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444B1 - 포장소재를 송풍에 의해 이송축적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소재를 송풍에 의해 이송축적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444B1
KR920006444B1 KR1019880011553A KR880011553A KR920006444B1 KR 920006444 B1 KR920006444 B1 KR 920006444B1 KR 1019880011553 A KR1019880011553 A KR 1019880011553A KR 880011553 A KR880011553 A KR 880011553A KR 920006444 B1 KR920006444 B1 KR 920006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conveying
closed loop
accumulating
b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962A (ko
Inventor
깔리에 미셀
베르나 프레드릭
Original Assignee
올리콘 머치 커퍼레이션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리콘 머치 커퍼레이션,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올리콘 머치 커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890004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65G47/51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 B65G47/510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 B65G47/5109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first In - First Out systems: FIF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65G47/51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2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 B65G51/03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over a flat surface or in trou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장소재를 송풍에 의해 이송축적하는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이송겸 축적장치의 개략적인 입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lI선에 따른 확대단면도.
제4도는 포장소재를 지지하여 추진하는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장치내에 축적된 포장소재로부터 완전한 포장체를 조립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폐루우프 2 : 상부수평로부분
3 : 하부수평로부분 4,5 : 접속부분
6 : 바닥 7 : 수직기둥
8,13 : 케이선 9,14 : 상벽
10 : 포장소제 11,11a,11b:슬릿
12 : 구멍 15 : 제 1만곡외측케이선
16 : 제 2 만곡내측케이선 17 : 안내로드
19 : 송풍기 20 : 상류측송급기계
21 : 하류측조립기계 22 : 접속로
23 : 케이슨 24 : 상부안내부재
25 : 송풍기 26 : 측벽
27 : 원통형 삽입제 28 : 제1접속로
29 : 제2접속로 30 : 케이슨
31 : 상부안내로드(upper guide rod)
32 : 케이슨
33 : 안내로드(guide rod)
본 발명의 목적은, 한쪽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포장소재를 송풍장치를 이용하여 이송축적해서 이와 같은 포장소재의 수집, 축적, 분배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포장소재가 통과하는 경로를 따라 케이선(caisson)을 설치하여 공기를 송입(遂入)하는 것에 의해 포장소재를 이송하는 장치는, 예를들어 미국특허 제 3,953,076호 명세서에 기재된 공지의 것이다. 이 케이슨의 상벽에는 구멍과 횡방향슬릿(slit)이 있다. 케이선 내에 송급된 저압공기는, 이송하고자 하는 포장소재의 지지 및 추진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포장소재의 제조 및 조립에 있어서는 평활벨트콘베이어를 사용하여 다른 제조 및 조립기계간의 접속을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속도가 다른 각종 기계의 작동에 있어서의 부정합(irregularity)을 흡수하기 위해 몇개의 포장소재를 축적하여 저장하는 수단이 제공되고 있다. 미국특허 제3,105,720호 명세서에는, 이와 같은 축적장치로 송풍에 의해 포장소재를 이송하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다른 종류의 포장소재가 수평판 위에 대기하고 있는 것이다. 상하류측의 몇개의 기계간의 접속을 완수하는 축적장치는 이미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축적장치에서는 대기중인 포장소재는 수평의 환상회로(annular circuit)에 집적되어 있다. 이러한 기지의 장치는 넓은 공간을 점유하고, 또 그 축적용량은 기계의 운전속도가 최근에 증대함에 따라서 불충분한 것으로 되고 있다. 그 결과, 축적장치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기계는 상호의존하는 정도가 크게 된다. 포장소재가 한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이고, 또한 이들을 조립하기 전에 그 자세를 변경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한 기지의 장치 이의에 복잡한 자세변경장치가 필요하게 되므로, 전체크기도 크게 된다고 하는 결점도 보유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점유공간을 감소시키면서 큰 저장량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한면이 개방된 상자형인 포장소재의 자동적인 반전(反轉)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겸 축적장치를 제공하여서, 이 이송겸 축적장치와 상하류측의 다른 기계와의 사이에 접속을 간이화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한면이 개방된 상자형인 포장소재를 이송축적하는 장치는, 폐루우프(closed loop) 형상의 축적로(蓄積路)에 송풍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 폐루우프형상의 축적로에는, 적어도 한개의 상류측기계가 접속되고, 이 기계로부터 포장소재가 공급된다. 또, 이 축적로에는 적어도 한개의 하류측기계가 접속되어서, 축적로로부터의 포장소재를 이 기계에 공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폐루우프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설되며, 상부수평로부분과 그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수평로부분과 2개의 굽은 접속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어느 기계에서는 상술한 통로의 상부부분에, 또 다른 기계에서는 하부부분에 접속된다 포장소재는 상술한 통로의 상부부분 위에서는 한방향으로 배치되고, 또한 하부부분에서는 상하가 반대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조건하에서는, 한쪽 방향과 다른쪽의 방향으로 포장소재의 이중송급을 하는 데에는, 상술한 통로의 상부부분과 하부부분에 동시에 1개의 기계를 접속하면 좋다. 폐루우프는 바람직하게는 케이선으로 형성되며, 이것에 송풍한다. 이 케이슨의 상면은, 포장소재의 이송방향으로 경사진 슬릿을 구비하고 있는 다공벽(多孔壁)으로 간막이되어 있다. 포장소재를 상승시키는 곳에 대응하는 접속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폐루우프 안쪽에 배치된 제2송풍용 케이선을 포함한다.
이 제2케이선은, 이송하고자 하는 포장소재에 따라서는, 또 상부로부분과 하부로부분 사이의 레벨차에 따라서는 생략할 수가 있다. 포장소재는 바람직하게는 원형단면의 것이고, 폐루우프는 송풍이송에이프런(apron)을 보유하는 것으로 한다 이 송풍이송에이프런은, 단부측방 안내부재 이외에서는 분리하지 않고 몇개의 포장소재를 횡방향으로 나란히 받아들일 수 있다. 이어서 포장소재는 서로서로 겹쳐진다.
원형단면인 것은, 이들 포장재료가 서로 접촉하게 되면 상대 회전을 하는 것을 허용하며, 이와 같은 상태로 된 일군의 포장소재는 수직배치의 폐루우프를 연속해서 이동한다. 비원형단면인 포장소재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폐루우프는 송풍이송에이프런과, 포장소제를 적어도 한개의 나란한 1열로 유지하는 분리겸 측부안내장치를 포함한다. 축적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이와 같은 포장소재의 열을 바람직하게는 옆으로 몇개를 나란히 해서, 이 포장소재의 전체열을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배치의 폐루우프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이다. 축적장치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기계는 바람직하게는 모두 폐루우프의 제1수평로부분에 접속한다.
한편, 축적장치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기계는, 폐루우프의 전기한 제1수평로부분에 접속해서, 상류측기계로부터 나온채로인 자세의 포장소재를 수취함과 동시에, 폐루우프의 전기한 제2수평로부분에 접속하여 역전시킨 자제의 포장소재도 수취하도록 한다. 또, 다른 기계로의 접속은 바람직하게는, 축부안내부재를 구비한 송풍용케이선으로 형성한다. 측부안내부제는 포장소재의 각 열을 한정하는 것이다. 케이슨은 적절하게 경사져 있어서, 대응하는 기계와 접속하도록 하는 수평로부분과의 사이의 레벨차를 해소하도록 하고 있다. 이 접속은, 폐루우프의 통로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등의 곤란없이 행할 수가 있다. 포장소제를 위한 출구접속은 바람직하게는 폐루우프의 이송에이프런에 몇개의 슬릿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된다. 이들 슬릿은 출구접속부 부근에서 출구를 향하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한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포장소재를 이송하여 축적하는 방법은, 입구접속부 및 출구접속부를 포함하는 폐루우프의 축적로에 송풍장치를 채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방법은, 포장소제를 폐루우프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통로를 따라서 이동시키도록 하고, 이와 같이하여 폐루우프에 축적된 포장소제를 상부수평로부분 및 하부수평로부분의 양쪽으로 꺼내도록 하여 어떤 자세의 포장소재와 역전된 자세의 포장재료를 자동적으로 얻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예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관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장치는 부호(1)로 전체를 나타내는 폐루우프를 포함한다. 이 폐루우프(1)는, 상부수평로부분(2)과, 이 상부수평로 부분에, 한쪽 끝을 구부린 접속부분(4) 및 다른쪽 끝을 구부린 접속부분(5)으로 접속한 하부수평로부분(3)을 포함한다. 접속부분(4)은 포장소재의 상승을 허용하는 것이고, 접속부분(5)은 그 하강을 허용하는 것이다. 장치전체는 수직기둥(7)에 의해 바닥(6)위에 세워져 있다. 하부수평로부분(3)은 그 전제폭 및 전체길이를 송풍용케이슨(8)으로 점유되어 있다. 이 케이슨(8)의 상벽(9)은 포장소재(10)의 이송에이프런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것은 포장소재(10)의 이동을 보증하는 횡방향 슬릿(11)(제4도 참조)과, 포장소재(10)을 지지하는 구멍(12)을 구비한 것이다. 몇개의 슬릿(11)과 구멍(12)은 제4도에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부수평로부분(2)은 마찬가지로 송풍용케이선(13)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슨(13)의 상벽은 상벽(9)의 경우와 같이 복수개의 횡방향슬릿과 구멍을 보유한다. 상승접속부분(4)에서는, 제1만곡외측케이선(15)과 제 2만곡내측케이선(16)을 보유한다 포장소재의 통로는 이들 케이선(15),(16)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케이선의 각각은, 굽은 판에 의해 포자소재의 통로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이 굽은 판은 이 통로를 따라 설치된 것으로서, 송풍에 의한 추진을 위한 구멍과 슬릿을 보유한다. 복수의 길이방향의 안내로드(guide rod)(17)가 폐루우프(1)의 둘레에 판(9)(14)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어서, 이것에 의해 포장소재(10)을 보전유지하고 있다. 접속부분(5)의 하강단부는 송풍용케이선을 보유하고 있지 않고, 단순히 굽은 안내로드(17)가 있을 뿐이다. 포장소재는 단순히 중력에 의해 상부수평로부분(2)으로부터 하부수평로부분(3)으로 통과해 간다.
제1도에 있어서, 화살표(18)는 본 발명의 축적장치내에서의 포장소재의 이동방향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화살표(18)는 제2도에 표시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는 상당히 개략적으로 송풍기(19)가 표시되어 있다. 이 송풍기(19)는 저압공기를 보내기 위한 것으로서, 다른 지지겸 추진용의 케이선에 접속하고있다.
제2도에 있어서는 예를들어 상류측송급기계(20)와 하류측조립기계(21)가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예를들어 포장소재(10)를 제조하는 기계인 상류측송급기계(20)는, 상면이 포장소제(10)의 각각의 열을 한정하는 송풍용케이선(23)에 의해 형성된 접속로(22)에 의해서, 폐루우프(1)의 상부수평로부분(2)에 접속되어 있다. 기계(20)로부터 오는 포장소재(10)는, 제3도에 나타내고 있는 상부안내부재(24)로 보전유지되면서, 케이선(23)의 상면에 형성된 횡방향슬릿으로부터의 공기에 의해 이송된다. 기계(20)와 상부수평로부분(2)과의 사이의 레벨차를 해소시키기 위해서, 접속로(22)는 부가적인 송풍기(25)의 작용하에 포장소재(10)의 상승을 완수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제2도 및 제3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기계(20)로부터 오는 포장소재(10)는 90도 편향(偏向)하여 폐루우프의 상부수평로부분(2)에 도달하고, 그곳으로부터 케이선(13)으로부터 보내어져 오는 공기에 의해 화살표(18)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벽(14) 위를 운반된다.
제3도 및 제4도에서 알 수 있듯이 한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포장소재나 제2도에서 알수 있듯이 원형단면의 포장소재등 여러가지 다른 포장소재가 있다 폐루우프(1) 위를 이동하는 상자형의 포장소재(10) 전부는 내부분리가 없는 저장을 구성한다 이들 상자는 상호간에 서로 회전해서, 단지 안내로드(17) 및 측벽(26)(제3도 참조)에 의해 안내되어져 간다. 예시의 목적으로, 제2도에는 하류측조립기계(21)를 나타낸다. 이 조립기계는 두 그룹의 포장소재군을 동시에 받아들인다.
한쪽의 포장소재군은 역전한 포장소재군으로서,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조립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 조립은, 케이선을 형성하는 제1도포소재(10a)와, 원통형삽입제(27)와, 제1포장소재와 동일한 형상이지만, 상하가 반대인 제2포장소재(10b)로 행하여져서, 상자가 완성된다. 따라서, 기계(21)는 저부(底部)가 되는 포장소재(10a)와 덮개가 되는 포장소재(10b)를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의한 측정장치의 수직폐루우프의 배치에 의해서, 상기한 이중공급이 대단히 간단하게 행하여진다. 즉 이것은, 상부수평로부분(2)에 연통하는 제1접속로(28)와 하부수평로부분(3)에 연통하는 제2접속로(29)로 행하여 진다. 개개의 포장소재열을 한정하는 접속로(28)는 도면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밑을 아래로 향한 포장소재(10), 즉 저부가 되는 포장소재(10a)의 열을 받아들이고, 다른쪽 접속로(29)는 상하가 반대인. 포장소재(10), 즉 덮개가 되는 포장소재(10b)의 열을 받아들인다. 포장소재(10)의 수직방향출현은 슬릿(11a) 및 슬릿(11b)의 존재에 의해 용이하게 된다. 슬릿(11a)은 접속로(28),(29)의 방향으로 약간 경사져있고, 슬릿(11b)은 접속로(28),(29)의 축선에 있다.
따라서, 화살표(18)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포장소재(10)은, 바람직하게는 샹하부수평로부분(2),(3)에 수직한 접속로(28),(29) 상부수평로부분(2) 또는 하부수평로부분(3)을 접속하는 개구부로 향하여 밀리는 경향이다.
이렇게 해서, 포장소재(10)의 방출은, 다른 이송수단 내지는 방향전환수단을 설치할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행하여진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접속로(28)는 저부가 되는 포장소재(10a)의 하강을 허용하고, 그 방출은 방출송풍용 케이선(30)(제3도 참조)에 의해 용이화 된다.
상부안내로드(31)는 포장소재가 중력이 의해 접속로(28)내를 하강할때의 일탈을 방지하고 있다. 접속로(29)는 약간 위쪽을 향하고 있으며, 덮개로 되는 포장소재(10b)의 이동는, 추진 슬릿 및 지지구멍을 구비한 송풍용케이선(32)으로부터의 송풍에 의해 행하여진다. 안내로드(33)는, 포장소재(10b)가 접속로(29) 위를 이동할 때 포장소재(10b)를 보전유지하는 것을 보증하고 있다.
도면에 예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포장소재는 그들이 원형단면이므로 축적장치의 수직폐루우프(1)위에서 전체로서 회전한다. 폐루우프(1)의 폭은 접속하고자 하는 기계의 대수(台數) 및 소망하는 저장능력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이송하여 저장하고자 하는 물품이 다른 단면형상인 기타의 실시예에서는, 폐루우프(1)의 수직로를 따라서 움직이는 포장소재의 평행하는 열을 서로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본 발명장치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가 있다.

Claims (10)

  1. 한편 개방된 상자형인 포장소재(10)를 축적로에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류측송급기계(20)와 전기한 포장소재가 전기한 축적로로부터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류측조립기계(21)가 접속된 폐루우프(1)내의 전기한 축적로에서 송풍장치를 이용하여 전기한 포장소재를 이송축적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폐루우프(1)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또 이것이 상부수평로부분(2)과, 이 상부수평로부분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부수평로부분(3)과, 2개의 구부러진 접속부분(4)(5)을 포함하며, 전기한 기계(20)(21)중 한쪽 기계를 전기한 축적로의 상부부분에, 다른쪽 기계를 전기한 축적로의 하부부분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소재를 송풍에 의해 이송축적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폐루우프가 송풍용케이션(8),(13)으로 형성되고, 이 케이선의 상면은 전기한 포장소재의 이송방향으로 경사진 슬릿을 구비한 상벽(9)(14)에 의해 한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소재를 송풍에 의해 이송축적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포장소재의 상승부분에 대응하는 접속부분(4)은 전기한 폐루우프내에 배설한 제2만곡내측케이선(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소재를 송풍에 의해 이송축적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포장소재(10)가 원형단면형상의 것이고, 전기한 폐루우프(1)는 몇개의 포장소재를 내부분리없이 횡으로 나란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송풍이송에이프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소재를 송풍에 의해 이송축적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한 폐루우프(1)가, 송풍이송에이프런과, 전기한 포장소재를 적어도 1열로 유지하는 분리겸 측부안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소재를 송풍에 의해 이송축적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상류측송급기계(20)는 모두 전기한 폐루우프의 상부수평로부부분(2)에 접속되어 있고, 또 전기한 하류측조립기계(21)는 진기한 폐루우프의 전기한 상부수평로부분(2)에 한쪽이 접속되어 전기한 상류측송급 기계로부터 나온 채로의 자세인 포장소재(10a)를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으며, 다른쪽이 전기한 폐루우프의 전기한 하부수평로부분(3)에 접속되어 상하가 반대인 자세의 포장소재(10b)를 받아들이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소재를 송풍에 의해 이송축적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다른 기계로의 접속을. 포장소재의 개개의 열을 한정하는 축부안내부제를 구비한 송풍용케이선에 의해 행하고, 이들 케이선을, 대응하는 기계와 피접속수평로부분과의 사이의 레벨차를 해소하도록 적절하게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소재를 송풍에 의해 이송축적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전기한 접속이 전기한 폐로우프의 통로에 수직하게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소재를 송풍에 의해 이송축적하는 장지.
  9. 제7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방출접속이 출구접속부근에서 출구를 향한 슬릿에 의해 용이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소재를 송풍에 의해 이송축적하는 장치.
  10. 한면이 개방된 상자형인 포장소재를, 입구접속과 출구접속을 보유하는 폐루우프의 축적로에 송풍장치를 이용하여 이송축적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기한 포장소재를 실질적으로 수직한 폐루우프통로 위에서 이동시키고, 또 이와 같이 하여 전기한 폐루우프에 축적한 포장소재를 상부수평로부분(2)과 하부수평로부분(3)양쪽으로부터 꺼내어서, 한 방향의 자제의 포장소재(10a)와 전기한 자세와 상하가 반대인 지세의 포장소재(10b)를 자동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소재를 송풍에 의해 이송축적하는 방법.
KR1019880011553A 1987-09-07 1988-09-07 포장소재를 송풍에 의해 이송축적하는 방법 및 장치 KR920006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712393A FR2620114B1 (fr) 1987-09-07 1987-09-07 Procede et dispositif de transfert et d'accumulation d'elements d'emballage par soufflage d'air
FR8712393 1987-09-07
FR87-12393 1987-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962A KR890004962A (ko) 1989-05-10
KR920006444B1 true KR920006444B1 (ko) 1992-08-06

Family

ID=9354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553A KR920006444B1 (ko) 1987-09-07 1988-09-07 포장소재를 송풍에 의해 이송축적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306882B1 (ko)
JP (1) JPH0198520A (ko)
KR (1) KR920006444B1 (ko)
AT (1) ATE83743T1 (ko)
AU (1) AU2196588A (ko)
CA (1) CA1289099C (ko)
DE (1) DE3876907D1 (ko)
ES (1) ES2037780T3 (ko)
FR (1) FR26201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0962B1 (en) 2005-05-31 2006-07-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ir conveyanc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56914A1 (de) * 1965-06-17 1969-01-09 Tobacco Res And Dev I Ltd Selbsttaetige Stapelvorrichtung
GB1554170A (en) * 1976-12-09 1979-10-17 Kodak Ltd Store
US4191499A (en) * 1978-07-25 1980-03-04 Futerized Systems, Inc. Live storage system
GB2061856A (en) * 1979-10-30 1981-05-20 Metal Box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articles delivered in rows into a single output f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06882B1 (fr) 1992-12-23
EP0306882A1 (fr) 1989-03-15
FR2620114B1 (fr) 1990-01-12
CA1289099C (en) 1991-09-17
AU2196588A (en) 1989-03-09
JPH0198520A (ja) 1989-04-17
FR2620114A1 (fr) 1989-03-10
KR890004962A (ko) 1989-05-10
ATE83743T1 (de) 1993-01-15
ES2037780T3 (es) 1993-07-01
DE3876907D1 (de) 199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0751B (fi) Artikkeleidenerottelu ja -pakkauslaite
US6688839B1 (en) Device for processing bottles
AU616271B2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packaging material to a packaging machine
ITBO970201A1 (it) Metodo e dispositivo per l'allineamento di prodotti.
JP2763181B2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の小型パックのグループのハンドル形態をなす大型ユニット製品の製造装置
US6546698B1 (en) Method and device for filling cartons
US4150751A (en) Tablet feeder for filling honeycomb-like cells of a tape
JPS6322414A (ja) コンベヤ装置
JPS61267669A (ja) ボビン搬送システム
US6695569B2 (en) Device for collecting and palletizing bottles
CN112061888A (zh) 筒纱补充装置
JP2795447B2 (ja) 紙巻きたばこの製造及び包装用の装置
US5183380A (en) Apparatus including an endless pocket conveyor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stacks of packaging blanks to a blank magazine of a packaging machine
KR920006444B1 (ko) 포장소재를 송풍에 의해 이송축적하는 방법 및 장치
EP0132150B1 (en) Vacuum transfer conveyor
JPH0127943B2 (ko)
US3463292A (en) Device for aligning eggs
US3764024A (en) Automatic vertical feeding machine for vertical stacking of carton blanks of the like
ES2778600T3 (es) Sistemas y métodos de transportador mecánico y envasado de alimentos
JP5837181B2 (ja) 容器充填装置
US5176245A (en) Conveyor device for transporting peg trays
JP2003326219A (ja) 区分装置
ITBO980276A1 (it) Unita' orientatrice ed alimentatrice di fondelli per capsule medicinal i.
US6928789B2 (en) Assembly for collecting together different goods
JPH1191704A (ja) テーパー状商品の自動箱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