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741Y1 - 석유연소기의 연소통 - Google Patents

석유연소기의 연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741Y1
KR920005741Y1 KR9212103U KR920012103U KR920005741Y1 KR 920005741 Y1 KR920005741 Y1 KR 920005741Y1 KR 9212103 U KR9212103 U KR 9212103U KR 920012103 U KR920012103 U KR 920012103U KR 920005741 Y1 KR920005741 Y1 KR 9200057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top substrate
combustion
cylindrical member
flame sp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12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리 가와무라
다가시 가와이
Original Assignee
가쯔마다 고오지
도요도미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1830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9931Y2/ja
Application filed by 가쯔마다 고오지, 도요도미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가쯔마다 고오지
Priority to KR9212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7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7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7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3/0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 F23D3/02Wick burners
    • F23D3/04Wick burners with flame sprea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3/0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 F23D3/02Wick burners
    • F23D3/18Details of wick burners
    • F23D3/20Flame spre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ck-Type Burners And Burners With Porous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석유연소기의 연소통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연소통을 그속에 내장하기에 적합한 석유연소기의 일예를 도시하는 수직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연소통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확대수직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연소통 14 : 기름탱크
18 : 심지수용통 20 : 심지구동기구
26 : 다중연소통 28 : 내원통부재
30 : 외원통부재 34 : 최외통
38 : 원통케이싱 44 : 내부꼭대기판
48 : 불꽃퍼짐통 50 : 불꽃퍼짐판
52 : 외부꼭대기판 54 : 칸막이판
58 : 중앙원통부재 64 : 열투과통
본 고안은 석유연소기의연소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심지점화식의 석유연소기에 사용하기 적합한 불꽃퍼짐장치를 장착한 연소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널리 알려져 있는 이러한 형태의 연소통이 일본국 실용신안공고공보 제23477/1962호 또는 일본국 실용신안공고공부 제59764/1982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연소통을 심지이동기구 표는 기름탱크구조의 개선에 기여하였을지라도, 연소통 그 자체의 개선에는 실패했다. 더 상세하게 말해서 종래의 연소통에서는, 내, 외원통부재로 이루어진 다중연소통은 그것의 상부에 설치된 불꽃퍼짐부로부터 분리되어 배치되고, 내원통부재의 꼭대기판의 작은 관통공으로 조절되면서 공기가 불꽃퍼짐부에 공급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 연소통의 구성은 사용되는 부품의 수가 매우 증가되게 하여, 이 구성의 조립을 매우 곤란하게 하여 제조코스트를 상승시켰다.
또한, 종래의 연소통은 심지수용통위에서 이 구성의 최외통과 원통부재를 동심으로 지지하기 위해 크로스핀을 반드시 필요로 하였다. 그러나, 크로스핀은 연소통을 더욱 복잡하게 할 뿐만아니라 이 구성내에 형성된 연소가스의 원활하고 균일한 흐름을 막아서 불꽃퍼짐부에서 균일하고 안정된 연소를 할 수 없었다.
따라서, 구조 및 조립이 간단하게 되도툭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고 균일한 연소를 행할 수 있는 석유연소기의 연소통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요망되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본 고안에 의한 석유연소기의 연소통은 석유연소기의 심지 수용통위에서 지지되고 그사이에서 제1 및 제2공간을 형성하도록 함께 동심으로 배치된 천공된 내원통부재와 천공된 외원통부재 그리고 최외통으로 이루어지는 다중 연소통을 포함한다. 또한 이 연소통은 다중연소통위에 형성된 연소챔버를 포함한다. 내원통부재위에는 그곳으로부터 안쪽으로 뻗도록 환상의 내부꼭대기판이 장착되고, 내부원통부재의 하단부대에는 환상의 칸막이판이 끼워 맞추어진다. 더우기 이 연소통은 상기 내부꼭대기판과 내원통부재를 개재해서 연소챔버속으로 위쪽으로 뻗도록 내원통 부재내에 고착된 불꽃퍼짐통과, 불꽃퍼짐통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연소챔버속에 배치된 둥근형상의 불꽂퍼짐판을 포함한다. 불꽃퍼짐판은 내원통부재와 외원통부재 사이의 제1공간위의 위치로 뻗은 외주변부를 가진다. 내부꼭대기판과 불꽂퍼짐판 사이에 위치되고, 제1공간위의 위치로 뻗은 내주변단을 가진 환상의 외부꼭대기판이 의원통부재의 상단부위에 장착된다.
또한 불꽃퍼짐통은 칸막이판을 개재해서 심지수용통속으로 아래로 뻗도록 배치된다. 또한 불꽃퍼짐통에는 불꽃퍼짐판에 근접한 그것의 부분에서 복수개의 통기공이 동심으로 형성된다. 칸막이판에는 복수개의 작은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부꼭대기판은 복수개의 작은 관통공이 형성된다. 불꽃퍼짐통파 외부꼭대기판 그리고 내부꼭대기판은 칸막이판과 내부꼭대기판의 작은 관통공을 경유해서 공기가 공급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함께 협력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되는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는 석유연소기의 연소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중연소통을 동심으로 지지하는 크로스핀을 사용할 필요없는 석유연소기의 연소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 및 조립을 단순하게 할 수 있는 석유연소기의 연소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석유연소기의 연소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균일하고 안정된 연소를 할 수 있는 석유연소기의 연소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과 특징은 이하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후 기재된 구성에 예시될 구성의 특징, 구성부재의 조합 및 부품의 배치로 이루어지고,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날 것이다.
본 고안의 더충분한 이해를 위하여, 전체에 결쳐 동일부품에는 동일한 번호가 기재된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의 설명에 참조부호를 기입하였다.
본 고안에 의한 석유연소기의 연소통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연소통을 내장하기에 적합한 심지연소식의 석유연소기를 예시한다. 제1도의 석유연소기(10)는, 본 고안에 의한 연소통(12)이에에는 종래에 널리 알려진 것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된다.
석유연소기(10)는 석유와 같은 연료(16)를 저장하는 기름탱크(14)와, 기름탱크(14)와 연통된 심지수용통(18)을 포함한다. 심지수용통(18)에는 놉(24)을 개재해서 심지(22)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심지구동기구(20)가 설치된다. 심지(22)는 기름탱크(14)속의 연료(16)에 그 저단부가 일정하게 담겨진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예시된 실시예의 연소통(12)은 불꽃퍼짐부와 다중연소통이 일체가 되는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소통(12)은 심지수용통(18)상에 배치되고, 그 사이에 공간(32)을 형성하도록 서로 동심이 되도록 배치된 내원통부재(28)와 외원통부재(30)로 이루어진 다중연소통(26)을 포함한다. 또한 다중연소통(26)은, 그 사이에 형성된 환형공간(36)을 개재해서 외원통부재(3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최외통(34)을 포함한다. 내, 외원통부재(28),(30) 및 최외통(34)은 심지수용통(18)위에서 지지되고, 공기유입구멍이 형성되고 강철판으로 형성된 원통케이싱(38)에 의해 심지수용통(18)과 함께 둘러싸여진다.
내, 외원통부재(28),(30)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수개의 작은 관통공(40),(42)이 형성된다. 내원통부재(28) 상단부에 장착되어, 그것으로부터 안쪽으로 뻗은 환상의 내부꼭대기판(44)에는 복수개의 작은 관통공(46)이 형성된다.
연소통(12)은 또한, 내원통부재(28)의 내부꼭대기판(44) 내에 고착되고 다중연소통(26)으로부터 수직으로 뻗는 불꽃퍼짐통(48)을 포함한다. 내원통부재(28)와 외원통부재(30) 사이의 공간(32)위의 위치로 뻗은 외주변단이 둥근형상이라면 불꽃퍼짐판(50)은 불꽃퍼짐통(48)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환상의 외부꼭대기판(52)이 최외통(34)의 상단에 장착된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꼭대기판(52)은 최외통(34)과 외원통부재(30) 양쪽상에 지지되고, 그것의 외단부가 최외통(34)로부터 바깥쪽으로 뻗고, 그것의 내단부가 외원통부재(30)으로부터 안족으로 뻗어 상기 공간(32)위에서 종료하도록 배치된다. 내원통부재(28)의 하단부에는 복수개의 관통공(56)이 형성된 환형상의 칸막이판(54)이 고정되게 끼워 맞추어진다.
불꽃퍼짐통(48)은 내부꼭대기판(44)을 개재해서 외부꼭대기판(52)위의 위치로 상방으로 뻗고 칸막이판(54)을 개재해서 심지수용통의 내통을 이루는 중앙원통부재(58)속으로 하방으로 뻗도록 배치된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내통인 중앙원통부재(58)은 기름탱크(14)와 심지수용통(18) 양측에 공통이다.
불꽃퍼짐퉁(48)에는 불꽃퍼짐판(50)에 근접한 그것의 부분에서만 복수개의 통기공(60)이 형성된다. 통기공(60)은 외부꼭대기판(52)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공(60)은 일렬로 또는 열을 지어 복수개의 작은관통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달리 그를을 일렬로 복수개의 슬릿(Slits)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불꽃퍼짐통(48), 외부꼭대기판(52) 및 내부꼭대기판(44)의 협력에 의해 형성된 공간(62)에는, 중앙원통부재(58), 칸막이판(54)의 관통공(56) 및 내부꼭대기판(4)의 관통공(46)을 개재해서 외기로부터의 연소공기가 공급된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내원통부재(28)내에 장착된 칸막이판(54)은 중앙 원통부재(58)의 꼭대기판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불꽃퍼짐통(48)은 내부꼭대기판(44) 또는 칸막이판(54) 또는 그들 모두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와 달리, 칸막이판(54)은 불꽃퍼짐통(48)의 위치를 정하기 위해 사용해도 좋으며, 칸막이판(54)은 그곳을 통하여 내원통부재(28) 및 내부꼭대기판(44)의 관통공(40),(46)에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불꽃퍼짐판 또는 디스크(50)는 일투과통(64)에 의해 둘러싸여져, 그것에 형성된 공간은 연소챔버(66)로서 작용하게 된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불꽃 퍼짐통(48)은 그 상단이 연소챔버(66)의 하단부로 얻는다. 열투과통(64)은 유리등과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물질로 형성된다.
상술한 예시된 실시예의 연소통의 작동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심지(22)는 심지구동기구(20)에 의해 점화위치로 상승되어, 점화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점화된다. 중앙원통부재(58)와 칸막이판(54)의 관통공(56)을 개재해서 외기로부터 내원통부재(28)로 유입된 공기는 내원통부재(28)의 관통공(40)을 경유하여 외원통부재(30)와 내원통부재(28) 사이의 공간(32)으로 공급된다. 동시에 원통케이싱(38)을 개재해서 외기로부터 최외통(34)과 외원통부재(30) 사이의 공간(36)으로 유입된 공기는 외원통부재(30)의 통공(42)을 경유해서 공간(32)으로 공급된다. 이것은 심지(22)에서 기화된 연료오일가스의 일부를 상기와 같이 공급된 공기를 사용하여 연소하게 하여, 고분자량의 연료오일가스를 저분자량의 가연성가스로 분해되게 한다.
내원통부재(28)와 의원통부재(30) 사이의 공간(32)내에서 이와같이 얻어진 가연성가스는 외부꼭대기판(52)에 의해 불꽃퍼짐통(48)쪽으로 향하게 된다. 동시에 공기는 내부꼭대기판(44)의 작은 관통공(46)을 경유하여, 외부곡대기판(52), 불꽃퍼짐통(48) 및 내부꼭대기판(44)의 협력에 의해 형성된 공간(62)에 공급된다. 또한, 가연성가스는 상기 설명한 공간(32)내에서의 연소로 인한 연소열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되어, 내부꼭대기판(44)의 관통공(4)을 경유해서 공급된 공기에 의해 상방으로 강제통풍되면서, 위쪽으로 안내된다. 중앙원통부재(58)를 개재해서 외기로부터 불꽃퍼짐통(48)으로 유입된 공기는, 불꽃퍼짐디스크(50)에 근접한 불꽃퍼짐통(48)의 부분에 동심으로 형성된 통기공(60)을 개재해서, 불꽃퍼짐디스크(50)의 하부표면을 따라 안내된다. 따라서 가연성가스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공급되고 안내된 공기를 사용하는 불꽃퍼짐디스크의 주변부에서 연소되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꽃퍼짐디스크에서 백황색 불꽃을 형성한다. 그렇게 형성된 백황생 불꽃으로부터 방사된 열선은 열투과통(64)을 개재해서 공간을 가열하기 위해 방출된다. 또한, 불꽃에 의해 생성된 고온의 연소가스는 연소챔버(66)의 상단부를 개재해서 공간을 가열하기 위해 바깥쪽으로 방출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불꽃퍼짐통(48)이 내원통부재(28)의 상부뿐만아니라 그것의 아래에도 뻗도록 설치되어서,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사용되는 부품의 수를 현저히 감소시킨다. 예시된 실시예의 이와같은 구성은, 불꽃퍼짐통(48)과 내원통부재(28) 사이의 갭(68)을 이용하여 내원통부재(28)의 관통공(40)으로의 공기의 공급을 실행하는 것을 요한다. 이것은 사용된 불꽂퍼짐통(48)은, 갭(68)이 관통공(40)속으로 원할하고 만족스런 공기의 공급을 보장하도록 충분히 감소된 직경으로 제한되게 한다. 그러나, 불꽃퍼짐통(48)의 지경의 이와같은 제한은 그곳을 통해서 불꽃퍼짐디스크 또는 판(50)에 공급된 공기의양을 줄일 가능성이 있어 연소챔버(66)내에서 불완전연소를 하게 한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불꽃펴짐통(48)의 통기공(60)은 불꽃퍼짐디스크(50)에 근접하고 외부꼭대기판위의 불꽃퍼짐통(48)의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불꽃퍼짐디스크(50)로 충분한 양의 공기의 공급을 보장하게 한다. 그래서, 예시된 실시예는 충분한 양의 공기를 불꽃퍼짐디스크(50)에 그리고 그에 따라 연소챔버(66)에 공급한다. 또, 불꽃퍼짐통(48)은 상술한 바와같이 직경이 감소되지 않을수 없게 되어 내부꼭대기판(44)의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많은 공기가 내부꼭대기판(44)의 관통공(46)을 경유하여 공간(62)에 공급된다. 더우기, 칸막이판(54)의 관통공(56)은 중앙원통부재(58)로부터 갭(68)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구성은, 연소챔버(66)로 충분한 양의 공기의 공급을 확실하게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고안은, 불꽃퍼짐통이 연소통을 개재하여 윗쪽으로 연소챔버속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그것을 개재해서 심지수용통속으로 수직으로 뻗도록 배치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다중연소통이 어떠한 크로스핀도 사용함이 없이 동심으로 고정되게 하여 부품의 수를 줄이게 되어,이 구성의 제조 및 조립을 간단하게 하며, 연소챔버내에서의 안정되고 균일한 불꽃을 형성하는 것을 확실하게한다.
또한 본 고안은 연소성능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따라서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고,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상기의 구성에 어떠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첨부도면에 도시되거나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된 모든 내용은 한정적인 의미가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음의 청구범위는, 여기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모든 포괄적이고 특정한 특징과 언어상의 문제로 그 사이에서 빠질 수 있는 본 고안의 범위내의 모든 내용을 커버하도록 작성되었다.

Claims (7)

  1. 석유연소기(10)의 심지수용통(18)상에 지지되고, 각각 그 사이에서 제1 및 제2공간(32),(36)을 형성하도록 함께 동심으로 배치된 천공된 내원통부재(28)와 천공된 외원통부재(30) 그리고 최외통(34)으로 이루어진 다중연소통(26)과, 상기 다중연소통(26)위에 형성된 연소챔버(66)와, 상기 내원통부재(28)에 장착되어 그곳으로부터 안쪽으로 뻗는 환상의 내부꼭대기판(44)과, 상기 내원통부재(28)의 하단부내에 끼워 맞추어진 환상의 칸막이판(54)과, 상기 내부꼭대기판(44)과 내원통부재(28)를 개재해서 상기 연소챔버(66)속으로 위쪽으로 뻗도록 상기 내원통부재내에서 고정되게 배치된 불꽃퍼짐통(48)과, 상기 내원통부재(28)와 상기 외원통부재(30) 사이의 상기 제1공간(32)위의 위치로 뻗은 외주변부를 가지고 상기 연소챔버(66) 내에 배치되며, 상기 불꽃퍼짐통(48)의 상단부에 장착된 둥근형상의 불꽃퍼짐판(50)과, 상기 내부꼭대기판(44)과 상기 불꽃퍼짐판(5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공간(32)위의 위치로 뻗은 내주변단을 가지고 상기 외원통부재(30)의 상단부에 장착된 환상의 외부꼭대기판(52)으로 구성되고, 상기 불꽃 퍼짐통(48)은 상기 칸막이판(54)을 개재해서 상기 심지수용통(18)속으로 아래로 뻗고, 상기 불꽃퍼짐통(48)에는 상기 불꽃퍼짐판(50)에 근접한 그것의 부분에 복수개의 통기공(60)이 동심으로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판(54)에는 복수개의 작은관통공(56)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꼭대기판(44)에는 복수개의 작은 관통공(46)이 형성되고, 상기 불꽃퍼짐통(48)과 외부꼭대기판(52) 그리고 내부꼭대기판(44)은 상기 칸막이판(54)과 내부꼭대기판(44)의 상기 작은 관통공(56)(46)을 경유해서 공기가 공급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함께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석유연소기의 연소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꼭대기판(52)은 상기 외원통부재(30)의 적어도 상단부가지 바깥쪽으로 뻗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연소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60)은 적어도 일렬로 복수개의 작은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석유연소기의 연소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60)은 일렬로 복수개의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연소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54)은 상기 석유연소기의 심지수용통(18)의 내통의 대기판으로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연소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꽃퍼짐통(48)은 상기 내부꼭대기판(44)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연소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꽃퍼짐통(48)은 상기 내부꼭대기판(44)과 상기 칸막이판(54)에 의해 유지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연소통.
KR9212103U 1987-07-31 1992-07-02 석유연소기의 연소통 KR9200057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12103U KR920005741Y1 (ko) 1987-07-31 1992-07-02 석유연소기의 연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8303 1987-07-31
JP1987118303U JPH0619931Y2 (ja) 1987-07-31 1987-07-31 石油燃焼器の燃焼筒
KR1019880009625A KR890002609A (ko) 1987-07-31 1988-07-29 석유연소기의 연소통
KR9212103U KR920005741Y1 (ko) 1987-07-31 1992-07-02 석유연소기의 연소통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625A Division KR890002609A (ko) 1987-07-31 1988-07-29 석유연소기의 연소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741Y1 true KR920005741Y1 (ko) 1992-08-21

Family

ID=27313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12103U KR920005741Y1 (ko) 1987-07-31 1992-07-02 석유연소기의 연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7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110B1 (ko) * 2001-10-24 2004-02-05 윤형묵 김자반을 만드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자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110B1 (ko) * 2001-10-24 2004-02-05 윤형묵 김자반을 만드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자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72616B1 (en) Combustion cylinder construction for oil space heater of the radiant type
KR920005741Y1 (ko) 석유연소기의 연소통
US4569652A (en) Combustion cylinder construction for oil space heater
US4614493A (en) Heat radiation-type oil burner
US4390003A (en) Petroleum combustion device
KR910001443B1 (ko) 연소장치
JPS58130904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CA1203467A (en) Oil burner
US5087195A (en) Combustion cylinder structure for oil burner
US4846672A (en) Combustion cylinder structure for oil burner
US5169306A (en) Multi-cylinder combustion structure for oil burner
CA1227737A (en) Combustion cylinder construction for oil burner
KR930011416B1 (ko) 석유연소기의 연소통
KR100192102B1 (ko)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
JPH0232969Y2 (ko)
US2182466A (en) Burner for liquid fuel
JPS62223511A (ja) 燃焼装置
JPH0739845B2 (ja) 燃焼装置
JPS63201412A (ja) 燃焼装置
JPS62153611A (ja) 芯式液体燃料燃焼装置
JPH07103963B2 (ja) 燃焼装置
JPH0672685B2 (ja) 燃焼装置
JPH01139908A (ja) 燃焼装置
KR20000008355U (ko) 석유스토브의 연소통
JPH0680365B2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3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