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760Y1 - 광량 비교 검출에 의한 노이즈 감쇄 회로 - Google Patents

광량 비교 검출에 의한 노이즈 감쇄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760Y1
KR910003760Y1 KR2019880003132U KR880003132U KR910003760Y1 KR 910003760 Y1 KR910003760 Y1 KR 910003760Y1 KR 2019880003132 U KR2019880003132 U KR 2019880003132U KR 880003132 U KR880003132 U KR 880003132U KR 910003760 Y1 KR910003760 Y1 KR 910003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transistor
resistor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3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0262U (ko
Inventor
정민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3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760Y1/ko
Publication of KR8900202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02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7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6Circuitry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signal; Circuitry for preservation of black or white level
    • H04N5/18Circuitry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signal; Circuitry for preservation of black or white level by means of "clamp" circuit operated by switching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량 비교 검출에 의한 노이즈 감쇄 회로
본 고안의 실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증폭부 2 : 버퍼부
3 : 광량비교검출회로 4 : 스위칭부
5 : 버스트프래그 입력부 6 : 칼라트랩
7 : 믹서 OP1: OP앰프
R1-R22: 저항 Q1-Q7: 트랜지스터
C1-C5: 콘덴서 VR1, VR2: 가변저항
본 고안은 비디오 카메라에서 일정 조도 이하일 때 화면에 나타나는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안정화시킬 수 있는 광량 비교검출에 의한 노이즈 감쇄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디오 카메라에서 광량부족일 경우에는 자동이득 조절회로(AGC)를 구동시켜 이득을 증가시켰기 때문에 휘도신호(Y)에 혼입된 칼라신호 성분의 노이즈도 커지게 되는 원인이 되어 자동이득 조절 구동시 칼라 성분이 제거되도록 하였으나 다음과 같은 단점이 발생되는 것이 있다.
(1) 칼라 트랩이 자동이득조절회로 구동시에만 작동될 뿐만 아니라 비교전압이 고정되어 있어 기준광량을 조정할 수가 없다.
(2) 비교회로가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지므로 정확한 광량비교가 힘들고 신호중에 강한 피크치가 혼입되면 비교되는 직류레벨이 급격히 상승되어 정확하고 안정된 신호 검출에 의한 제어가 어렵다.
(3) 종래에는 이 회로를 휘도신호에 응용하였기 때문에 프로세서 주변회로가 칼라고주파 트랩에 의해 발진이 일어나기 쉬운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력임피던스가 큰 OP앰프로 광량비교회로를 구성한 후 일정광량 이하에서의 복합영상신호를 정확하게 비교검출하여 칼라 성분이 노이즈로 작용할 때에 자동적으로 검출, 제거시켜 화면의 상태를 안정화 시킬 수 있는 광량 비교검출에 의한 노이즈 감쇄 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합영상신호를 증폭 및 통과시키는 버퍼부와, 클램프펄스 및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에 연결되어 칼라트랩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칭 수단과, 버퍼부 및 버스트 입력회로에 서로 연결되어 복합 영상신호 및 버스트 신호를 합성시키는 믹서로 구성시켜 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휘도신호(Y) 및 칼라신호(C)가 합성된 복합영상 신호는 입력단자(P1)를 통하여 믹서(7)에 인가되게 구성시키되 증폭부(1)는 저항(R2-R5)에 연결된 증폭용 트랜지스터(Q1)와, 저항(R6-R8)에 연결된 버퍼용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되게 한다.
그리고 증폭부(1)에 연결되는 버퍼부(2)는 버퍼용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측에 칼라트랩(6)를 연결구성시켜 스위칭부(4)의 출력에 따라 제어되게 구성한다.
또한 클램프펄스가 인가되는 입력단자(P2)에는 콘덴서(C1)(C2) 및 저항(R11)(R12)을 통하여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4)와 연결되게 구성한 후 저항(R13) 및 콘덴서(C3)로 구성된 적분회로를 통하여 OP앰프(OP1)의 비반전단자(+)와 연결되게 구성시키고 OP앰프(OP1)의 반전단자(-)에는 저항(R14) 및 가변저항(VR1)을 통하여 기준전압이 인가되게 광량비교검출회로(3)를 구성시킨다.
여기서 비반전단자(+)의 크기는 입사되는 광량에 따라 변하게 된다.
광량비교검출회로(3)와 연결된 스위칭부(4)는 칼라트랩(6)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OP앰프(OP1)의 출력을 받아 구동되는 PNP 트랜지스터(Q5)와, 저항(R15-R19), 트랜지스터(Q5)에 따라 구동되는 트랜지스터(Q6)로 구성시켜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측이 「L 레벨」시 칼라트랩(6)이 구동되게 구성한다.
또한 버스트 프래그(Burst flag)신호가 입력되는 버스트프래그 입력부(5)는 저항(R20-R22), 가변저항(VR2)을 통하여 버퍼용트랜지스터(Q7)가 연결되게 구성시킨 후 버퍼부(2)에 연결된 믹서(7)와 연결되게 구성시켜 복합영상 신호 및 버스트 신호가 합성된 비디오 시그널이 출력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입력단자(P1)에 인가되는 복합영상신호(휘도+색신호)는 트랜지스터(Q1)에서 증폭되는 것으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는 전원(Vcc)이 저항(R3)(R4)에 의하여 분배되어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될 수 있는 바이어스 전원을 공급하고 있어 에미터측에 인가되는 복합영상신호에 따라 반전증폭된 상태 신호가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으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반전 증폭된 상태 신호는 버퍼용 트랜지스터(Q2)와, 버퍼부(2)의 트랜지스터(Q3)를 통하여 믹서부(7)에서 버스트플래그(Burst flag)와 합성된 복합영상신호가 비디오 시그널로써 출력하게 된다.
이때 광량 비교검출회로(3)에 인가되는 복합영상신호는 적정한 직류레벨을 설정시키기 위하여 저항(R13) 및 콘덴서(C3)로 구성되는 적분회로를 통하여 OP앰프(OP1)의 비반전 단자(+)에 입력되고 OP앰프의 반전단자(-)에는 저항(R14) 및 가변저항(VR1)을 통한 전원(Vcc)이 비교가 되는 기준레벨 신호로써 인가되어 있는 입력단자(P2)에 공급되는 클램프 펄스가 입력될 때마다 저항(R11)(R12)에 의하여 분배된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측 전위가 스위칭되면서 콘덴서(C1)에 충전되어 직류레벨을 상승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입사되는 광량이 높은 경우 클램프 신호 및 저항(R13), 콘덴서(C3)에 의하여 적분된 직류전압이 비반전단자(+)에 인가되어 OP앰프(OP1)의 반전단자(-)에 공급되는 기준전압보다 높게 되므로 OP앰프(OP1)의 「H 레벨」의 출력 신호가 PNP 트랜지스터(Q5)를 차단시키게 된다.
트랜지스터(Q5)가 차단상태로 유지되면 트랜지스터(Q6)에 베이스 바이어스 전원을 공급할 수 없어 트랜지스터(Q6)도 차단상태가 유지되므로 칼라트랩(6)이 작동되지 않아 휘도 및 칼라 신호가 합성된 복합영상신호는 트랜지스터(Q1-Q3)를 통하여 출력하게 되며 이때 저항(R22), 가변저항(VR2)에 의하여 조정된 버스트프래그(Burst flag)신호는 버퍼용 트랜지스터(Q7)을 통하여 믹서부(7)에 인가되므로 복합영상신호와 혼합되어 비디오 시그널로 출력하게 된다.
만약 입사광량이 적다면 클램프 신호 및 적분된 직류 레벨이 OP앰프(OP1)의 반전단자(-)에 인가되는 기준레벨보다 적게 되므로 OP앰프(OP1)의 「L 레벨」상태 신호의 출력으로 PNP 트랜지스터(Q5)를 턴온시키게 되어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측에 바이어스 전원을 공급시켜 트랜지스터(Q6)를 턴온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스위칭트랜지스터(Q5)(Q6)가 스위칭되면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측이 「L 레벨」상태가 되어 칼라트랩(7)에 인가되므로 칼라트랩이 구동되어 칼라신호를 제거시키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3)에는 복합영상신호중 휘도신호(Y)만 출력되어 저조도에서 깨끗한 화상을 얻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복합영상신호가 증폭되어 공급될 때에 광량비교검출부에서 클램프 펄스의 크기에 따라 입력되는 광량을 비교하여 고조도에서는 칼라 트랩이 동작되지 않고 버스트 신호와 합성 출력된 비디오 시그널을 출력시키며 저조도에서는 스위칭부에서 칼라트랩이 동작되게 하여 칼라신호를 제거시킨 휘도 성분이 버스트 신호와 합성되어 비디오 시그널로 출력되므로 칼라 성분에 포함된 노이즈가 증폭되어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가 있는 것으로 폐쇄회로 카메라의 광량 부족시나 모든 비디오 카메라에서 화면을 안정화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복합영상신호를 증폭 및 통과시키는 버퍼부(2)와, 클램프 펄스 및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광량비교 검출회로(3)와, 상기 비교 검출회로에 연결되어 칼라트랩(6)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칭부(4)와, 버퍼부(2) 및 버스트 입력회로(5)에 서로 연결되어 복합영상신호 및 버스트 신호를 합성시키는 믹서(7)로 구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비교검출에 의한 노이즈 감쇄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클램프 펄스 및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수단을 광량비교검출회로(3)로 구성시키되 클램프 펄스가 인가되는 트랜지스터(Q4)에 저항(R10-R12) 및 콘덴서(C1)(C2)가 연결되게 구성시킨 후 적분 회로를 통하여 OP앰프(OP1)의 비반전단자(+)에 연결되게 구성시키고 반전단자(-)에 저항(R14) 및 가변저항(VR1)을 연결시켜 기준전압이 공급되게 구성시킨 광량비교 검출에 의한 노이즈 감쇄 회로.
KR2019880003132U 1988-03-08 1988-03-08 광량 비교 검출에 의한 노이즈 감쇄 회로 KR910003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132U KR910003760Y1 (ko) 1988-03-08 1988-03-08 광량 비교 검출에 의한 노이즈 감쇄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132U KR910003760Y1 (ko) 1988-03-08 1988-03-08 광량 비교 검출에 의한 노이즈 감쇄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262U KR890020262U (ko) 1989-10-05
KR910003760Y1 true KR910003760Y1 (ko) 1991-06-01

Family

ID=19273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3132U KR910003760Y1 (ko) 1988-03-08 1988-03-08 광량 비교 검출에 의한 노이즈 감쇄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7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262U (ko)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8365A (en) Image sensing device
KR910003760Y1 (ko) 광량 비교 검출에 의한 노이즈 감쇄 회로
US5148281A (en) Iris stabilizer for automatic video camera
KR900004966B1 (ko) 컬러비데오카메라의 화이트밸런스 보정장치
KR890000780B1 (ko) 비데오 카메라의 자동조리개 조절방법
KR900004346Y1 (ko) 최대값 신호의 비교 검출 합성회로
JP2537928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装置
KR920007905Y1 (ko) 오토 화이트 밸런스 인에이블 회로
JPS5926697Y2 (ja) テレビレンズ用サ−ボ増幅回路
KR0140690B1 (ko) 스포트 라이트 제한회로
JPH05207356A (ja) 画面振れ検出回路
JPS623957Y2 (ko)
KR910005011Y1 (ko) 텔레비젼의 티브이/비디오 모우드절환시 노이즈제거회로
KR930003393Y1 (ko) 자동이득 조정기 제어회로
KR950000413Y1 (ko) Ccd 자동조리개 구동회로
JP2513849Y2 (ja) ビデオカメラ
KR940002756Y1 (ko) 스켈치 회로
KR890003891Y1 (ko) Vtr 레코딩 모드에서 자동주파수 영역을 벗어난 오디오신호의 뮤팅 회로
GB2221594A (en) Iris control circuit of a video camera
KR890004417Y1 (ko) 블랙 셰이딩(black shading)에서 흑 세트회로
KR910005235Y1 (ko)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감도 조절 제어회로
JPS6134792Y2 (ko)
KR910005231Y1 (ko) Tv영상 신호의 입출력 레벨 등화 회로
KR920003404Y1 (ko) 멀티 방식의 칼라 트랩 스위칭회로
JPS632749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