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095Y1 - 선회식레버에 의한 연쇄구조작장치 및 선회식레버에 의한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오픈장치 - Google Patents

선회식레버에 의한 연쇄구조작장치 및 선회식레버에 의한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오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095Y1
KR920008095Y1 KR2019890005853U KR890005853U KR920008095Y1 KR 920008095 Y1 KR920008095 Y1 KR 920008095Y1 KR 2019890005853 U KR2019890005853 U KR 2019890005853U KR 890005853 U KR890005853 U KR 890005853U KR 920008095 Y1 KR920008095 Y1 KR 920008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door
lever
rod
lev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58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809U (ko
Inventor
야스오 고바야시
가타시 가토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Publication of KR9000068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8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0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31Lever operator, flu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회식레버에 의한 연쇄구조작장치 및 선회식레버에 의한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오픈장치
도면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의 인사이드 오픈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전체의 개략 정면도.
제2도는 일부를 단면한 제1도의 요부 중립상태에서의 확대 정면도.
제3도는 제2도를 화살표 III방향에서 본 평면도.
제4도는 제2도를 화살표 IV방향에서 본 평면도.
제5도는 기판과 피스톤 실린더의 분해상태의 사시도.
제6도는 피스톤로드의 피스톤으로 코일스프링을 압축하고 있는 상태의 설명도.
제7도는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를 눌러 움직히고 실린더가 로드단에서 코일스프링을 압축하고 있는 상태의 설명도.
제8도는 중립위치의 레버핸들을 오목형 에스카숀으로 눌러넣을때의 돌기와 하트형 캠홈의 관계 설명도.
제9도는 오목형 에스카숀에 격납된 레버핸들을 누르고 중립위치로 되돌릴때의 돌기와 하트형 캠홈의 관계설명도.
제10도는 돌기와 캠레버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목형 에스카숀 2 : 기판
3 : 축 4 : 크랭크아암
5 : 레버핸들 8 : 해방용 연쇄구
9 : 정지용 연쇄구 10 : 피스톤실린더
11 : 피스톤로드 12 : 피스톤
13 : 실리더 14 : 코일스프링
15 : 스톱퍼 16 : 스프링받이
17 : 피스톤로드의 접촉부 21 : 돌기
23 : 캠레버 24 : 하트형 캠홈
본 고안은 주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레버핸들에 크랭크로드를 설치하고 이 크랭크 로드에 자동차의 도어로크를 작동하는등, 기타 각종의 기구작동용 연쇄구(連鎖具)의 일단을 연결한 선회식 레버에 의한 연쇄구 조작장치와, 자동차의 도어실내면에 크랭크 로드를 가지는 레버핸들을 추착한 오목형 에스카숀을 고정하고, 이 크랭크로드에 도어로크의 해방용 연쇄구를 연결한 선회식 레버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인사이드 오픈장치에 관한것이다.
선회식 레버에 의한 연쇄 조작장치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도어 급유구커버, 트렁크 등의 로크를 개폐하기도하고 기타 각종의 기구를 작동하기 위하여 수개소에 사용되고 있다.
또 오목형 에스카숀에 추착한 선회식 레버에 의한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오픈장치로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공개번호 : 실개소 57-102567호)의 의하여 각종의 구조의 것이 종래로 부터 공지이다.
그러나 종래의 선회식 레버에 의한 연쇄 조작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도어의 인사이드 오픈 장치에서 주지하는 바와 같이 레버핸들을 탄발력에 저항하여 잡아당겨서 연쇄장치를 일방향으로 동작케 하고, 이에따라 개폐가능하게 자동차의 도어을 닫고 있는 해정상태의 로크를 해방하여 도어를 열도록 하는것이 가능하도록하고, 또 반대로 잡아당긴 레버핸들에서 손을 떼어 탄발력으로 처음상태로 되돌리는 것에 의하여 링게이지를 반대방향으로 동작하여 로크를 다시 해정상태로 하는등, 레버핸들을 왕(往)위치 또는 북(復)위치등 어느 한쪽으로 탄발하여 왕위치와 복위치의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는 것밖에 할수 없었다.
또, 예를 들면 복위치에서 도어의 실내면의 오목형 에스카숀중에 수납된 상태에 있는 레버핸들을 왕위치로 잡아당겨서 시정(施錠)상태의 로크를 해방하는 경우, 레버핸들을 당기기 쉽게 하기 위하여 레버핸들을 약간 왕위치를 향하여 회동시켜 오목형 에스카숀의 바깥에 돌출시키는 것도 종래의 선회식 레버에 의한 연쇄 조작장치에서는 가능하지 않았다.
또 종래의 선회식 레버에 의한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오픈 장치는 도어의 실내면의 오목형 에스카숀내에 수납된 복위치의 레버핸들을 스프링탄력에 저항하여 왕위치를 당기고 도어를 개폐가능하게 해정한 로크를 행방하는 것 뿐으로서, 해정상태의 로크를 수동으로 개폐가 불능하게 정지(錠止)하기 위해서는 도어의 실내면에 설치한 별도의 정지용 누름구를 눌러넣는등, 별도의 정지조작장치를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때문에 도어에는 레버핸들에 의한 해정상태의 로크 해방기구외에 누름구등에 의한 로크의 시정용 정지기구를 조립할 필요가 있고 조립으로 대단히 많은 공정이 걸린다.
그래서 본 고안의 청구항 제1항의 선회식 레버에 의한 연쇄구 조작장치는 레버핸들이 왕복운동하는 왕위치와 복위치의 도중의 중립위치로 이 레버핸들을 한개의 코일스크링으로 탄발유지하고 왕위치(또는 복위치)에서 중립위치로 되돌린 레버핸들을, 중립 위치에서 왕위치나 복위치로 자유롭게 작동시켜서 연쇄구를 조작할 수 있도록한 것으로 추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레버핸들에 크랭크 연결대를 설치하고 이 크랭크 연결대에 연쇄구의 일단을 연결한 선회식 레버에 의한 연쇄구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연결대에 로드를 연결한 피스톤 실린더와, 이 피스톤 실린더와 레버핸들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가지며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는 피스톤로드의 피스톤과 이 실린더의 로드단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코일스프링을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체에는 실린더의 내부에 돌입하여 헤드단을 내측에서 받아 정지하고 실린더가 헤드단을 선두로 하여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로드단을 선두로 하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톱퍼를 설치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에는 이 로드가 실린더안에 최대로 돌입한 때에 실린더로드단에 외측에서 맞닿는 맞닿는 부를 설치하고, 지지봉에는 피스톤로드가 실린더내로 최대로 돌입한 때에 피스톤과 같은 위치에서 코일 스프링의 실린더의 헤드단에 향한 단부들 받아서 정지하는 스프링받이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지지봉에 설치한 스톱퍼와 스프링받이구는 일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제2항의 선회식 레버에 의한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오픈장치는, 자동차의 도어의 실내면에, 크랭크 연결구를 가지는 레버핸들을 추착하고 이 크랭크 연결구에 도어의 로크해방용 연쇄구를 연결한 선회식 레버에 의한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오픈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연결구에 도어로크 정지용 연쇄구를 연결하고 레버핸들로 정지용 연쇄구를 조작하여 도어의 로크를 정지시킨때, 레버핸들은 자동차 실내면과 일면으로 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오픈장치.
청구항 제3항의 선회식 레버에 의한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오픈장치는 레버핸들을 오목형 에스카숀에서 약간 바깥으로 나온 중립로 스프링탄력을 유지하고 이 위치에서 보다 많이 바깥으로 나오도록한 레버핸들을 탄발력에 저항하여 회전운동하면 도어를 개폐가능하게 해정한 로크는 해방연쇄구로 해방되고, 또 반대로 레버 핸들을 중립위치에서 탄발력에 저항하여 오목형 에스카숀내에 압입하면 도어를 개폐가능하게 해정한 로크는 개폐불능으로 시정되어, 동시에 레버핸들은 오목형 에스카숀내에 격납된 상태로 스프링에 저항하여 하트형 캠홈에서 걸려지며, 이리하여 걸려진 레버핸들을 다시 눌러 넣으면 걸림이 석방되어 레버아암은 탄발력에 의하여 중립위치로 되돌아가고 오목형 에스카숀의 바깥으로 약간 나오며, 도어로크를 개폐가능한 해정상태로 하도록 한 것으로 자동차 도어의 실내면에 크랭크 연결구를 가지는 레버핸들을 추착한 오목형 에스카숀을 고정하고 이 크랭크 연결구에 도어 로크 해방용 연쇄구를 연결한 선회식 레버에 의한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오픈장치에 있어서, 크래크 연결우에 피스톤 실린더의 로드를 연결함과 동시에 오목형 에스카숀에 결합한 지지체로 피스톤 링을 지지하고 실린더 내부에는 피스톤로드의 피스톤과, 실린더로드단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코일스프링을 수용함과 동시에 지지체에는 실린더 내부로 돌입하여 헤드단을 내측에서 받아 정지하고 실린더가 헤드단을 선두로하여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로드단을 선두로 하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톱퍼를 설치하고 피스톤로드에는 이 로드가 실린더내에 최대로 돌입한 때에 실린더의 로드단에 외측으로부터 맞맣는 부를 설치하고 또 지지체에는 피스톤로드가 실린더 안에 최대로 돌입한때에 피스톤과 같은 위치에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실린더의 헤드단을 향한 단부를 멈추는 스프링받이를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의 헤드단에 도어의 잠금용 연쇄구를 연결하고, 상기 크랭크 아암에 돌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레버핸들을 지지하는 지지체에는 상기 돌기에 습접하도록 탄지된 캠레버를 착섬함과 동시에, 상기 캠레버에는 레버핸들을 오목형 에스칸숀내로 수용하도록 선회 했을때에, 상기 크랭크 아암의 돌기가 내부를 도는 하트형 캠홈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체의 기판(2)위에는 축과 마주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피스톤실린더(10)를 취부하여, 레버핸들(5)의 크랭크아암(4)에는 상기 피스톤실린더의 피스톤로드(11)를 연결한다.
그리고 피스톤로드의 피스톤(12)과, 실린더(13)의 로드단(13a)과의 사이에서 압축될 코일 스프링(14)을 이 피스톤로드(11)위에 감아서 실린더(13)내로 수용하고 있다.
실린더(13)는, 이 실시예에서는 1개면이 개방한 가느다란 통의 형태로, 그 개방면을 상기 기판(2)이 막고 있다.
또 피스톤로드의 피스톤(12)은 평형하며, 그 두께는 로드의 직경과 같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의 헤드단(13b)을 향한 코일스프링(14)의 단부는 피스톤(12)의 양측의 편평면에서 밖으로 내여져 있다.
이 하트형 캠홈에 의하여 레버핸들을 오목형 에스카숀내로 수용한 상태로 걸어맞춘 것을 특징으로 한것으로,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1)과 (2)는 모두 지지체로서, (1)은 축(3)에 의하여 크랭크 아암(4)을 가진 레버핸들(5)을 착설하고, 자동차의 내설 판넬(6)의 트인구멍에 끼워서 고정된 주지의 오목형 에스카숀, (2)는 이 오목형 에스카숀의 저부와, 도어내부의 금속판넬(7)에 고정된 기판이다.
도어에는 차체의 출입구에 대하여 도어를 닫힌 상태로 하는 로크가 취부되어 있으며, 도어의 내부에는 차내와 차외에서 상기 로크를 해정상태로 하여 도어를 개폐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차내에서 상기 레버 핸들을 당김으로서 로크를 시정하여 도어를 개폐불능으로 잠그는 잠금용 연쇄구(9)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기판(2)에는 실린더(13)의 내부로 돌입하고, 실린더의 헤드단(13b)을 내측으로 받아 고정하고, 실린더가 헤드단(13b)를 선두로 하여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나, 로드단(13a)을 선단으로 하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스톱퍼(15)와, 퍼스톤로드(11)가 실린더안에 최대로 돌입했을때에 피스톤(12)과 같은 위치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실린더의 헤드단(13b)을 향항 단부를 받아 고정할 스프링받이(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톱퍼(15)와 스프링받이(16)는 실린더의 각 측부의 내면(13')과 피스톤(12)의 각 편평면(12')에 습접하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2)위에 일련으로 형성하여, 실린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도 겸하고 있다.
또 피스톤로드(11)에는 이 로드가 실린더(13)안에 최대로 돌입했을때에 실린더의 로드단(13a)에 외측에서 맞닿을 맞닿음부(17)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17)은 원형 단면이고, 그 직경은 코일스프링의 내경과 대체로 같다.
피스톤로드(11), 실린더(13)는 각각 플라스틱으로 성형하며, 피스톤로드의 피스톤을 포함한 전반부를 실린더안에 수용하기 때문에, 실린더의 로드단(13a)의 단멱에는 실린더의 개방면을 향하여 벌어진 홈(18)을 형성하고 접촉부(17)보다도 앞을 홈(18)에 끼워서 실린더의 내부 중앙에 위치시키면 된다.
또 피스톤로드(11)의 실린더안에 위치한 부분에는 C형의 컬러(19)를 끼워 코일스프링(14)의 실린더로드단(13a)을 향한 단부와 실린더의 로드단과의 사이에 상기 컬러(19)를 개재시키면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레버핸들(5)가 오목형 에스카숀(1)에서 약간 밖으로 나온 선회위치(중립위치)로 크랭크아암(4)에 연결한 피스톤로드(11)는 실린더(13)안에 최대로 돌입하여 이 로드의 접촉부(17)는 실린더 로드단(13a)에 접촉하고, 코일 스프링(14)으로 접촉부(17)에 로드단(13a)를 압압한 실린더의 헤드단(13b)의 내측은 지지체(2)의 스톱퍼(15)에 접촉하며 또 지지체의 스프링받이(16)는 피스톤(12)과 같은 위치에서 실린더의 헤드단을 향한 코일스프링(14)의 단부를 받아 붙이도록 정하고, 코일 스프링(14)의 평형으로 레버핸들이 중립위치로 향하도록 하여져 있다.
그리고 레버핸들의 크랭크아암(4)에는 별도로 해방용 연쇄구(8)를 연결하고 레버핸들(5)가 오목형 에스카숀(1)에서 약간 밖으로 나온 중립위치에서는 해방용 연쇄구(8)는 로크를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해정상태로 유지, 레버핸들을 오목형 에스카숀에서 보다 크게 밖으로 나오도록 선회하면 해방용 연쇄구는 로크를 해방하고, 도어를 내측으로 누르는 것만으로, 열리도록 하여져 있다.
따라서 도어의 로크를 해방용 연쇄구로 해방하기 위하여 중립위치의 레버핸들(5)을 당기면(제6도), 스톱퍼(15)에 의하여 로드단을 선두로하여 이동할 수 없는 실린더(13)는 정지한 그대로 피스톤로드(11)만이 실린더에서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피스톤(12)은 실린더안에서 코일 스프링(14)을 실린더 로크단에 대하여 압축하고, 코일 스프링에 복원력을 축척시킨다.
따라서 도어를 연다음 레버핸들을 떼면, 레버핸들은 원중립위치에 코일스프링(14)의 복원력으로 복귀하고, 이에따라 해방용 연쇄구(8)도 로크를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해정상태로 되돌아간다.
또 중립위치의 레버핸들(5)을 반대로 오목형 에스카숀 안에 밀어넣도록 선회시키면, 피스톤로드의 접촉부(17)가 실린더(13)의 로드단(13a)을 누르고, (제7도)피스톤 로드와 실린더는 일체로 실린더의 헤드단을 선두로한 방향을 이동한다.
이때는 실린더의 헤드단을 향한 코일스프링(14)의 단부를 스프링 받이(16)가 받아멈추고 있으므로, 실린더의 로드단은 코일스프링을 스프링받이(16)에 대하여 압축하고 복원력을 비축해둔다
이경우는 해방용 연쇄구(8)와, 레버핸들의 크랭크아암(4)의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20)에 가느다란 구멍(20')을 형성하여, 레버핸들을 오목형 에스카숀안에 압입할때의 움직임은 해방용 연쇄구(8)에 전달되지 않도록 해둔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같이 오목형 에스카안숀에 압입한 레버아암을, 코일스프링(14)이 비축한 상기 복원력에 저항하여 걸어 붙이고, 중립위치에서는 차실내에 돌출한 레버아암을 오목형 에스카숀안에 넣어서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거나, 다시 실린더(13)의 헤드단(13b)에 잠금용 연쇄구(9)를 연결하고, 이 연쇄구에 의하여 해정상태의 로크를 도어의 개폐가 불가능한 시정상태로 잠겨놓을 수가 있다.
물론 걸어붙인 것을 석방하면 코일스프링(14)의 복원력으로 레버핸들(5)은 조작하지 쉬운 중립위치로 되돌아가거나, 잠금용 연쇄구(9)가 실린더의 헤드단에 연결하여 있는 경우는 이 연쇄구가 도어의 로크를 시정상태에서 도어의 개페가 가능한 해정상태로 돌아간다.
상술한 해방용 연쇄구(8)의 리이크(20)를 연결하는 크랭크아암(4)의 축(4')에는 동심돌기(21)를 형성하여, 지지체인 기판(2)에는 상기 돌기(21)에 측면이 습접하도록 스프링(22)으로 탄지된 캠레버(23)를 요동가능하게 착설되어 있다(제8도 점선).
그리고 캠 레버(23)에는 레버핸들을 중립위치에서 오목형 에스카숀내로 밀어넣으면, 돌기(21)는 내부를 도는 주지의 하트형 캠홈(24)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기(21)에 습접할 캠레버(23)의 측면에는 하트형 캠홈의 입구(24a)와 출구(24b)가 개통되어 있다. (제8도-10도).
따라서 상기와 같이 피스톤 로드의 접촉부(17)로 실린더의 로드단(13a)을 눌러서 실린더를 움직이고, 실린더의 로드단(13a)으로 코일스프링(14)을 기판의 스프링받이(16)에 대하여 압축하면서 레버핸들(5)을 오목형 에스카숀(1)의 밑에 접촉할때까지 눌러가면, (제8도 화살표 A), 돌기(21)는 캠레버(23)를 탄력에 저항여 밀어 움직이게 하고(제8도 화살표 B), 하트형 캠홈의 출구(24b)의 앞을 통과하여 입구(24a)에 도달하면(제8도 실선), 여기서부터 캠홈(24)내로 들어가 홈내를 들고, 캠레버(23)는 구내를 도는 돌기에 의하여 구동된다.
돌기(21)가 캠홈(24)의 출구(24b)의 앞을 통과하여 입구(24a)에 들어가는 것을 제10도에서와 같이 들어가 홈내를 들고, 캠레버(23)는 구내를 도는 돌기에 의하여 구동된다.) 출구(24a)의 높이가 돌기(21)의 높이에 대하여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돌기(21)가 캠홈(24)을 들어가, 출구(24b)에서 나올대는 캠레버(23)는 돌기(21)로 들어올려져 상향으로 요동한다.
스프링(22)은 캠레버의 측면을 돌기(21)에 습접시키는 이외에, 상기와 같이 들어올려진 캠레버를 수평으로 되돌리는 역할도 한다.
이 하트형 캠홈의 작동은 본 출원인의 실개소 61-163870호 공보에 상세히 설명하여 있으므로 상세히 기술은 이를 참조할것.
그리고 레버핸들(5)이 오목형 에스카숀(1)의 바닥에 맞닿고, 그 이상 레베핸들을 누를수 없는 시점에서 레버 핸들에서 손을 떼면, 상기 코일스프링(14)은 비축한 복원력으로 레버핸들을 역방향으로 약간 회동하고(제9도)레버핸들의 표면은 오목형 에스카숀의 개방면과 대체로 동일면이 된때, 하트형 캠홈(24)의 대체로 반바퀴를 돌은 돌기(21)는 이 캠홈의 걸어붙임부(24')에 걸어지고, 레버핸들은 표면을 오목형 에스카숀의 개방면과 대체로 동일면으로 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레버핸들은 차실내에 돌출하지 않고, 운전의 장해도 되지 않는다.
그리고 나서 레버핸들을 조작하고 도어의 로크를 해정상태로 하거나, 다시 해정한 로크를 해방하는 경우는 레버핸들을 오목형 에스카숀의 바닥을 향하여 일단 누른다(제9도 화살표 A).
이에 따라 걸어붙임부(24')에 걸어진 돌기(21)는 걸어붙임부에서 탈출하여 하트형 캠홈의 나머지 반둘레를 들은 다음 출구(24b)에서 캠레버의 밖으로 나와(제9도 화살표 B), 이 실시예의 경우 레버핸들(5)은 오목형 에스카숀(1)에서 약간 밖으로 나온 상기 중심위치에 복귀하고(제9도 화살표 C), 오목형 에스카숀안에 격납된 상태에서 당겨서 도어의 로크를 해방하기 쉬운 상태로 된다.
또 캠레버(23)도 측면을 돌기(21)에 습접한 원상태로 스프링(22)의 탄력으로 되돌아간다(제9도 화살표 D).
상술한 바와같이 실린더(13)의 헤드단(13b)에는 해방용 연쇄구(9)를 연결해져 있다.
따라서, 중립위치의 레버핸들을 오목형 에스카숀의 바닥에 맞닿을때까지 눌러 피스톤로드(11)의 접촉부(17)로 실린더(13)의 로드단(13a)을 눌러서 실린더를 눌러 움직이면, 그 헤드단에 연결된 연쇄구(9)는 도어의 로크를 해정상태에서 도어의 개폐가 불가능한 시정상태로 잠겨지고, 동시에 레버핸들은 상기와 같이 표면을 오목형 에스카숀의 개방면과 동일면으로 한 겹납상태로 유지된다.
도어의 로크를 시정상태에서 해정하고 다시 해방하는 데는, 상기와 같이 레버핸들을 일단 눌러, 중립위치에 코일 스프링(14)의 복원력으로 되돌리고, 다시 당기면 된다.
이상 설명하였으나, 지지체인 오목형 에스카숀(1)이나, 기판(2)도 플라스틱으로 성형하고 기판(2)에는 피스톤 실린더(10)나, 해방용 연쇄구(8)을 안내할 홈형 유도부(25)를 구비하여 거기에 이들을 습동 가눙하게 지지하면 된다.
따라서 실린더(13)의 양측에는 상기 홈형 유도부(25)의 바닥에 습접할 외향의 돌출편(26)을 형성하여 이 유도부에는 상기 돌출편(26)을 위해서 씌울 피복편(27)이 형성되어 있으나, (제5도)그 구조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청구범위 제1항의 고안으로 레버핸들을 중립위치에 탄지 유지하고 중립위치에서 1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레버핸들을 선회하여 연쇄구를 조작할수가 있다.
따라서 연쇄구로 조작되는 기구가 3개의 상이한 상태를 잡는 경우, 예컨대 자동차의 도어의 로크와 같이 도어를 개폐불능으로 시정, 도어를 개폐가능하게 해정, 해정오픈의 3개의 상태로 변화시키는 것을 1개의 레버 핸들로 할수가 있다.
또 레버핸들의 중립위치의 탄설유지는 1개의 코일스프링으로 하기 때문에 구조도 극히 간편 내지는 조립이 용이하며, 고장의 염려도 없다.
청구 범위 제4항의 고안에 의하여 도어의 해정상태에 있는 로크를 해방하는 해방연쇄구와, 해정상태의 록크를 시정하는 잠금 연쇄구의 쌍방을 레버핸들로 조작할수 있어서, 종래 잠금연쇄구의 조작장치와 도어을 별개롤 조립한 것에 비하여 조립공정을 감소하고, 사용부품정수의 삭감을 도모하여 생산성을 향상할수가 있다.
또 로크를 시정하면, 레버핸들은 오목형 에스카숀내로 격납되어 운전장해가 되지 않음과 동시에, 격납된 레버핸들을 누르면, 레버핸들은 오목형 에스카숀에서 약간 밖으로 나와, 해정상태로 된 로크를 해방하기 위한 당김이 용이하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축(3)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레버핸들(5)에 크랭크 아암(4)을 형성하여, 이 크랭크 아암(4)에는 연쇄구(8)의 일단을 연결한 선회식 레버에 의한 연쇄구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아암(4)에 로드(11)를 연결한 피스톤실린더(10)와 이 피스톤실리더(10)와 레버핸들(5)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가지며,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는 피스톤로드(11)의 피스톤(12)과 이 실린더(10)의 로드단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코일스프링(14)을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돌입하여 헤드단을 내측으로 받아 설치하고, 실린더가 헤드단을 선두로 하여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나, 로드단을 선두로하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톱퍼(15)를 형성하여, 상기 피스톤로드(11)과는 로드(11)가 실린더(10)안으로 최대로 돌입했을때에 상기 실린더(13)의 로드단에 외측에서 맞닿는 맞닿음부를 형성하고 또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피스톤로드(11)가 실린더(10)안에 최대로 돌입했을때에 피스톤(12)과 같은 위치에서 상기 실린더(13)의 헤드단을 향한 단부를 받아 붙이는 스프링받이(16)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레버에 의한 연쇄구 조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이는 자동차의 도어의 실내면에, 크랭크아암(4)을 가진 레버핸들(5)을 착설하고 이 크랭크아암(4)에 도어의 로크해방용 연쇄구를 연결한 선회식 레버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의 인사이드 오픈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아암(4)에 도어의 로크잠금용 연쇄구(9)를 연결하고, 상기 레버핸들(5)로 상기 잠금용 연쇄구(9)를 조작하여 도어의 로크를 잠글때 상기 레버핸들(5)는 자동차의 실내면과 동일면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한 자동차의 도어의 인사이드 오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이는 자동차의 도어 실내면에, 크랭크 아암(4)을 가진 레버핸들을 착설한 오목형 에스카숀(1)을 고정하고, 이 크랭크아암(4)에 도어의 로크해방용 연쇄구(8)를 연결한 선회식 레버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의 인사이드 오픈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아암에 피스톤실린더(10)의 로드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오목형 에스카숀(1)에 결합한 지지체로, 상기 피스톤실린더(10)를 지지하고, 상기 실린더(13)의 내부에는 피스톤로드(11)의 피스톤(12)과 이 실린더(13)의 로드단과의 사이에 압출된 코일 스프링(14)을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실린더(13)의 내부에 돌입하여 헤드단을 내측으로 받아 착설하고, 실린더(13)가 헤드단을 선두로하여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나, 로드단을 선두로 하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톱퍼(15)을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11)에는 이 로드(11)가 실린더(13)안에 최대로 돌입했을때에 상기 실린더(13)의 로드단에 외측에서 맞닿을 맞닿음부를 형성하며, 또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피스톤로드(11)가 실린더안에 최대로 돌입했을때에 피시톤(12)과 같은 위치에서 상기 코일스프링(14)의, 실린더(13)의 헤드단을 향한 단부를 받아 멈추게 하는 스프링받이을 형성하여, 상기 실린더(13)의 헤드단에 도어의 로크의 잠금용 연쇄구(9)를 연결하고, 상기 크랭크아암(4)에 돌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레버핸들(5)을 지지하는 지지체에는 상기 돌기에 습접하도록 탄지된 캠레버(23)를 착설함과 동시에, 상기 캠레버(23)에는 레버핸들(5)을 오목형 에스카숀(1)내에 수용하도록 선회한때에 상기 크랭크아암(4)의 돌기가 내부에 들어가는 하트캠홈(24)을 형성하고 이 하트형캡홈(24)으로 부터 레버핸들(5)을 오목형 에스카숀내로 수용한 상태로 걸어붙이게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레버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의 인사이드 오픈장치.
KR2019890005853U 1988-09-19 1989-05-04 선회식레버에 의한 연쇄구조작장치 및 선회식레버에 의한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오픈장치 KR92000809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1574 1988-09-19
JP12157488U JPH0543169Y2 (ko) 1988-09-19 1988-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809U KR900006809U (ko) 1990-04-03
KR920008095Y1 true KR920008095Y1 (ko) 1992-11-06

Family

ID=14814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5853U KR920008095Y1 (ko) 1988-09-19 1989-05-04 선회식레버에 의한 연쇄구조작장치 및 선회식레버에 의한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오픈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05885A (ko)
JP (1) JPH0543169Y2 (ko)
KR (1) KR92000809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2936C2 (sv) * 1991-11-04 1996-02-26 Itw Fixfast Ab Metod för montering av en dörrhandtagsenhet, och dörrhandtagsenhet
FR2708959B1 (fr) * 1993-08-09 1995-09-08 Peugeot Dispositif de commande pour l'ouverture et le verrouillage d'une porte de véhicule.
DE29521920U1 (de) * 1995-03-04 1998-10-22 Kiekert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das Türschloß einer Kraftfahrzeugtür
FR2750726B1 (fr) * 1996-07-03 1998-12-24 Renault Dispositif de commande de l'ouverture d'une porte de vehicule
JPH10196179A (ja) * 1996-12-27 1998-07-28 Ansei:Kk ドアロック装置
JPH11336379A (ja) * 1998-05-22 1999-12-07 Alpha Corp 自動車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ユニット構造
US5934817A (en) * 1998-06-12 1999-08-10 Chrysler Corporation Coupl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door lock assembly
FR2782535B1 (fr) * 1998-08-19 2000-11-10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Dispositif de montage de commande d'ouverture de porte de vehicule
US6264257B1 (en) 1999-10-08 2001-07-24 Adac Plastics, Inc. Motor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FR2802962B1 (fr) * 1999-12-23 2002-02-15 Valeo Securite Habitacle Poignee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actionnement des organes de commutation
JP4407782B2 (ja) * 2000-05-16 2010-02-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GB0020402D0 (en) * 2000-08-19 2000-10-04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A handle arrangement
GB0029064D0 (en) * 2000-11-29 2001-01-10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Lock arrangement
DE10118658A1 (de) * 2001-04-14 2002-10-24 Itw Automotive Prod Gmbh & Co Türinnenbetätigung für Automobile
GB0213908D0 (en) * 2002-06-18 2002-07-31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Assembly
US6976717B2 (en) * 2003-02-06 2005-12-20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JP4536580B2 (ja) * 2004-05-13 2010-09-01 株式会社ニフコ 自動車のドアハンドル装置
JP2006176969A (ja) * 2004-12-21 2006-07-06 Fuji Heavy Ind Ltd ドアハンドル装置
US8132844B2 (en) * 2010-02-25 2012-03-13 Trimark Corporation Intuitive control system for power assisted vehicle doors
CN104968517B (zh) * 2013-02-06 2017-03-0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门把手装置的安装构造
PL2947223T3 (pl) * 2014-05-22 2018-05-30 Roto Frank Ag Układ uchwytu przechylnego okna dachowego mieszkania, okno dachowe mieszkania z układem uchwytu przechylnego okna dachowego mieszkania, jak też sposób montowania okna dachowego mieszkania
US20170130494A1 (en) * 2015-11-10 2017-05-11 Caterpillar Inc. Latch operating mechanism for cabin door
US10865591B2 (en) * 2016-05-16 2020-12-15 Faraday & Future Inc. Emergency release system for automobile side door
JP6938132B2 (ja) * 2016-11-07 2021-09-22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のハンドル装置
EP3421702B1 (en) * 2017-06-29 2020-05-13 U-Shin Deutschland Zugangssysteme GmbH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CN107901876A (zh) * 2017-12-09 2018-04-13 李勇 活动支架缓放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49005A5 (ko) * 1971-08-12 1973-03-23 Peugeot & Renault
US3743336A (en) * 1972-07-03 1973-07-03 Sealth Aero Marine Frictionless cabinet latch
JPS57102667A (en) * 1980-12-18 1982-06-25 Minolta Camera Co Ltd Control unit of electronic copying machine
US4778207A (en) * 1987-09-01 1988-10-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lease handl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43361U (ko) 1990-03-26
KR900006809U (ko) 1990-04-03
US5005885A (en) 1991-04-09
JPH0543169Y2 (ko) 1993-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095Y1 (ko) 선회식레버에 의한 연쇄구조작장치 및 선회식레버에 의한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오픈장치
JPH0429154Y2 (ko)
US4597598A (en) Device for electrical opening and closing of a vehicle lid equipped with a lock of the cocking type
CA1289705C (en) Inside door handle assembly
US20050093306A1 (en) Exterior door handle with minimum surface intrusion
US4147044A (en) Safe door locking arrangement
US4109950A (en) Door opener and latch
JPH0353135B2 (ko)
CN208184458U (zh) 车门锁及具有其的车辆
KR20010065127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
JPH07111108B2 (ja) 車両の閉鎖部材用鎖錠装置
CN208534254U (zh) 车门锁及具有其的车辆
US4166646A (en) Latching plate especially for automobile doors
KR100558413B1 (ko) 파워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 롤러 구조
CN220151092U (zh) 一种锁以及设有锁的箱体
JPH0420685A (ja) ドアストツパ
KR880004000Y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록크 장치
JP2520235Y2 (ja) プラグドア装置
JPH04302681A (ja) リツドロツク装置
KR200255456Y1 (ko)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 잠금장치
KR100335110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
CN208669127U (zh) 车门锁及具有其的车辆
JP2579643Y2 (ja) リツドロツク装置
JPH07114816B2 (ja) 容器の旋回可能なドアのためのテスト装置
KR20000003732U (ko) 화물자동차용 적재함 잠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