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905Y1 - 오토 화이트 밸런스 인에이블 회로 - Google Patents

오토 화이트 밸런스 인에이블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905Y1
KR920007905Y1 KR2019890013541U KR890013541U KR920007905Y1 KR 920007905 Y1 KR920007905 Y1 KR 920007905Y1 KR 2019890013541 U KR2019890013541 U KR 2019890013541U KR 890013541 U KR890013541 U KR 890013541U KR 920007905 Y1 KR920007905 Y1 KR 9200079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 balance
signal
auto white
resistor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3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555U (ko
Inventor
최해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3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905Y1/ko
Priority to NL9000547A priority patent/NL194189C/nl
Priority to JP1990024399U priority patent/JP2533252Y2/ja
Priority to US07/491,520 priority patent/US5132805A/en
Publication of KR9100065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5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9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8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balance, e.g. white-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토 화이트 밸런스 인에이블 회로
제1도는 종래의 오토 화이트 밸런스 인에이블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오토 화이트 밸런스 인에이블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의 구체 회로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의 동작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Q1 : PNP형 트랜지스터 Q2, Q3, Q4, Q5 : NPN형 트랜지스터
G1, G2 : 낸드게이트 INV1, INV2 : 인버터
SW1, SW2 : 제1및 제2선택스위치 SW : 오토화이트 밸런스 스위치
10, 20 : 연산증폭기 30 : 비교기
R1-R19 : 저항 MV1, MV2 : 멀티바이브레이터
C1-C5 : 콘덴서 VR1, VB2 : 가번저항
100 : 전원공급제어부 200 : 신호추출 및 증폭부
300 : 평균화 및 증폭부 400 : 오토화이트 밸런스 신호 발생부
500 : 조리개 제어신호 발생부
본 고안은 비데오 카메라에 있어서 오토화이트 밸러스(auto white balance)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토화이트 밸런스를 최적화할 수 있는 오토화이트 밸런스 인에이블(enable)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 비디오 카메라에는 오토화이트 밸런스회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오토화이트 밸런스회로는 색온도가 다른 촬영 장소에서 피사체의 올바른 색 재현을 위해 사용된다.
종래의 경우에는 상기 오토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흰색 피사체를 촬상한 훔 제1도에 도시된 오토화이트 밸런스 스위치(SW)를 세트시키게 되면 마이컴(C)이 상기 오토화이트 밸런스 스위치(SW) 입력을 감지하고 오토화이트 밸런스 조절 기능을 제어하였으나 현재 상태의 조명을 무시하고 상기 마이컴(C)에 바로 오토 화이트 밸런스 신호(AWCSI)를 입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었던 관계로 흰색의 피사체가 100IRE 이상의 과대 광량일 경우에도 상기 오토화이트 밸런스 회로가 동작하였으므로 올바른 오토화이트 밸런스 기능의 수행이 불가능했다. 이렇게 오토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을 경우에는 경고 표시("NG")를 하고 작업을 종료함으로써 촬용자가 다른 방법을 강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평상시 자동상태이던 조리개 구동을 수동상태로 절환하여 입사광량을 줄여주고, 전자뷰파인더 상에서 과대 광량 부분에 빗살 형태로 표시되는 얼룩 무뉘신호가 사라지는 곳에 조리개를 설정한 후 다시 오토화이트 밸런스 세트스위치(SW)를 조작하여 왔으므로 매우 불편했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오토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오토화이트 밸런스 인에이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시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오토화이트 밸런스 인에이블 회로도로서, 제1도의 구성에서 오토화이트 밸런스 신호(AWCSI)의 상태에 따라 휘도신호(Y)를 입력하여 광량을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라 마이컴(M)으로 오토하이트 밸런스 신호(AWCSO)를 출력하거나 조리개 구동회로(B)로 조리개 제어신호(IRIS)를 출력하는 회로(A)를 추가한 구성이다.
단, 상기 마이컴(M)으로 출력되는 오토화이트 밸런스 신호(AWCSO)는 그 역할 측면을 고려하여 상기 오토 화이트 밸런스 스위치(SW)로 부터 발생되는 오토화이트 밸런스 신호(AWCSI)와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되 구분을 위해서 부호는 AWCSO로 표기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토화이트 밸런스 인에이블 회로의 구체적인 일실시예의 회로도로서, 소정 제한시간 동안만 시스템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공급제어부(100)와, 소정 설정 레벨 이상의 휘도신호만 추출하고 증폭하여 과대 광량신호를 검출하는 신호추출 및 증폭부(200)와, 상기 검출된 과대 광량신호를 평균치화하여 증폭 출력하는 평균화 및 증폭부(300)와, 상기 평균화된 과대 광량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조리개 구동회로(B)로 조리개 제어신호(IRIS)를 발생하는 조리개 제어신호발생부(500)와, 상기 평균화된 과대 광량 신호의 상태에 따라 마이컴(M)으로 오토화이트 밸런스 신호(AWCSO)를 발생하는 오토화이트 밸런스 신호발생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제어부(100)는, 저항(R3) 및 콘덴서(C1)에 의한 시정수로 비안정 상태 기간을 설정하는 전원 공급시간 결정용 단안정 제1멀티바이브레이터(MV1)의 동기신호입력단에 상기 오토화이트 밸런스 기능선택스위치(SW)로부터 발생되는 오토화이트 밸런스 신호(AWCSI)를 입력하는 제2선택스위치(SW2)를 접속하며 바이어스용 저항(R2)을 통해 상기 제1멀티바이브레이터(MV1)의 반전출력단 ()에 전원공급 차단절환 스위치용 PNP형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를 접속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베이스 사이에 바이어스용 저항(R1)을 접속하며 상기 제1멀티바이브레이터(MV1)의 반전출력단()과 접지단자 사이에 오프시간 지연용 저항(R19) 및 콘덴서(C4)를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한다.
상기 신호추출 및 증폭부(200)는, 싱글 앤디드 차동증폭회로 구성용 NPN형 제2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를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접속하고 휘도신호(Y) 입력단자(I)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사이에 전류 제한용 저항(R5)을 접속하며 싱글 앤디드 차동증폭회로 구성용 NPN형 제3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를 부하저항(R7)을 통해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접속하고 상기 제2및 제3트랜지스터(Q2, Q3)의 에미터와 접지 사이에 저항(R6)을 접속하며 싱글 앤디드 차동증폭회로 구성용 NPN형 제4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를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 접속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사이에 바이어스용 저항(R8)을 접속하며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와 접지 사이에 과대 광량 기준설정용 제1가변저항(VR1)을 접속하고 상기 제4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와 접지 사이에 부하저항(R9)을 접속하여 구성한다.
상기 추출신호 평균화 및 증폭부(300)는, 상기 제4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에 전압 플로워용 제1연산증폭기(10)를 접속하고 상기 제1연산증폭기 출력단에 과대광량 신호를 적분하여 평균화하기 위한 저항(R10) 및 콘덴서(C3)를 접속하며 상기 저항(R10) 및 콘덴서(C3)의 접속점에 상기 평균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2연산증폭기(20)의 비반전 입력단을 접속하고 상기 제2연산증폭기(20)의 출력단과 반전입력단 사이에 궤환저항(R13)을 접속하며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상기 제2연산증폭기(20)의 반전 입력단과 사이에 저항(R11)을 접속하고 상기 제2연산증폭기(20)의 반전 입력단과 접지 사이에 저항(R12)을 접속하며 상기 제2연산증폭기(20)의 출력단에 평균치 신호의 출력 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제2가변저항(VR2)의 한단을 접속하고 상기 제2가변저항(VR2)의 다른단과 접지 사이에 전압 브리이더 저항(R14)을 접속하며 상기 브라이더 저항(R14)과 병렬로 출력지연용 콘덴서(C5)를 접속하여 구성한다.
상기 조리개 제어 신호발생부(500)는, 상기 제2가변저항(VR2)의 다른단에 조리개 제어신호(IRIS)량을 설정하기 위한 제3가변저항(VR3)의 한단을 접속하며 상기 제3가변저항(VR3)의 다른단에 조리개 제어신호(IRIS)출력용 에미터 플로워 구성 NPN형 제5트랜지스터(Q5)를 접속하고 상기 제5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와 접지 사이에 저항(R17)을 접속하며 상기 조리개 제어신호(IRIS) 출력단자(N) 사이에 전류 제한용 저항(R18)을 접속하여 구성한다.
상기 오토화이트 밸런스 신호 발생부(400)는, 상기 제1멀티바리브레이터(MV1) 비반전 출력단(Q)에 저항(R4) 및 콘덴서(C2)에 의해 시정수가 결정되는 오토화이트 밸런스 세트신호 발생용 단안정 제2멀티바이브레이터(MV2)의 동기신호 입력단을 접속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한단이 접속된 저항(R15) 및 상기 저항(R15)과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저항(R16)에 의해 기준레벨이 설정되는 비교기(30)의 반전입력단을 상기 평균화 및 증폭부(300)에서 검출된 과대광량신호와 비교하기 위해 전술한 제2가변형저항(VR2)의 다른단에 접속하며 전술한 오토화이트 밸런스 스위치(SW)에 상기 오토화이트 밸런스 스위치(SW)로 부터 발생되는 오토화이트 밸런스 신호(AWCSI)를 반전하는 제2인버터(INV2)를 접속하고 상기 비교기(30)의 출력단에 제1인버터(INV1)를 접속하며 상기 제2인버터(INV2)의 출력단과 상기 비교기(30)의 출력단에 제1낸드게이트(G1)의 두 입력단을 각각 접속하고 상기 제1인버터(INV1)의 출력단과 전술한 제2멀티바이브레이터(MV2)의 반전출력단에 제2낸드게이트(G2)의 두 입력단을 각각 접속하며 상기 제1및 제2낸드게이트(G1, G2)의 출력단에 제1선택스위치(SW1)의 한단(b)을 접속하고 상기 제1선택스위치(SW1)의 다른단(c)을 상기 오토화이트 밸런스 스위치(SW)에 접속하며 상기 제1선택스위치(SW1)의 공통단자(a)를 통해 선택적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의 동작파형도로서, (4a)는 휘도신호이고, (4b)는 신호추출 및 증폭부(200)에서 상기 (4a)의 휘도신호 중 소정의 레벨 이상만을 검출한 파형이며, (4c)는 평균화 및 증폭부(300)에서 출력된 파형이다. (5a)는 오토화이트 밸런스 스위치(SW)의 출력파형이며, (5b)는 제1멀티바이브레이터(MV1)의 반전출력() 파형이고, (5c)는 제1트랜지스터(Q1)의 출력 파형이며, (5d)는 제2멀티바이브레이터(MV2)의 반전출력() 파형이고, (5e)는 비교기(30) 출력 파형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비디오 카메라의 조리개 자동 제어에는 휘도신호(Y) 또는 R, G, B 각각의 최대치만 얻어낸 신호(NAM)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휘도신호(Y)가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휘도신호(Y)가 입력단자(I)로 공급되면 저항(R5)을 거쳐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한다. 상기 제2트랜지스터(Q2)는 베이스에 가해진 신호가 에미터 전위보다 베이스-에미터 전압(VBE: 약 0.7V)만틈 큰 경우를 제외하고는 차단상태에 머무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는 제3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같은 전위를 가지며,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 전위는 제1가변저항(VR1)을 조절하여 베이스전위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통해 변화 가능하다.
즉 상기 휘도신호(Y) 가운데 상기 제1가변저항(VR1)에 의해 설정된 전압 이상의 신호만이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이에따라 에미터 저항(R6)에는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 전류(Ie2)와 제3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전류(Ie3)가 합해진 전류(IE)가 흐른다. 상기 합해진 전류(IE)는 하기한(1)식과 같이 일정한 값(K)을 가신다.
IE=Ie2+Ie3=K……(1)
그러므로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전류가 줄어들고 부하저항(R7)의 전압강하가 줄어들게 되어 제4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 전류가 증가해서 상기 제4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전류가 변화하여 에미터저항(R9)의 전압강화량은 증가한다.
결론적으로 신호추출 및 증폭부(200)는 제3도의 (3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휘도신호(Y) 중 상기 제1가변저항(VR1)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레벨이상이 되는 신호만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출하여 상기 제4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신호추출 및 증폭부(200)에서 출력된 신호는 전압플로워용 제1연산증폭기(10)를 거친 후 저항(R10)과 콘덴서(C3)에서 적분되어 제3도의 (3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평균치 신호로 만들어진다. 상기 평균치 신호는 두 저항(R11, R12)에 의해 바이어스가 걸리고 궤환저항(R13)을 갖는 제2연산증폭기(20)의 비반전단자(+)에 가해져 일정한 크기로 증폭된 후 제2가변저항(VR2)과 저항(R14)에 의해 전압분배된다.
이상의 동작 과정을 통해 과대광량을 검출하여 적절한 처리를 한 다음에는 이를 이용하여 현상태에서 바로 오토화이트 밸런스 기능 실시 가능한지 아니면 조리개를 닫아 광량을 좀 줄여준 다음 상기 오토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실시해야 하는지 결정하여야 한다.
즉 상기 제2가변저항(VR2)과 저항(R14)로 분배된 평균치신호의 일부를 비교기(30)의 반전단자(-)를 통해 입력한다. 상기 비교기(30)에서는 상기 평균치신호를 두 저항(R15, R16)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게 되는데, 만약 상기 평균치신호가 클 때는 먼저 광량을 줄여준 다음 오토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이때 상기 비교기(30)의 출력이 로우 상태가 되고 이를 반전시키는 제1낸드게이트(G1)의 출력은 하이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제1낸드게이트(G1)과 제1스위치(SW1)의 단자(b) 및 (a)를 통해서 출력되는 신호(AWCSO)는 하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마이컴(M)은 오토화이트 밸런스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카메라의 경우를 표준으로 선정하여 오토화이트 밸런스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카메라의 경우를 표준으로 선정하여 오토화이트 밸런스 동작이 상기 오토화이트 밸런스가 통상 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로 떨어지게 될 때 실시된다고 가정한다.
상기와 같이 광량을 검출한 결과가 지나친 과대 광량으로 판명되어 그 상태에서는 오토화이트 밸런스 동작이 진행될 수 없을 때는 조리개 제어신호(IRIS)를 발생하여 조리개 구동회로(B)를 적절히 동작시킴으로써 광량을 조절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2가변 저항(VR2)과 저항(R14)에 의해 분배된 전압을 제3가변저항(VR3)을 통해 제5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제3가변저항(VR3)은 상기 제5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 전류를 가변적으로 설정하여 저항(R18)을 거쳐 출력되는 조리개제어신호(IRIS)의 출력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과대 광량분을 규정 레벨 수준에 도달하도록 조리개를 제어하게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리개제어신호(IRIS)가 커지면 조리개가 닫혀지도록 설계되어져 있어 실제 적용시 기존회로의 구성과 결합관계를 고혀해 볼 필요가 있다. 만약 상기 조리개제어신호(IRIS)가 커질때 상기 조리개가 열리도록 구성된 카메라 회로라면 상기 제5트랜지스터(Q5)의 구성을 에미터 접지로 하면 된다.
또한 과대광량이 검출되지 않을 정도로 조리개를 자동으로 닫는데 소요되는 시간 동안은 오토화이트 밸런스 신호가 로우상태로 되지 않도록 지연시키기 위해 제2멀티바이브레이터(MV2)가 사용된다.
제1멀티바이브레이터(MV1)비반전 출력이 상기 제2멀티바이브레이터(MV2)에 입력되는데 상기 제2멀티 바이브레이터(MV2)의 입력은 하강 펄스에서 트리거가 걸리도록 한다.
상기 제2멀티바이브레이터(MV2) 출력은 제2낸드게이트(G2)의 한 입력단으로 인가된다. 그런데 상기 제2낸드게이트(G2)의 다른 입력단에는 제1인버터(INV1)에 의해 비교기(30)의 출력이 반전되어 가해진다. 그래서 조리개가 점차 닫히던 중 과대 광량이 기준레벨 이하로 되어 상기 비교기(30)의 출력이 로우 상태로 되는 순간 상기 제2낸드게이트(G2)는 제1인버터(INV1)를 통해 하이상태로 반전된 신호를 입력하게 되어 입력 상태에 따른 낸드게이트의 출력 특성상 상기 제2멀티바이브레이터(MV2)의 반전출력단()으로 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그대로 오토화이트 밸런스신호(AWCSO)로 출력한다.
평균화 및 증폭부(300)의 콘덴서(C5)는 상기 조리개가 동작하게 되면 비교기(30)의 출력이 바로 하이상태로 반전되는 것을 막아 짧은 순간이지만 로우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2멀티바이브레이터(MV2)의 출력이 상기 제2낸드게이트(G2)를 통과하여 오토화이트 밸런스 트리거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그러나 광량이 설정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비교기(30)의 출력은 하이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오토화이트 밸런스 신호(AWCSI)가 제2인버터(INV2)에서 반전되어 하이 상태로 상기 제1낸드게이트(G1)의 한 입력단으로 인가된다. 두 입력을 갖는 낸드게이트의 출력은 통상적으로 한 입력이 하이상태일 경우 다른 입력에 의해 결정된다. 즉 다른 입력의 상태가 곧 출력의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입력 상태에 따르 낸드게이트 출력특성에 의거 상기 제1낸드게이트(G1)는 다른 단자로 입력되는 로우 상태의 오토화이트 밸런스 신호에 의해 로우 상태의 출력을 발생하여 상기 제1선택스위치(SW1)를 통해 오토화이트 밸런스 신호(AWCSO)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1및 제2스위치(SW1, SW2)는 연동하며 본 고안의 회로를 동작시킬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절환용 스위치이다. 즉 상기 제1및 제2스위치(SW1, SW2)의 단자 접속상태를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a)-(b) 접속상태에서 (a)-(c)접속상태로 절환하면 오토화이트 밸런스 신호(AWCSI)가 출(AWCSO)으로 그대로 연결되고 상기 제2스위치(SW2)에 의해 제1멀티바이브레이터(MV1)의 트리거 입력은 차단되므로 공급전원이 차단되어 본 실시예의 회로가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특별한 이유로 종래의 방식에 의한 자동배색 조절을 원할 경우를 위한 것이다.
한편 전원 공급 절환용 제1트랜지스터(Q1)는 두 저항(R1, R2)에 의해 바이어스가 설정되어 있으나 상기 제1멀티바이브레이터(MV1)의 반전 출력단자()는 통상 하이 상태이므로 상기 제1트랜지스터(Q1)는 오프 상태로 되어 신호추출 및 증폭부(200)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비동작시 절전효과를 얻고 있는데, 만약 오토화이트 밸런스 스위치(SW)가 눌러져 오토화이트 밸런스 신호(AWCSI)가 통상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 제1멀티바이브레이터(MV1)의 반전 출력은 콘덴서(C1)와 저항(R3)에 의해 정해진 시정수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로우 상태에 머물게 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1)는 온 상태가 되어 상기 신호추출 및 증폭부(20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어 회로가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오토화이트 밸런스 스위치(SW)가 온되는 경우 본 고안의 회로동작은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제1및 제2스위치(SW1, SW2)를 (a)-(c)단자가 접속되는 상태로 하여 본 고안의 회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와, 신호추출 및 증폭부(200)와 평균화 및 증폭부(300)를 통해 검출한 광량신호를 기준레벨과 비교하여 기준레벨 이상이면 그 상태로는 오토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실시할 수 없으므로 조리개 제어신호(IRIS)에 의해 조리개가 점차 닫혀져 검출되는 광량이 줄어들다가 마침내 광량이 기준레벨 이하로 검출되는 순간 제2멀티바이브레이터(MV2)에서 그동안 지연되고 있던 오토화이트 밸런스 신호(AWCSI)로써 제2낸드게이트(G2)에서 오토화이트 밸런스신호(AWCSO)를 발생하는 경우와, 상기 과대광량 신호가 기준레벨 이하이면 오토화이트 밸런스 스위치(SW)로 부터 바로 제1낸드게이트(G1)를 통해 오토화이트 밸런스신호(AWCSO)를 발생하는 경우이다.
여기서 상기 오토화이트 밸런스 신호(AWCSO)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토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본 실시예에서는 마이컴(M)으로 가정함.)의 입력단자로 인가되어 그 동작을 인에이블(enable)시키기 위한 신호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오토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인에이블 시키기 위해서는 오토화이트 밸런스 스위치(SW)외에도 크게 세가지 수단이 필요하다.
즉, 영상신호로 부터 소정 설정 레벨 이상의 휘도신호만 추출해서 평균화하여 광량신호를 검출하는 광량검출수단이 필요한데, 이 수단은 전술한 제2도의 구성 설명 중 신호 추출 및 증폭부(200)와 평균화 및 증폭부(300)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광량 검출 수단에서 상기 평균화된 광량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량신호의 양만큼 조리개를 닫도록 하기 위한 조리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조리개 제어 수단이 필요한데, 이 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예는 제2도의 조리개 제어신호 발생부(500)에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평균화된 광량 신호를 기준레벨과 비교하여 기준레벨 이하이면 상기 오토화이트 밸런스 스위치(SW) 입력에 의한 오토화이트 밸런스 동작을 인에이블 시키고 기준레벨 이상이면 그후로 상기 조리개 제어신호에 의해 조리개가 닫힘으로써 검출되는 광량 신호가 기준레벨 이하로 되는 순간에 상기 오토화이트 밸런스 스위치(SW) 입력에 의한 오토화이트 밸런스 동작을 인에블시키는 인에이블 수단이 필요한데, 이 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예는 제2도의 오토화이트 밸런스 신호 발생부(400)에 나타내고 있다.
한편 제2도중 전원 공급제어부(100)는 상기 세 수단중 어느 수단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은데, 이는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100)는 부가적인 회로이며 본 고안의 목적 달성에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토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인에블시키기 전 흰색 피사체에 정규 레벨 이상의 과대 광량이 검출되는지 체크하여 그 과대치 만큼 조리개를 자동으로 닫아주어 정규레벨이 되었을지 오토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인에이블 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오토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오토화이트 밸런스 세트 스위치(SW) 입력에 오토화이트 밸런스 동작을 인에이블 시키는 칼러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영상 신호로 부터 소정 설정 레벨 이상의 휘도신호만 추출해서 평균화하여 광량신호를 검출하는 광량 검출 수단과, 상기 평균화된 광량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광량신호의 양 만틈 조리개를 닫도록 하기 위한 조리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조리개 제어 수단과, 상기 평균화된 광량 신호를 기준레벨과 비교하여 기준 레벨 이하이면 상기 오토하이트 밸런스 스위치 입력에 의한 오토화이트 밸런스 동작을 인에이블 시키고 기준레벨 이상이면 그후로 상기 조리개 제어 신호에 의해 조리개가 닫힘으로써 검출되는 광량 신호가 기준레벨 이하로 되는 순간에 상기 오토화이트 밸런스 스위치 입력에 의한 오토화이트 밸런스 동작을 인에이블 시키는 인에이블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화이트 밸런스 최적화 회로.
KR2019890013541U 1989-09-12 1989-09-12 오토 화이트 밸런스 인에이블 회로 KR9200079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541U KR920007905Y1 (ko) 1989-09-12 1989-09-12 오토 화이트 밸런스 인에이블 회로
NL9000547A NL194189C (nl) 1989-09-12 1990-03-09 Irisstuurketen.
JP1990024399U JP2533252Y2 (ja) 1989-09-12 1990-03-09 オート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回路
US07/491,520 US5132805A (en) 1989-09-12 1990-03-12 Iris driving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541U KR920007905Y1 (ko) 1989-09-12 1989-09-12 오토 화이트 밸런스 인에이블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555U KR910006555U (ko) 1991-04-25
KR920007905Y1 true KR920007905Y1 (ko) 1992-10-22

Family

ID=1929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3541U KR920007905Y1 (ko) 1989-09-12 1989-09-12 오토 화이트 밸런스 인에이블 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32805A (ko)
JP (1) JP2533252Y2 (ko)
KR (1) KR920007905Y1 (ko)
NL (1) NL19418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2233B2 (en) * 1992-07-23 2005-10-04 Canon Kabushiki Kaisha Video camera having a material element for controlling light transmission
JP2005256195A (ja) * 2004-03-10 2005-09-22 Shinko Tombo Boshi Kk 帽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713338A (ko) * 1967-09-30 1969-04-01
JPS56140789A (en) * 1980-04-03 1981-11-04 Sony Corp Color balance control circuit
JPS5797284A (en) * 1980-12-08 1982-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utomatic white balance adjuster for color television camera
JPS58123287A (ja) * 1982-01-16 1983-07-22 Minolta Camera Co Ltd 自動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US4495520A (en) * 1982-04-09 1985-01-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Television camera video level control system
JPS5981992A (ja) * 1982-11-02 1984-05-11 Canon Inc カラ−撮像装置
JPS6132687A (ja) * 1984-07-24 1986-02-15 Canon Inc 撮像装置
JPS61295536A (ja) * 1985-06-25 1986-12-26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ント画像の記録方法
JPH0822030B2 (ja) * 1985-07-10 1996-03-04 旭精密株式会社 テレビカメラ用レンズの自動絞り制御装置
JPH07118786B2 (ja) * 1985-11-08 1995-12-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撮像装置
JPS62175090A (ja) * 1986-01-29 1987-07-31 Hitachi Ltd カラ−ビデオカメラ
JP2539488B2 (ja) * 1988-06-03 1996-10-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33252Y2 (ja) 1997-04-23
JPH0344976U (ko) 1991-04-25
NL194189C (nl) 2001-08-03
NL9000547A (nl) 1991-04-02
KR910006555U (ko) 1991-04-25
US5132805A (en) 1992-07-21
NL194189B (nl) 200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1849A (en) Plural operating mode ambient light responsive television picture control
US4638365A (en) Image sensing device
KR920007905Y1 (ko) 오토 화이트 밸런스 인에이블 회로
DK163856B (da) Manuelt forstaerkningsforindstilleligt drivtrin i et automatisk billedroersforspaendingsstyringsanlaeg til billedroer
JPH0586706B2 (ko)
JP3522345B2 (ja) ホットスタートフラッシュを防止するakb装置
US4037237A (en) Exposure control apparatus
JP2526202B2 (ja) カラ−ビデオカメラ
KR890000780B1 (ko) 비데오 카메라의 자동조리개 조절방법
KR930003241Y1 (ko) 자동 역광 보정회로
JPH0422044B2 (ko)
KR930003393Y1 (ko) 자동이득 조정기 제어회로
KR910003760Y1 (ko) 광량 비교 검출에 의한 노이즈 감쇄 회로
JPS5866406A (ja) 利得制御装置
JPH083108Y2 (ja) カラー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調整回路
JP3353306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オートブライトネスリミッタ回路
JPH03207175A (ja) 撮像装置のオートアイリス制御回路
KR930002367Y1 (ko) 역광 보정 회로
KR920004228Y1 (ko) 카메라의 역광 보정회로
KR930003242Y1 (ko) 역광보정 모드 자동 선택회로
KR900004347Y1 (ko) 모니터의 라인 상관 검출 회로
JPH0744134Y2 (ja) ブラックストレッチ回路
KR850000566B1 (ko) 텔레비젼의 화상 조정 회로
KR940005291Y1 (ko) 캠코더의 조리개 발진 제거장치
JPH02250488A (ja) 白検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