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011Y1 - 투사형 수상관 - Google Patents

투사형 수상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011Y1
KR920008011Y1 KR2019900002504U KR900002504U KR920008011Y1 KR 920008011 Y1 KR920008011 Y1 KR 920008011Y1 KR 2019900002504 U KR2019900002504 U KR 2019900002504U KR 900002504 U KR900002504 U KR 900002504U KR 920008011 Y1 KR920008011 Y1 KR 9200080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red
tube
projection
b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2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928U (ko
Inventor
조철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2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011Y1/ko
Publication of KR9100159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9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0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67Projection screens for colour pro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투사형 수상관
제1도는 본 고안의 투사형 수상관의 개략 설명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투사형 수상관의 배열 상태도.
제3도는 종래의 투사형 수상관의 개략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적색 수상관 20,20' : 녹색 수상관
30 : 청색 수상관 40 : 렌즈
50 : 전자비임 60 : 반사판
70 : 스크린
본 고안은 투사형 수상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녹색수상관(Green Cathode-ray Tube)을 2본으로 사용하여 백색균일성(White Uniformity)과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투사형 수상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사형 수상관(Projection Cathode Ray Tube)은 텔레비젼의 수신 화상을 스크린(Screen)에 확대시켜 영상을 나타내게 하는 수상관으로, 관 자신은 지름이 10인치 내외의 소형이나 수만 볼트의 고전압을 걸어주어 그 형광면에 밝은 화상을 만든 다음 그것을 렌즈계를 통하여 확대 투사시키는 구조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투사형 수상관에는 전면 투사형과 배면 투사형이 있는데 전면 투사형은 각 수상관에서 방출된 전자 비임을 스크린에 직접 투사하는 것이고, 배면 투사형은 각 수상관에서 방출된 전자비임을 반사판을 통하여 스크린에 투사하는 것으로, 본 고안은 배면 투사형에 국한된다.
제2도는 종래의 투사형수상관의 개략 설명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적, 녹, 청색 수상관(10-30)이 인라인(in-line)형으로 배열되어 그 전면에는 렌즈(40)가 각각 형성되고, 인라인형으로 배열된 적, 녹, 청 수상관(10-30)에서 방출된 각각의 전자비임(50)은 반사판(60)에서 반사되어 스크린(70)상에서 합치되어 컬러 영상을 나타내도록 투사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투사형 수상관의 적색 수상관(10)에서는 적색 전자빔에 방출되어 화상이 모두 적색으로 나타나고, 녹색 수상관(20)에서는 녹색 전자빔이 방출되어 녹색의 화상이 나타나며, 청색 수상관(30)에서는 청색의 전자 빔이 방출되어 청색의 화상이 나타나며 각각의 수상관(10-30)에서 방출되는 적,녹, 청색의 전자비임(50)이 각각에 대응되는 렌즈(40)를 통하여 확대된 후 반사판(60)을 통해 반사되어 스크린(70)에 투사되면서 대향의 화상을 재현시킨다. 이 종류 투사형 수사관에서는 3개의 수상관에서 현출되는 화상을 확대하는 구성이므로 휘도가 낮고, 특히 백식 균일성에 대한 적,녹, 청의 비율이 1:7:2 정도이므로 백색균일성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3본 형식 외에 6본 형식의 것도 제안되어 휘도향상을 꾀하고 있지만, 이 방식은 부품수의 증가로 인하여 원가절감에 큰 장애로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녹색 수상관을 1본 더 사용하여 백색 균일성고 휘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4관식 투사형 수상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적, 녹, 청색 수상관에서 방출된 전자비임이 렌즈를 통하여 확대되도록 적,녹, 청색 수상관에 대향되어 렌즈가 설치되고, 렌즈를 통하여 확대된 전자비임을 접속시켜 칼라 화상을 재현시키도록 반사판과 스크린이 설치되어 구성된 투사형수상관에 있어서, 상기한 적,녹, 청색 수상관에 별도의 녹색수상관 1본을 더 설치하여 양 녹색 수상관을 상보대칭형태로 배열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수상관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투사형 수상관의 개략 설명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수상관 배열형태를 나타낸 상태로이다.
적,녹,청, 및 보조 녹색 수상관(10-30,20')이 상보(相補)형으로 배열되어 그 전면에서는 각각의 수상관과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보형으로 배열된 각각의 수상관(10-30,20')에서 방출된 전자비임(50)은 반사판(60)에서 반사되어 스크린(70)에 투사되도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투사형 수상관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보형으로 배열된 적,녹, 청, 및 보조 녹색수상관(10-30,20')에서는 각각의 색상을 갖는 전자비임(50)이 방출되어 각 수상관(10-30,20')에 대향하여 설치된 렌즈(40)를 통하여 확대된다.
상기와 같이 렌즈(40)를 통하여 확대된 각각의 화상신호(50)는 반사판(60)에서 집속된다. 즉, 적,녹, 청 및 보조 녹색수상관(10-30,20')에서 방출된 전자비임(50)이 모두 반사판(60)에서 집속되어 하나의 칼라화상이 재현되는 것이다.
이때 반사판(60)에서는 하나의 칼라화상이 재현된 후 반사되어 스크린(70)에 재현된 칼라화상을 투사시킨다.
제2도는 본 고안에서 4개의 수상관이 배열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녹색 수상관(20)과 보조녹색 수상관(20')가 상보형으로 배열되어 전자비임이 적,녹,청 배율이 균일화되어져 형광체나 전자총 등의 개선없이 녹색의 휘도를 약 2배정도 향상시키게 되므로 부품수를 높이지 않아도 스크린의 상에서의 백색균일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종래 3관식 녹색 CRT 1본을 보완한 것으로 6관식에 비해 compact, 저기화를 이룩하였으며, 휘도 또한 97%이상으로 거의 차이가 없는 우수한 특성을 가진 구조인 것이다.

Claims (2)

  1. 적,녹,청 수상관(10-30)에서 방출된 화상신호(50)가 렌즈(40)를 통하여 확대되도록 적, 녹, 청색 수상관(10-30)에 대향되어 렌즈(40)가 설치되고, 렌즈(40)를 통하여 확대된 전자비임(50)을 집속시켜 칼라 화상을 재현시키도록 반사판(60)과 스크린(70)이 설치되어 구성된 투사형 수상관에 있어서, 상기한 적,녹, 청색 수상관에 (10-30)에 보조 녹색 수상관(20') 1본을 추가하여 배열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수상관.
  2. 제1항에 있어서, 녹색 수상관(20)과 보조 녹색 수상관(20')는 상보형으로 대칭되게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수상관.
KR2019900002504U 1990-02-28 1990-02-28 투사형 수상관 KR9200080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2504U KR920008011Y1 (ko) 1990-02-28 1990-02-28 투사형 수상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2504U KR920008011Y1 (ko) 1990-02-28 1990-02-28 투사형 수상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928U KR910015928U (ko) 1991-09-25
KR920008011Y1 true KR920008011Y1 (ko) 1992-10-22

Family

ID=1929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2504U KR920008011Y1 (ko) 1990-02-28 1990-02-28 투사형 수상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0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928U (ko) 199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7835A (en) Projection type color television system
US5499061A (en) Projection system and display apparatus for compressing and expanding aspect ratio of a picture
KR920008011Y1 (ko) 투사형 수상관
JPH0356922A (ja) 液晶投射ディスプレイ
KR100321287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젼 수신기내 광학시스템
JPH11101949A (ja) 照明手段と当該手段を用いた照明装置及び投写型表示装置
JPS58136011A (ja) 投写用レンズ
JP2635149B2 (ja) 投写形画像デイスプレイ装置用光学系
JPH0795603A (ja) 投射型カラーテレビジョン装置
JPH0728399B2 (ja) 投写形ディスプレイ
JP2723585B2 (ja) 投射型液晶表示装置
JPH02239218A (ja) 形状補正レンズおよび形状補正レンズを用いた投射型ディスプレー装置
JPH04233879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
KR950001083B1 (ko) 투사형 브라운관
JPH05252523A (ja) 小型カラービューファインダ
JP2979797B2 (ja) 投写型テレビジョン装置
JPS60190094A (ja) カラ−ビデオプロジエクタ
JPS59187079A (ja) 陰極線管
JPH02186382A (ja) 投写形画像表示装置
JPH0787507A (ja) 画像表示装置
JPS5928785A (ja) 映像投写装置
JPS6016786A (ja) 投写形カラ−テレビジヨン
JPH06324321A (ja) 画像表示装置
JPH05346559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の投写系
JPH043597A (ja)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