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184Y1 - 테이프 방출상 - Google Patents

테이프 방출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184Y1
KR920006184Y1 KR2019860007044U KR860007044U KR920006184Y1 KR 920006184 Y1 KR920006184 Y1 KR 920006184Y1 KR 2019860007044 U KR2019860007044 U KR 2019860007044U KR 860007044 U KR860007044 U KR 860007044U KR 920006184 Y1 KR920006184 Y1 KR 9200061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base
slot
rol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70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4720U (ko
Inventor
이.사무엘슨 블루스
티.루 에브 죤
Original Assignee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도날드 밀러 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도날드 밀러 셀 filed Critical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Publication of KR8600147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47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1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1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1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devices for breaking partially-cut or perforated webs, e.g. bur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20Severing by manually forcing against fixed edge
    • Y10T225/222With work-immobilizing paster surface
    • Y10T225/223With finger-access op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20Severing by manually forcing against fixed edge
    • Y10T225/238With housing for work supply
    • Y10T225/243Blade on pivoted closure for hou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30Breaking or tearing apparatus
    • Y10T225/307Combined with preliminary weakener or with nonbreaking cutter
    • Y10T225/321Preliminary weak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798With simple oscillating motion only
    • Y10T83/8817Axially entending cutting e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89Tool with either work holder or means to hold work supply
    • Y10T83/896Rotatable wound package supply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방출상
제1도 및 2도는 신축성 모재를 갖는 테이프가 방출될 수 있는 종래 테이프 방출상에서 그 덮개부가 각각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며 세부를 도시하기 위하여 단면도로 도시한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테이프 방출상을 사용자가 한손으로 사용하여 그 덮개부가 개방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4도는 제3도 테이프 방출상의 확대 평면도.
제5도는 덮개부가 폐쇄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제3도 테이프 방출상의 확대 측면도.
제6도는 방출상이 개방위치에 있으며 제4도의 선6-6을 따라 절취한 것을 도시하며 세부를 도시하기 위하여 일부가 파단된 단면도.
제7도는 세부를 도시하기 위하여 일부가 파단된 제3도 테이프 방출상이 확대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테이프 방출상 52 : 로울
54 : 테이프 58 : 하우징
62 : 공동 64 : 허브
66 : 테이프 접착부 68 : 슬롯
70 : 덮개부 72 : 톱니
74 : 힌지 76 : L-자형벽
본 고안은 신축성의 모재에 접착제가 도포되며 압력에 의해 절단되는 테이프를 분배시공하기 위한 파지형테이프방출상(箱)에 관한 것이다.
도면의 제1도 및 2도는 방출상(10)내의 테이프와 같은 것의 로울(14)로부터 테이프(12)를 방출하기 위한 종래 형태의 파지형테이프 방출상(10)을 도시한다. 방출상(10)은 공동(22)을 형성하면서 벽을 구성하는 기저부(20)과, 공동(22)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로며 테이프(12)의 로울(1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허브(24)와, 로울(14)로부터의 테이프(12)가 착탈가능하게 고착될 수 있는 허브(24)로 부터 이격되어 있는 테이프접착부(26)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8)을 포함한다.
접작부(26)을 구성하는 벽은 접착부(26)의 횡방향으로 신장하는 슬롯(28)을 형성하며, 슬롯(28)의 양측에 접착부(26)을 구비한다. 방출상(10)은 또한 접착부(26)에 접착된 테이프(12)를 횡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하여 슬롯(28)내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는 일련의 삼각형톱니(32)를 갖는 덮개부(30)과, 톱니(32)가 슬롯(28)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개방위치와 톱니(32)가 슬롯(28)내에 위치하는 폐쇄위치사이에서의 상대 피봇운동을 위하여 덮개부(30)을 기저부(20)상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는 힌지(34)를 포함한다.
테이프(12)는 덮개부(30)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고, 로울(14)에 가까운 테이프접촉부(26)에 고착된 테이프(12)의 단부를 손으로 파지하여, 테이프(12)를 접촉부(26) 및 로울(14)로 부터 잡아당김으로써 테이프방출상으로 부터 방출된다. 이리하여, 소정길이의 테이프(12)가 로울(14)로부터 방출되면, 테이프(12)의 절단할 부분을 슬롯(28)상부의 접촉부(26)에 고착시켜, 덮개부(30)을 폐쇄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톱니(32)가 테이프(12)를 관통하여 테이프(12)가 방출상(10)내에 남아있는 테이프와 로울(14)로부터 먼쪽에 있는 접촉부(26)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된 테이프와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출상(10)은 보다 통상적인 방출상에서와 같이 톱니형의 절단날을 가로질러 잡아당김으로써 용이하게 절단될 수 없는 신축성 모재를 갖는 테이프를 효과적으로 절단하지만, 방출상(10)으로 부터 테이프를 분배하는 것이 수차레의 손동작을 요구하기 때문에 속도가 지연된다.
본 고안은 상술된 공지의 방출상보다 사용하기에 편리한 신축성 모재를 갖는 테이프를 분배하기 위한 상술된 형태의 방출상을 개량하는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는 방출상에서는, 덮개부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소켓을 구성하는 벽구조물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그 엄지손가락을 소켓에 끼우고 그 기저부를 나머지 손가락으로 받침으로서 한손으로 방출상을 파지하여 한손으로만 덮개를 개방 및 폐쇄 위치사이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고안에 따르는 방출상의 기저부는 덮개부의 반대편에서 횡방향으로 신장하는 핀(fin)을 가져서 사용자의 손가락사이에 수용됨으로써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의 덮개부와 기저부의 한손작동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명확히 설명한다.
도면의 제3도 내지 7도에는, 본 고안에 따르는 테이프분배상(50)이 도시된다.
제1도 및 2도에 도시된 공지기술의 방출상(10)에서와 같이, 방출상(50)은 신축성 모재에 접착제가 도포되며 압력에 민감한 테이프(54)가 방출될 수 있는 로울(52)를 구비하며, 하우징(58)은 공동(62)를 구성하는 벽을 구비하는 기저부(60)과, 공동(62)의 횡방향으로 신장하며 테이프(54)의 로울(5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호형돌기부형태의 허브(64)와, 로울(52)로부터의 테이프(54)가 착탈가능하도록 고착되는 허브(64)로부터 이격된 테이프접착부(66)과로 이루어진다. 또한, 테이프접착부를 구성하는 벽은 횡방향으로 신장하는 슬롯(68)을 구비하여 슬롯(68)의 양측면에 테이프접착부(66)을 구비하도록 된다.
방출상(50)은 또한 테이프접착부(66)상에 고착된 테이프(54)를 횡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하여 일련의 삼각형톱니(72)를 갖는 덮개부(70)과, 톱니(72)가 슬롯(68)로부터 이격되는 개방위치(제3,6 및 7도)와 톱니(72)가 슬롯(68)내에 위치하는 폐쇄위치(제5도)사이의 상대피봇운동을 위하여 기저부(60)상에 덮개부(70)을 설치하기 위한 힌지(74)와를 구비한다.
그러나, 공지의 방출상(10)과는 달리, 본 고안의 방출상(50)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의 일단부를 수용하도록 채택된 소켓을 구성하는 대략 L-자형의 벽(76)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그 엄지손가락을 소켓에 집어넣고 나머지 손가락을 기저부(60)에서 지탱하여 한손으로 방출상(50)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덮개부(70)을 한손으로 그개방 및 폐쇄 위치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다른 나머지 손으로 자유로히 로울(52)로부터 테이프를 잡아당기고 방출상(50)으로 부터 덮개부(70)을 닫음으로써 테이프(54)를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제3도 내지 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8)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며 대향된 상부벽(80) 및 하부벽(82)와, 서로 마주보며 각각의 상부벽(80) 및 하부벽(82)의 대응하는 단부에 인접하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정면벽(84) 및 호형의 배벽(86)을 구비한다. 상부벽(80)은 덮개부(70)에 통합되며, 정면벽(84), 하부벽(82) 및 배벽(86)은 기저부(60)에 통합되며, 설치수단 즉 힌지(74)는 배벽(86)과 상부벽(80)사이에 위치한다. 테이프접착부(66) 및 슬롯(68)을 위한 개방구는 상부벽(80)에 인접한 정면벽(84)의 단부에 위치하며, 톱니(72)는 정면벽(84)에 인접한 상부벽(80)의 단부에 위치한다. 소켓을 구성기 위한 벽수단 즉 L-자형 벽(76)은 상부벽(80)및 정면벽(84)로부터 돌출하는 제1부제(92)와, 상부벽(80)에 이격된 관계(예를들면, 약1.3㎝간격)로 돌출하는 제2부제(94)와를 구비하여 상부벽(80)과 L-자형벽이 소켓을 구성하도록 한다.
덮개부(70) 및 기저부(60)의 한손작동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우징(58)은 L-자형벽(76)의 제2부재(94)에 일반적으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하부벽(82)로 부터 적어도 약 0.6㎝(바람직하게는 약 1.3㎝)로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핀(96)을 구비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인지 및 중지 손가락이 핀(96)의 양측에 위치하여 기저부(60) 및 덮개부(70)을 개방 및 폐쇄위치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방출상(50)의 한손동작에서 손가락의 위치를 유지하는데 조력이 되도록 한다. 핀(96)은 또한 방출상(50)이 평면에 놓여졌을때 그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으로도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출상(50)은 세개의 통합 주조물로 이루어진다.
그중 두개의 주조물은 정면벽(84), 하부벽(82), 호형배벽(86) 및 호형 돌출부형태의 허브(64)가 테이프의 로울(52)가 측벽으로 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측벽(98)에 대하여 로울(52)의 측면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접촉부(97)과 함께 대략직각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는 제1측벽(98)을 구비하는 제1주조물과, 제1측벽(98)과 형태에 있어 유사하며 정면벽(84), 하부벽(82) 및 배벽(86)과 제1측벽과 대향하는 호형 돌출부(64)의 말단부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제2측벽(99)를 구비하는 제2주조물과로 이루어져서 함께 기저부(60)을 형성한다.
제3주조물은 상부벽(80), 톱니(72), L-자형벽(76) 및 덮개부(70)이 기저부(60)에 관하여 피봇운동하도록 하기 위한 힌지(74)를 마련하기 위하여 L-자형벽(76)의 반대편 단부에서 그 휭방향으로 가로 질러서 T-자형의 저어널(100)이 수용되도록 측벽(98, 99)상에 형성된 원통부(102)를 포함하면서 덮개부(70)을 형성한다.
방출상(50)으로부터 신축성모재를 갖는 테이프(54)를 방출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의 엄지손가락을 L-자형벽(76)의 하부에서 소켓내에 집어넣고 그의 인지 및 중지를 핀(96)의 양측면에 위치시킨다. 그런 연후에 이동시킨후, 그의 다른 손으로 로울(52)에 가까운 측의 테이프접착부(66)에 고착된 테이프(54)의 단부를 손으로 떼어서 로울(52)로부터 테이프를 잡아당긴다.
이리하여, 소정길이의 테이프(54)가 로울(52)로부터 방출되면, 테이프(54)의 절단하고자 하는 부분을 슬롯(68)상의 테이프접착부(66)에 고착시켜 그의 엄지손가락을 내려서 덮개부(70)을 폐쇄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톱니(72)가 테이프(54)를 다수의 횡방향으로 밀접한 장소에서 관통하게 됨으로써, 톱니(72)를 지나 신장하는 테이프부분이 방출상(50)내에 남아있는 테이프(54)로부터 절단되게 되어 사용자의 다른 손에 의해 로울(52)로부터 먼측의 접착부(66)에 고착된 테이프를 뗄수 있도록 된다.
이상,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등록청구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수의 변경 실시예가 실시될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면, 소켓은 다른 형태의 벽으로 형성될수도있으며, 핀도 또한 다른 손가락사이에 결합되도록 위치할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본출원서에 명세된 구조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서 언어자체에 의하여 기재된 구조물 및 이에 등가한 구조물에 모두 적용될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신축성모재에 접착제가 도포된 테이프(54)의 로울(52)와, 공동(62)를 형성하는 벽과, 테이프(54)의 로울(5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공동(62)의 횡방향으로의 허브(64)와, 상기 로울(52)로 부터의 테이프(54)가 착탈가능하게 고착되는 상기 허브(64)로부터 이격된 테이프접착부(66)과, 상기 테이프접착부(66)의 횡방향으로 형성된 슬롯(68)과를 포함하는 기저부(60)과 상기 테이프접착부(66)상에 고착된 테이프(54)를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 슬롯(68)내로 이동하도록 채택된 일련의 톱니(72)를 갖는 덮개부(70)과, 톱니(72)가 슬롯(68)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개방위치와 톱니(72)가 슬롯(68)내에 배치되는 폐쇄위치와의 상대 피봇운동을 위하여 상기 덮개부(70)을 상기 기저부(60)에 설치시키기 위한 힌지(74)와로 이루어지는 테이프방출상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70)이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톱니(72)의 이면에서 상기 덮개부(70)에 소켓을 형성하는 L-자형벽(76)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그 엄지손가락을 소켓내에 집어넣고, 기저부(60)을 나머지는 손가락으로 지탱하면서 한손으로 방출상(50)을 파지하여 한손으로 상기 덮개부(70) 및 기저부(60)을 상기 개방 및 폐쇄위치사이에서 운동시킬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방출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60)이 상기 개방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덮개부(70) 및 기저부(60)의 한손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사이에 수용되도록 상기 덮개부(70)의 대향하는 측으로 횡방향핀(9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방출상.
KR2019860007044U 1985-05-22 1986-05-21 테이프 방출상 KR92000618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736,254 US4630765A (en) 1985-05-22 1985-05-22 Dispenser for tape with a stretchable backing
US736254 1985-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720U KR860014720U (ko) 1986-12-18
KR920006184Y1 true KR920006184Y1 (ko) 1992-09-17

Family

ID=2495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7044U KR920006184Y1 (ko) 1985-05-22 1986-05-21 테이프 방출상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630765A (ko)
JP (1) JPS61197051U (ko)
KR (1) KR920006184Y1 (ko)
GB (1) GB21752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4764B2 (ja) * 1992-12-28 2001-09-04 日立金属株式会社 ロータリシート切断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9613821A1 (de) * 1996-04-09 1997-10-16 Esselte Meto Int Gmbh Vorrichtung zur Ausgabe von Etiketten
US6065519A (en) * 1996-12-30 2000-05-23 Lee; Sang-Chul Automatic drawing and cutting device for adhesive tape dispenser
KR100286376B1 (ko) * 1998-02-11 2001-11-22 이상철 접착 테이프용 수납케이스
DE19983151B4 (de) * 1998-04-21 2008-04-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 St. Paul Bandabroller
US6364188B1 (en) 1998-12-08 2002-04-02 Wayne K. Dunshee Tape dispenser
JP3707389B2 (ja) * 1999-05-14 2005-10-19 義一 高山 ラップフィルム供給器
GB9918163D0 (en) 1999-08-02 1999-10-06 Esselte Nv Tape printer
USD428922S (en) * 1999-08-20 2000-08-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ape dispenser
DE10031263C1 (de) * 2000-06-27 2001-07-05 Riedel Rudolf Gmbh Abroller für Kreppband oder Klebeband
DE10049043A1 (de) * 2000-10-04 2002-05-02 Generis Gmbh Verfahren zum Entpacken von in ungebundenem Partikelmaterial eingebetteten Formkörpern
DE10117875C1 (de) * 2001-04-10 2003-01-30 Generis Gmbh Verfahren, Vorrichtung zum Auftragen von Fluiden sowie Verwendung einer solchen Vorrichtung
DE10216013B4 (de) * 2002-04-11 2006-12-28 Generi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tragen von Fluiden
DE10225436B4 (de) * 2002-06-07 2004-07-15 Hilti Ag Einweg-Verpackung und Schneidvorrichtung
DE20219634U1 (de) * 2002-12-18 2004-04-29 Emsa-Werke Wulf Gmbh & Co. Kg Folienspender
US7093640B2 (en) * 2003-02-10 2006-08-22 Kitaru Innovations, Inc. Tape dispenser having a retaining and application area
US7807077B2 (en) * 2003-06-16 2010-10-05 Voxeljet Technology Gmbh Methods and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layered three-dimensional forms
US20070062998A1 (en) * 2005-09-19 2007-03-22 Kanbar Maurice S Note paper roll and dispensers
US7674294B2 (en) * 2005-12-01 2010-03-09 Warsaw Orthopedic, Inc. End device for a vertebral implant
US7637452B2 (en) * 2006-05-02 2009-12-29 Rex Products, Inc. Motorized adhesive paper dispenser
US20090272497A1 (en) * 2008-05-05 2009-11-05 Christopher Pyles Pyles Taping Apparatus
US20100200633A1 (en) * 2009-02-12 2010-08-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ape dispenser
USD994018S1 (en) 2021-01-06 2023-08-01 Conros Corporation Tape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50625A (en) * 1953-07-17 1956-06-20 Adhesive Tape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utter devices for reels of adhesive tape
US2864446A (en) * 1955-03-04 1958-12-16 Fed Tool Corp Tape dispenser
US2862676A (en) * 1955-03-30 1958-12-02 Johnson & Johnson Tape dispenser
US3050853A (en) * 1960-09-26 1962-08-28 Crane Packing Co Tape dispenser
GB1124769A (en) * 1966-03-24 1968-08-21 Richard Neil Brandon Household wrap dispenser and cutter
GB1256441A (en) * 1970-01-06 1971-12-08 Sidney George Durrant An improved dispenser for self-adhesive tapes
SE341548B (ko) * 1970-06-04 1971-12-27 Utvecklings Ab Innov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30765A (en) 1986-12-23
GB2175276B (en) 1988-03-30
KR860014720U (ko) 1986-12-18
GB2175276A (en) 1986-11-26
JPS61197051U (ko) 1986-12-09
GB8608750D0 (en) 1986-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6184Y1 (ko) 테이프 방출상
US4486263A (en) Support for a tape which is adhesive on one or both of its faces
US4401233A (en) Dispenser for sheets of paper and the like
US5358141A (en) Support or attachment means for a sheet dispenser
US5299712A (en) Sheet dispenser with optional support or attachment means
JP2004514623A (ja) ハンドヘルド型粘着テープディスペンサー
US6719180B2 (en) Hand held tape dispenser
US4212103A (en) Razor
USD251017S (en) Nasal device
US2921493A (en) Tape dispenser
JP2769383B2 (ja) テープディスペンサ
US4752023A (en) Tape dispenser
USD248128S (en) Combined razor blade carrier and dispenser
USD256995S (en) Tray for releasably engaging a razor and a blade cartridge dispenser
USD377297S (en) Bagel, roll, and bun holder device
USD423719S (en) Electric shaver with integrated emulsion dispenser device
JPS6143801Y2 (ko)
USD249637S (en) Dispenser for razor blade cartridges
USD429377S (en) Electric shaver with integrated emulsion dispenser device
USD277321S (en) Handle for disposable razor blade cartridges
JP3218464B2 (ja) 切断器付き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JPS5920211Y2 (ja) 安全かみそりホルダ−
JPS631977Y2 (ko)
USD276814S (en) Ice dispenser
JP3004058U (ja) ワンタッチ型粘着テープ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9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