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2102B1 -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 - Google Patents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102B1
KR100192102B1 KR1019910005118A KR910005118A KR100192102B1 KR 100192102 B1 KR100192102 B1 KR 100192102B1 KR 1019910005118 A KR1019910005118 A KR 1019910005118A KR 910005118 A KR910005118 A KR 910005118A KR 100192102 B1 KR100192102 B1 KR 100192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perforations
cylinder member
inner cylinder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5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124A (ko
Inventor
토오루 나까가이또
Original Assignee
나카무라 이즈루
가부시기가이샤 도오또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무라 이즈루, 가부시기가이샤 도오또미 filed Critical 나카무라 이즈루
Publication of KR910017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1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3/0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 F23D3/02Wick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3/0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02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with evaporation burners, e.g. dish type
    • F24C5/04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with evaporation burners, e.g. dish type wick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ck-Type Burners And Burners With Porous Materials (AREA)

Abstract

연소량에 상관없이 완전연소를 확보하면서 이중연소통의 적열부가 균일하게 적열되도록함으로써, 만족스러운 미관적 및 조작특성들을 나타낼 수 있는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
이 구조는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뻗은 줄-같은 천공부들과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뻗은 줄-같은 비-천공부들이 수직방향으로 교호로 되는 식으로 설치된 중심통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연소불꽃의 상단이 이중연소통의 간극속에 위치하도록 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연소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십지가 낮추어진 때일지라도, 이중연소통의 적열부의 상부는 균일하게 어둡게 만들어지고 그 하부는 균일하게 적열되도록 만들어지는 한편, 양부분들사이의 경계는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확보된다.

Description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다통연소구조가 결합된 오일버너의 일예를 표시하는 수직정면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수직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일버너 12 : 다통연소구조
13 : 심지수용구조 28 : 이중연소통
30,32 : 내,외통부재 34,62 : 통공
38 : 열투과통 48 : 중심통
40 : 열투과통부 42 : 열-불투과통부
52 : 불꽃퍼짐수단 56 : 최상부통
본 발명은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 또는 공간을 가열하기 위하여 열선(熱線)을 외부로 방사(放射)하도록 적열(赤熱)되는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에 관한 것이다.
연료 오일의 연소에 의하여 적열되는 연소통구조로부터 방사되는 열선의 수단에 의하여 실내 또는 공간을 가열하도록된 연소통구조형의 오일버너는 오일버너로부터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의 수단에 의하여 실내 또는 공간을 가열하도록된 고열공기배출형의 오일버너와는 달리, 연소통구조가 직접적으로 관찰되며, 따라서, 열방사기능뿐만 아니라 미관적 효과를 만족스럽게 나타낼 필요가 있다. 연소통구조형의 오일버너로되는, 적당한 거리를 두고 서로 간격져서 연료오일의 연소에 의하여 직열되도록 동심으로 배치된 내,외통부재와 공간을 가열하기 위하여 밖쪽으로 배출되도록 적열된 내,외통부재로부터 방사된 열전을 허용하도록 외통부제의 밖쪽에 배치된 열-투과통(熱透過筒)을 구비한 다통연소구조가 널리사용되어 왔다. 그와 같이 구성된 다통연소구조는 연료오일의 연소에 의하여 형성된 연소불꽃의 상단이 내통부제와 외통부재사이의 간극속에 위치하도록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연소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심지가 낮추어질 때일지라도, 연료오일의 완전연소를 수행하도록 개량되었었다. 이것은 내통부재속에 중심통을 배치함으로써 달성된다. 불행하게도, 다통연소구조는 연소불꽃이 도달하지 않는 외통부재의 부분이 어둡게 보이고 어두운 부분은 외통부재의 원주방향에서 위치적으로 불규칙하기 때문에 연소불꽃의 상단이 양원통부재 사이의 간극속에 위치하도록 이렇게 낮추어질 때 원통부재, 특히 외통부재가 만족스럽게 직열되도록 유지하는데 실패한다. 이러한 현상은 완전연소가 실제로 구조물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도, 그 구조가 불완전연소를 하고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종종 오해하도록 한다.
오일-때는 조리용 난로용으로 종래에 사용되었던 연소통구조는 연소에 있어 광범위한 변화를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그것은 내통부제 안쪽에 중심통이 배치되어서 내통부재의 하부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상부로 향하는 그것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내통부재와 중심통사이의 간극속의 공기가 내통부재의 작은 통공들을 통하여 내통부재와 외통부재사이의 간극으로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결과를 가져오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한 구조는 연소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연속불꽃의 상단이 외통부재와 내통부재사이의 간극속에 위치할 때 일지라도 완전연소가 달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는 공간 또는 실내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술한 다통연소구조용으로 사용됨으로써, 연소량이 감소된 레벨로 유지될 때 일지라도 완전연소가 달성되도록 한다.
특히, 상술과 같은 중심통이 없는 다통연소구조에서는, 감소된 연소를 유지하기 위하여 내통부재와 외통부재사이의 간극속에 연소불꽃의 상단을 위치시키면서 연소작용이 수행될 때, 심지로부터 증발된 고분자량의 연료오일은 연소불꽃이 존재하는 간극의 부분에서의 연소열에 의하여 저분자량의 연소가스로 열분해됨으로써 그 부분에서의 가스의 양이 증가되도록하는 까닭에, 그와 같은 분해는 연소불꽃위의 가스의 부분에서 사실상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것은 연소불꽃위의 간극의 부분 및 상향흐름속으로 내통부재속의 공기가 내통부재의 통공을 통하여 도입되는 경향이 있도록 간극속에서 발생되는 틈새유입바람을 결과함으로써, 연소불꽃에 충분한 또는 유요한 공기량을 공급하는데 실패하여, 불완전 연소가 되도록 한다.
반대로, 내통부재 안쪽에 배치된 중심통을 가지는 다통연소구조에 있어서는, 내통부재와 외통부재사이의 간극의 상부는 중심통의 내부로부터 내통부재의 상부로 흐르는 공기가 공급되는 까닭에, 심지가 연소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낮추어질 때 형성된 불꽃은 중심통과 내통부재 사이에 도입되는 공기가 공급되며, 따라서, 연소불꽃은 연소불꽃위에 흐르는 공기에 상관없이 완전연소를 수행하기에 충분한 양의 공기가 공급된다. 이와같이, 중심통을 구비한 다통연소구조의 연소특성은 중심통과 내통부재 사이의 간극속의 공기의 제어에 의하여 사실상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주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연소구조내에 제어부재를 결합시키는 것이 종래에 제안된바 있다. 예를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보 제 73/1955호는 중심통의 상,하단부의 각각에 그러한 제어부재의 결합을 기재하고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제 3577/1955호는 중심통의 중심부에 제어부재의 배치를 기재하고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보 제 32174/1972호는 중심통의 하단에 제어부재의 설치를 기재하고 있다. 최종으로,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제 35707/1972호는 중심통의 상단에 제어부재의 배치를 기재하고 있다.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중심통에 작은 통공들이 설치된 것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들면, 일본국 실용신안출원 제 123453/1969호에 기재된 것과 같이 중심통전체에 작은 통공들이 균일하게 형성된 것이 승계인에 의하여 제안되었다. 승계인은 또한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제 24347/1979호에 기재된 것과 같이, 중심통의 하부에만 작은 통공들이 형성된 것을 제안한 바 있다.
실내 또는 공간을 가열하기 위하여 적열된 내,외통부재로부터 열투과통을 통하여 밖쪽으로 열선을 방출하는 다통연소구조에 있어서, 내,외통부재는 연소에 의하여 발생된 연소가스와 그속에서 발생된 연소불꽃에 의하여 ㅈ거열되어서 연소열에 의하여 고열로 가열된다. 불행하게도, 종래의 다통연소구조는 상술과 같이 감소된 연소작용에서 일지라도 완전연소를 확보하지만, 연소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심지가 낮추어질 때 연소가스의 흐름의 변화 및 연소불꽃의 위치변동으로 인하여 위치적으로 변동되는 것으로부터 내,외통부재의 적열을 방지하는데 실패한다. 특히, 내,외통부재의 각각의 적열부분은 원통부재의 원준방향에서 위치적으로 불규칙 또는 불안정하게 만들어져 있다. 내통부재와 외통부재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고리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연소구조는 완전연소확보와 관계없이 심지가 전체간극을 통하여 수평으로 또는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되도록 낮추어질 때 간극속에 발생된 연소불꽃의 상단을 허용하는데 실패한다. 예를들면, 이것은 가끔 원통부재의 한쪽만 가열되고 다른쪽은 어둡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종래의 다통연속구조는 전체 내,외통부재를 적열하도록 구성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전술한 단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연소량에 상관없는 조작특성과 만족스러운 미관을 나타낼 수 있는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연소량이 위치적으로 균일하게 만들어지도록 감소된 레벨에서 유지될대 연소구조의 일부가 적열되도록할 수 있는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외통부재와 내통부재 사이의 간극속에 연소 불꽃의 상단이 위치토록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연소량이 감소될 때 일지라도 연소구조의 적열부가 위치적으루 균일하게 적열될 수 있는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연소량에 상관없이 미관적으로 만족스럽게 적열될 수 있는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연소통의 적열을 불리하게 영향주는 것으로부터 내통부재와 외통부재사이의 간극의 치수의 변동과 심지의 상단의 위치적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는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연소량에 상관없이 우량한 미관적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연소불꽃의 상단이 내통부재와 외통부재사이의 간극속에 위치되도록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연소량이 감소될 때 일지라도, 연소구조의 적열부가 위치적으로 균일하게 적열될 수 있는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고도로 단순화된 구조를 가지는 이중연소통의 적열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는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가 제공된다. 다통연소구조는 연료오일의 연소에 의하여 적열되는 적열부는 가지는 이중연소통을 구비한다. 이중연소통은 고리모양간극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내통부재와 외통부재를 구비한다. 연소구조는 또한 이중연소통밖쪽에 배치된 열투과통을 구비한다. 내통부재에는 그 상단에 상판이 설치된다. 연소구조는 또한 내통부재의 내면과 내통부재의 안쪽에 배치된 중심통에 장치된 구획수단을 구비하며, 내통부재와 동심이 되고, 그 상,하단에서 연결되며 내통부재의 상판과 구획수단에 각각 연결되는 식으로 설치된다. 중심통은 수직으로 서로 교호로 복수의 천공부와 복수의 비-천공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성, 중심통은 구획수단위에 장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천공 및 비-천공부들은 각각 원주방향으로 뻗는 줄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중심통은 내통부재의 적열부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내통부재에 위치적으로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천공 및 비-천공부들은 중심통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배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중심통은 천공부들중의 하나를 가지는 그의 상단에 그리고 비-천공부들중의 하나를 가지는 하단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중심통의 하단에 설치된 비-천공부는 천공부의 통공들보다 더작은 통공들의 열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천공부는 비-천공부와 사실상 같은 쪽으로 형성된다. 또한 천공부는 비-천공부보다 약간 작은 쪽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천공부는 복수의 열로 배치된 복수의 통공들을 가진다.
이제, 본 발명에 의한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다통연소구조가 응용될 수 있는 오일버너의 일예를 표시한다.
제1도에서, 오일버너 및 다통연소구조는 대체로 번호(10 및 12)로 각각 표시된다. 제1도에서, 도시된 오일버너는 공간히터의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오일버너는 공간히터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제1도에 도시된 오일버너(10)는 다통연소구조(12)를 제외하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일버너(10)는 연소용 등유와 같은 연료오일을 저장하기 위한 오일저장기(14)를 구비한다. 오일저장기(14)에는 오일탱크(16)로부터 연료오일이 공급된다. 오일버너(10)는 또한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심지(24)를 수용하기 위한 고리형상 공간을 형성하도록 동심적으로 배치된 내통(20) 및 외통(22)을 가지는, 심지수용구조(18)를 구비한다. 심지수용체(18)속에는 심지작동기구(도시않됨)가 설치되어서, 연소 및 소화작용과 연소조정작용을 위하여심지(24)를 수직으로 움직이는 작용을 수행한다. 심지(24)는 손잡이(26)를 돌려서 심지작동기구를 통하여 작동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다통연소구조(12)는 심지수용구조체(18)위에 배치되고, 내통부재(30)와 내통부재(30)의 동심이 되도록 내통부재의 밖쪽에 설치된 외통부재(32) 및 그들사이에 형성된 고리모양 간극(33)를 구비한다. 내,외통부재(30 및 32)는 세라믹과 같은 내열재료로 만든다. 내통부재(30)는 복수의 작은 통공들(34)이 형성되고 외통부재(32)는 복수의 통공들(36)이 형성된다. 간단하에 하기위하여, 제2도는 통공들(34 및 36)이 각각 내,외통부재들(30 및 32)의 각 일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그들은 실제에 있어 전체 내,외통부들(30 및 32)에 설치된 것이다. 내,외통부재들(30 및 32)은 심지수용구조체(18)의 내,외통부재들(20 및 22)위에 각각 설치된다.
다통연소구조(12)는 또한 내열유리등과 같은 내열투과물질로 만들고 구조물(12)내에서 연료오일의 연소에 의하여 적열된 내,외통부재들(30 및 32)로부터 방사된 열선을 밖쪽으로 방출하도록 외통부재의 밖쪽에 배치된 열통과통(38)을 구비한다. 열투과통(38)은 외통부재(32)와 사실상 동심이되는 식으로 배치되어서, 그들 사이에 형성되는 고리형상 간극(39)을 결과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최외쪽 열투과통(38)은 구조물(12)내의 연로오일의 연소에 의하여 적열된 내,외통부재들(30 및 32)의 각각의 상부 적열부를 포위하도록 설치된 열투과통부(40)와, 열투과통부(40)를 지지하고 연소작용중에 적열되지 않는 내,외통부재(30 및 32)의 각각의 하부 비-적열부를 포위하도록 심지수용구조체(18)위에 설치된 열-불투과통부(42)를 구비한다.
내통부제(30)는 그 상단이 외통부제(32)의 상단 밑에서 종결하도록 구성된다. 내통부재(30)의 상단위에는 그로부터 안쪽으로 뻗도록 고리모양상판(44)이 장치된다. 또한 내통부제(30)는 고모양구획(46)과 더불어 그로부터 안쪽으로 뻗는 식으로 그하부의 내면위에 설치된다.
다통연소구조(12)는 또한 고리모양 간극(50)을 형성하도록 내통부재(30)의 안쪽에 동심으로 배치된 중심통(48)을 구비한다. 중심통(48)은 상단에서 내통부재(30)의 상판(44)에 그리고 그 하단은 구획(46)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심통(48)은 고리모양구획(46) 내단위에 그 하단에 설치됨으로써, 중심통(48)과 내통부제(30)사이의 고리모양간극(50)이 구획(46)을 통하여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참조번호 52는 후연소기로서 작용하도록 내통부재(30)의 상판(44)위에 배치된 불꽃퍼짐수단을 표시한다. 외통부재(32)는 외통부재(32)와 열투과통(38)사이의 고리모양간극(39)을 폐쇄하도록 그로부터 그의 외단에서 밖쪽으로 뻗는 식으로 고리 모양상판(54)과 더불어 그의 상단위에 설치된다. 참조번호 56은 그속에 후연소실을 형성하도록 외통부재(32)의 상판(54)위에 지지된 최상부통을 표시한다. 통(56)은 열투과통을 구비할 수 있다.
오일탱크(16)로부터 오일저장기(14)로 공급되는 연료오일은 심지에 의하여 빨아올려진 다음 심지(24)의 말단에 점화됨으로써, 원통부재들(30 및 32)의 통공들(34 및 36)을 통하여 공급된 공기를 사용하여 내통부재(30)와 외통부재(32)사이의 간극(33)속에서 연료오일의 연소가 시작된다. 연소열에 의한 연료오일의 열분해에 의하여 발생되었으되 외통부재(32)와 내통부재(30)사이의 간극(33)을 통하여 간극(30)내에서 연쇠되지 않고 후연소실로 상방으로 배출된 연소가능가스는 불꽃퍼짐수단(52)을 통하여 후연소된다.
중심통(48)은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심통(48)의 수직방향으로 교호로 배치되는 식으로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뻗는 줄모양의 천공부들(58)과 복수의 원주 방향으로 뻗는 줄모양의 비-천공부들(60)이 설치된다. 제2도는 간단하게 하기위하여 천공부들(58)의 각각의 일부에 통공들이 형성된 것을 표시하고 있으나, 천공부들(58)은 각각의 일부에 통공들이 형성된 것을 표시하고 있으나, 천공부들(58)은 각각 전체원주에 걸쳐서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되어 있다. 중심통(48)의 이와같은 구조는 간극(33)속의 연소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내통부재(30)의 통공들(34)을 통하여 외통부재(32)와 내통부재(30)사이의 간극(33)으로 중심통(48)과 천공부들(58)을 통하여 제어된 공기가 공급되도록함으로써, 연소불꽃의 상단이 내통부재(30)와 외통부재(32)사이의 간극(33)속에 위치하도록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연소량을 감소시키도록 심지가 낮추어질 때 일지라도 양원통부재들(30 및 32)을 위치적으로 균일하게 적열시킨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천공부들(58)의 각각은 통공들은 복수의 줄로 배치된다. 중심통(48)은 사실상 내통부재(30)의 적열부에 상응하는 길이 또는 높이로 형성되어 서 부재(30)에 위치적으로 상응하거나 또는 반대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천공부들(58) 및 비-천공부들(60)은 천공부들(58)중의 하나가 중심통(48)의 상단에 위치하고 비-천공부들(60중의 하나가 중심통(48)의 하단에 위치하는 식으로 중심통(48)의 전체길이 또는 높이에 걸쳐서 수직방향으로 교호로 배치된다. 최하부 비-천공부(60)는 천공부(58)의 통공들보다 작은 통공들의 열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천공부는 사실상 비-천공부(60)와 같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전자는 후자보다 약간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시된 실시예의 다통연소구조의 작용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일저장기(14)로부터 빨아올린 연료오일로 적셔진 심지(24)가 내통부재(30)와 외통부재(32)사이의 간극(33)의 하부의 점화위치까지 상승된 다음 점화되면, 간극(33)속에 틈새유입공기가 발생하여, 연소용 공기가 내,외통부재들(30 및 32)의 각각의 하부의 통공을 통하여 공급되어, 연료오일이 연소되는 심지로부터 증발되어서 이중연소통(28)내에서 연소불꽃을 형성한다. 이것은 열투과통(38)의 열투과통부(40)에 위치적으로 상응하는 내,외통부재들(30 및 32)의 각각의 적열부가 실내 또는 공간을 가열하기 위한 열선을 방사하기 위하여 적열되도록 한다.
연소불꽃의 상단이 간극(33)속에 위치하도록 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연소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심지가 낮추어지거나 또는 연소불꽃의 상단이 외통부재(32)내의 내통부재(30)위의 위치로부터 내통부재(30)와 외통부재(32)사이의 간극속으로 낮추어지면적열부는 부분적으로 적열되도록 만들어진다.
내통부재 안쪽에 설치된 중심통(48)은 내통부재(30)의 상판(44)과 구획(46)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천공부들(58)이 비-천공부들(60)과 수직방향으로 교대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중심통(48)의 천공부들(58)의 통공들을 통하여 내통부재(30)와 중심통(48)사이의 간극(50)속으로 도입되는 공기가 내통부재(30)의 통공(34)을 통하여 양우너통부재들(30 및 32)사이의 간극(33)으로 공급될 공기로서 사용되도록 한다.
연소불꽃의 상단이 상술과 같이 내통부재(30)와 외통부재(32)사이의 간극속에 위치하도록 되면, 심지로부터 증발된 고분자량의 연료오일가스가 연소가스로 또는 연소불꽃이 연소불꽃의 열에 의하여 존재하는 간극(33)의 일부에서 저분자량들로 열분해되는 까닭에, 그와 같은 가스부피의 증가는 연소불꽃위의 간극(33)의 일부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은 공기 및 가스가 연소불꽃위의 간극의 부분쪽으로 상방으로 흐르도록 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간극(33)속에서 발생되는 틈새유입공기를 결과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줄-같은 천공부들(58)이 줄-같은 비-천공부들(60)과 교대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중심통(48)은 복수의 통공들이 성치된다. 중심통(48)의 이와 같은 구조는 중심통(48)의 내부로부터 중심통(48)의 천공부들(58)을 통하여 내통부재(30)와 중심통(48)사이의 간극(50)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간극(50)애에서 상방으로 흐르도록 확보한 다음 내통부재(30)의 통공들(34)을 통하여 내통부재(30)와 외통부재(32)사이의 간극(33)으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연소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심지가 낮추어질 때 형성된 연소불꽃위의 간극(33)의 부분은 중심통(48)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음으로, 연소불꽃이 존재하는 간극의 부분으로 공기의 공급을 반대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부터 연소불꽃위의 간극의 부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방지하며, 완전연소가 되는 불꽃을 결과한다.
이와 같이, 연소불꽃의 상단이 간극(33)소에 위치하도록 심지가 낮추어진 때일지라도, 중심통의 배치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완전연소가 확보되도록 한다
상술과 같이, 종래의 연소구조는 연소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심지가 낮추어질 때 간극속에 위치한 연소불꽃의 상단이 완전연소확보에 상관없이 전 간극에 걸쳐서 수평적으로 또는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되도록하는데 실패한다. 내·외통부재들의 적열은, 상술과 같이, 연소에 의하여 발생된 상승된 온도의 연소가스 뿐만아니라 연소불꽃에 의하여 수행함으로써, 간극속에 형성된 연소불꽃의 높이의 변화는 내·외통부재들의 각각의 적열부의 적열이 위치적으로 변동되도록하여, 적열부의 일부가 위치적으로 불규칙하게 적열되도록하고 적열부의 나머지 부분이 위치적으로 불규칙하게 어두워지도록하여, 실제로 완전연소를 달성하고 있을지라도 연소구조가 그 장소에서 불완전연소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오해하는 결과가 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다통연소구조는, 상술과 같이, 중심통(48)이, 상술과 같이, 줄-같은 비-천공부들(60)와 수직방향으로 교호로 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줄-같은 천공부들(58)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다량의 연소용 공기가 중심통(48)의 내부로부터 중심통(48)의 천공부들(58)을 통하여 그리고 천공부들(58)에 위치적으로 대응하는 내통부재(30)의 통공들(34)을 통하여 내통부재(30)와 외통부재(32)사이의 간극(33)으로 상방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그것은 비-천공부들(60)에 위치적으로 대응하는 내통부재(30)의 통공들(34)을 통하여 간극(33)으로의 공기의 공급이 금지되도록 한다. 이것은 연소불꽃의 상단이 간극(33)속에 위치할 때 수행된 연소가 그곳에 공급된 충분한 공기량 때문에 천공부들(58)에 위치적으로 대응하는 간극(33)의부분들에서 증진되도록 할 뿐만아나라, 그 위치들에서 높이가 증가되는 연소불꽃을 결과하고, 또한 충분한 공기량 공급의 실패때문에 비-천공부들(60)에 위치적으로 대응하는 간극(33)의 부분들에서 금지되도록하여, 연소불꽃이 그 부분들에서 높이가 증가되도록하여, 연소불꽃 전체의 상단이 간극(33)의 원주방향으로 위치적으로 균일하게 만들어지도록 한다.
또한, 복수의 천공부들(58)이 비-천공부들(60)과 수직방향으로 교호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연소불꽃의 상단이 간극(33)소에 위치하도록 심지가 낮추어진 때 형성된 연소불꽃은 중심통(48)의 천공 및 비-천공부들에 대응하는 위치들에서 균일하게 만들어짐으로써, 연소불꽃이 존재하지 않는 적열부의 상단은 균일하게 어둡게되고, 연소불꽃이 존재하는 적열부의 하부는 양부분들 사이의 경계가 원주방향으로 또는 수평방향으로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확보하면서 균일하게 적열되도록 함으로써, 이중 연소통(28)의 적열부의 미관적 특성을 개량한다.
전술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롱연소구조는 복수의 천공부들과 복수의 비-천공부들이 수직방향으로 서로 교호로 되는 식으로 중심통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연소불꽃의 상단이 내통부재와 외퉁부재사이의 간극속에 위치하도록 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연소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심지가 낮추어질 때 일지라도, 연소구조는 적열부의 상부가 균일하게 어두어지도록 하는 식으로 완전연소를 확보하면서 이중연소통의 적열부가 위치적으로 균일하게 적열되도록 하고, 양부분들의 경계가 원주방향으로 또는 수평방향으로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확보하면서 적열부의 하부가 균일하게 적열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연소량에 상관없이 만족스러운 미관적 및 조작특성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정도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설명의 관점에서 자명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본 발명은 특정설명과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할 것이다.

Claims (10)

  1. 연료오일의 연소에 의하여 적열되는 적열부를 가지는 이중연소통과, 상기 이중연소통은 고리모양 간극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내통부재와 외통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중연소통의 밖쪽에 배치된 열투과통과, 상기 내통부재는 그 상단에 상판이 설치되고, 상기 내통부재의 내면상에 설치된 구획수단과, 상·하단들에서 상기 내통부재의 상판과 상기 구획수단에 각각 연결되는 식으로 상기 내통부재의 안쪽에 배치된 중심통과, 상기 중심통은 복수의 천공부들과 복수의 비-천공부들이 수직방향으로 서로 교대되는 식으로 설치된 것을, 구비한 오일버너용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통은 상기 구획수단위에 장치된,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및 비-천공부들 각각은 원주방향으로 뻗은 줄-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통은 상기 내통부재의 적열부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내통부재에 위치적으로 대응하도록 배치된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및 비-천공부들은 상기 중심통의 길이전체에 걸쳐서 배치된,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통은 그 상단에 상기 천공부들중의 하나가 설치되고 그 하단에 상기 비-천공부들중의 하나가 설치된,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통의 하단에 설치된 상기 비-천공부는 상기 천공부의 통공들보다 작은 통공들의 열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사실상 상기 비-천공부와 같은 폭으로 형성된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비-천공부보다 약간 더 작은 폭으로 형성된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복수의 열들속에 배치된 복수의 통공들을 가지는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
KR1019910005118A 1990-03-30 1991-03-30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 KR100192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85964A JP2546023B2 (ja) 1990-03-30 1990-03-30 石油燃焼器の燃焼筒
JP2-85964 1990-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124A KR910017124A (ko) 1991-11-05
KR100192102B1 true KR100192102B1 (ko) 1999-06-15

Family

ID=1387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118A KR100192102B1 (ko) 1990-03-30 1991-03-30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546023B2 (ko)
KR (1) KR100192102B1 (ko)
DE (1) DE4110096B4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35707U (ko) * 1971-03-05 1972-12-20
JPS4732174U (ko) * 1971-04-20 1972-12-11
JPS5424347U (ko) * 1977-07-20 1979-02-17
US4390003A (en) * 1980-06-11 1983-06-28 Toyotomi Kogyo Co., Ltd. Petroleum combustion device
US4569652A (en) * 1981-12-23 1986-02-11 Toyotomi Kogyo Co., Ltd. Combustion cylinder construction for oil space heater
JPH01101014U (ko) * 1987-12-18 1989-07-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110096B4 (de) 2004-04-29
JP2546023B2 (ja) 1996-10-23
JPH03286915A (ja) 1991-12-17
DE4110096A1 (de) 1991-10-02
KR910017124A (ko) 199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9533A (en) Electric cooking oven with infrared gas broiler
US5571009A (en) Gas powered burner with perforated ceramic elements
EP0072616B1 (en) Combustion cylinder construction for oil space heater of the radiant type
KR100927046B1 (ko) 가스 복사 조리기기의 버너 어셈블리
US4569652A (en) Combustion cylinder construction for oil space heater
KR100192102B1 (ko) 오일버너용 다통연소구조
US4545758A (en) Pot-type oil burner
US4614493A (en) Heat radiation-type oil burner
US4511327A (en) Oil burner
US5169306A (en) Multi-cylinder combustion structure for oil burner
JPS58130904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US2700418A (en) Vaporizing type burner with functional recirculating ring and central stack chamber
EP0153099B1 (en) Combustion cylinder construction for oil burners
KR920005741Y1 (ko) 석유연소기의 연소통
JP2005207668A (ja) ガスコンロ
US1074688A (en) Blue-flame wick-stove.
JPS599126Y2 (ja) 石油燃焼器具の燃焼筒
KR200238149Y1 (ko) 석유스토브의연소통
KR850001372Y1 (ko) 연소통 바닥에 망체를 내설시킨 포트신 석유연소기
KR100208308B1 (ko) 가스 버어너
US620910A (en) Oil-stove
US1410214A (en) Hydrocarbon burner
US4846672A (en) Combustion cylinder structure for oil burner
KR100686007B1 (ko) 가스 복사 조리기기의 버너 어셈블리
KR200155086Y1 (ko) 가스식 통닭 구이기의 버너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