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730B1 - 유전체 자기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전체 자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730B1
KR920006730B1 KR1019880011226A KR880011226A KR920006730B1 KR 920006730 B1 KR920006730 B1 KR 920006730B1 KR 1019880011226 A KR1019880011226 A KR 1019880011226A KR 880011226 A KR880011226 A KR 880011226A KR 920006730 B1 KR920006730 B1 KR 920006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bo
added
zno
di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930A (ko
Inventor
융 박
송인엽
최치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1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730B1/ko
Publication of KR900003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7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유전체 자기 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유전체 자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전체 자기 조성물은 안정된 온도특성을 가지고 동시에 1100℃ 이하의 저온에서 소결이 가능하므로 7Ag-3Pd의 내부전극을 사용할 수 있는 적층형 자기 콘덴서의 유전체로서 이용될 수 있다.
종래 EIA(Electronic Industry Association)의 X7R의 온도특성을 가진 자기 조성물은 BaTiO3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Bi2O3, Nb2O5 및 희토류 산화물이 첨가된 유전체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조성을 가지는 유전체 자기 조성물은 통상 1140∼1200℃의 비교적 고온에서 소결되기 때문에 적층 자기 콘덴서 재료로서 이것들을 사용하면, Ag-Pd의 내부전극중의 Pd가 산화 비스무스(Bi2O3)와 반응하여 자기 콘덴서의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1100℃ 이하에서 소결 가능한 재료 개발이 요망되어져 왔다.
일본공고 60-18087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응하기 위해서 1100℃에서 소결 가능한 조성을 제시하였으나 소결성이 좋지 못하고 절연저항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특허 47,540,676에서는 1140℃ 정도에서 소결 가능한 조성을 제시하였으나, 소성분위기 및 소성온도에 따른 유전을 편차가 심하며 충분한 수축율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절연저항 및 기계적 강도가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1100℃ 이하 소결이 가능함과 동시에 유전손실 계수와 온도특성, 소결성 및 절연저항이 우수한 자기 유전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BaTiO3, Bi2O3, TiO2, 희토류계 산화물(CeO2등), PbO, Nb2O5, MnO2로 이루어진 주성분에 첨가제로써 전체 중량의 0.05∼2.0중량%의 B2O3및 ZnO를 혼합, 소성해서 이루어진 자기 유전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Bi2O3와 PbO은 1200℃ 미만의 저온소결을 가능하게 하며, TiO2와 Nb2O3는 결정립 성장을 제한 한다.
또한 CeO2는 저온부(℃미만)에서 안정된 온도특성을 PbO 및 Bi2O3는 고온부에서 평탄한 온도특성을 부여한다. 여기에, 첨가제 ZnO 및 B2O3를 첨가하여 Bi2O3와 PbO의 용해온도를 낮춤으로써 1100℃ 이하의 소결을 가능케 하였다.
좀더 상세한 본 발명의 유전체 자기 조성물은 BaTiO3가 75.0∼90.0wt%, Bi2O3가 5.0∼11.0wt%, TiO2가 0.5∼5.0wt%, 희토류계 산화물이 0.4∼3.8wt%, PbO가 0.4∼7.0wt%, Nb2O3가 0.3∼2.5wt%, MnO2가 0∼0.5wt%이고, 첨가제는 B2O3+ZnO가 0.05∼2.0wt%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성에서 Bi2O3와 TiO2가 상기 조성범위 이하일 경우에는 소결성이 저하되고, 이상에서는 낮은 유전율을 보인다.
희토류계 산화물(La2O3, Nd2O3, Y2O3, CeO2)등은 상기 조성에서 벗어날 경우에는 유전율이 2000 이하로 저하된다.
PbO는 0.4wt% 이하에서는 유전율이 저하되고 7.0wt% 이상에서는 소결성 및 온도특성이 나빠진다.
Nb2O6는 0.3wt% 이하에서는 소결성 및 온도특성이 나쁘며, 2.5wt% 이상에서는 유전율이 저하한다.
한편 MnO2는 0.5wt% 미만에서 절연저항을 향상시킨다.
B2O3와 ZnO 양자의 합이 2.0wt% 이상의 범위에서는 후술의 비교예에서 알 수 있듯이 유전율은 높으나, 온도특성 및 절연저항이 저하된다.
또한, 첨가제 B2O3와 ZnO를 전혀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는 1100℃ 이하 소성시 충분한 소결밀도를 갖지 못한다.
이상과 같은 조성을 가진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첫째 ; 유전상수가 25℃에서 2300 이상이며, -55℃∼125℃의 온도범위에서 유전율의 온도특성이 ±30% 이하의 특성을 가짐으로 안정한 온도특성의 적층 자기 콘덴서의 제조가 가능하며.
둘째 ; 유전손실 계수가 사용온도 구간에서 2% 미만이고.
셋째 ; 1100℃ 이하에서 소결가능하므로 내부 Pd 전극과 Bi2O3(산화비스무산)의 반응을 억제할 수 있고, 제조원가를 낮출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
출발원료로서 순도 99.5% 이상의 순도를 가지는 BaTiO3, Bi2O3, TiO3, CeO2, PbO, Nb2O2, MnO2, ZnO, B2O3의 분말 형태로 준비한 후, 표1에 표시된 조성물이 얻어지도록 평량한다. 평량된 분말을 Nylon Pot에서 Zirconia Ball로 습식 혼합하였다. 그 후 지름 12mm, 두께 1mm로 1ton/cm2의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고, 성형된 원판을 1050℃∼1150℃에서 1∼2시간 소결한 후 Ag 전극을 도포하여 600∼700℃에서 은소부 한다음 이것들의 유전상수(K) 및 유전손실 계수(tanδ)를 LCR Meter를 사용하여 1KHz 25℃에서 측정하였으며, 온도특성은 -55℃∼125℃의 온도 범위에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기재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1

Claims (3)

  1. BaTiO3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전체 자기 조성물에 있어서, Bi2O3, Nb2O5, 희토류계 산화물, TiO2, PbO, MnO2가 미량 첨가되고 첨가제로써 B2O3및 ZnO의 혼합물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자기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미량원소 Bi2O3는 5.0∼11wt%, Nb2O50.3∼2.5wt%, 희토류 산호물 0.4∼3.8wt%, TiO20.5∼5.0wt%, PbO 0.4∼7.0wt%, MnO2는 0∼0.5wt%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자기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첨가제 B2O3및 ZnO의 혼합물은 0.05∼2.0wt%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자기 조성물.
KR1019880011226A 1988-08-31 1988-08-31 유전체 자기 조성물 KR920006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1226A KR920006730B1 (ko) 1988-08-31 1988-08-31 유전체 자기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1226A KR920006730B1 (ko) 1988-08-31 1988-08-31 유전체 자기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930A KR900003930A (ko) 1990-03-27
KR920006730B1 true KR920006730B1 (ko) 1992-08-17

Family

ID=1927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226A KR920006730B1 (ko) 1988-08-31 1988-08-31 유전체 자기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7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930A (ko) 1990-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57653B1 (en) High dielectric constant ceramic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0737655B1 (en) Non-reduced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s
JP2978580B2 (ja) 高誘電率誘電体磁器組成物
US4721692A (en)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
JP4182479B2 (ja) 誘電体磁器組成物、及びセラミック電子部品
KR920006730B1 (ko) 유전체 자기 조성물
US5861350A (en)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
JPH058524B2 (ko)
KR100241806B1 (ko)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US20050020433A1 (en)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 and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JPH0676627A (ja) 誘電体磁器組成物
JP2666265B2 (ja) TiO2を主たる成分とする誘電体セラミクスに用いられる焼結助剤
JP3064518B2 (ja) 誘電体磁器組成物
JPH0118522B2 (ko)
KR920006729B1 (ko) 고 유전율계 세라믹 조성물
JP2666262B2 (ja) TiO2を主たる成分とする誘電体セラミクスに用いられる焼結助剤
KR970003342B1 (ko) 유전체 자기조성물
KR920006731B1 (ko) 유전체 자기조성물
JPH0571538B2 (ko)
KR970003343B1 (ko) 유전체 자기조성물
JP2621478B2 (ja) 高誘電率磁器組成物
JP2666263B2 (ja) TiO2を主たる成分とする誘電体セラミクスに用いられる焼結助剤
KR930006571B1 (ko) 세라믹 콘텐서용 유전체 조성물
KR19980046582A (ko)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
JP3333017B2 (ja) 温度補償用誘電体磁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