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054Y1 - 복합 플러그 - Google Patents

복합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054Y1
KR920006054Y1 KR2019860015407U KR860015407U KR920006054Y1 KR 920006054 Y1 KR920006054 Y1 KR 920006054Y1 KR 2019860015407 U KR2019860015407 U KR 2019860015407U KR 860015407 U KR860015407 U KR 860015407U KR 920006054 Y1 KR920006054 Y1 KR 9200060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diameter plug
coupling
coupling means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5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454U (ko
Inventor
아끼라 오기와라
고우지 나게노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74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4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0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0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합 플러그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 플러그의 측면도.
제2도는 복합 플러그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복합 플러그의 분해 측면도.
제4도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복합 플러그의 분해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대경 플러그 2 : 소경 플러그
3 : 대경 플러그부 4 : 손잡이부
8 : 대경 슬리브부 12 : 중공부분
13 : 암 나사부 14 : 수 나사부
18 : 소경 슬리브부 19 : 손잡이부
22 : 수 나사부 23 : 연결부재
본 고안은, 음향기기 및 텔레비젼등의 가전제품에 사용하는 플러그에 관해서, 특히 대경 플러그와 소경 플러그의 둘다에 사용할 수 있는 복합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결합상태에 있어서, 대경 플러그와 소경 플러그와의 각각의 슬리브부가 동축형으로 설치되도록 대경 플러그의 슬리브부내에 중공부분을 설치한 복합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대경 플러그의 중공부분의 개구기단측 및 소경 플러그에 슬리브부의 기단부측에 양자를 상호 결합하는 제1의 결합수단을 설치함과 동시에, 대경 플러그의 손잡이부의 기단측 및 소경, 플러그의 손압이부 선단축의 어느 한쪽의 외주부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연결부재를 설치해, 다른쪽으로 이 연결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분을 설치하여서 이루어지는 제2의 결합수단에 의해, 대경플러그와 소경 플러그의 결합 수단을 2중 구조로 하므로서, 전기 기기등의 사용중에 양 플러그이 결합이 느슨해지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결합하는 것이다.
종래의 플러그는, 대경 플러그(슬리브 지름 6.3), 소경플러그(슬리브지름 3.5) 및 초 소경 플러그(슬리브지름 2.5)가 각각 별개로 구성이 되어 있다.
이들의 플러그는, 각각 플러그가 결합하는 결합공을 갖는 음향기기 등에만 적용할 수 없고, 결합 공경이 다른 음향 기기등에 사용할 수 없다.
그래서, 종래부터 각각의 플러그를 다른 걸어맞춤 공경의 음향기기 등에 사용할때에는, 예컨대, 소경플러그 또는 초 소경 플러그를 대경 플러그로 변환하는 변환 어댑터를 필요로하고 있다.
그러나, 다종 다용한 음향기기 등이 생산되고, 사용되는 오늘날에 있어서는, 변환 어뎁터에 의존하지 않고 다른 결합 공경을 갖는 음향기기 등에 있어서 범용성있는 플러그가 요구되기에 이르고 있다.
거기에서, 결합상태에 있어서, 대경 플러그와 소경 플러그와의 각각의 슬리브부가 동축형으로 설치되도록 대경 플러그의 슬리부내에 중공부분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소경 플러그의 칩부분과 대경 플러그의 중심도체 부분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대경 플러그및 소경 플러그가 너트부등에 의해 결합된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쇼화 57-51517호공보(일본국 실용신안 출원 소화 54-137676호)에 기재된 바와같이 복합 플러그가 고안되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쇼화 57-51517호 공보에 기재되고, 개시된 복합 플러그에 있어서, 대경 플러그와 소경 플러그의 양자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수단은, 대경 플러그 및 소경 플러그의 각각의 손잡이 부분에 하나의 결합수단인 너트부등을 설치해서 이들을 끼워 맞추므로서 결합하고 있다.
그러나, 예컨대, 마이크로폰이나 헤드폰, 전기 기타등과 같이 상기 플러그에 연설되는 전기 코드부가 그 사용중에 잘 움직여지는 음향기기에 있어서는, 그 사용중의 전기 코드부의 움직임에 따라 전기 코드부가 연결하는 소경 플러그가 회전되어, 대경 플러그와 소경 플러그의 결합이 느슨해져, 전기 기기의 사용중에 전기적 접촉이 불량으로 되는 결점이 있었다.
즉, 음향기기의 사용중, 예컨대, 전기 기타등의 연주중에 상기 플러그의 결합이 느슨해져 전기적인 접촉이 불향해지면 연주 불능으로 되어, 또한 마이크로폰이나 헤드폰등에 있어서는, 녹음이나 그 녹음 모니터중에 상기 플러그의 결합이 느슨해져 전기적인 접촉이 불향으로 되어 녹음이나 그 모니터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은 실패는 회복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이 있고, 상기 플러그의 결합이 느슨해지는 일이없고 확실하게 결합되는복합 플러그가 요망되고 있다.
거기에서, 본 고안은, 이 문재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대경 플러그와 소경 플러그의 결합 수단을 2중 구조로 하므로서, 전기 기기등의 사용중에 양 플러그의 결합이 느슨해지는 일이없고 확실하게 결합된 복합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결합상태에 있어서 대경 플러그와 소경 플러그와의 각각의 슬리브부가 동축형으로 설치되도록 대경 플러그의 슬리브부내에 중공부분을 설치한 복합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대경 플러그의 중공부분의 개구기단축 및 소경 플러그의 슬리브부의 기단부측에 양자를 상태 결합하는 제1의 결합수단을 설치함과 동시에, 대경 플러그의 손잡이부의 기단측 및 소경 플러그의 손잡이부 선단측의 어느 한쪽의 외주부에 축반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연결부재를 설치해, 다른쪽으로 이 연결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분을 설치하여서 구성되는 제2의 결합수단을 설치하므로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고안은, 상기한 대경 플러그의 중공부분의 개구 기단축 및 소경 플러그의 슬리브부의 기단부측에 양자를 상대 결합하는 제1의 결합 수단과, 대경 플러그의 손잡이부의 기단측 및 소경 플러그의 손잡이부 선단측의 어느 한쪽의 외주부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연결부재를 설치해, 다른쪽으로 이 연결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분을 설치하고 있는 제2의 결합수단에 의해, 대경 플러그와 소경플러그를 이중 결합으로 하여, 제2의 결합수단에 의해 제1의 결합수단을 로크하므로서 확실하게 결합한다.
다음에, 본 고안의 가장 적합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을 한다.
이 복합 플러그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경 플러그(1)와 소경플러그(2)로 구성된다.
대경플러그(1)는, 대경 플러그(3)와 손잡이부(4)로 된다. 대경 플러그부(3)는, 선단측에 제1의 도전부로 구성되는 칩부(5)와, 제2의 도전부(6)와 제3의 도전부(7)로 되는 대경 리브(8)로 형성된다. 그래서 손잡이부(4)는, 상기 대경 슬리브부(8)의 기단측에 연설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1의 도전부인 칩부(5) 및 대경 슬리브부(8)의 제2의 도전부(6)와 제3의 도전부(7)는, 각각 제1의 절연부(9) 및 제2의 절연부(10)에서 절연되어서 연결이 되어져 있다. 그래서, 상기 플러그부(3)의 대경 슬리브부(8)내에서, 상기 손잡이부(4)측에서 후기하는 소경 플러그(2)의 소경 플러그부(1)를 대경 플러그부(3)와 동축상으로 끼워맞출수 있도록 중공부(12)가 설치되어져 있다.
그래서, 이 중공부(12)의 개구측을 이루는 손잡이부(4)의 내 주위에, 제1의 결합수단을 이루는 암 나사부(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부(4)의 외주위에는 제2의 결합 수단이되는 수 나사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소경 플러그(2)는, 선단측에 제1의 도전부가 되는 칩부(15)와, 제2의 도전부(16)와 제3의 도전부(17)로 되는 소경 슬리브부(18)를 갖는 소경 플러그부(11)와, 이 소경 플러그부(11)의 기단측에 연설되는 손잡이부(19)로 된다.
제1의 도전부인 칩부(15) 및 소경 슬리브부(18)의 제2의 도전부(16)와 제3의 도전부(17)는, 각각, 제1의 절연부(20) 및 제2의 절연부(21)에서 절연되어서 연결되어 있다.
이 소경 플러그부(11)와 연결되는 손잡이부(19)의 소경 플러그부(11)측의 외주위에는, 상기한 대경 단부 플러그(1)와 소경 플러그(2)가 확실하게 결합이 된다.
결합상태에서는, 전장이 종래의 대경 플러그와 거의 동일하거나 그것에 가까운 치수로되도록 설계가 된다. 그 때문에,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결합 상태에서는, 소경 플러그부(11)의 접부(15) 및 소경 슬리브부(18)가, 대경 플러그부(3)의 대경 슬리브부(8)내의 중공부(12)에 수납이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대경 플러그부(3)의 칩부(5)의 근본 부분은, 심도체(28)로서 대경 슬리브부(8)내의 거의 중간부까지 연장되어져 있다. 칩부(5)와 일체의 심도체(28)의 주위에는 제1의 절연부(9)가 피복되듯이 고정되고, 대경슬리브부(8)이 제2의 도전부(6)와의 절연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심도체(28)의 외 주위의 일부에는 凹부(29)가 형성되고, 이 凹부(29)와 절연부(9)에 형성된 凹부(30)에 의해, 칩부(5)의 이탈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대경 슬리브부(8)는, 제2의 도전부(6)와 제3의 도전부(7)로 된다. 제3의 도전부(7)는, 그 일단측에 플랜지부(31)가 설치되고, 이 플랜지부(31)에 의해 손잡이부(4)의 선단측 개구부(4a)에 코오킹 고정되어서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이 제3의 도전부(7)의 선단측에 제2의 절연부(10)를 거쳐서 제2의 도전부(6)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제2의 도전부(6)는, 선단측이 약간 두껍게 형성되어 대경 슬리브부(8)의 일부를 이루고, 이 제2의 도전부(6)의 기단측은 대경 플러그(1)와 소경 플러그(2)의 결합 상태에 있어서, 소경 플러그(2)의 제2의 도전부(16)와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기단측의 외 주위가 제2의 절연부(10)를 제3의 도전부(7)에 절연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제2의 도전부(6)는, 소경플러그부(11)의 제2의 도전부(16)와 대응하는 위치에 접속자(33)가 설치되고, 대경 플러그(1)와 소경 플러그(2)의 결합 상태에 있어서, 제2의 도전부(6), (16)가 전기적으로 접합되도록 되어 있다.
제2의 도전부(6)의 선단측의 내 주위에 상기한 제1의 절연체(9)가 설치되고, 접부(5)와 대경 슬리브부(8)를 절연하여 접속하고 있다.
따라서, 소경 플러그(2)의 소경 플러그부(11)를 대경 플러그(1)내에 끼워넣은 상태에서는, 소경 플러그부(11)의 칩부(15)가 대경 플러그부(3)의 심도체(28)의 선단의 테이퍼 첩부 凹부(32)와 걸어맞추고, 나사부(13), (22)에 의한 축방향의 가압력에 의해, 소경 플러그부(11)이 칩부(15)와 대경 플러그부(3)의 심도체(28)가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제1의 결합수단인 나사부(13),(22)와 제2의 결합수단인 나사부(14), (25)의 나사홈 방향이 동일한 경우는, 제1의 결합수단인 나사부(13), (22)와 제2의 결합수단인 나사부(14), (15)의 나사피치를 갖게하면, 제1및 제2의 결합수단에 의해 2중으로 결합하여도, 소경 플러그(2)의 손잡이(19)에 힘을 가해서 끼워맞춤의 해제 방향으로 회동하면 제1의 결합수단인 나사부(22)의 회동에 따라, 제2의 결합수단인 연결부재(23)의 나사부(25)가 끼워맞춤 해제 방향으로 회동이 되어 제2의 결합수단이 제1의 결합수단의 록으로서의 기능을 다할수 없는 우려가 있다. 또한, 제1의 결합수단인 나사부(13), (22)의 나사 피치를 제2의 결합수단의 나사부(14), (25)의 나사피치보다 크게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2의 결합수단인 연결부재(23)의 나사부(25)가 제1의 결합수단인 나사부(22)의 회동에 약간 늦게 회동하고, 나사부(14), (25)의 결합이 완만해져서 제2의 결합수단이 제1의 결합수단의 록으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서, 제1의 결합수단이 나사부(13),(22)의 나사 피치를 제2의 결합수단인 나사부(14),(25)의 피치보다 적게하면, 소경 플러그(2)의 손잡이부(19)에 맞물립 해제 방향으로 힘을 가해도, 제2의 결합수단인 나사부(14), (25)가, 제1의 결합수단인 나사부(13), (22)의 회전에 추종하는 일이 없고, 연결부재(23)가 끼워맞춤 해제 방향으로 회동할 수가 없고, 제1의 결합수단인 나사부(13),(22)의 회동을 저지하고, 제1의 결합수단을 록 할수가 있다.
거기에서, 본 고안에 있어서, 제1의 결합수단인 나사부(13), (22)의 나사피치보다 제2의 결합수단인 나사부(14), (25)의 나사피치를 적게하고 있다.
또한, 제1의 결합수단인 나사부(13), (22)와 제2의 결합수단인 나사부(14), (25)의 한쪽의 나사홈 방향을 역향으로 하도록 한 경우도 제2의 결합수단이 제1의 결합수단에 대해 록 기능을 다할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의 결합수단의 연결부재를 소결 플러그(2)측으로 설치하였으나, 소경 플러그(2)의 손잡이부(19)에 수 나사부를 형성하고, 대경 플러그(1)측에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하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연결부재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의 결합수단과 제2의 결합 수단은 모두 나사에 의한 결합으로 하였으나, 제1및 제2의 결합수단의 한쪽을 다른 결합으로 하여도 좋다. 예컨대 제4도에 도시하는 것은, 제1의 결합수단을 키결합방식(바이오네트 결합)을 채용한 것이다. 즉, 대경 플러그(1)의 손잡이부(35)의 내 주위에 돌출부(36)가 형성되고, 소경 플러그(2)의 손잡이부(37)의 선단부분(38)의 외주위에 열쇠형 홈(39)이 형성이 되어있다. 이 열쇠형 홈(39)은 축방향 부분(39a)과 주방향 부분(39b)으로 된다. 따라서, 소경 플러그(2)의 소경 플러그부(4)를 제4도 중화살표 A방향으로 대경플러그(1)의 중공부(41)내에 끼워넣고, 상기 돌출부(36)에 열쇠형 홈(39)의 축방향 부분(39a)과 걸어맞춰, 또 다시 B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돌출부(36)가 열쇠형 홈(39)의 방향부분(39b)에 걸어맞추게 된다. 그래서 제2의 걸어맞춤 수단인 대경 플러그(1)의 손잡이부(35)의 주위에 형성된 수 나사부(42)와 소경 플러그(2)의 손잡이부(37)에 설치된 건설 부재(43)의 내 주위에 형성된 암 나사부를 끼워맞춘다. 이 제2의 결합수단에 의해 제1의 결합수단이 록되어, 대경 플러그(1)와 소경 플러그(2)가 용이하게 벗어나지 아니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소경 플러그(2)측에 돌출부를 설치해, 대경 플러그(1)측에 열쇠형 홈부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다시 역으로, 제1의 결합수단을 나사 결합 방법으로 하여 제2의 결합수단을 키결합방법으로하여도 좋다.
본 고안은 상기 대경 플러그의 중공부분의 개구 기단축 및 소경 플러그의 슬리브부의 기단부측에 양자를 상대 결합하는 제1의 결합수단과, 대경 플러그의 손잡이 부의 기단축 및 소경 플러그의 손잡이부 선단측의 어느 한쪽의 외주부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연결 부재를 설치해, 다른쪽에 이 연결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분을 설치하여서 되는 제2의 결합수단에 의해, 대경 플러그와 소경 플러그의 결합 수단을 2중 구조로 하고, 제2의 결합수단에 의해 제1의 결합 수단을 록하므로서 대경 플러그와 소경 플러그를 확실하게 결합할수가 있다.

Claims (5)

  1. 결합상태에 있는 대경 플러그(1)와 소경 플러그(2)와 각각의 슬리브부(8,18)가 동축형으로 설치되도록 대경 플러그(1)의 슬리브부(18)내에 중공부분(12)을 설치한 복합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대경 플러그(1)의 중공부분(12)의 개구 기단축 및 소경 플러그(2)의 슬리브부(18)의 기단부측에 양자를 상대 결합하는 제1의 결합수단(13,22)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대경 플러그(1)의 손잡이부(4)의 기단측 및 소경 플러그(2)의 손잡이부(19) 선단측의 어느 한쪽의 외주부에 축방향으로 이동이가능한 연결부재(23)를 설치해, 다른쪽에 이 연결부재(23)와 결합하는 결합부분(14)을 설치하여서 되는 제2의 결합수단(23,14)으로 되는 복합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결합수단(13,22)을 상기 대경 플러그(1)의 중공부분(12)의 개구기단측과 상기 소경 플러그의 슬리브부의 기단부측(35)중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수나사(22)와 다른쪽에 설치되는 암나사(13)에 의해 구성된 나사 결합구조로 하여, 상기 제2의 결합수단(23,14)을 상기 연결부재(23)와 상기 결합부분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수나사(14)와 다른쪽에 설치되는 암나사(25)에 의해 구성된 나사 결합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플러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결합수단(14,23)의 나사 피치를 상기 제1의 결합수단(13,22)의 나사 피치보다 적게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복합 플러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결합수단(13,22)의 나사홈 방향과 상기 제2의 결합수단(14,23)의 나사홈 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플러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결합수단과 상기 제2의 상기 결합수단중 어느 한쪽을 수나사와 암 나사에 의한 나사 결합 구조로 하고, 다른쪽을 돌출부(36)와 열쇠형 홈(39)으로 구성되는 키결합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플러그.
KR2019860015407U 1985-10-16 1986-10-08 복합 플러그 KR92000605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5156992U JPH0338790Y2 (ko) 1985-10-16 1985-10-16
JP85-156992 1985-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454U KR870007454U (ko) 1987-05-13
KR920006054Y1 true KR920006054Y1 (ko) 1992-08-29

Family

ID=1563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5407U KR920006054Y1 (ko) 1985-10-16 1986-10-08 복합 플러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38790Y2 (ko)
KR (1) KR92000605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9746Y2 (ja) * 1987-12-17 1995-11-13 ソニー株式会社 電機接続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38790Y2 (ko) 1991-08-15
JPS6266190U (ko) 1987-04-24
KR870007454U (ko) 1987-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1904B (zh) 具有螺紋鎖定夾套與螺帽之電纜連接器
US5114357A (en) High voltage elbow
KR0157402B1 (ko) 배전용 연결구조립체와 이를 연결하는 방법
US6309258B1 (en) Single pole cable connector
US8152551B2 (en) Port seizing cable connector nut and assembly
US20040194585A1 (en) Coaxial cable thumb socket
JPH088129B2 (ja) 高圧電気コネクタ
JPH07335336A (ja) オーディオ用コネクタ
GB2060282A (en) Concentric plugs
US84306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nap retained push-on connector with port adapter
KR920006054Y1 (ko) 복합 플러그
US6203370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o-ring
US20020039853A1 (en) Connector
JP4354310B2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H028509Y2 (ko)
JP2845942B2 (ja) ジャック
JPH0119827Y2 (ko)
JP2000268916A (ja) 電気プラグ
JP3488437B2 (ja) コネクタ
JP2545702Y2 (ja) 同軸コネクタ接栓
JP3647934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およびその組付方法
JP2639339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1045644A (ja) 電力ケーブル用差込形接続部
JP3329791B2 (ja) ケーブル接続部
JPH0749746Y2 (ja) 電機接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