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330B1 - 복합메모리매체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복합메모리매체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330B1
KR920006330B1 KR1019920005600A KR920005600A KR920006330B1 KR 920006330 B1 KR920006330 B1 KR 920006330B1 KR 1019920005600 A KR1019920005600 A KR 1019920005600A KR 920005600 A KR920005600 A KR 920005600A KR 920006330 B1 KR920006330 B1 KR 920006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mory
reading
access means
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5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이찌 카메다
카즈쯔그 코바야시
노부요시 요꼬보리
히로유끼 이이즈까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5421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2801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2270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69816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2270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69817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3040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78060A/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90002776A external-priority patent/KR920006332B1/ko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920005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3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합메모리매체 구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복합메모리매체재생장치의 보록도.
제2도(a),(c)는 본 발명의 복합메모리매체의 사시도.
제2도(b),(d)는 본 발명의 복합메모리매체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복합메모리매체재생장치의 블록도.
제4도(a),(b)는 CD-ROM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의 포오멧모식도.
제5도, 제6도는 제어블록의 동작을 표시한 플로우차아트.
제7도는 종래의 메모리매체를 사용한 재생장치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CD-ROM 디스크 2 : 고정식메모리
3 : 디스크억세스블록 4 : 장착제
5 : 제어블록 6 : 처리유니트
7 : 카아트리지 8 : 복합메모리매체구동장치
9 : 복합메모리매체재생장치 10 : 제1의 접촉형 코넥터
11 : 제2의 접촉형 코넥터 20 : 제1의 발광수광소자
21 : 전지 22 : 제2의 발광수광소자
본 발명은 오락, 교육, 비지니스분야등에 있어서, 화상, 음성, 문자, 음악등의 정보를 미리 기록하여 둔것을 읽어내기 전용으로서 재생하는 광디스크를 사용한 복합메모리매체구동장치에 관한 포함이다.
최근, 광디스크는 화상, 음성, 문자, 음악등의 정보기록재생매체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들면 화상, 음성, 음악용으로서는 광학식 비데오디스크, CDV(콤팩트디스크비데오)등이 있으며, 음악용으로서는CD(콤팩트디스크), 콤퓨터데이터용으로서는 CD-ROM(콤팩트디스크ㆍ리이드온리메모리), 도한 화상, 음성, 문자, 음악, 콤퓨터데이터등의 멀티미디어를 대상으로 하는 CD-1(콤팩트디스크ㆍ인터액티브)등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기한 종래의 광디스크를 사용한 메모리매체의 구동장치 및 재생장치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CD-ROM을 사용한 영일(英日)사전 시스템을 들어 설명한다.
제7도는 종래의 메모리매체를 사용한 영일사전시스템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이다. 동도면에서, (201)은 메모리매체로서의 CD-ROM 디스크, (202)는 억세스부, (203)은 제어부, (204)는 처리부, (205)는 기억부, (206)은 메모리매체구동장치, (207)은 메모리매체재생장치이다.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한 시스템에 있어서, CD-ROM(201)내에는 영일사전의 데이터베이스가 격납되어 있으며, 그 검색정보는 기억부(205)내에 격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기억부(205)는, 예를들면 플롭피디스크와 그 구동장치로 구성된다. 지금, 외부로부터 특정단어가 처리부(204)에 알려졌다고하면, 기억부(205)내의 검색정보에 의해 그 단어정보의 CD-ROM(201)내의 위치를 조사하고, 그 위치정보를 제어부(203)에 전송한다. 제어부(203)은 억세스부(202)를 제어하고, CD-ROM(201)내의 소정데이터를 출력시키고, 그 데이터를 처리부(204)에 전송한다. CD-ROM(201)의 구조 및 데이터의 기록형식과, 억세스부(202)의 구성방법에 대해서는 1986년 4월 발행된 아스키 Vol.10, #4의 115∼124페이지와 1986년 5월에 발행된 아스키 Vo1.10, #5의 105∼115페이지에 기술되어 있다. 또, 처리부(204)내에서, 예를들면, 코우드화된 문자를 화면에 출력하기 위하여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고, 지정된 단어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처리는 제어프로그램을, 기억부(205)내에 저장해두고, 미리 처리부(204)에 읽어내둠으로서 실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사용되는 메모리매체로서의 광디스크는, 저장해야할 정보를 미리 준비하고, 그 정보를 원반(示盤)으로 커팅해서, 대량의 복제를 작성하여, 읽어내기 전용으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내용의 개서 및 추가를 할 수 없다. 또 제어프로그램이 플롭피디스크등의 다른 매체에서 공급되기 때문에 취급이 불편하고, 광디스크와의 짜맞추기가 불명확해진다. 또, 제어프로그램을 광디스크상에 저장하였다고 해도, 번역(Version up)을 하기 위해서는 광디스크 그 자체를 다시 만들 필요가 있다. 부가해서, 광디스크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중에 데이터착오가 발생할때마다, 동일어드레스의 데이터라도, 데이터착오검출정정부에서 처리를 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은 여러가지의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에 비추어, 상기 과제를 해결한 써넣기가 가능한 복합메모리매체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복합메모리매체구동장치는, 읽어내기 전용메모리로서의 광디스크와 상기 광디스크를 수납하여 유지하는 유지체와 상기 유지체에 장착되고, 상기 광디스크와는 다른 수단으로 읽어내기와 써넣기가 이루어지는 고정식메모리로 구성한 복합메모리매체와, 광디스크상의 데이터의 읽어내기를 행하는 디스크억세스부와, 고정식메모리내의 데이터 읽어내기와 써넣기를 행하는 메모리억세스부와 외부로부터 보내오는 명령을 해석하고, 상기 디스크억세스부를 개재한 상기 광디스크로부터의 데이터의 읽어내기 동작과 상기 메모리억세스부를 개재한 상기 고정식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의 읽어내기와 써넣기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고정식메모리를 상보적으로 사용하도록 구비한 것이다. 또한, 읽어내게된 데이터중의 데이터착오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데이터착오검출정정부를 부가하고, 상기 제어부에, 상기 데이터착오검출정정부에서 데이터가 정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하고, 데이터가 정정되었을 경우에는,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메모리억세스부를 개재해서 상기 고정식 메모리에 상기 정정된 데이터를 써넣고, 이후 데이터착오가 발생한 어드레스의 데이터를 읽어낼때에는, 상기 메모리억세스부를 개재해서 상기 고정식메모리로부터 상기 정정된 데이터를 읽어내는 기능을 부가한 것이다.
상기 복수메모리매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와 고정식메모리를 일체화하였기 때문에, 써넣기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 제어프로그램을 고정식메모리에 격납하므로서 복합메모리매체만으로 다른 기억매체를 필요로 하지 않고 동작할 수 있는 구동장치 및 재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데이터착오를 일으킨 출력데이터의 틀림없는 데이터를 고정식메모리에 격납하므로서, 효율이 양호한 구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로서 복합메모리매체와 복합메모리매체구동장치와 복합메모리매체재생장치에 대해서 제1도와 제2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복합메모리매체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제1도(a)에 있어서,(1)은 광디스크로서의 CD-ROM 디스크, (2)는 고정식메모리, (3)은 디스크억세스블록, (4)는 장착제, (5)는 제어블록, (6)은 처리유니트, (7)은 카아트리지, (8)은 복합메모리 매체구동장치, (9)는 복합메모리매체재생장치, (10)은 제1의 접촉형 코넥터, (11)은 장착제(4)에 고정된 제2의 접촉형코넥터이다. 상기한 시스템에 있어서, 카아트리지(7)와 CD-ROM 디스크(1)와 제1의 접촉형 코넥터(10)와 고정식 메모리(2)로 이루어진 복합메모리매체는 장착제(4)로부터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장착된 상태에서 제1의 접촉형코넥터(10)와 제2의 접촉형 코넥터(11)가 접속된다.
제1도(b)에 있어서, (20)은 제1의 발광수광소자, (21)은 전지, (22)는 장착제(4)에 고정된 제2의 발광수광소자이다. 상기한 시스템에 있어서, 제1의 발광소자(20)와 전지(21)와 고정식메모리(2)는 카아트리지(7)에 고정되어 있다. 또, 카아트리지(7)와 CD-ROM 디스크(1)와 제1의 발광수광소자(20)와 고정식메모리(2)와 전지(21)로 이루어진 복합메모리매체는 장착제(4)로부터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장착된 상태에서 제1의 발광수광소자(20)와 제2의 발광수광소자(22)가 대향하도록 장착제(4)에 유지된다.
제2도(a),(b)는 각각 제1도(a)의 복합메모리매체재생장치에서 사용되는 복합메모리매체의 사시도, 평면도이다. 제2도(a),(b)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카아트리지(7)는 CD-ROM 디스크(l)를 그 내부에 유지한다. 카아트리지(7)의 하면에는 CD-ROM디스크(1)의 데이터 읽어내기용의 읽어내기구멍(13)이 형성되고, 카아트리지 상면에는 디스크 클램프용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디스크카아트리지(7)가 장착제(4)에 장착되면, CD-ROM 디스크(1)는 디스크억세스블록(3)내의 터언테이블(도시 생략)에 재치되고, 디스크클램퍼(도시생략)에 의해서 터언테이블위에 클램프된다. 이 결과 CD-ROM 디스크(1)은 카아트리지(7)와 비접촉상태로 유지되고, 디스크억세스 블록은 읽어내기구멍(13)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사용해서 CD-ROM디스크(1)내의 정보를 읽어낸다. 한편, 고정식메모리(2)와 제1의 접촉형코넥터(10)는 카아트리지(7)에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식메모리(2)와 제1의 접촉형코넥터(10)는 카아트리지(7)에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식메모리(2)와 제1의 접촉형코넥터(10)는 어드레스선, 데이터선, 제어선등의 신호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카아트리지(7)이 장착제에, 장착되면, 제1의 접촉형코넥터(10)는 제 2 의 접촉형코넥터(11)와 접속되고, 그결과 제어블록(5)은 고정식메모리 내용의 읽어내기 또는 써넣기를 할 수 있다.
제2도(c),(d)는 각각 제1도(b)의 복합메모리매체재생장치에서 사용되는 복합메모리매체의 사시도, 평면도이다. 제2도(c)(d)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카아트리지(7)는 CD-ROM 디스크(1)를 그 내부에 유지한다. 제 2도(a),(b)와 마찬가지로 카아트리지(7)의 하면에는 읽어내기구멍(13)이 형성되고, 카아트리지(7)의 상면에는 디스크클램프용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식메모리(2)와 제1의 발광수광소자(20)는 송신선과 수신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고정식메모리(2)내의 데이터읽어내기 혹은 써넣기때에는 제어블록(5)로부터 발생된 읽어내기, 써넣기 명령이 제2의 발광수광소자(22)에 의해서 광신호로 변환되고, 제1의 발광수광소자(20)에 의해서 수신된다. 제1의 발광수광소자(20)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고정식메모리에 보낸다. 고정식메모리(2)내에는 기억소자와, 써넣기 읽어내기 명령을 해석하여 기억소자의 써넣기 읽어내기를 행하는 제어회로가 내장되어 있다. 명령이 써넣기 명령이면, 명령중에 어드레스와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고, 제어회로는 기억소자의 지정어드레스에 데이터를 써넣는다. 명령이 읽어내기 명령이면, 제어회로는 명령으로 표시된 기억소자의 어드레스데이터를 읽어내고, 제1의 발광수광소자(20), 제2의 발광수광소자(22)를 개재해서 제어블록(5)에 읽어낸 데이터를 보낸다. 고정식메모리(2)와 제1의 발광소자(20)의 전원은 전지(21)로부터 공급된다. 고정식메모리(2)는 구체적으로 읽어내기 전용메모리, 리이드라이트메모리로서의 반도체메모리나, 자기버블메모리(magnetic bubble memory)등의 고속으로 억세스가능한 기억매체를 사용한다.
CD-ROM 디스크(1)와 고정식메모리(2)는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한다. CD-ROM 디스크(1)는 고정식메모리에 비해서 대용량이라는 이점이 있으나, 데이터의 써넣기 개서를 할 수 없고, 억세스스피이드가 느리고, 소규모생산에는 부적당하다는 등의 결점이 있다. 한편, 고정식메모리는 써넣기가 가능하고, 억세스스피이드도 CD-ROM 디스크(1)에 비해서 빠르고, 소규모생산에 적합하다고하는 이점이 있으나, 기억용량이 작고 비트당 단가도 고가라고 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복합메모리 매체는 성질이 다른 2종의 기억매체를 동일한 카아트리지(7)에 실장하므로서, 이들 쌍방의 이점을 살린 효과적인 기억매체를 실현할 수 있다.
디스크억세스블록(3)은 제어블록(5)의 지시에 따라서 CD-ROM 디스크(1)에 기억된 데이터를 읽어내고, 읽어낸 데이터를 제어블록으로 송출한다.
제어블록(5)는 처리유니트(6)의 지시에 따라서, 제1의 접촉형코넥터(10), 제2의 접촉형고넥터(11)을 개재한 고정식메모리(2)내의 데이테읽어내기 써넣기 동작과, 디스크억세스블록(3)을 제어한 CD-ROM 디스크(1)의 읽어내기 동작을 행한다. CD-ROM 디스크(1)로부터 읽어낸 데이터는 제어블록(5)내에서 일단 비축된 후 처리유니트(6)로 숭출된다.
처리유니트(6)는 제어블록(5)으로부터 보내오는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유니트이다. 예를들면 보내온 데이터가 화상데이터라면, 그 데이터를 영상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에 의하면, 읽어내기 전용메모리로서의 광디스크와, 상기 광디스크를 수납하는 카아트리지와, 제1의 접촉형코넥터 혹은 제1의 발광수광소자를 개재해서 읽어내기 혹은 써넣기가 이루어지는 고정식메모리로부터 복합메모리매체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읽어내기전용 광디스크의 내용을 변경하거나 추가하는 데이터를 고정식메모리에 써넣으므로서, 메모리매체로서는 써넣기를 할 수 있게 된다. 또, 카아트리지를 사용해서 광디스크와 고정식메모리를 일체화한 복합메모리매체를 장착제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복합메모리매체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복합메모리매체와, 광디스크상의 데이터의 읽어내기를 행하는 디스크억세스블록과, 고정식메모리내의 데이터 읽어내기 또는 써넣기를 행하는데 사용하는 제2의 접촉형코넥터 혹은 제2의 발광수광소자와, 외부로부터 보내오는 명령을 해석하여 디스크억세스블록을 개재한 상기 광디스크로부터의 데이터 읽어내기 동작과 제2의 접촉형 코넥터 혹은 제2의 발광수광소자를 개재한 고정식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읽어내기 또는 써넣기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블록으로부터 복합메모리매체구동장치를 구성하고, 또 복합메모리 매체구동장치에, 복합메모리매체구동장치를 제어하고 출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유니트를 추가하여, 복합메모리매체재생장치를 구성하였다. 이 때문에, 고정식메모리에 복합메모리 매체구동장치나 복합메모리매체재생장치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프로그램을 격납하므로서, 플롭피디스크등의 다른매체로 제어프로그램을 공급할 필요는 없고, 복합메모리매체만으로 데이터와 제어프로그램을 공급할 수 있어, 취급이 용이하게 되고, 광디스크와 플로피디스크와의 대응도 고려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제어프로그램이 광디스크상에 기록되어 있어도, 번역할 경우, 고정식메모리에 추가기록할 수 있어, 광디스크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복합메모리매체를 디스크억세스블록 및 메모리억세스수단에 착탈가능한 상태로 장착하므로서, 복합메모리매체를 마치 광디스크와 마찬가지로 취급할 수 있어, 여러가지 내용을 가진 복합메모리매체에 의해, 교육, 오락, 비즈니스등 여러가지 분야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광디스크로서 CD-ROM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들면 광학식비데오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발광수광소자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고정식 메모리의 전원으로서 태양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제2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복합메모리매체재생장치를 사용해서 영일사전을 실현하였을 경우에 대해서 제3도, 제4도, 제5도를 사용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디스크로서 CD-ROM 디스크(1)을 사용하고, 고정식메모리(2)로서 ROM을 사용하고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복합메모리매체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제4도(a),(b)는 CD-ROM 디스크(1)에 기록된 데이터의 포오멧의 모식도, 제4도(c)는 고정식메모리(2)내에 기록된 데이터의 포오멧의 모식도이다. 제5도는 제어블록(5)의 동작을 표시한 플로우차아트이다.
먼저 제4도를 사용해서, CD-ROM 디스크(1)와 고정식메모리(2)에 기록되는 데이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CD-ROM 디스크를 콤팩트디스크의 음악을 기록하는 영역에 일반적인 디지틀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으로서, 제4도(a)에 표시한 바와 같이 2352바이트를 1개의 블록(BLOCK)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각 블록은, 선두에서부터 12바이트의 동기신호(101), 4바이트의 어드레스데이터(102) ,2048바이트의 유우저데이터(103), 4바이트이 에러검출용코우드(104) 8바이트의 nu11데이터, 276바이트의 에러검출 정정용코우드(105)로 구성되어 있다.
어드레스데이터(102)에는 이 블록의 CD-ROM 디스크(1)상에서의 위치를 기록한다. 구체적으로는, 선두에서부터의 3바이트에 블록의 물리어드레스를, 분(Miuntes), 초(Seconds), 블록(Blocks)을 사용해서, 기록한다. 이 블록은 시간단위로 75블록이 1초에 대응한다.
유우저데이터(103)에 영일사전의 단어데이터를 기록한다. 이 단어데이터의 기록 포오멧을 모식적으로 표시한 포함이 제 4도(b)이다. 1개의 단어데이터는 선두에서부터, 1워어드(1워어드=16비트)의 길이(Llength)(106), 견출어(107), 의미데이터(108)의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길이(106)는 상기 3개의 영역데이터량을 워어드수로 표시하고 있다.
견출어(107)은 7비트의 ASC11코우드의 상의에 1비트의 0을 부가한 8비트의 데이터(1바이트데이터)로서 기록된다. 견출어(107)의 데이터량이 홀 수바이트의 경우 1바이트의 nu11데이터를 부가해서 짝수바이트의 데이터로 해서 기록한다. 일본어로 기록되는 의미데이터(108)는 1문자가 워어드로 표시되는 Sift-JIS 코우드를 사용한다.
1블록의 유우저데이터(103)은 고정길이나, 1개의 단어데이터의 크기는 각단어에 의해서 임의길이이다. 따라서 1블록의 유우저데이터(103)내에 복수의 단어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나, 1개의 단어데이터가 복수블록의 유우저데이터(103)에 걸치는 경우도 있다. 단, 길이(106)와 견출어(107)는 반다시 동일블록내에 배치한다. 극, 길이(106)와 견출어(107)의 경계 또는 견출어(107)의 내부에서 유우저데이터(103)의 경계가 되는경우에는, 1개 앞의 단어데이터와 이 단어데이터사이에 nu11 데이터를 삽입해서 조절한다.
Sift-JIS 코우드는 최상의비트가 항상 1인 16비트 코우드이다. 이에 비해서 견출어(107)와 길이(106)는 항상 최상위비트가 0이다. 따라서 각 단어데이터 사이의 경계는 워어드데이터의 최상의비트를 체크하므로서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상기한 단어데이터는 알파벳순으로 1분 0초 0블록의 블록으로부터 기록된다.
제4도(c)는 고정식메모리(2)내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포오멧의 모식도이다. 고정식 메모리(2)에는 32K바이트의 EPROM를 2개 사용하고, 합계 64K바이트의 용량을 가진다. 0번지에서부터의 2바이트의 길이(109)로 3번지에서부터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크기를 바이트수로 표시한다. 2번지에서부터의 2바이트의 인덱스테이블 스타아트어드레스(110)에 의해서 인덱스테이블의 개시어드레스를 표시한다. 3번지에서부터는 CPU60(제 3도참조)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111)이 기록된다. 4L번지에서부터의 영역은 인덱스테이블(112) 이 기록된다. 인덱스테이블(112)은 어드레스데이터(102)와 그 블록의 유우저데이터(103)내에 기록된 단어데이터와의 대응관계를 표시한 테이블이다.
인덱스테이블(112)은 4바이트로 이루어진 인덱스의 집합이며, 1인덱스가 CD-ROM 디스크(1)내의 1블록에 대응한다. 각 인덱스에 인덱스데이블(112)의 선두인덱스를 0으로 하는 인덱스어드레스를 부여한다. 인덱스내에는 이 인덱스에 대응하는 블록내에 기록된 단어데이터 견출어의 선두의 4문자를 소문자의 ASC11코우드로 기록한다. 1블록내에 복수의 단어데이터가 존재할 경우에는, 선두의 단어데이터 견출어를 사용한다. 견출어가 4문자로 채워지지 않는 경우에는 ASC11코우드의 "a"를 추가한다. 또 블록내에 의미데이터(108)만이 존재할 경우에는 1개 앞과 마찬가지 인덱스를 기록한다. 또, 인덱스테이블(112)의 최종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nu11 데이터를 기록한다.
영일사전의 데이터량은 500페이지정도의 작은 사전에서 약 4M바이트, 3000페이지정도의 큰사전에서는 약40M바이트가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문자데이터의 데이터량으로서 20M바이트를 상정한다. 20M 바이트의 데이터는 1O3블록의 데이터량에 상당한다. 이 1O3블록의 각 블록에 4바이트의 인덱스테이블(112)을 할당하면, 인덱스테이블(112)의 용량은 40K바이트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그램(111)의 용량은 최대 24K바이트가 된다.
다음에 제3도, 제5도를 사용해서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도에 있어서, (31)은 광픽업으로서, CD-ROM 디스크(1)에 기록된 데이터의 판독을 행한다. (32)는 CD신호처리회로로서, 광픽업(31)으로부터 보내오는 신호를 디지틀데이터로 변환한 후, CD 본래의 착오검출정정을 행하고 제4도에 표시한 블록을 출력한다. 또 CD 신호처리회로(32)는 오오디오데이터와 시분할로 기록되어 있는 서보코우드데이터의 분리를 행하여 억세스제어기(33)에 보내는 동작도 행한다. 서브코우드데이터내에는 억세스제어기(33)가 CD-ROM 디스크(1)의 억세스에 사용하는 서보코우드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다. (33)은 억세스제어기로서, 제어기(39)로부터 제어버스(42)를 개재해서 억세스명령을 수령하고, 서브코우드어드레스와 비교하면서 광픽업(31)의 이동제어를 행한다. 광픽업(31)과 CD신호처리회로(32)와 억세스제어기(33)에 의해서 디스크억세스블록(3)을 구성하고 있다. 이 블록의 동작, 서브코우드데이터, 서브코우드어드레스에 대해서는 종래예에 표시한 문헌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블록(5) 은 동기 검출회로(34), 타이밍발생회로(35), 어드레스검출회로(36), 에러검출회로(37), 버퍼메모리(38), 제어기(39), 인터페이스회로(40)로 구성된다. 제어블록(5)은 처리유니트(6)로부터 인터페이스회로(40)을 개재해서 보내오는 명령에 따라서, CD-ROM 디스크(1) 또는 고정식메모리(2)로부터의 데이터의 읽어내기를 행하고, 읽어낸 데이터를 처리유니트(6)에 송출하는 동작을 행한다.
CD신호처리회로(3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내로부터 동기검출회로(34)에 의해서 동기신호(101)가 검출된다. 이 동기신호에 의해서 타이밍발생회로(35)가 리세트되고, 그 동작이 개시되어서 어드레스검출회로(36), 에러검출회로(37)에 타이밍신호가 각각 전송된다. 어드레스검출회로(36)에서는 어드레스데이터(102)와 물리어드레스와의 일치검출이 행하여진다. 물리어드레스는 제어기(39)가 제어버스(42)를 개재해서 설정한다. 에러검출회로에서는 EDC(104)를 사용해서 에러검출이 실시간으로 행하여진다. 버퍼메모리(38)에는 동기신호(101)를 제외한 블록내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에러검출회로(37)에서 에러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 제어기(39)는 버퍼메모리(38)내에 저장된 블록내의 유우저데이터(103)만을 인터페이스회로(40)을 개재해서 처리유니트(6)에 송출한다.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에러검출회로(37)는 제어버스(42)를 개재해서 제어기(39)에 에러의 발생을 알린다. 제어기(39)는 버퍼메모리(3)내에 비축된 블록의 ECC(105)를 사용해서 에러정정을 행한다. 이후, 정정된 데이터는 인터페이스회로(40)을 개재해서 처리유니트(6)로 송출된다.
처리유니트(6)에서부터 보내온 명령이 고정식메모리(2)로부터의 데이터읽어내기 명령이였을 경우, 제어기(39)는 제1의 접촉형코넥터(10), 제2의 접촉형코넥터(11), 데이터버스(41)를 개재해서 고정식메모리(2)내의 데이터를 읽어낸다. 읽어낸 데이터는 바이트단위로 인터페이스회로(40)를 개재해서 처리유니트(6)에 전송된다.
상기한 제어블록(5)의 동작에 대해서는 제5도에 그 플로우차아트를 표시하고 있다.
처리유니트(6)은 퍼어스널콤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그 구성요소로서, CPU(60), ROM(61), RAM(62), I/O 포오트 (63), CTRG (64), (CRT -Controller) , V - RAM (65) (Video - REM) , I/O 포오트 (66), 키이보오드(67)가 있다.
먼저, CPU(60)는 ROM(61)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I/O 포오트(63)를 개재해서 제어블록(5)에 고정식메모리(2)의 읽어내기 명령을 송출한다. 제어블록(5)은 상기한 순서로 제4도에서 표시한 데이터를 처리유니트(6)에 보낸다. 이 데이터는 시스템버스(68)를 개재해서 RAM(62)내에 저장된다. 이후, CPU(60)는 RAM(62)에 저장된 프로그램(111)을 실행한다. 지금, 키이보오드(67)로부터 특정단어가 I/O포오트(66)를 개재해서 CPU(60)에 알려지만, RAM(62)에 저장된 인덱스테이블(112)로부터 그 단어데이터의 CD-ROM(1)내의 위치를 조사하고, 그 물리어드레스를 제어블록(5)에 전송한다. 예를들면 "grand"라고 하는 단어가 입력되면 CPU(60)는 인덱스테이블(112)내를 검색해서 이 단어가 기록되어 있는 인덱스어드레스(N) 를 얻는다(제 4 도(C) 참조) . 이 블록어드레스(N)을 분(Minutes), 초(Seconds), 블록(Blocks) 의 시간정보로 변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덱스어드레스 0이 1분 0초 0블록에 대응하기 때문에, 이 시간정보에 1분 0초 0블록을 가산해서 물리어드레스를 얻는다. 이 물리어드레스를 제어블록(5)에 송출한다. 제어블록(5)은 상기한 숫법으로 디스크억세스블록(3)을 제어하고 CD-ROM(1)내의 소망의 데이터를 출력시켜, 그 데이터를 처리유니트(6)에 전송한다. 처리유니트(6)내에서는 수신한 데이터를 일단 RAM(62)의 내용에 저장한다. CPU(60)는 이 데이터의 내용을 검색해서"grand"의 단어데이터를 검출한다. 다음에 CPU(60)는 이 단어데이터를 ROM(61)내에 기록된 글씨체(Font)데이터를 사용해서 비트맵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비트맵데이터를 CTRC(64)를 개재해서 V-RAM(65)에 전송한다. CTRC(64)는 V-RAM(65) 내에 비축된 비트맵데이터를 영상신호(69)로 변환해서 외부에 출력한다. 영상신호(69)는 외부의 CRT 디스플레이(도시생략)에 표시된다.
상기한 CPU(60)가 행하는 일련의 처리는 모두 프로그램(111)에 기술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대용량이고 또한 내용의 변경이 생기지 않는 문자데이터를 CD-ROM디스크(1)에 기록하고, 용량이 적은 인덱스테이블이나 대상으로 하는 퍼어스널콤퓨터에 의해서 여러가지 다른 프로그램을 고정식메모리에 기록하므로서, 각각의 기록매체의 특징을 살린 복합메모리매체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식메모리로 ROM을 사용하였으나, 써넣기 가능한 불휘발성메모리를 고정식메모리에 추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불휘발성 메모리에는 검색한 단어의 견출어를 기록해두고, 복수회검색한 단어를 유우저에 알리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식메모리내에 처리유니트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었으나, 제어블록이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대해서, 제3도, 제4도(a), 제6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6도는 제어블록(5)의 처리흐름을 표시한 플로우차아트이다.
본 실시에에서도 광디스크로서 CD-ROM디스크(1)을 사용한다. 고정식메모리(2)는 제2의 실시예와는 달리 써넣기 가능한 불휘발성메모리를 사용하고, 초기단계에서는 아무것도 기록되어 있지 않다.
이 상태에서 처리유니트(6)로부터 제어블록(5)에 CD-ROM 디스크(1)의 읽어내기 명령이 입력되면, 제2의 실시예에서 표시한 순서에 따라서 버퍼메모리(38)에 소정 블록의 데이터가 비축된다. 이 블록에 대해서 에러검출회로(37)에서 데이터에러가 검출되지 않으면 유우저데이터(103)가 처리유니트(6)에 송출된다. 만약 데이터에러가 검출되면 제어기(39)는 FCC(105)를 사용해서 유우저데이터(103)의 에러정정을 행한다.이 정정후의 데이터는 처리유니트(6)에 송출됨과 동시에 제어기(39)에 의해서 고정식메모리(2)에도 써넣어진다. 이때 제어기(39)는 고정식메모리(2)에 데이터 에러가 발생한 블록의 어드레스데이터(102)도 써넣는다.
이후, 처리유니트(6)로부터 제어블록(5)에 CD-ROM 디스크(1)의 읽어내기 명령이 입력되었을 경우, 제어기(39)는 소정의 블록의 유우저데이터(103)가 고정식 메모리(2)내에 기록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체크한다. 이 체크에 있어서는, 고정식 메모리(2)내에 기록된 어드레스데이터(102)가 사용된다. 체크결과 고정식메모리(2)내에 소정의 데이터가 존재하면 제어기(39)는 그 데이터를 읽어내어 처리유니트(6)로 송출한다. 이 경우 CD-ROM 디스크(1)로부터의 데이터 읽어내기는 행하지 않는다.
상기한 제어블록(5)의 처리흐름을 종합하면 제6도와 같이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에러가 발생한 어드레스의 데이터를 읽어낼때에, 광디스크로부터가 아니고 고정식메모리로부터 읽어낼 수 있고, 동일어드레스의 데이터에서, 데이터에러가 발생할때마다 정정동작을 행할 필요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제2의 실시예, 제3의 실시예에서는 접촉형코넥터를 사용한 복합메모리매체 재생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접촉형 코넥터대신에 발광수광소자를 사용한 복수메모리매체재생장치에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읽어내기 전용메모리로서의 광디스크(1)와 상기 광디스크를 수납하여 유지하는 유지체(7)와 상기 유지체에 장착되고 상기 광디스크와는 다른 수단(5)에 의해서 읽어내기와 써넣기가 이루어지는 고정식메모리(2)로 구성한 복합메모리매체(1),(7),(2)와, 상기 복합메모리매체를 착탈가능한 상태로 장착하는 정착제(4)와, 광디스크상의 데이터의 읽어내기를 행하는 디스크억세스수단(3)과, 고정식메모리내의 데이터읽어내기와 써넣기를 행하는 메모리억세스수단(5)과, 외부로부터 보내오는 명령을 해석하고, 상기 디스크억세스수단을 개재한 상기 광디스크로부터의 데이터 읽어내기 동작과 상기 메모리억세스수단을 개재한 상기 고정식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의 읽어내기와 써넣기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메모리매체구동장치.
  2. 읽어내기 전용메모리로서의 광디스크(1)와 상기 광디스크를 수납하여 유지하는 유지체(7)와 상기 유지체에 장착되고 제1의 접촉형코넥터(10)를 사용해서 읽어내기와 써넣기가 이루어지는 고정식메모리(2)로 구성된 복합메모리매체(1),(7),(2)와, 상기 복합메모리매체를 착탈가능한 상태로 장착하는 장착체(4)와, 광디스크상의 데이터의 읽어내기를 행하는 디스크억세스수단(3)과, 고정식메모리내의 데이터읽어내기와 써넣기를, 상기 복합메모리매체가 상기 장착제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의 접촉형 코넥터(10)와 접속되는 제2의 접촉형 코넥터(11)를 사용해서 행하는 메모리억세스수단(5)과, 외부로부터 보내오는 명령을 해석하고, 상기 디스크억세스수단을 개재한 상기 광디스크로부터의 데이터의 읽어내기 동작과 상기 메모리억세스수단을 개재한 상기 고정식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의 읽어내기와 써넣기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을 구비한 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메모리매체구동장치.
  3. 읽어내기 전용메모리로서의 광디스크(1)와 상기 광디스크를 수납하여 유지하는 유지체(7)와 상기 유지체에 장착되고 제1의 발광수광소자(20)를 사용해서 읽어내기와 써넣기가 이루어지는 고정식메모리(2)로 구성된 복합메모리매체(1),(7),(2)와, 상기 복합메모리매체를 착탈가능한 상태에서 장착하는 장착제(4)와, 광디스크상의 데이터의 읽어내기를 행하는 디스크억세스수단(3)과, 고정식메모리내의 데이터의 읽어내기와 써넣기를, 상기 복합메모리매체가 상기 장착제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의 발광수광소자(20)와 대향하는 제2의 발광수광소자(22)를 사용해서 행하는 메모리억세스수단(5)과, 외부로부터 보내오는 명령을 해석하고 상기 디스크억세스수단을 개재한 상기 광디스크로부터의 데이터의 읽어내기동작과 상기 메모리억세스수단을 개재한 상기 고정식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읽어내기와 써넣기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을 구비한 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메모리 매체구동장치.
  4. 읽어내기 전용메모리로서의 광디스크(1)와 상기 광디스크를 수납하여 유지하는 유지체(7)와 상기 유지체에 장착되고 상기 광디스크와는 다른 수단(5)에 의해서 읽어내기와 써넣기가 이루어지는 고정식메모리(2)로 구성된 복합메모리매체(1),(7),(2)와, 상기 복합메모리매채를 착탈가능한 상태에서 장착하는 장착제(4)와, 광디스크상의 데이터의 읽어내기를 행하는 디스크억세스수단(3)과, 고정식메모리내의 데이터의 읽어내기와 써넣기를 행하는 메모리억세스수단(5)과, 읽어낸 데이터속의 데이터착오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데이터착오검출정정수단(37)과, 상기 처리수단으로부터 보내오는 명령을 해석하고, 상기 광디스크내의 해당어드레스의 데이터를 상기 디스크억세스수단을 개재해서 읽어내고, 상기 데이터착오검출정정수단에서 데이터가 정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하고, 데이터가 정정되었을 경우에는,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메모리억세스수단을 개재해서 상기 고정식메모리에 상기 정정된 데이터를 써넣고 이후 데이터착오가 발생한 어드레스의 데이터를 읽어낼때에는 상기 메모리억세스수단을 개재해서 상기 고정식메모리로부터 상기 정정된 데이터를 읽어내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5)을 구비한 포함을 특징으로 햐는 복합메모리매체구동장치.
KR1019920005600A 1988-03-08 1992-04-03 복합메모리매체 구동장치 KR920006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5600A KR920006330B1 (ko) 1988-03-08 1992-04-03 복합메모리매체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54213A JPH01228015A (ja) 1988-03-08 1988-03-08 複合メモリ媒体と複合メモリ媒体駆動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と複合メモリ媒体再生装置
JP63-54213 1988-03-08
JP63222705A JPH0269816A (ja) 1988-09-06 1988-09-06 複合メモリ媒体と複合メモリ媒体駆動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と複合メモリ媒体再生装置
JP63-222706 1988-09-06
JP63-222705 1988-09-06
JP63222706A JPH0269817A (ja) 1988-09-06 1988-09-06 複合メモリ媒体と複合メモリ媒体駆動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と複合メモリ媒体再生装置
JP63-230403 1988-09-14
JP63230403A JPH0278060A (ja) 1988-09-14 1988-09-14 複合メモリ媒体駆動装置
KR1019890002776A KR920006332B1 (ko) 1988-03-08 1989-03-07 복합메모리매체
KR1019920005600A KR920006330B1 (ko) 1988-03-08 1992-04-03 복합메모리매체 구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2776A Division KR920006332B1 (ko) 1988-03-08 1989-03-07 복합메모리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330B1 true KR920006330B1 (ko) 1992-08-03

Family

ID=27523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5600A KR920006330B1 (ko) 1988-03-08 1992-04-03 복합메모리매체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33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6332B1 (ko) 복합메모리매체
KR0138333B1 (ko)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ic 메모리 카드, ic 메모리 카드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
EP0300264A3 (en) Defect skipping mechanism for disk drives
KR910008467B1 (ko)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 장치
JP2637816B2 (ja) 情報再生装置
US4841513A (en) Sequential buffer device
KR920006330B1 (ko) 복합메모리매체 구동장치
KR920006331B1 (ko) 복합메모리매체 재생장치
CN1163900C (zh) 视像歌曲伴奏的记录介质的重放方法
KR19980042386A (ko) 부호 오류 정정 디코더 및 어드레스 발생 회로
CN101673575B (zh) 存取存储器的方法、存取存储器的控制单元及光驱
EP0953981A2 (en) Text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JPS6414776A (en) Method for processing defective sector in optical data recording/reproducing device
JPH0756651B2 (ja) 文書ファイル検索方式
JP4092804B2 (ja) 再生装置
US6262956B1 (en) Reproducing apparatus with improved access to text information
JPS58147812A (ja) デ−タ記録方式
JPH04368667A (ja) デジタルデータ処理装置
JPH0410104B2 (ko)
US20010025286A1 (en)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of such storage medium
KR100618985B1 (ko) 동시 재생을 위한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KR970010532B1 (ko) 디스크 기록매체와 그 재생방법
JPH11232257A (ja) 光ディスク、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KR0169793B1 (ko) 컴팩트 디스크의 서브 코드를 이용한 문자정보 기록 및 재생방법
JPS58133690A (ja) デイス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8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