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640B1 - 콤팩트디스크 플래이어의 선곡 방법 - Google Patents

콤팩트디스크 플래이어의 선곡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640B1
KR920006640B1 KR1019900005246A KR900005246A KR920006640B1 KR 920006640 B1 KR920006640 B1 KR 920006640B1 KR 1019900005246 A KR1019900005246 A KR 1019900005246A KR 900005246 A KR900005246 A KR 900005246A KR 920006640 B1 KR920006640 B1 KR 920006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current position
amin
tno
tra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039A (ko
Inventor
정정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05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640B1/ko
Publication of KR910019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 plurality of record carriers or indexed parts, e.g. tracks, thereof, e.g. f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Landscapes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Moving Of Head For Track Selection And Chang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콤팩트디스크 플래이어의 선곡 방법
제1도는 서브코딩의 블럭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
제4도는 제3도중 목표 블럭번호 탐색 흐름도
제5도는 제3도중 목표 Amin탐색 흐름도
제6도는 제3도중 목표 TNO탐색 흐름도
제7도는 제3도중 목표 TOP탐색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스크 12 : 픽업장치
14 : RF증폭기 16 : 신호처리부
18 : 서보부 20 : 제어부
22 : 슬레드 구동부 24 : 회전 모터 구동부
26 : 디스크 회전모터 28 : 액츄에이터 구동부
본 발명은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Compact Disc : 이하 CDP라 칭항)의 선곡방법에 관한것으로, 특히 CDP에 있어서 디스크 전체를 서로 물리적인 트랙(Track)의 수가 비슷하게 되도록 소정수의 블럭으로 구분하여 디스크에 기록된 곡중 소망하는 곡을 탐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광기록 재생장치증의 하나로서 CDP가 있으며, 상기 CDP는 통상적으로 디스크에 기록된 8비트(Bit)의 서브코딩(Sub Coding)을 검출하여 기록된 곡을 소정의 순서에 따라 자동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서브코딩은 1프레임(Frame)마다 8비트의 데이타로써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으며, 각각 1프레임마다 1비트씩의 P,Q,R,S,T,U,V,W채널이 붙어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P,Q재널의 2비트는 곡의 서두나 새로 설정된 순서에 따라 재생하는 프로그램(Program)기능을 가지게 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R,S,T,U,V,W채널의 6비트는 디스플레이(Display)등 이제까지의 아나로그 방식 LP(LongPlay)에서는 불가능했던 각종 재미있는 방법이 가능하게 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 서브코딩은 제1도(a)와 같이 98개 프레임에 불어 기록되는 98x8=784 비트로 하나의 블럭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도(a)와 같이 구성되는 서브코딩중 98비트의 Q채널은 제1도(b)와 같이 구성된다. 즉, 2비트의 "S0,S1"은 서브코딩의 동기신호로 다음과 같은 패턴이다.
S0=00100000000001, S1=00000000010010
"콘트롤"에는 4비트로 표시하는데 이곳은 오디오(Audio)의 채널수, 엠퍼시스(Emphasis)의 유무등을 나타낸다. "어드레스"는 4비트로 표시되며, 세가지의 경우가 있는데, 모드1->0001, 모드2->0010, 모드3->0011이며 일반적으로 모드1로 부호화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어드레스"에 따라 "데이타"의 내용이 달라진다. "CRC(Cyclic Redundacy Code)"는 오류 검출부호이며 16비트가 주어져 있다. 또한 "어드레스"가 모드1로 부호화 되어 있는 경우에 제1도(b)의 "데이타"의 내용은 제1도(c)와 같이 구성된다. 즉, 최초의 8비트로 표시되는 TNO는 곡번호로써 몇곡째 인가를 표시하고 2 디지트(Digit)의 2진화 10진수로 나타나며 표현할 수 있는 최대값은 "99"이다. 또한 상기 TNO가 "0"이면 리드 인 트랙(Lead ln Track)"00-99"까지는 곡번호, "AA"이면 리드아웃 트랙(Lead Out Track)을 표시한다. 8비트의 인덱스(Index)는 상기TNO에서 8비트로서 표시된 한곡에 대해 더욱 분할할때 쓰여지며 역시 한곡을 99까지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덱스는 곡과 곡사이의 중지기간(Pause Time) 영역에서는 "0"이다. 각 8비트의 Rmin,Rsec,R프레임은 한곡의 몇분, 몇초, 몇프레임째 인가가 각각 2디지트의 2진화 10진수로 표시된다. 즉, 해당곡은Rnin,Rsec,R프레임이 "0"부터 시작된다.
다음의 8비트는 "0"으로 고정되어 있다. 각 8비트의 Amin,Asec,A프레임은 디스크 1대에서의 절대적인 타임코드(Time Code)로서 전체 디스크의 기록된 곡에 대하여 몇분, 몇초, 몇프레임째 인가를 표시하여, "0"은 디스크의 가장안에 있는 원둘레로서 음악이 시작되는 곡이다. 그리고 리드 인 영역에의 누계로서의 타임 코드가 들어 있는 24비트의 내용은 TOC(Table of Contents)라고 부르는 해당 디스크의 색인이 기록되어 있다. CDP는 최초로 상시 TOC의 내용을 읽을 수 있으며, Q채널에 주어진 상세한 타임코드를 사용하여 픽업(Pick UP)을 동작시키면 된다.
일반적으로 원하는 곡을 찻기 위해서는 목표 TNO에 해당하는 Amin의 차이를 계산하여 그 결과에 따라서 처음에는 많은 양의 트랙점프(Track Jump)를 하고, 점점 목표 TNO에 가까와짐에 따라 적은 양의 트랙점프를 하면서 목표 TNO를 찾는다. 따라서 선곡방식에 따라 액세스(Access) 시간이 달라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CDP의 선곡방법에 있어서, 디스크전체를 물리적인 트랙의 수가 서로 비슷하게 되도록 소정수의 블럭으로 구분하여 선곡함으로써 선곡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선곡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서브코딩의 구성도로서 상기한 바와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CDP의 일번적인 블럭 구성도로서, 디스크(10)로 부터 기록정보를 픽업 출력하는 픽업창치(12)와, 상기 픽업장치(12)의 출력을 RF증폭하는 RF 증폭기(14)와, 상기 RF 증폭기(14)의 출력을 EFM파형 정형하여 출력함과 복조처리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16)와, 상기 RF 증폭기(14)의 출력과 신호처리부(16)의 EFM파형 정형을 입력하여 트릭킹, 스커싱 및 슬레드(Sled) 서보(Servo)신호를 출력하고, 디스크 모터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서보부(18)와,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프로세서(20)와, 상기 서보부(18)의 슬레드 서보 출력을 입력하여 상기 픽업장치(12)의 슬레드 모터를 구동하는 슬레드모터 구동부(22)와, 상기 서보부(18)의 트랙킹 및 포커싱 서보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픽업장치(12)의 트랙킹 및 포커싱 액츄에이터(Actuator)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구동부(28)와, 상기 서보부(18)의 디스크모터 구동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디스크(10)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회전모터(26)를 구동하는 회진모터구동부(24)로 구성된다. 상기 제1도의 구성중 디스크(10)에 기록된 정보를 픽업장치(12)에서 픽업하여 출력하면, RF 증폭기(14)는 상기 픽업장치(12)의 출력을 RF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RF증폭된 신호는 신호처리부(16)에 입력되여, 상기 신호처리부(16)에서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 파형 정형되고 복조 처리되어 출력된다.
한편 서보부(18)는 상기 RF 증폭기(14)의 출력과 신호처리부(16)의 EFM파형 정형신호를 입력하여 트랙킹(Tracking), 포커싱(Focusing) 및 슬레드 서보신호를 출력하여 디스크모터 구동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 구동부(28)는 상기 서보부(18)의 트랙킹 및 포커싱 서보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픽업장치(12)의 트랙킹 및 포커싱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트랙킹 액츄에이터는 트래킹 서보신호에 의해 픽업을 현재의 트랙에서 외측 또는 내측으로 강제적으로 점프시킨다. 그리고 디스크회전 모터구동부(24)는 상기 서보부(18)의 디스크 모터구동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디스크(10)를 회전시킨다. 또한 슬레드 모터 구동부(22)는 상기 슬레드 서보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픽업장치의 슬레드 모터를 구동시켜 픽업장치(12)를 제2도의 화살표 방향(D)으로 이송시킨다. 즉, 연주시 트랙킹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픽업을 디스크의 편심에 추적시켜 가지만, 트랙킨 액츄에이터에는 가동범위의 제한이 있기 때문에 연주에 따라서 픽업장치(12)를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희망하는 곡을 액세스 할 경우에도 픽업장치(12)를 크게 이동시켜야 한다. 이때 슬레드 모터를 구동시켜 픽업장치(12)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한편 시스템 제어프로세서(20)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여 선곡시 상기 신호처리부(16)에서 처리되어 입력되는 각종 정보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선곡정보에 의해 상기 서보부(18)와 신호 처리부(16)를 제어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로서, 트랙점프시의 잡음을 뮤팅시키며 선곡제한 시간울 세트하고 에러(Error) 레지스터(Register)를 클리어(Clear) 시키며 픽업이 TOC영역에 있을경우 TOC영역을 빠져나와 에러여부를 확인하여 에러가 있으면 종료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서 에러가 없을시 선곡해야할 목표 TNO를 읽어 제 1 설정수(S1)와 비교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에서 목표 TNO가 제 1 설정수(S1)보다 작을 경우 목표 블럭번호 탐색 루틴을 수행하여 목표 블럭번호를 탐색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제 3 과정에서 목표 블럭번호가 탐색되면 여러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에러가 발생되었으면 종료하고 에러가 없으면 탐색된 블럭번호내에서 목표 Amin탐색 루틴을 수행하여 목표 Amin을 탐색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제 4 과정에서 목표 Amin을 찾은후 현재의 서브코딩을 읽어 목표 TNO와 일치할때 까지 트랙점프를 하여 목표 TNO를 찾는 목표 TNO 탐색 루틴을 수행하고 에러 발생여부를 확인하여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 종료하는 제 5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에서 목표 TNO가 제 1 설정수(S1)보다 클 경우 DST Amin레지스터에 제 1 설정 시간(T1)을 기억시키고 목표 TNO를 탐색하며 에러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에러가 없으면 종료하는 제 6 과정과, 상기 제 6 과정과 제 6 과정에서 에러 발생시 목표 TOP탐색 루틴을 수행하여 목표 곡의 시작점을 찾고 종료하는 제 7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도의 구성중 블럭번호는 디스크전체를 물리적인 트랙의 수가 서로 비슷하게 되도록 소정수로 나눈 블럭의 번호로서 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일예를 들면 3분,6분,10분,13분,17분,21분,26분,31분,35분,41분,46분,52분,61분의 13개 블럭으로 나눌수 있으며 선곡시 목표 TNO에 해당하는 블럭을 먼저 찾음으로써 선곡 소요시간을 즐이기 위한 것이다, 제4도는 상기 제3도증 목표 블럭번호 탐색 흐름도로서, 목표 TNO의 Amin에 해당하는 블록번호를 탐색하는 루틴(Routine)이다. 제5도는 상기 제3도중 목표 Amin탐색 흐름도로서, 블럭번호를 찾은후 목표 Amin을 탐색하는 루틴이다. 제6도는 상기 제3도중 목표 TNO탐색 흐름도로서, 목표 Amin을 찾은후 목표 TNO를 탐색하는 루틴이다. 제7도는 상기 제3도중 목표TOP탐색 흐름도로서, 목표 TNO를 갖은후 목표 곡의 첫부분인 TOP을 탐색하는 루틴다.
이하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1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급 사용자의 소정의 조작에 의해 소망하는 곡번호 즉, TNO에 대한 데이타가 제2도의 시스템 제어프로세서(20)에 입력되면, 상기 시스템제어 프로세서(20)는 제3도의 (A1)단계에서 오디오 출력을 뮤팅시킴으로써 트랙점프시의 잡음울 뮤팅시킨후 (A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A2)단계에서 선곡시 소요되는 시간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시간을 세트하고 (A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A3)단계로 내부의 에러 레지스터를 클리어 시키고 (A4)단계로 진행하여 픽업장치(12)의 픽업이 디스크(10)의 TOC영역에 있는가를 확인하여, 픽업이 TOC영역에 있을경우 서보제어 신호에 의해 서보부(18)를 제어하여 픽업이 TOC영역에서 빠져나오도록 한다. 즉, 시스템제어프로세서(20)는 픽업장치(12)의 픽업에 의해 픽업된 정보를 신호처리부(16)를 통하여 읽어 현재의 픽업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TOC영역에서 TNO는 "0"이므로 TOC영역에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위치가 TOC영역에 있으면 서보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서보부(18)는 상기 서보제어 신호에 의해 슬레드 서보신호를 출력하여 슬레드 구동부(22)를 제어함으로써 픽업창치(12)의 슬레드 모터를 구동시켜 TOC영역에서 빠져나온다. 그리고 (A5)단계로 진행하여 에러가 있는가를 확인하고 에러가 있으면 종료하여, 에러가 없으면 (A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A6)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목표 TNO를 읽어 내부의 A레지스터에 저장시킨후, (A7)단계로 진행하여 A레지스터에 저장된 목표 TNO가 제 1 설정수(S1)보다 큰가를 판단한다. 이때 제 1 설정수(S1)는 본 발명에서는 21로 설정한다. 즉, 일반적으로 콤팩트 디스크 1매에는 20곡 이하의 곡이 기록되므로, A레지스터에 저장된 목표 TNO가 21보다 작을경우에만 블럭번호에 의해 탐색하기 위함이다. 상기(A7)단계에서 A레지스터의 값이 21보다 작으면 (A8)단계로 진행하여 제4도와 같은 목표 블럭번호 탐색루틴을 수행한다. 즉, 제4도의 (B1)단계에서 픽업장치(12)의 픽업에 의해 TOC영역의 타임코드를 읽어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타임코드중 목표 TNO에 대한 Amin을 읽고 (B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B2)단계에서 목표 TNO에 대한 Amin을 DST Amin레지스터에 저장하고 (B3)단계로 진행하여, DST Amin 레지스터에 저장된 목표 Amin에 해당하는 블럭번호를 읽는다. 이때 블럭번호는 전술한 바와같이 디스크전체를 물리적인 트랙의 수가 서로 비슷하게 되도록 소정수로 나눈 블럭의 번호가 되며, 미리 시스템제어 프로세서(20)에 입력되는 데이타가 된다. 그리고 (B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B3)단계에서 읽어낸 목표블럭번호를 내부의 DST BNO레지스터에 저장하고, (B5)단계로 진행하여 픽업장치(12)에 의해 픽업된 현위치의 제1도(b)와 같은 서브 Q코드의 데이타를 신호처리부(16)를 동하여 입력하여 읽고 (B6)단계에서 서브 Q코드의 데이타중 현위치의 제1도(c)와 같은 Amin에 해당하는 블럭번호를 갖아 읽고 (B7)단계로 진행하여 내부의 SRC BNO레지스터에 상기 현위치의 Amin에 해당하는 블럭번호를 저장하고 (B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B8)단계에서 SRC BNO레지스터의 값이 DST BNO레지스터 값보다 큰가를 비교하여 SRC BNO레지스터의 값이 크지 않으면 (B9)단계로 진행하여 DST BNO레지스터의 값에서 SRC BNO레지스터의 값을 A레지스터에 저장한후 (B1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B8)단계에서 SRC BNO레지스터의 값이 DSTBNO레지스터의 값보다 크면 (B10)단계로 진행하여 SRC BNO레지스터의 값에서 DST BNO레지스터의 값을 뺀값을 A레지스터에 저장하고 (B11)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상기 (B8)단계에서 SRC BNO레지스터의 값보다 큰가를 비교하는 것은 트랙점프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SRC BNO레지스트의 값이 DST BNO레지스터의 값보다 크다면 디스크(10)상의 한 픽업위치를 디스크(10)의 중심쪽으로 역방향 트랙점프를 시키며, SRC BNO레지스터의 값이 DST BNO레지스터의 값보다 크지 않다면 현 픽업 위치를 디스크(10)의 바깥쪽으로 순방향 트랙점프 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B11)단계에서 A레지스터의 값이 2보다 작은가를 즉, 목표 블럭번호와 현위치의 블럭번호의 차가 2보다 작은가를 비교하여 작지않으면 (B12)단계로 진행하여 4보다 작은가를 다시 비교한다. 상기 (B12)단계에서 A레지스터의 값이 4보다 작으면 (B13)단계로 진행하여 A레지스터의 값과 제 1 트랙수와 곱한 수 만큼의 트랙점프를 한다. 이때 트랙점프를 하는 방향은 상기 (B8)단계에서 결정된 방향이 되며,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서브제어신호를 서보부(18)로 출력하고 서보부(18)는 상기 서보제어 신호에 의해 트랙킹 서보신호를 액츄에이터 구동부(28)에 출력한다. 그러므로 액츄에이터 구동부(28)는 픽업장치(12)의 트랙킹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트랙점프를 한다. 그리고 트랙점프가 완료되면 메인루틴으로 리턴(Renturn)한다.
또한 상기 (B12)단계에서 A레지스터의 값이 4보다 크면 트랙킹 액츄에이터의 가동범위 이상 목표 TNO에 비해 현 위치가 벗어난 것이므로 슬레드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서보제어 신호를 서보부(18)로 출력하고, 서보부(18)는 상기 서보제어 신호에 의해 슬레드 서보신호를 슬레드 구동부(22)에 출력한다. 그러므로 슬레이드 구동부(22)는 픽업장치(12)의 슬레드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픽업장치(12)를 상기 (B8)단계에서결정된 방향으로 소정거리 만큼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픽업장치(12)가 소정거리만큼 이동되면 메인루틴으로 리턴한다. 또한 상기 (B11)단계에서 A레지스터의 값이 2보다 작으면 목표 블럭번호에 픽업이 위치된 것이므로 메인루틴으로 리턴한다.
한편 상기 (A8)단계에서 목표 블럭번호가 찾아지면 (A9)단계로 진행하여 에러가 있는가를 확인하고 에러가 있으면 종료하며 에러가 없으면 (A10)단계로 진행하여 제5도와 같은 목표 블럭번호 중의 목표 Amin을 탐색하는 루틴을 수행한다. 즉, 제5도 (C1)단계에서 픽업장치(12)에 의해 픽업된 현위치의 제1도(c)와 같은 서브 Q코드의 데이타를 신호처리부(16)를 통하여 입력하여 읽고 (C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C2)단계에서 제1도(c)와 같은 8비트의 TNO데이타가 "0"인자를 판단하여 "0"이 아니면 (C3)단계로 진행하고 "0"이면 (C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C3)단계에서 8비트의 TNO데이타가 "AA"인지를 판단하여 "AA"가 아니면 (C4)단계로 진행하고 "AA"이면 (C8)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상기 (C2)(C3)단계는 현위치가 TOC영역 또는 리드 인 트랙 영역 또는 판단하기 위한 단계이며, TOC영역일 경우에는 순방향 트랙점프를 하고 리드아웃 트랙일 경우에는 역 방향으로 트랙점프를 한다. 상기 (C4)단계에서 DST Amin레지스터의 값 즉, 제4도 (B2)단계에서 저장된 목표 TNO에 대한 Amin과 현위치의 Amin을 비교한다. 이때 DST Amin레지스터 값과 현재의 Amin이 같으면 목표 Amin이 찾아진 것이므로 메인루틴으로 리턴하며, DST Amin레지스터의 값이 현위치의 Amin보다 크면 (C5)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DST Amin레지스터값이 현위치의 Amin보다 작으면 디스크(10)상의 현위치가 목표 Amin위치에 비해 디스크(10)의 중심쪽에 있는 것이므로 (C8)단계로 진행하여 제2트랙수반큼 역 방향으로 트랙점프를 하고 상기 (C1)단계로 루핑(Looping)하여 전술한 단계를 반복한다 ; 그리고 상기 (C5)단계에서는 DST Amin레지스터값에서 현위치의 Amin을 뺀값을 A레지스터에 저장하고 (C6)단계로 진행하여 A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이 2보다 큰가를 판단한다.
상기 (C6)단계에서 A레지스터의 값이 2보다 크면 디스크(10)상의 현위치가 목표 Amin위치에 비해 디스크(10)의 바깥쪽에 있는 것이므로 (C9)단계로 진행하여 제 2 트랙수 만큼 순방향으로 트랙점프하고 상기 (C1)단계로 루핑하여 전술한 단계를 반복한다.
그리고 상기 (C6)단계에서 A레지스터값이 2보다 크지않으면 픽업의 현위치가 목표 Amin위치에 비해 디스크(10)의 바깥쪽에 있으나 2보다 클때에 비해 보다 목표 Amin위치에 근접된 것이므로, (C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 2 트랙수보다 적은수인 제 3 트랙수 만큼 순방향으로 점프한후 상기 (C1)단계로 루핑하여 전술한 단계를 반복한다. 또한 상기 (C7),(C8),(C9)단계에서 역 방향 또는 순 방향의 트랙점프는 상기한 제4도의 블럭번호 탐색 루틴에서와 마찬가지로 픽업장치(12)의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실행되며, 목표 Amin을 찾을 때까지 트랙점프를 한다.
한편 상기 (A10)단계에서 목표 블럭번호에 해당되는 목표 Amin이 찾아지면 (A11)단계로 진행하여 제6도와 같은 목표 TNO를 탐색하는 루틴을 수행한다. 즉, 제6도(D1)단계에서 픽업장치(12)에 의해 픽업된 현 위치의 제1도(c)와 같은 서브Q코드의 데이타를 신호처리부(16)를 통해 입력하여 읽고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D2)단계에서 제1도(c)와 같이 8비트의 2진화 10진수의 TNO 데이타에 의해 목표 TNO와 현위치의 TNO를 비교하여 목표 TNO와 현위치의 TNO가 같으면 목표 TNO를 찾은 것이므로 제3도의 메인루틴으로 리턴한다. 또한 상기 (D2)단계에서 목표 TNO가 현 위치 TNO보다 작으면 디스크(10)상의 픽업장치(12)의 현위치가 목표 TNO위치보다 디스크(10)의 바깥쪽에 있는 것이므로 (D4)단계로 진행하여 제3트랙수 만큼 역방향으로 점프한후 (Dl)단계로 루굉하여 전술한 단계를 반복한다. 그리고, 상기 (D2)단계에서 목표 TNO가 현위치 TNO보다 크면 디스크(10)상의 픽업장치 (12)의 현위치가 목표 TNO위치보다 디스크(10)의 중심쪽에 있는것이므로 (D3)단계로 진행하여 제 3 트랙수 만큼 순방향으로 점프한후,(D1)단계로 루핑하여 전술한 단계를 반복한다. 또한 상기 (D3)(D4)단계에서 역방향 또는 순방향의 트랙점프는 상기한 제4도의 블럭번호 탐색 루팅에서와 마찬가지로 픽업장치(12)의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실행되며, 목표를 TNO를 찾을 때까지 트랙점프를 한다.
한편 상기 (A11)단계에서 목표 TNO가 찾아지면 (A12)단계로 진행하여 에러가 있는가를 판단하고 에러가 있으면 종료한다. 또한 상기 (A7)단계에서 A레지스터의 값이 제 1 설정수(S1) 보다 크면 (A13)단계로 진행하여 DST Amin레지스터에 제 1 설정시간(T1)을 저장한다. 이때 제 1 설정시간(T1)은 콤팩트디스크에기록된 곡의 전체시간중의 소정시간으로서, 일반적으로 콤팩트디스크의 총연주시간이 60분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총연주시간의 1/2인 30분으로 설정한다.
상기 (A13)단계에서 제 1 설정시간(T1)을 DST Amin레지스터에 저장한후 (A14)단계로 진행하여 목표 TNO를 탐색하고 (A15)단계로 진행한다. 즉, 상기 (A7)단계에서 목표 TNO가 제 1 설정수(S1) 보다 클때는 블럭번호를 탐색하지 않고 바로 TNO를 탐색한다. 이때 TNO탐색 방법은 전술한 바와같이 픽업장치(12)의 액츄에이터 및 슬레이드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픽업장치를 이동시켜 탐색한다. 그리고 상기 (A15)단계에서 에러가 있는가를 확인하여 에러가 있으면 종료하고, 에러가 없으면 목표 TNO를 찾은 것임으로(A16)단계로 진행하여 목표TNO의 첫부분, 즉 목표곡의 시작점인 TOP을 탐색하는 제7도와 같은 루틴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A12)단계에서도 에러가 없으면 역시 상기 제7도와 같은 TOP탐색 루틴을 수행한다. 즉, 제7도의 (E1)단계에서 픽업장치(12)에 의해 픽업된 현위치의 제1도 (b)와 같은 서브Q코드의 데이타를 신호처리부(16)를 통하여 입력하여 읽고 (E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E2)단계에서 목표TNO와 제1도(c)와 같은 서브Q코드의 데이타중 현 위치의 TNO를 비교한다. 이때 목표TNO가 현 위치의 TNO보다 크면 디스크(10)상의 현 위치가 목표TNO 보다 디스크(10)의 중심쪽에 있는 것이므로, 목표TNO를 찾기 위하여 상기 제 3 트랙수 보다 적은 수의 제 4 트랙수 만큼 순방향으로 트랙점프하고 상기 (E1)단계로 루핑하여 전술한 단계를 반복한다. 또한 상기 (E2)단계에서 목표TNO가현 위치의 TNO보다 작으면 디스크(10)상의 현 위치가 목표 TNO위치에 비해 디스크(10)의 바깥쪽에 있는것이므로 (E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 4 트랙수 보다 적은 수의 제 5트랙수 만큼 역방향으로 트랙점프한다.
상기 (E4)단계에서 역방향으로 제 5 트랙수 만큼 트랙점프하는 것은 역방향으로 점프하는 것이므로 제 4 트랙수 만큼 점프시 TOP위치를 벗어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E2)단계에서 목표 TNO의 위치와 현 위치가 같으면 (E5)단계로 진행하여 제1도(c)와 같은 서브Q코드의 데이타중 현 위치의 Rmin이 "0"인가를 확인하여 "0"이 아니면 (E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E9)단계에서 인덱스가 "0"인가 판단한다. 이때 인덱스가 "0"이면 현재의 위치가 곡의 시작 부분에 있는 것이므로 디스크(10)의 바깥쪽으로 픽업을 이동 시키기 위하여 제 3 트랙수만큼 순방향 점프하고 상기(E1)단계로 루핑하여 전술한 단계를 반복한다. 또한 인덱스가 "0"이 아니면 현 위치가 목표곡의 시작점인 TOP위치에 비해 디스크(10)의 바깥쪽에 있는 것이므로 디스크(10)의 중심쪽으로 픽업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 3 트랙수 만큼 역방향으로 점프하고 상기 (E1)단계에서 Rmin이 "0"이면 (E6)단계로 진행하여 제1도(c)와 같은 Rsec가 "0"인가를 판단한다. 이때 Rsec가 "0"이 아니면 (E7)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작성하여 시스템제어프로세서(20)에 입력시킨 점프 표에서 목표 TNO의 Amin에 해당하는 점프데이타를 읽고 (E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점프데이타에 의해 트랙점프를 하고 상기 (E1)단계로 루핑하여 Rsec가 "0"이 될때까지 전술한 단계를 반복한다. 이것은 디스크(10)의 중심쪽에서는 바깥쪽과 같은 시간일 경우 트랙수가 더 많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E6)단계에서 Rsec가 "0"이면 (E12)단계로 진행하여 A레지스터에 DST Amin레지스터의 값 즉, 목표 TNO에 대한 Amin의 값을 저장하고 (E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A레지스터 값이 제 2 설정시간 (T2)보다 큰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 2 설정시간 (T2)은 본 발명에서는 21분으로 설정하였으며, 디스크의 전체 트랙수의 1/2지점의 Amin이 21분 정도이므로 현위치의 Amin이 21분을 기준으로 디스크상에서 중심쪽인 바깥쪽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시간이다. 즉, 현위치가 21분보다 중심쪽이면 소정시간에 대한 트랙수가 바깥쪽일때보다 많게 되므로 이를 감안하여 트랙점프를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상기 (E13)단계에서 A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이 제 2 설정시간 (T2)보다 작으면 (E15)단계로 진행하여 현위치가 디스크상에서 21분보다 중심쪽임을 표시토록 인 사이드 플래그(Flag)를 세트시키고 (E16)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E13)단계에서 A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이 제 2 설정시간(T2)보다 크면 (E14)단계로 진행하여 현 위치가 디스크상에서 21분보다 바깥쪽임을 표시토록 아웃 사이드 플래그를 세트시키고(E1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E16)단계에서 상기 A레지스터에 현 위치의 R프레임 데이타를 저장하고 (E17)단계로 진행하여 A레지스터의 값이 제 1 설정 프레임수 (F1)보다 작은가를 판단한다
한편 Rsec가 "0"인 동안 즉 1초동안에 해당하는 R프레임 수는 75프레임이며 목표TNO의 시작점은 TOP을 보다 정확하게 찾기 위하여 상기 75프레임수를 서로 비슷하게 3등분하면 0프레임에서 31프레임 미만까지, 31프레임 이상에서 51프레임 미만까지, 51프레임 이상에서 75프레임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31을 제1설정 프레임수로(F1)로 하고 51을 제 2 설정 프레임수(F2)로 설정하여 시스템제어 프로세서(20)에 미리 입력시키면 현 위치의 R프레임수에 따라 트랙점프를 하여 픽업을 0프레임에 근접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E17)단계에서 A레지스터 값이 제 1 설정수(Fl)보다 작으면 픽업의 현 위치가 0프레임에서 31프레임 미만 사이므로 (E20)단계로 진행하여 현 위치의 인덱스가 "0"인가를 확인한다. 즉, 픽업장치(12)로써 픽업되고 신호처리부(16)를 통하여 입력되는 제1도(c)와 같은 서브Q코드 데이타의 인덱스를 읽어 인덱스가 "0"이면 제 6 트랙수 만큼 순방향으로 점프하며 인덱스가 "0"이 아니면 제 6 트랙수 만큼 역방향으로 점프하고 (E22)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E17)단계에서 A레지스터 값이 제 1 설정수 (F1)보다 크면 (E18)단계로 진행하여 A레지스터 값이 제 2 설정수 (F2)보다 작은가를 판단하여 작으면 (E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E19)단계에서 현 위치의 인덱스를 확인하여 인덱스가 "0" 이면 제 7 트랙수 만큼 순방향으로 점프하고 인덱스"0"이 아니면 제 7 트랙수만큼 역방향으로 점프하고 (E22)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E18)단계에서 A레지스터 값이 제 2 설정수 (F2)보다 크면 현위치가 51프레임에서 75프레임 구간이므로 (E21)단계로 진행하며 현위치의 인덱스를 확인하여 인덱스가 "0"이면 순방향으로 제 8 트랙수를 점프하고 인덱스가 "0"이 아니면 역 방향으로 제 8 트랙수를 점프한후 (E2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인덱스가 "0"인지 아닌지를 확인하여 트랙점프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인덱스가 "0"이면 현 픽업의 위장치가 곡과 곡사이의 중지 기간이므로 디스크의 바깥쪽으로 점프하며, 인댁스가 "0"이 아닐 경우에는 픽업의 현위치가 목표TOP의 바깥쪽에 있는것이므로 디스크의 중심쪽으로 점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점프하는 트랙수가 A레지스터 값 즉, 현재의 R프레임에 따라 다른 것을 현 위치가 Rsec가 "0"인 기간이 되는75프레임중 어느 위치인가에 따라 목표 TOP에 근접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제4-제7도에서 제1-제 8 트랙수는 현위치가 목표 TNO의 TOP위치에 근접됨에 따라 점점 적은 양의 트랙점프를 하여 목표TOP을 찾기 위하여 점프토록 설정되는 트랙수로서 제1트랙수가 가장많은 값이 되고 제8트랙수가 가장적은 값이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트랙수=1000트랙, 제 2 트랙수=200트랙, 제 3 트랙수=100트랙, 제 4 트랙수=30트랙, 제 5 트랙수=10트랙, 제 6 트랙수=3트랙, 제 7 트랙수=2트랙, 제 8 트랙수=1트랙이 되도록 설정하있다.
한편 상기 (E22)단계에서 현 픽업장치가 인사이드 내인가를 판단하여 인 사이드내에 있지않고 아웃사이드에 있으면 메인 루틴으로 리턴하여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E22)단게에서 현 픽업 위치가 인사이드에 있으면 (E23)단계로 진행하여 인덱스를 확인하여 인덱스가 "0"이면 제 8 트랙수 만큼 순방향 점프하고 인택스가 "0"이 아니면 제 8 트랙수 만큼 역방향 점프한후 메인루틴으로 리턴하여 종료한다. 즉 상기 (E22)단계에서 픽업의 현 위치가 인사이트 내인가를 판단하는 것은 인사이드내가 아닌 아웃사이드에 있을때 트랙과 트랙사이의 시간이 인사이드보다 길므로 더 이상 트랙점프를 하지 않고 목표 TOP이 찾아진것으로 판단하여 종료하며, 인사이드일 경우에는 트랙사이의 시간이 아웃사이드보다 짧으므로 인덱스에 따라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1트랙 정도 더 트랙점프한 후 목표 TOP이 찻아진것으로 판단하여 종료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CDP의 선곡 방법에 있어서, 디스크 전체를 물리적인 트랙의 수가 서로 비슷하게 되도록 소정수의 블럭으로 구분하여 전체곡수가 20곡 이하일 경우에는 목표 블럭 번호를 먼저 찾고 전체곡수가 21곡 이상일 경우에는 TNO를 언저 찾은후 서브Q코드의 데이타를 참조하여 트랙점프를 하여 목표곡의 시작점을 찾는 방법로서 선곡시의 액세스 시간을 줄일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선곡 방법에 있어서, 트랙점프시의 잡음을 뮤팅시키며 선곡제한 시간을 세트하고 에러 레지스터를 클리어시키며 픽업이 TOC영역에 있을경우 TOC영역을 빠져나와 에러여부를 확인하여 에러가 있으면 종료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서 에러가 없을시 선곡해야할 목표 TNO를 읽어 제1설정수(S1)와 비교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에서 목표 TNO가 제 1 설정수(S1)보다 작을 경우목표 블럭번호 탐색루틴을 수행하여 목표 블럭번호를 탐색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제 3 과정에서 목표블럭 번호가 탐색되면 여러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에러가 발생되었으면 종료하고 에러가 없으면 탐색된 블럭번호내에서 목표 Amin탐색 루틴을 수행하여 목표 Amin을 탐색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제 4 과정에서 목표 Amin을 찾은후 현재의 서브코딩을 읽어 목표 TNO와 일치할때까지 트랙 점프를 하여 목표 TNO을 찾는 목표TNO탐색 루틴을 수행하고 에러 발생여부를 확인하여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종료하는 제 5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에서 목표 TNO가 제 1 설정수(S1)보다 클 경우 DST Amin 레지스터에 제 1 설정 시간(S1)을 기억시키고 목표 TNO를 탐색하며 에러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에러가 없으면 종료하는 제 6 과정과, 상기 제 5 과정과 제 6 과정에서 에러 발생시 목표 TOP탐색 루틴을 수행하여 목표 곡의 시작점을 갖고 종료하는 제 7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선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과정의 목표 블럭번호를 탐색하는 과정이 목표 곡번호에 대한Amin을 읽고 디스크 전체를 물리적인 트랙의 수가 서로 비슷하도록 나누어 설정한 소정수의 블럭번호중 목표 Amin에 해당되는 블럭번호를 읽는 단계와, 현재의 픽업 위치의 Amin을 읽어 현위치에 해당하는 블럭번호를 찾아 목표 블럭번호와 현위치의 블럭번호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목표 블럭번호와 현위치의 블럭번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트랙점프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목표 블럭번호와 현 위치의 블럭번호의 차에 따라 상기 결정된 트랙점프 방향으로 소정트랙수를 트랙점프하여 목표 블럭번호를 찻아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선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4 과정의 목표 Amin울 탐색하는 과정이 현 위치의 서브 Q코드의 데이타를 읽어 현위치가 TOP영역, 리드인 트랙 영역, 리드아웃트랙 영역중 어느 위치 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현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현 위치가 리드인 트랙영역일때 목표 Amin과 현 위치의 Amin을 비교하여 같으면 리턴하는 단계와, 상기 목표 Amin과 현위치의 Amin을 비교하는 단계에서 현위치가 목표 Amin위치에 비해 디스크의 중심쪽에 있을때 목표 Amin과 현위치가 목표 Amin위치에 비해 디스크의 중심쪽에 있을때와 상기 현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현 위치가 TOC영역 일때 목표 Amin과 현위치의 Amin이 같을때까지 상기 목표 Amin과 현위치의 Amin의 차이에 따라 소정트랙수를 순방향 점프하는 단계와, 상기 목표Amin과 현위치의 Amin을 비교하는 단계에서 현 위치의 Amin의 목표 Amin위치에 비해 디스크의 바깥쪽에 있을때와 목표 Amin과 힌위치의 Amin이 같을때까지 소정트랙수를 역방향 점프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선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5 과정의 목표 TNO를 탐색하는 과정이 현 위치의 서브 Q코드의 데이타를 읽어 목표 TNO와 현위치의 TNO을 비교하여 같으면 리턴하는 단계와, 상기 목표 TNO와 현위치의 TNO를 비교하는 단계에서 목표 TNO에 대한 현위치의 TNO가 다를경우 목표TNO에 대하여 현위치의 TNO가 크거나 작음에 따라 목표TNO와 현위치의 TNO가 같을 때가지 역방향 또는 순방향으로 소정트랙수를 점프하는 단계로 점프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선곡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7 과정의 목표 TOP탐색 과정이 현 위치의 서브Q코드의 데이타를 읽어 목표TNO와 현 위치의 TNO를 비교하여 목표 TNO와 현위치의 TNO가 같을때까지 소정트랙수를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점프하는 단계와, 상기 목표 TNO와 현위치의 TNO를 비교하는 단계에서 현위치의 서브Q코드데이타중 Rmin과 Rsec가 "0"이 될때까지 소정트랙수를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점프하는 단계와, 현 위치의 Amin과 제 2 설정시간 (T2)의 크기를 비교하여 현 위치가 디스크상의 제 2 설정기간 (T2)의 위치에 비해 아웃사이드인가 인사이드인가를 확인하여 해당 플래그를 세트하는 단계와, Rsec가 "0"일때 현재 위치의 R프레임이 1초기간에 해당하는 R프레임중 어느 구간에 속하는 가를 제 1 설정 프레임(Fl)과 제 2 설정프레임 (F2)에 의해 판단하여, 현 위치가 속한 구간과 인덱스에 따라 순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소정 트랙수를 점프하여 목표TOP을 찾는 단계와, 현위치의 Amin이 인사이드에 속한가를 판단하여 인사이드에 속하지 않으면 목표 TOP이 찾아진 것으로 판단하고 종료하며 인사이드에 속하면 인덱스에 따라 소정 트랙수를 점프한후 목표TOP이 찾아진것으로 판단하고 종료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선곡방법.
KR1019900005246A 1990-04-16 1990-04-16 콤팩트디스크 플래이어의 선곡 방법 KR920006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5246A KR920006640B1 (ko) 1990-04-16 1990-04-16 콤팩트디스크 플래이어의 선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5246A KR920006640B1 (ko) 1990-04-16 1990-04-16 콤팩트디스크 플래이어의 선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039A KR910019039A (ko) 1991-11-30
KR920006640B1 true KR920006640B1 (ko) 1992-08-10

Family

ID=19298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246A KR920006640B1 (ko) 1990-04-16 1990-04-16 콤팩트디스크 플래이어의 선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6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039A (ko) 199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1441A (en) CD player capable of playing back partially recorded CD
GB2219886A (en)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US4740938A (en) Apparatus for rapid reproduction of information from a record carrier
US4716557A (en) Apparatus for information retrieval from an optically readable storage disc
US4731774A (en) Disc playback apparatus
US6519676B1 (en) Method for reading a CD having CD-text data
KR920006640B1 (ko) 콤팩트디스크 플래이어의 선곡 방법
US5195068A (en) Track-number computing equipment for CLV disk drives
KR100405885B1 (ko) 기록장치및방법
EP1145232A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information from data-carrying disks
US6061308A (en) Optical disk reproducing apparatus and optical disk reproducing method capable of reproducing information recorded on head portion of each track
US5233588A (en) Disk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thereof
KR0138143B1 (ko) 광디스크 재생장치의 재생방법
KR0130477B1 (ko) 디스크 재생장치
JP3007381B2 (ja) サーチ機能を備えたディスクプレーヤ
KR0159291B1 (ko) 광디스크 종류 판별 방법
JP3681006B2 (ja) Cd再生装置の記録情報サーチ方法
JP2002197843A (ja) 記録媒体再生装置
JPH11185391A (ja)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記録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S62246182A (ja) デイジタル・オ−デイオ・デイスク再生装置
KR20040018637A (ko) 컴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탐색 방법
JPH03147586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H0478085A (ja) 光ディスク装置
JPS58169373A (ja) 位置表示回路
JPH0736264B2 (ja) デイス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