레코드(R1 내지 R9)내에 공급되는데, 이 실제 세그먼테이션은 논리 유의성은 호스트에게는 알려지지만, 저장 장치에는 알려지지 않는다. 실제 세그먼테이션외에, 사용자 세그먼테이션 정보는 특수한 "파일 마크" 신호(FM) 형태로 공급된다. 파일 마크(FM)은 데이터 레코드들 사이의 저장 장치에 제공되는데, 이 세그먼테이션의 유의성은 저장 장치에 알려지지 않는다. 레코드로의 실제 세그먼테이션은 제1레벨 세그먼테이션을 제공하고, 파일 마크는 제1레벨을 갖고 있는 계층을 형성하는 제2레벨을 제공한다.
제1b도는 테이프(10)상에 제1(a)도의 사용자 데이터 및 사용자 세그먼테이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한가지 가능한 실제 구성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 구성 형태는 공지된 데이터 저장 방법을 따르게 된다. 제1a도와 제1b도 사이의 맵핑은 간단한데 [즉, 파일 마크(FM)은 고정 주파수 버스트(1)로서 레코드되지만, 달리 데이터 레코드로서도 취급된다], 레코드(R1-R9) 및 파일 마크(FM)은 신호가 레코드되지 않은 블록간 갭(2)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블록간 갭(2)는 레코드의 사용자-이해 논리 유니트로내로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테이션을 엔에이블시키는 제1레벨 세그먼테이션 마크로서 작용되는데, 파일 마크(FM)[고정 주파수(1)]은 레코드를 레코드의 논리 콜렉션으로 분리시키는 제2레벨 세그먼테이션 마크를 형성한다.
제1c도는 테이프(10)상에 제1a도의 사용자 데이터 및 사용자 세그먼테이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2의 가능한 구성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 사용자 데이터는 인덱스(4)를 각각 포함하는 고정 크기 블록(3)으로 구성되는데, 블록(3)은 고정 주파수 버스트(5)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데이터를 블록으로 분리하는 것은 관련된 저장 장치의 편리만을 위한 것이고, 호스트에게는 평이하다. 블록내의 사용자 데이터는 실제로 세그먼트되지 않고, 각 레코드는 선행 레코드의 종료부로부터 계속되는데, 레코드와, 파일 마크에 의해 정해진 레코드의 콜렉션내로의 블록내의 데이터의 세그먼테이션에 관련된 모든 정보는 블록의 인덱스내에 포함된다. 이 예에서, 레코드(R1 내지 R9), 및 R9의 제1부는 도시한 블록(3)내에 보유된다. 인덱스(4)는 레코드 경계 또한 파일 마크가 나타나는 블록의 개시로부터의 바이트 카운트에 의해서와 같은 여러가지 방법들중 소정의 방법으로 세그먼테이션 데이터를 레코드할 수 있다. 선택적인 해결 방법은 각 레코드의 길이(전체 또한 일부)를 순차적으로 레코드하고 레코드의 종료부에서의 소정 파일 마크의 존재를 레코드하는 것이다. 채택된 정확한 실행에 관계없이, 레코드경계 지점을 표시하는 소정 인덱스 엔트리는 레코드 마크를 구성하는데, 이러한 마크는 데이터 세그먼테이션의 제1레벨을 정한다.
물론 제2레벨은 파일 마크 엔트리에 의해 정해진다.
인덱스(4)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세그먼테이션 마크 수에 따라 변하지만, 블록 종료부에 관련하여 인덱스내의 선정된 위치내에 인덱스 길이를 레코드함으로써, 인덱스와 최종 바이트 사이의 경계가 식별될 수 있다.
제1a도의 예에서와 같은 데이터의 계층 세그먼테이션에 있어서, 파일 마크가 한 레코드와 다음 레코드 사이에서 나타날 수 있는 레코드 경계 마크[제1b도의 블록간 갭(2) 및 제1c도의 레코드 마크 인덱스 엔트리]로 레코드의 종료부를 표시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제1b도 및 제1c도에 관련하여 기술한 저장 장치내에는 여유도가 있다. 그러나 이 여유도는 일반적으로 실행의 복잡성을 감소시킨다는 중요한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하 "세이브 셋트 마크(save set mark)"라고 칭한 다른 세그먼테이션 마크 그룹을 제공한다. 제1d도는 제1a도와 유사하지만 레코드(R1 내지 R9) 및 파일 마크(FM) 뿐만 아니라 2개의 세이브 셋트 마크(SSM)을 포함하는 일련의 사용자 데이터 밑 세그먼테이션 마크를 도시한 것이다.
제1d도에서, 세이브 셋트 마크(SSM)은 파일 마크(FM)에 의해 제공된 제2레벨과 무관한 다른 세그먼트 계층의 제2레벨을 구성한다. 다시 말하면, 세이브 셋트 마크(SSM)은 파일 마크(FM)에 의해 정해진 레코드들의 콜렉션을 함께 그룹화 하도록 작용하지 못하지만, 상이한 콜렉션 또한 레코드 셋트를 정하도록 작용한다. 그러므로, 세이브 셋트 마크는 파일 마크와 무관하게 발생할 수 있는데, 이것의 역도 성립한다. 이것은 사용된 소정의 저장 구성 형태가 2개의 레코드들 사이의 경계에 파일 마크와 세이브 셋트 마크를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그 이유는 어떠한 마크도 다른 것을 의미하지 않기 때문이다.
제1e도는 제1c도와 유사하지만 세이브 셋트 마크(SSM)을 고려하여 확대된 저장 구성을 위한 제1d도의 일련의 데이터 레코드 및 논리 세그먼테이션 마크의 테이프 상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것인데, 세이브 셋트 마크(SSM)은 파일 마크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 버스트(1)과 상이한 주파수의 고정 주파수 버스트(6)으로서 레코드된다.
버스트(6)용으로 독특한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동일 레코드 다음에 세이브 셋트마크 및 파일 마크의 존재를 레코드할 수 있게 된다.
제1f도는 제1c도와 유사하지만 세이브 셋트 마크 SSM을 고려하여 확대된 저장 구성을 위한 제1d도의 일련의 데이터 레코드 및 논리 세그먼테이션 마크의 테이프 상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예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세그먼테이션 정보가 인덱스(4)내에 저장되는 이 구성 형태의 경우에는, 제1c도와 제1f도의 사용자 데이터의 배열에는 차이가 전혀 없다. 즉, 실제로 블록 크기가 일정할 경우에는, 한가지 사소한 차이가 있는데, 이것은 제1f도의 경우에 레코드된 레코드(R9)의 양이 인덱스가 세이브 셋트 마크용 엔트리를 포함하는 결과로서 제1f도의 경우에 더 길기 때문에제1c도의 경우보다 약간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세이브 셋트 마크 엔트리는 블록(3)내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에 관련된 것과 같은 마크들의 위치를 표시한다. 부수적으로 물론, 세이크 셋트 마크 엔트리가 파일 마크 엔트리와 구별될 수 있게 하는 소정 형태의 표시가 있다.
제1g도는 세이브 셋트 마크(SSM)이 세그먼테이션 계층의 제3레벨을 효율적으로 구성할 정도의 파일 마크(FM)과의 관계로 발생하는 일련의 레코드(R1 내지 R9) 및 세그먼테이션 마크(FM,SSM)을 도시한 것인데, 이 레코드의 순차 및 세그먼테이션 마크는 세이브 셋트 마크가 제1d도의 경우에 제공한 다른 제2레벨과 반대로 레코드 콜렉션의 그룹을 구분한다. 세이브 셋트 마크가 이 의미만으로 사용되었으면, 세그먼테이션 마크를 레코드하기 위해 사용된 저장 구성 형태는 레코드 다음에 파일 마크 또는 세이브 셋트 마크중 1개만을 저장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세이브 셋트 마크의 존재가 파일 마크의 존재를 표시하는 것만으로 취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방식으로 저장 구성 형태를 제한하는 것은 부당한 제한인 것으로 생각되고, 세이브 셋트 마크가 파일 마크와 무관한 저장 구성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양호한데, 이때 호스트는 세이브 셋트 마크를 다른 제2레벨 세그먼테이션 용으로 사용하거나 제3레벨 세그먼테이션으로서 사용하려고 한다.
세이브 셋트 마크에 의해 표현된 세그먼테이션 개념을 고려하여, 적합한 저장 구성 형태(테이프 포맷)의 특수예를 이 구성을 실행하기 위한 저장 방법 및 장치와 함께 기술한다. 이 저장 구성 형태는 제1f도에 도시한 것과 유사하고, 적합한 경계 표시로 2개의 데이터 레코드를 저장하기에 적합하며 서로 무관한 파일 마크 및 세이브 셋트 마크가 레코드 경계에서 발생한다. 저장 방법 및 장치는 호스트가 파일 마크 및 세이브 셋트 마크 세그먼테이션을 표시하기 위해 별도 데이터 레코드와 특수 신호를 통과시키도록 배열된다고 가정한다.
사용된 실제 해독/기입 기술은 경사 트랙내의 데이터를 해독/기입하기 위해 헬리컬 스캐닝을 사용하지만, 이것은 이미 기술한 일반적인 원리를 실행하지는 못한다.
(2) 헬리컬 스캔 실행을 위한 테이프 포맷
후술한 저장 방법 및 장치는 DAT Conference Standard[1987년 6월, 일본 전자 산업 연합회(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 of Japan]에 다른 PCM 오디오 데이터 저장용으로 사용된 것과 유사한 포맷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헬리컬 스캔 기술을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숫자화된 오디오 정보가 아닌 컴퓨터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하다.
제2도는 테이프 카트릿지(17)로부터의 테이프(10)이 선정된 각도로 90o의 랩각(wrap angle)을 갖고 있는 회전 헤드 드럼(12)를 가로질러 통과하는 헬리컬 스캔 파이프 덱크(11)의 기본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동작시에, 테이프(10)은 테이프가 핀치 로울러(16)에 의해 눌려지는 캡스턴(15)의 회전에 의해 공급릴(13)으로부터 권취 릴(14)까지 화살표(T)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헤드드럼은 화살표(R)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된다. 헤드 드럼(12)는 180o의 각을 이루고 떨어져 있는 2개의 해독/기입 헤드(HA,HB)를 갖고 있다. 공지된 방식으로, 이 헤드(HA,HB)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10)을 가로질러 중첩 경사 트랙(20, 21)을 기입하기 위해 배열된다. 헤드(HA)에 의해 기입된 트랙은 정(+) 방위를 갖고, 헤드(HB)에 의해 기록된 트랙은 부(-) 방위를 갖는다. 각각의 정(+) 및 부(-) 방위 트랙(20, 21)쌍은 프레임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기입되도록 배열된 때의 각 트랙의 기본 포맷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각 트랙은 2개의 여유 영역(22), 2개의 서브 영역(23), 2개의 ATF(Automatic Track Following) 영역(24), 및 메인 영역(25)를 포함한다. ATF 영역(24)는 헤드(HA,HB)가 공지된 방식으로 트랙을 정확히 종동(follow)할 수 있게 하는 신호를 제공한다. 메인 영역(25)는 장치에 제공된 데이터(사용자 데이터)를 저장 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소정의 보조 정보가 이 영역내에 저장되기도 하는데, 서브 영역(23)은 다른 보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메인 영역 및 서브 영역내에 저장된 보조 정보의 아이템들은 서브 코드로서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 테이프상에서의 이것의 맵핑, 소정의 레코딩 파라메티(포멧 동일성, 테이프 파라메터등), 및 테이프 사용 이력(history)의 논리 구성에 관련된다.
이제부터, 상술한 DAT Conference Standard와 조화되는 블록 크기에 관한 세부 사항을 포함하여 메틴 영역(25) 및 서브 영역(23)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한다.
트랙의 메인 영역(25)에 데이터 포맷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메인 영역은 각각 36개 바이트 길이인 130개 블록으로 구성된다. 처음 2개의 블록(26)은 재생시에 타이밍 동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타이밍 데이터 패턴을 포함하는 프리앰블이다. 나머지 128개 블록(28)은 "메인 데이터 영역"을 형성한다. 메인 데이터 영역의 각 블록(27)은 4-바이트 "메인 데이터 영역"을 형성한다.
메인 데이타 영역의 각 블록(27)은 4-바이트 "메인 ID" 영역(28)과 32바이트 "메인 데이터"영역(29)를 포함하는데, 이 구성 형태는 제4도 하부에 도시되어 있다.
메인 ID 영역(28)은 동기 바이트, 2개의 정보 포함 바이트(W1,W2) 및 패리티 바이트로 구성된다. 바이트(W2)는 전체 (형태 및 어드레스)로서 블록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고, 바이트(W1)은 서브 코드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 블록(27)의 메인 데이터 영역(29)는 사용자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 데이터 패리티에 의해 구성된 32개 바이트로 구성된다. 그러나, 필요시에 메인 데이터 영역내에 서브 코드를 저장할 수도 있다. 트랙의 각 서브 영역(23)의 데이터 포맷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서브 영역은 각각 36개 바이트 길이인 11개 블록으로 구성된다. 처음 2개의 블록(30)은 프리앰블이고, 최종 블록(31)은 포스트 앰블이다. 각 블록(32)는 4-바이트 "서브 ID"영역(33) 및 32바이트 "서브 데이터"영역(34)를 포함하는데, 이것의 구성 형태는 제5도 하부에 도시되어 있다.
서브 ID 영역(33)은 동기 바이트, 2개의 정보 포함 바이트(SW1,SW2) 및 패리티 바이트로 구성된다. 바이트(SW2)는 전체(형태 및 어드레스)로서 블록 및 서브 데이터 영역(34)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바이트(SW1)은 서브 코드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 블록(32)의 서브 데이터 영역(34)는 4개의 8-바이트 팩(35)로 배열된 32개 바이트로 구성된다. 이 팩(35)는 서브 코드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저장된 서브 코드의 형태는 각 팩의 처음 1/2 바이트를 점유하는 팩-형 레이블에 의해 표시된다. 모든 짝수 블록의 제4팩(35)는 0으로 셋트되고, 모든 홀수 블록의 제4팩은 이 블록과 선행 블록의 처음 3개 팩용 패리티 검사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요약하면, 사용자 데이터는 각 트랙의 메인 데이터 영역 블록(27)이 메인 데이터 영역(29)내에 저장되고, 서브 코드는 서브 데이터 영역 블록(32)의 서브 ID 및 서브 데이터 영역(33,34)와, 메인 데이터 영역 블록(27)의 메인 ID 및 메인 데이터 영역(28,29)내에 저장될 수 있다.
기술하기 위해, 해당 서브 코드는 특정 트랙이 속하는 테이프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 영역 ID 서브 코드, 및 레코드, 파일 마크 및 세이브 셋트 마크의 카운트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 복수의 서브 코드이다. 영역 ID 서브 코드는 2개 지점내에 저장된 4-비트 코드이다. 처음에, 이것은 트랙의 서브 데이터 영역내의 모든 블록의 서브 데이터 영역(34)의 제3팩(35)내에 저장된다. 두번째로, 이것은 제1블록에서 시작하여, 트랙내의 모든 짝수 서브 데이터 영역 블록(32)의 서브 ID 영역(33)의 바이트(SW1)내에 저장된다. 이 서브 코드에 의해 식별된 테이프 영역에 대해서는 제6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레코드, 파일 마크, 및 세이브 셋트 마크 카운트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 서브 코드들은 테이프의 데이터 영역내의 각 트랙의 서브 데이터 영역내의 모든 블록의 서브 데이터 영역(34)의 처음 2개 팩(25)내에 저장된다(제6도 참조). 이 카운터들은 테이프 상의 사용자 데이터의 개시부로부터 취해진 누적 카운트이다. 레코드 카운트는 이 지점에 기입된 데이터 레코드의 카운트로 될 수 있거나, (데이터 레코드 + 파일 마크 + 세이브 셋트 마크)의 카운트로 될 수있다. 이 카운트들은 테이프를 신속하게 검색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룹(더욱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음)으로서 공지된 한 셋트의 프레임에 걸쳐 일정한데, 프레임 그룹의 트럭내에 레코드된 카운트들은 그룹 종료부의 카운트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저장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실행된 바와 같은 테이프를 따르는 프레임들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해 고찰한다. 그러므로, 제6도를 참조하면, 테이프가 3개 메인 영역, 즉 리드 -인(lead-in) 영역(36), 데이터 영역(37) 및 데이터 종료부(EOD) 영역(38)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테이프 종료부를 BOM[매체 개시부(beginning of media)] 및 EOM[매체 종료부(end of media)]이라 칭한다. 사용자 데이타는 데이터 영역(37)의 프레임에 레코드된다. 리드-인 영역(36)은 BOR[레코딩 개시부(beginning of recording)]마크와 시스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영역(37) 사이의 영역을 포함한다. 영역 ID 서브 코드는 시스템 영역, 데이터 영역(37) 및 EOD 영역(38)이 서로 구별될 수 있게 한다.
데이터 영역의 프레임(48)은 각각의 고정된 수의 프레임(예를들어, 22개)의 그룹(39)내에 배열되는데, 선택적으로 이 그룹들은 선정된 내용의 1개 이상의 앰블 프레임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사용자 데이터 레코드 구성의 견지에서, 이 그룹(39)는 제1(c)도 및 제1(f)도를 참조하여 기술한 블록(3)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그룹(39)내의 사용자 데이터 배치는 사용자 데이터의 논리적 세그먼테이션에 무관하고, 이 세그먼테이션에 관련된 정보(레코드 마크, 파일 마크 및 세이브 셋트 마크)는 그룹내의 사용자 데이터를 종료시키는 인덱스(40)내에 저장된다(이 인덱스는 실제로 그룹내의 사용자 데이터 공간을 점유한다). 인덱스가 그룹의 최종 프레임의 최종부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제6도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은 단자 데이터가 테이프 상에 레코드되기 전에 통상적으로 실행되는 바이트-인터리빙(byte interleaving) 동작 전의 데이터의 배열 상태에 관해서만 그렇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인터리빙 동작이 무시될 수 있다.
인덱스(40)의 형태는 제6도에 도시되어 있고,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덱스는 2개의 메인 데이터 구조, 즉 실제 정보 테이블(41) 및 블록 억세스 테이블(42)를 포함한다. 실제 정보 테이블(41)은 그룹(39)의 종료부에서의 고정 위치내에 저장되고, 그룹의 내용과 무관하게 크기가 동일하다. 이와 대조적으로, 블록 억세스 테이블(42)는 그룹(39)의 내용에 따라 크기가 변하고, 실제 정보 테이블(41)로부터 그룹의 프레임들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나머지 부분내로 후향 확장된다. 엔트리들은 실제 사용자 데이터를 갖고 있는 경계로부터 실제 정보 테이블까지의 블록 억세스 테이블내에서 형성되는데, 실제 정보(41)에 관련된 블록 억세스 테이블(42)내의 제1엔트리의 위치는 실제 정보 테이블내에 보유된 억세스 테이블 포인터(43)내에 저장된다.
또한, 실제 정보 테이블(41)은 여러 카운트를 포함하는데, 본 설명에 관련된 카운트들은 파일 마크 카운트(FMC)(현재 그룹내에 포함됨 몇 개를 포함하는 BOR 다음에 기입된 파일 마크의 수), 세이브 셋트 카운트(SSC)(현재 그룹내에 포함된 몇 개를 포함하는 BOR 다음에 기입된 세이브 셋트 마크의 수), 및 레코드 카운트(RC)(현재 그룹내에 포함된 몇 개를 포함하는 BOR 다음에 기입된 데이터 레코드 수, 또는 데이터 레코드+파일 마크+세이트 셋트 마크수)이다.
블록 억세스 테이블(42)는 일련의 억세스 엔트리(44), 그룹(39)의 내용, 및 특히 그룹내에 보유된 사용자 데이터의 논리적 세그먼테이션을 포함한다(즉, 이것은 그룹내의 각 레코드 경계, 파일 마크 및 세이브 셋트 마크를 나타내는 엔트리를 보유한다). 억세스 엔트리는 그룹의 내용 순서대로 진행한다. 억세스 엔트리(44)의 구성은 제6도내의 블록 억세스 테이블(42) 밑에 도시되어 있다. 각 엔트리는 2개의 플랙(BPG 및 EPG), 형태 필드(45) 및 카운트 필드(46)을 포함한다.
억세스 엔트리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그룹내에서 완전한 형태 또는 부분적인 형태를 갖고 있는 데이터 레코드마다에는, (완전한 레코드 또는 부분적인 레코드인) 관련 데이터 부분의 길이를 카운트 필드내에서 표시하는 "TL" 형태인 대응 억세스 엔트리가 있는데, 플랙은 이 형태의 엔트리에 관련되지 않는다. 그룹내에서 완전한 형태 또는 부분적인 형태를 갖고 있는 데이터 레코드마다에는, 'REC' 형태의 대응 억세스 엔트리도 있는데, 레코드가 그룹내에서 종료되면, 이것의 길이는 카운트 필드내에 제공되고 (그렇지 않으면 0으로 셋트됨), 레코드가 단지 부분적이면, 플랙(BPT,EFG)중 1개 또는 2개의 플랙은 레코드의 개시부가 이전그룹 [플랙(BPG)]내에 있는지, 종료부가 다음 그룹 [플랙(EFG)]내에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1로 셋트된다. 파일 마크 마다에는, 카운트 필드가 0으로 셋트되어 있는 'FM'형태의 대응 억세스 엔트리가 있는데, 억세스 엔트리는 파일 마크가 배치된 후의 레코드에 관련되는 'REC'형태의 엔트리를 뒤따른다. 각 세이브 셋트 마크는 관련 억세스 엔트리가 'SSM'형태인 것을 제외하고는 파일 마크와 동일한 방식으로 배치된다.
개시부가 이전 그룹내에 있고 종료부가 현재 그룹내에 있는 레코드는 레코드의 인-그룹 부분 길이를 제공하는 TL 형태의 제1억세스 엔트리 및 전 레코드 길이를 제공하고 플랙 BPG가 1로 셋트되어 있는 REC 형태의 제2엔트리에 의해 레코드된다. 레코드 다음에 파일 마크 및 세이브 셋트 마크가 되따르면, FM 및 SSM 형태의 2개의 억세스 엔트리는 제2억세스 엔트리 다음에 나타나게 된다.
데이터 영역 그룹(39)내의 트랙의 서브 데이터 영역 블록(32)의 내용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팩(35)는 파일 마크 카운트(FMC)를 포함하고, 제2팩(35)는 세이브 셋트 카운트(SSC) 및 레코드 카운트(RC)를 포함하며, 제3팩(35)는 영역(ID) 및 절대 프레임 카운트(AFC)를 포함한다. 그룹내의 모든 트랙에 대해, 서브 데이터 영역 블록내에 보유된 카운트(FMC, SSC 및 RC)는 그룹 인덱스(40)의 실제 정보 테이블(41)내에 보유된 카운트와 동일하다.
제7도는 사용자 공급 데이터 레코드, 파일 마크 및 세이브 셋트 마크의 도시한 순차(47)에 대한 인덱싱 기법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룹은 126632 바이트(인덱스를 포함)의 전체 용량을 갖는 것으로 가정된다. 이것은 순차(47)의 처음 5개 데이터 레코드(16키로바이트, 1바이트, 16키로바이트, 80바이트, 16키로바이트), 및 제6레코드(100키로바이트 레코드)에 82827 바이트를 저장하기에 충분하다. 처음 6개 레코드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는 그룹의 바이트 "0" 내지 "126539"를 점유하고, 그룹 인덱스(40)내에 포함되는 [순차(47)내의 2개의 파일 마크 및 1개의 세이브 셋트 마크 뿐만 아니라 레코드 경계에 관련된] 세그먼테이션 데이터는 바이트 "126540" 내지 "126631"을 점유한다. 제7도의 그룹(39) 밑에 수직으로 기입된 숫자들은 이 숫자위의 수직 점선 다음에 제1바이트를 지정한다. 제7도의 하부는 도시된 그룹용 인덱스(40)의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실제 정보 테이블(41)의 억세스 테이블 포인터는 인덱스의 제1바이트에 대응하는 값 "126540"을 갖는데, 이것은 또한 블록 억세스 테이블의 제1억세스 엔트리의 개시부이다. 실제 정보 테이블(41)의 파일 마크 카운트, 세이브 셋트 카운트 및 레코드 카운트는 값 2,1 및 8을 보유하는데, 레코드 카운트는 전체 데이터 레코드, 파일 마크 및 세이브 셋트 마크에 기초를 두고 있다. 블록 억세스 테이블(42)내의 엔트리는 대부분 자체 설명적이다. 그러나, 최종 부분적 레코드에 관련하여, 2개의 엔트리, 즉, 그룹내에 존재하는 레코드의 양을 나타내는 "TL"형 제1엔트리, 및 레코드의 종료부가 다음 그룹내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REC"형태의 제2엔트리가 있다는 것은 아무런 가치도 없는데, 이 엔트리의 카운트 필드는 0이다.
(3) 장치 실행
제8도는 상술한 테이프 포맷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및 세그먼테이션 마크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 장치의 계통도이다. 이 장치는 제2도를 참조하여 부분적으로 이미 기술한 테이프 덱크(11)을 포함한다. 테이프 덱크외에, 이 장치는 버스(55)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도시하지 않음)과 장치를 인터페이스 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 유니트(50), 메인 데이터 영역 및 서브 데이터 영역 블록(27 및 32)내외의 사용자 레코드 데이터 및 세그먼테이션 데이터를 프로세스하기 위한 그룹 프로세서(51) 및 프레임 데이터 프로세서(52), 트랙을 기입/해독하고 2개의 헤드(HA,HB)를 적합하게 스위치하기 위해 신호들을 구성/분해하기 위한 신호 구성기(53), 및 인터페이스 유니트(50)을 통해 컴퓨터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응답하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기(54)를 포함한다. 이 장치의 각각의 메인 부품 유니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데이터 저장 장치는 데이프를 로드/언로드하고, 데이터 레코드 및 파일과 세이브 셋트 세그먼테이션 마크를 저장하며, 선택된 세그먼테이션 마크를 검색하고, 다음 레코드를 다시 해독하기 위해 컴퓨터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하도록 배열된다.
인터페이스 유니트(50)은 컴퓨터로부터의 명령을 수신하고 장치와 컴퓨터 사이에서의 데이터 레코드 및 파일과 세이브 셋트 세그먼테이션 마크의 전송을 관리하도록 배열된다. 컴퓨터로부터의 명령을 수신할 때, 유니트(50)은 이 명령을 시스템 제어기(4)로 통과시키는데, 이 시스템 제어기는 유니트(50)을 컴퓨터로 응답을 다시 보내 컴플라이언스(compliance)를 나타내고, 그렇지 않으면 최초 명령을 갖게 된다. 장치가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해독하기 위해 컴퓨터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하여 시스템 제어기(54)에 의해 셋업된 때 인터페이스 유니트(50)은 컴퓨터와 그룹 프로세서(51) 사이의 레코드 및 세그먼테이션 마크의 통과를 제어하게 된다.
데이터 저장중에, 그룹 프로세서(51)은 데이터 레코드 형태로 제공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그룹의 분량에 각각 대응하는 데이터 팩키지로 구성하도록 배열된다. 또한, 프로세서(51)은 각 그룹용 인덱스 및 세그먼테이션 마크 카운트를 포함하는 서브 코드를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해독중에, 그룹 프로세서는 데이터 레코드 및 세그먼테이션 마크가 테이프로부터 해독된 그룹으로부터 회복될 수 있게 하는 반대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그룹 프로세서(51)의 형태는 제9도에 도시되어 있다. 그룹 프로세서(51)의 심장부는 몇 개(예를 들어, 3개)의 데이터 그룹의 분량을 보유하도록 배열되는 버퍼(56)이다. 인입 및 인출 데이터에 대한 버퍼 공간의 할당은 버퍼 공간 관리기(57)에 의해 제어된다. 프로세서(51)은 제1인터페이스 관리기(58)을 통해 인터페이스(50)과, 제2인터페이스 관리기(59)를 통해 프레임 데이터 프로세서(52)와, 통신한다. 그룹핑 프로세스의 전체 제어는 레코딩 중에 그룹인덱스 및 세그먼테이션-카운트 서브 코드를 발생시키고[기능블록(61)], 해독중에 이 인덱스 및 서브 코드를 번역하는 [기능블록(62)] 그룹핑 관리기(60)에 의해 실행된다. 그룹핑 관리기(60)은 조정 신호들을 시스템 제어기(54)와 교환하도록 배열된다.
호스트가 데이터 레코드를 통과시킬 준비를 하는 레코딩 중에, 인터페이스(50)은 프로세서(51)이 레코드를 수신할 준비를 하는지의 여부를 [인터페이스 관리기(58)을 통해] 버퍼 공간 관리기(57)에 문의한다. 버퍼를 공간 관리기(57)은 처음에 대기 응답을 보내지만, 호스트로부터 버퍼(56)으로의 데이터 레코드 전송을 엔에이블시킨다. 레코드는 일부를 형성할 그룹내의 레코드 데이터의 위치에 대응하는 버퍼 위치로 전송된다. 레코드 크기에 관한 정보는 그룹핑 관리기(60)을 통과하게 된다. 호스트가 파일 마크 또는 세이브 셋트 마크 표시를 보내면. 이것은 그룹핑 관리기(60)으로 루트된다. 그룹핑 관리기는 파일 마크, 세이브 셋트 마크 및 레코드 카운트의 트랙을 BOR에 보내지 않고 이 정보를 그룹의 인덱스 및 세그먼테이션 카운트 서브 코드의 구성시에 사용한다. 인덱스는 그룹 종료부에서의 위치에 적합한 버퍼의 위치내에 구성된다(인덱스 및 서브 코드를 포함하는)그룹이 어셈블되었을 때, 이것은 22개 연속 프레임의 메인 데이터 영역과 서브 데이터 영역을 형성하는 블록으로 구성되기 위한 프레임 데이터 프로세서(52)로 전송된다. 개념적으로, 그룹 프로세서(51)이 적합한 서브 코드와 함께 한번에 사용자 데이터의 프레임 분량을 통과시킬 수 있을 때, 프레임 데이터 프로세서(52)가 프레임의 그룹핑을 인식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프로세서(51과 52)사이의 데이터의 전송은 가속시키기 위해서, 프레임 데이터 프로세서(52)가 프로세서(51)로 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그룹으로 관리되는 것이 유리한데, 다시 말하면, 레코딩중에, 프로세서(52)는 그룹이 프로세서(52)가 인터페이스 관리기(59)를 통해 버퍼(56)으로부터 자발적으로 그룹의 프레임을 억세스하는 프로세싱 준비를 한때를 그룹 프로세서(51)에 의해 알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에 레코드된 프레임 그룹들 사이에 1개 이상의 앰블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될 수 있다. 이것은 프레임 데이터 프로세서(52)가 그룹 프로세서(51)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또는 프로세서(52)가 그룹 구조를 인식할 경우에 그룹의 종료부에서 자동적으로 이러한 앰블 프레임을 발생시키도록 배열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데이터의 3개 그룹 분량을 보유할 수 있도록 버퍼(56)을 크기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프로세서(51)의 일반적인 동작은 가능한 직송식으로 유지될 수 있는데, 한 그룹은 독립되고, 한 그룹은 프로세스되며, 한 그룹은 출력된다.
데이터가 테이프로부터 해독되고 있을 때, 그룹 프로세서(51)은 프레임 데이터 프로세서(52)로부터 1개 프레임씩 사용자 데이터 및 서브 코드를 수신하도록 배열되는데, 데이터 그룹을 형성하도록 버퍼(56)내에 기입된다. 그룹 프로세서(51)은 그룹내의 사용자 데이터의 논리 구성(레코드 구조, 파일 파크, 세이브 셋트 마크)에 관한 정보를 회복시키기 위해 그룹 인덱스를 억세스할 수 있다. 이 정보를 사용하여, 그룹 프로세서는 요구된 레코드 또는 세그먼테이션 마크를 인터페이스 유니트(50)을 통해 호스트로 통과시킬 수 있다.
프레임 데이터를 데이터의 그룹 분량으로 다시 어셈블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 프레임은 프레임이 테이프에 기입될 때 인-그룹 순차 번호를 태그할 수 있다. 이 인-그룹 번호는, 예를들어 프레임의 각 트랙의 메인 데이터 영역내의 제1블록의 메인 데이터 영역의 헤드에 포함되는 서브 코드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 서브 코드는 그룹 프로세서(51)로 통과할 때 관련 프레임 데이터가 버퍼(56)내에 배치되는 지점을 결정하기 위해 재생시에 사용된다.
프레임 데이터 프로세서(52)는 기능적으로 메인 데이터 영역(MDA) 프로세서(65), 서브 데이터 영역(SDA) 프로세서(66) 및 서브 코드 유니트(67)을 포함한다(실제로, 이 기능 소자들은 적합한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서브 코드 유니트(67)은 레코딩 중에 요구된 바와같이 서브 코드를 프로세서(65 및 66)에 제공하고, 재생중에 프로세서(65,66)으로부터 서브 코드를 수신하고 분배하도록 배열된다. 이 정보 내용에 따라, 서브 코드는 그룹 프로세서(51) 또는 시스템 제어기(54)에 의해 발생/요구될 수 있는데, 세그먼테이션 카운트 서브 코드들은, 예를들어 그룹 프로세서(51)에 의해 결정/사용되고, 영역 ID서브 코드는 제어기(54)에 의해 결정 사용된다. 소정의 레코딩 파라메터와 같은 비-변화 서브 코드의 경우에, 서브 코드들은 영구적으로 유니트(67)내에 저장될 수 있다. 더욱이, 소정의 프레임-종속 서브 코드들은 서브 코드 유니트(67)자체에 의해 편리하게 발생될 수 있다.
MDA 프로세서(65)는 소정의 관련 서브 코드와 함께 한번에 사용자 데이터의 프레임 분량을 프로세스하도록 배열된다. 그러므로, 레코딩중에, 프로세서(65)는 유니트(67)로부터의 서브코드와 함께 그룹 프로세서(51)로부터 사용자 데이터의 프로임분량을 수신한다. 사용자 데이터 수신시에, 프로세서(65)는 데이터를 인터리브하고, 프레임을 형성하는 2개 트랙용 메인 데이터 영역 블록을 출력시키도록 최종 발생 데이터 및 서브 코드를 어셈블하기 전에 에러 보정 코드를 계산한다. 실제로, 서브 코드로 사용자 데이터를 어셈블하기 전에, 트랙 신호의 데이터 내용에 무관한 일정한 RF 엔벨로프를 보장하기 위해 데이터의 스크램블링(랜덤화)이 실행될 수 있다.
재생중에, 프로세서(65)는 동일 프레임에 관련된 2셋트의 메인 데이터 영역 블록을 역-프로세스한다. 스크램블되지 않고, 에러보정되며, 비-인터리브된 사용자 데이터는 그룹 프로세서(51)을 통과하게 되고, 서브 코드는 분리되어, 필요시에 유니트(67)에 의해 프로세서(51) 또는 시스템 제어기(54)에 분배된다.
SDA 프로세서(66)의 동작은 트랙의 서브 데이터 영역에 관련된 서브 코드에 따라 동작하여, 이 서브 코드들은 서브 데이터 영역 블록에 결합시키고 이 서브 데이터 영역 블록으로부터 분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프로세서(65)와 유사하다.
신호 구성기(53)은 레코딩(데이터기입)중에 각 연속 트랙상에 레코드될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AFT 회로(80)으로부터의 AFT 신호들과 함께 프레임 데이터 프로세서(52)에 의해 제공된 메인 데이터 영역 블록 및 서브 데이터 영역블록을 어셈블하도록 배열되는 포맷터/분리기 유니트(70)을 포함한다. 또한 필요한 프리앰블 및 포스트앰블 패턴들이 유니트(70)에 의해 필요한 지점에서 트랙 신호내에 삽입된다. 헤드(HA,HB)의 회전으로 유니트(70)의 동작을 조정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는 헤드 드럼 회전에 응답하여 펄스 발생기(81)의 출력이 공급된 타이밍 발생기(71)에 의해 제공된다. 유니트(70)으로부터 라인(72)상에 출력된 트랙 신호들은 헤드 스위치(73), 각각의 헤드 드라이브 증폭기(74), 및 이들의 레코드 위치에 셋트된 레코드/재생스위치(75)를 통해 헤드(HA) 및 헤드(HB)를 교대로 통과하게 된다. 헤드 스위치(73)은 타이밍 발생기(71)로부터 적합하게 시간이 정해진 신호들에 의해 동작된다.
재생(데이터 해독)중에, 헤드(HA,HB)에 의해 교대로 발생된 트랙 신호들은 레코드/재생 스위치(75)(이들의 재생위치에 셋트됨), 각각의 해독 증폭기(76), 제2헤드 스위치(77), 및 클럭 회복회로(78)을 통해 포맷터/분리기 유니트(70)의 입력에 공급된다. 헤드 스위치(77)의 동작은 헤드 스위치(73)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된다. 유니트(70)은 AFT 신호들을 분리하여 이들을 회로(80)에 공급되고, 메인 데이터 영역 블록 및 서브 데이터 영역 블록을 프레임 데이터 프로세서(52)로 통과시키도록 작용한다. 또한, 클럭 신호들은 클럭 회복 회로(78)로부터 프로세서(52)를 통과하게 된다.
스위치(75)는 시스템 제어기(54)에 의해 제어된다.
테이프 덱크(11)은 4개의 서보, 즉 캡스턴(15)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캡스턴 서보(82), 릴(14,15)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릴 서보(83,84), 및 헤드 드럼(12)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드럼 서보(85)를 포함한다. 각 서보는 서보에 의해 제어된 소자에 결합된 모터(M)과 회전 검출기(D)를 포함한다. 매체 개시부(BOM) 및 매체 종료부(EOM)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86)이 릴서보(83,84)에 관련되는데, 이 수단(86)은, 예를 들어 릴이(테이프 주행 방향에 따라) 테이프를 감도록 구동되는 모터 전류가 BOM/EOM에서의 모터의 실속시에 상당히 증가하기 때문에 모터 전류 감지에 기초를 둘 수 있다.
또한, 테이프 덱크(11)은 데이터 레코딩 중에 테이프 상에 레코드하기 위한 ATF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자동 트랙 종동 회로(80)을 포함한다. 재생중에, ATF 회로(80)은 헤드(HA,HB)가 테이프상에 레코드 된 트랙으로 적합하게 정렬되도록 조정 신호를 캡스턴 서보(82)에 제공하기 위해 테이프로부터 해독된 ATF 트랙 신호를 응답한다. 또한, 테이프 덱크(11)은 헤드(HA,HB)의 회전에 동기된 타이밍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펄스발생기(81)을 포함한다.
테이프 덱크(11)의 동작은 서보(82 내지 85) 및 BOM/EOM 감지 수단(86)에 접속되는 덱크 제어기(87)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기(87)은 서보들이 소정의 요구된 거리를 통해(정속이 고속으로) 테이프를 진행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 제어는 테이프 속도 셋트에 적합한 기간 동안 서보를 활성화시키거나, 서보에 관련된 1개 이상의 회전 검출기(D)로부터의 테이프 변위 정보의 피드백에 의해 실행된다.
덱크 제어기(87)은 시스템 제어기(54)에 의해 발생된 제어 신호에 의해 자체 제어된다. 덱크 제어기(87)은 도달되는 BOM 및 EOM을 표시하는 신호를 제어기(54)에 출력시키도록 배열된다.
시스템 제어기(54)는 컴퓨터와 저장 장치 사이의 고레벨 상호 작용을 관리하고, 컴퓨터에 의해 요구된 로드/레코드/검색/재생/언로드의 기본 동작을 실행할 때 저장장치의 다른 유니트들의 작용을 조정하도록 작용한다. 이 후자는 관점에서, 제어기(54)는 장치의 데이터 프로세싱부로 덱크(11)의 동작을 조정하도록 작용한다. 테이프 덱크(11)을 제어할 때, 시스템 제어기는 정상 해독/기입속도(Normal)로 테이프를 이동시키거나, 고속 전후향, 즉 고속 전향(F.FWD) 또는 고속 리와인드(F.RWD)로 테이프를 이동시킬 것을 덱크 제어기(87)에 요구할 수 있다. 덱크 제어기(87)은 시스템 제어기(54)로의 BOM 또는 EOM의 도달을 보고하도록 배열된다.
지금까지, 테이프 저장 장치의 일반적인 형태와, 호스트 데이터 레코드 및 파일과 세이브 셋트 마크가 테이프에 어떻게 기입되고 테이프로부터 어떻게 해독되는지에 대해서 기술하였는데, 이제부터는 세이브 셋트 마크용으로 사용된 저장 구성이 특정한 셋트의 데이터 레코드에 대한 테이프의 검색을 어떻게 촉진시키는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세이브 셋트 마트의 논리적 유의성은 일반적으로 호스트에만 알려지게 되고, 저장 자치에는 알려지지 않게 된다. 세이브 셋트 마크의 한가지 가능한 응용은 한 단말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레코드를 다른 레코드와 분리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응용시에, 세이브 셋트 마크는 파일 마크와 일치할 수 없으므로, 세이브 셋트 마크는 파일 마크에 의해 제공된 제2레벨 외에 세그먼테이션의 제2레벨을 효율적으로 구성된다. 즉, 다시 말하면, 세이브 셋트 마크는 제1(e)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고려중인 예에서의 세이브셋트 마크의 발생이 파일 마크의 발생과 무관하지만, 후자는 일반적으로 전자보다 더욱 빈번하게 발생한다.
테이프를 다시 해독할 때, 호스트가 한 단말 사용자의 데이터 레코드로부터 다음 단말 사용자의 제1데이터 레코드로 스킵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세이브 셋트 마크의 부재시에, 호스트는 예를들어 저장 장치가 다음 파일 마크로 스킵하고 검사를 위해 바로 그 다음의 레코드를 호스트로 다시 통과시키게 하는데, 이 레코드는 다음 파일 마크까지 기입된 레코드를 식별하는 헤더 레코드로서 사용되었다. 이 레코드를 검사함으로써, 호스트는 다음 레코드들이 요구된 단말 사용자에 속하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다음 레코드들의 오우너쉽(ownership)을 발휘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호스트는 다음 파이 마크로 스킵하고 전과 같이 진행해야 된다. 그러나, 세이브 셋트 마크의 제공은 전체 프로세스를 크게 가속시키는데, 그 이유는, 고려중인 예에서, 다음 세이브 세크 마크로 스킵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이때, 후자는 다음 단말 사용자에 관련된 제1데이터 레코드의 개시부를 표시하도록 작용한다.
이 프로세스내에서, 호스트에 관련된 기능은 저장 장치가 다음 세이브 셋트 마크로 스킵하게 하는 것인데, 이것이 달성되는 방식은 전적으로 저장 장치에 달려있다. 이러한 스킵을 실행하기 적합한 알고리즘은 제10도의 플로우챠트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알고리즘의 실행은 시스템 제어기(54)의 제어하에 있게 된다.
호스트가 다음 세이브 셋트 마크로 스킵하기 위한 명령을 발생시킬때, 제어기(54)는 현재 세이브 셋트 카운트보다 1이 큰 값을 갖고 있는 검색 키를 발생시킨다[단계(90)]. 현재 세이브 셋트 카운트는 그룹 프로세서(51)의 그룹핑 관리기(60)내에 보유된다. 다음에, 테이프(정상 속도보다 몇배 더 빠른)고속으로 진행되고, 헤드 드럼은 테이프를 가로지르는 헤드(HA,HB)의 상대 속도를 일정속도로 유지하기 위해 소정 속도로 회전하는데, 이 모드내에서, 모든 300개중 약 1개 트랙의 서브 영역을 해독할 수 있다[단계(90)]. 소정 속도로 트랙 서브 영역을 해독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는다.
연속 해독되는 서브 영역마다, 각 서브 데이터 영역 블록의 제2팩내에 보유된 세이브 셋트 카운트는 제어기(54)에 의해 검색 키와 비교된다[단계(92)]. 세이브 셋트 카운트가 검색키보다 작으면, 검색이 계속되지만, 세이브 셋트 카운트가 검색키 이상이면, 고속전향 검색이 종료되고, 테이프는 고속 전향 해독간의 거리와 거의 동일한 거리를 통해 백스페이스 된다[단계(93)]. 이것은 헤드 드럼과 대향한 트랙의 서브 영역내에 보유된 세이브 셋트 카운트가 검색키보다 작아지게 한다.
다음에, 테이프는 정상 해도 속도로 진행되고[단계(94)], 각 연속 그룹은 테이프를 벗어나 해독되고, 그룹 프로세서(51)의 버퍼(56)내에 임시 저장된다. 각 그룹의 인덱스내에 보유된 세이브 셋트 카운트는 카운트가 검색키와 동일하거나 이 검색키를 초과할 때까지 검색키와 비교된다[단계(95)]. 이 지점에서, 검색된 세이브 셋트 마크와 세이브셋트 카운트가 방금 검사된 버퍼(56)내의 그룹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해독이 중지된다.
이 그룹의 인덱스의 블록 억세스 테이블은 해당 세이브 셋트 마크를 식별하기 위해 검사되고[단계(96)], 제1종동 데이터 레코드 바이트의 버퍼내의 어드레스가 계산된다{단계(97)]. 그 다음, 그룹 프로세서(51)은 검색된 세이브 셋트 마크를 발견했다는 것을 시스템 제어기(54)에 알리고, 다음 데이터 레코드를 해독할 준비를 하는데, 이것은 제어기에 의해 호스트에 다시 보고된다[단계(98)]. 이 검색 동작은 종료된다.
물론, 세이브 셋트 마크를 포함하는 다른 검색 동작은 고속 후향 검색 및 특정한 카운트 값 검색을 포함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소정 속도로 검색하고 있는 동안에 테이프의 데이터의 범위가 초과된 때를 검출하기 위해서, 서브 영역이 해독될 때마다 영역 ID 서브 코드가 시스템 제어기(54)에 의해 검사된다. 이 서브 코드가 검색이 테이프의 데이터 영역을 넘어 갔다는 것을 표시하면, 테이프 방향은 반전되고, 검색이 더 낮은 속도로 다시 시작된다. 명확히 도시하기 위해, 제10도에는 이 영역 ID 검사가 생략되었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세이브 셋트 마크의 제공은 장치에 의한 테이프의 효율적인 검색을 실행할 때 특히 도움을 줄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세이브 셋트 마크의 장점은 이 마크들이 호스트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값을 가능하게 된다.

Claims (10)

  1. 세그먼트된 사용자 데이터를 자기 테이프상에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세그먼트가 각 세그먼테이션 표시에 의하여 정해지는 사용자 데이터의 임의 길이의 복수 세그먼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세그먼테이션의 표시 수를 나타내는 카운트를 누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임의 길이의 세그먼트를 (i) 상기 임의 길이의 세그먼트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부와 (ii) 상기 세그먼테이션 표시에 의해 정해진 사용자 데이터내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인덱스부로 각각 이루어진 고정된 크기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각 그룹의 데이터부 및 인덱스부를, 각각 고정된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그룹의 연속부를 포함하는 연속된 복수의 메인 데이터 영역으로 테이프상에 기입하는 단계 및 상기 테이프상에 기입된 각 메인 데이터 영역에 대해서는 누산된 카운트를 비롯하여 각각 대응하는 메인 데이터 영역이 기입되는 부분에 근접하여 기입되고, 그 다음의 복수의 메인 데이터 영역이 기입되기 전에 기입되는 관련 서브 데이터 영역을 테이프상에 기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데이터 영역 및 서브 데이터 영역이 일시적으로 교호로 또 상기 영역 쌍들의 인터리브식 순서로 테이프상에 기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방법.
  3. 세그먼트된 사용자 데이터를 자기 테이프상에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제1세그먼트가 각각의 제1세그먼테이션 표시에 의하여 정해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데이터의 임의 길이의 제1세그먼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제1콜렉션 내에 정하는 제2세그먼테이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제2콜렉션 내에 정하는 제3세그먼테이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3세그먼테이션 신호의 수를 나타내는 카운트를 누산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임의 길이의 제1세그먼트를 (i) 상기 임의 길이의 제1세그먼트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부와 (ii) 상기 제1세그먼테이션 표시 및 제2와 제3세그먼테이션 신호에 의해 정해진 사용자 데이터내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인덱스부로 각각 이루어진 고정된 크기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각 그룹의 데이터부 및 인덱스부를 각각 고정된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그룹의 연속부를 포함하는 연속된 복수의 메인 데이터 영역으로서 테이프상에 기입하는 단계 및 상기 테이프상에 기입된 각 메인 데이터 영역에 대해서는 누산된 카운트를 비롯하여 각각 대응하는 메인 데이터 영역이 기입되는 부분에 근접하여 기입되고, 그 다음의 복수의 메인 데이터 영역이 기입되기 전에 기입되는 관련 서브 데이터 영역을 테이프상에 기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데이터 영역 및 서브 데이터 영역이 일시적으로 교호로 또 상기 영역 쌍들의 인터리브식 순서로 테이프상에 기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콜렉션이 제1세그먼트들중 정수의 세그먼트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콜렉션이 제1세그먼트들중 정수의 세그먼트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트랙 당 한 개의 데이터 영역 및 이의 관련 서브 데이터 영역을 기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경사 트랙을 테이프상에 기입하는 데에는 헬리컬 스캔방법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모든 사용자 데이터를 그룹으로서 기입하기 전에 그룹으로 기입될 모든 사용자 데이터를 버퍼내에서 누산하여 버퍼로부터 기입하고, 선정된 수의 트랙상에 상기 그룹을 버퍼로부터 기입하며, 버퍼로부터의 기입이 시작될 때 누산된 값을 그룹의 각각의 서브 데이터 영역에 기인된 카운트 값으로서 사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데이터 영역이 트랙의 개시부 부근의 제1영역 및 트랙의 종류부 부근의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영역들 사이에는 메인 데이터 영역이 있으며, 동일한 카운트가 각각의 상기 2개의 영역에 기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방법.
  10. 자기 테이프상의 복수의 메인 데이터 영역과 복수의 서브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가 기입되는데, 각각의 메인 데이터 영역은 서브 데이터 영역과 근접해 있고, 각각의 서브 데이터 영역은 메인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며, 각 메인 데이터 영역은 선택된 고정 크기이고 사용자 데이터 또는 데이터 세그먼테이션 표시를 나타내는 사용자 데이터 내의 위치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거나 사용자 데이터와 인덱스 정보의 조합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고정수의 메인 데이터 영역이 그룹으로 형성되도록 조합하여 이 그룹의 사용자 데이터와 이 그룹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세그먼테이션 정보가 상기 그룹의 종류부를 지나갈때까지 나타나는 카운트 수를 상기 서브 데이터 영역이 포함하여 되는 자기 테이프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동시에 하나의 그룹을 테이프에 변위시키는 단계, b. 다음 그룹의 인덱스 정보를 해독하는 단계, c. 인덱스 정보로부터 서브 데이터 영역내의 카운트 값과 동일한 등가치를 결정하는 단계, d. 단계 (c)에서 해독된 값을 목표 값과 비교하는 단계, e. 상기 비교가 완료될 때까지 단계 (a) 내지 단계 (d)를 반복하는 단계 및 f. 비교가 완료된 다음에 인덱스부가 완료된 비교를 나타내는 그룹의 사용자 데이터를 해독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방법.
KR1019890000144A 1988-01-08 1989-01-07 데이타 저장 및 검색 방법 KR920008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8-00353 1988-01-08
GB888800353A GB8800353D0 (en) 1988-01-08 1988-01-08 Data storag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304A KR890012304A (ko) 1989-08-25
KR920008147B1 true KR920008147B1 (ko) 1992-09-22

Family

ID=10629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0144A KR920008147B1 (ko) 1988-01-08 1989-01-07 데이타 저장 및 검색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57950A (ko)
EP (1) EP0323890B1 (ko)
JP (1) JP3037338B2 (ko)
KR (1) KR920008147B1 (ko)
DE (1) DE68909250T2 (ko)
GB (1) GB8800353D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5704B2 (ja) * 1989-07-26 1998-04-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伝送装置
CA2013183A1 (en) * 1989-11-09 1991-05-09 Robert C. Richmond Audio tape operation on a data storage drive
US5218487A (en) * 1989-11-09 1993-06-08 Archive Corporation Audio tape operation on a DAT data storage drive
CA2031343A1 (en) * 1990-01-17 1991-07-18 Robert C. Richmond Dat drive/controller interface
JP2949747B2 (ja) * 1990-01-21 1999-09-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
EP0448011B1 (en) * 1990-03-19 1997-11-12 Canon Kabushiki Kaisha Still image reproducing apparatus
DE69129320T2 (de) * 1990-10-23 1998-08-20 Tandberg Data Verfahren und Gerät zum schnellen Zugriff auf einem logischen Block auf einem Bandmedium
JPH04209384A (ja) * 1990-11-30 1992-07-30 Sharp Corp 磁気テープ記録/再生装置
US5194995A (en) * 1991-01-09 1993-03-16 Wangda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compressed data on DAT media
JPH04286777A (ja) * 1991-03-17 1992-10-12 Sony Corp 磁気記録装置
US5287478A (en) * 1991-08-06 1994-02-15 R-Byte, Inc. Digital data tape storage system utilizing plurality of read/write heads with system diagnostic capability
EP0550761B1 (en) * 1991-07-22 2000-02-16 Fujitsu Limite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recording on magnetic tape
US5384668A (en) * 1992-02-28 1995-01-24 Ampex Corporation Data recording system having unique end-of-recording and start-of-recording format indicators
FI921765A0 (fi) * 1992-04-21 1992-04-21 Labsystems Oy Med en spetsavlaegsnare foersedd pipett.
JP2525122B2 (ja) * 1992-11-09 1996-08-1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コンピュ―タ・システムのバックアップ記録方法、復元方法およびシステム
AU665131B2 (en) * 1992-12-04 1995-12-14 Sony Corporation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 signal
US6025967A (en) * 1993-08-24 2000-02-15 Imation Corp. Method of identifying magnetic tape characteristics
GB9403025D0 (en) 1994-02-17 1994-04-06 Hewlett Packard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storing data and auxilli ary information
US5452150A (en) * 1994-06-27 1995-09-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ata cartridge with magnetic tape markers
US5675448A (en) * 1994-12-08 1997-10-07 Imation Corp. Track pitch error compensation system for data cartridge tape drives
EP0913762A1 (en) * 1997-10-31 1999-05-06 Hewlett-Packard Company Data encoding scheme
EP0913825B1 (en) * 1997-10-31 2013-05-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ata encoding scheme
JP2000165791A (ja) * 1998-11-25 2000-06-16 Canon Inc 再生装置
JP4505110B2 (ja) * 2000-06-28 2010-07-2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磁気テープ記録装置の試験方法および装置
JP2008234822A (ja) * 2007-02-21 2008-10-02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磁気ディスクの検査方法および磁気ディスク検査装置
JP2012230736A (ja) * 2011-04-26 2012-11-22 Sharp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磁気記録媒体
US11768604B2 (en) * 2021-11-15 2023-09-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ducing time to locate and read files within a tap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7877A (en) * 1972-07-17 1976-03-30 Ing. C. Olivetti & C., S.P.A. Method and device for timing the data reading and the recording operations on a magnetic tape
US4360842A (en) * 1978-10-11 1982-11-23 Sharp Kabushiki Kaisha Data processor for recording and reading out check data and true data in a cassette tape
GB2117164B (en) * 1982-02-25 1985-09-04 Racal Recorders Ltd Automatic calibration arrangement for a tape recorder
US4635141A (en) * 1982-10-13 1987-01-06 United States Desig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data on magnetic or optical media
JPS59129904A (ja) * 1983-01-17 1984-07-26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記録再生方式
JPS60234278A (ja) * 1984-05-07 1985-1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イジタルテ−プレコ−ダ
US4764822A (en) * 1986-03-21 1988-08-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recording cue signal
US4821128A (en) * 1986-06-17 1989-04-11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 control signal
FR2602363B1 (fr) * 1986-07-31 1989-04-28 Picard Michel Procede pour definir et modifier une partition sur l'espace de memorisation d'un support non effacable
FR2604280B1 (fr) * 1986-09-19 1988-11-10 Picard Michel Procede de gestion de fichiers sur un support d'information non effacable
AU604807B2 (en) * 1986-12-19 1991-01-03 Sony Corporation Data recorder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23890A3 (en) 1991-12-27
KR890012304A (ko) 1989-08-25
EP0323890A2 (en) 1989-07-12
DE68909250T2 (de) 1994-01-13
US5057950A (en) 1991-10-15
DE68909250D1 (de) 1993-10-28
JPH01217770A (ja) 1989-08-31
EP0323890B1 (en) 1993-09-22
GB8800353D0 (en) 1988-02-10
JP3037338B2 (ja) 2000-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147B1 (ko) 데이타 저장 및 검색 방법
US5602686A (en) Magnetic tape resident volume format table for data recording system
JP3652372B2 (ja) データ及び補助情報を記憶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5408368A (en) Digital servo track format
US5543977A (en) Data recording system having improved longitudinal and helical search capability
US5384668A (en) Data recording system having unique end-of-recording and start-of-recording format indicators
US5550684A (en) Data recording system having improved bookkeeping capability
EP0628207B1 (en) Longitudinal track format for helical data recording system
US53195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rking a data block defective and re-recording data block in successive regions
US5335119A (en) Data recording system having unique nonrecording detection
US5341378A (en) Data recording system having improved automatic rewrite capability and method of rewriting
EP0628206B1 (en) Data recording system having logical overrecording capability
EP0628208B1 (en) Data tape recording system having longitudinal address and servo tracks
JPS601670A (ja) デ−タ記録方法及びその実施に使用するデ−タレコ−ダ
WO1993017422A1 (en) Data recording system having recording partition groups
JPH0426960A (ja) データレコーダの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