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204Y1 - 차량의 경사길 정차 후 재출발시의 역진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경사길 정차 후 재출발시의 역진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204Y1
KR920005204Y1 KR2019900013083U KR900013083U KR920005204Y1 KR 920005204 Y1 KR920005204 Y1 KR 920005204Y1 KR 2019900013083 U KR2019900013083 U KR 2019900013083U KR 900013083 U KR900013083 U KR 900013083U KR 920005204 Y1 KR920005204 Y1 KR 920005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rake
piston
rela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3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323U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성중 · 알.제이.스트래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성중 · 알.제이.스트래미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3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204Y1/ko
Publication of KR9200043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3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2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1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for locking of revers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26Compressed-air systems
    • B60T13/268Compressed-air systems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6Hill holder; Start aid systems on inclined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inclination or change of direction, e.g. negotiating bends
    • B60T8/245Longitudinal vehicle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의 경사길 정차 후 재출발시의 역진방지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구성 및 작동개략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 3 도는 종래 A.O.H(AIR OVER HYD.)브레이크 사용할 때의 작동개략도.
제 4 도는 종래 F.D(FULL AIR)브레이크 사용시의 작동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레이크밸브 2 : 에어탱크
3 : 에어컴프레셔 4 : 리레이밸브
5 : 에어마스타 6 : 휠실린더
7 : 파워챔버 8 : 휠브레이크
9 : 공압밸브 A,B : 피스톤
10 : 마그네틱밸브
본 고안은 차량의 경사길 정차후 재출발시의 역진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형버스 및 트럭의 A.O.H 브레이크 사용차량에 적당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A.O.H 브레이크 시스템의 경우는 제 3 도와 같이 에어컴프레셔(3)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는 에어탱크(2)에 저장되고 이 압축된 공기는 브레이크밸브(1)와 리레이밸브(4)의 입구까지는 항상 대기되어 있는 상태인데 이때 차량 주행상태에서 브레이크 제동시에는 브레이크밸브(1)를 밟으면 압축공지는 브레이크밸브(1)를 통하여 리레이밸브(4)를 작동시키며 이어 에어마스타(5)에 브레이크 오일의 압력을 증대시켜 휠실린더(6)를 밀어 제동시키게 되며 제 4 도와 같이 F.A 브레이크일 경우에는 리레이 밸브(4)를 통하여 들어온 압축공기는 파워챔버(7)를 작동시켜 휠브레이크(8)를 제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브레이크 시스템은 경사길 제동후 출발시에는 브레이크 밸브(1)를 밟으면 제동이 되나 출발 직전 브레이크밸브(1)를 떼면 차는 뒤로 밀리어 뒷편의 차량과 충돌이 예상되며 또한 신호등 및 짧은 시간내에 정차시에는 브레이크밸브(1)를 항상 밟고 있던지 아니면 파킹브레이크를 작동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어 운전미숙으로 인한 사고가 빈번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제거코져 별도의 공압밸브와 마그네틱 밸브 및 그 동작용 전기회로를 구비하여 경사길 정차후 재출발시에 자동으로 제동되어 있게한 것으로서 그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어컴프레셔(3), 에어탱크(2), 브레이크밸브(1) 및 리레이밸브(4)로 구성되어 에어마스타(5) 또는 차워챔버(7)이 휠실린더(6)의 휠브레이크(8)을 제동시키는 통상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브레이크 밸브(1)에서 나온 라인을 바로 리레이 밸브(4)에 연결하지 아니하고 공압밸브(9)의 피스톤(B)측 입구에 연결하며 피스턴(B)은 스프링(S1)이 탄설된 피스턴(A)내부에 스프링(S2)으로 탄입하며 에어탱크(2)의 다른 라인에 마그네틱밸브(10)을 연결하여 그 출구를 공압밸브(9)의 피스톤(A)측 입구에 연결하고 공압밸브(9)의 피스톤(A)측 출구에서 리레이밸브(4)에 연결시켜놓고 마그네틱밸브(10)은 전원에서 스위치(SW1) 및 엑셀스위치(SW2), 브레이크스위치(SW3)의 ON, OFF에 의한 리레이(RY1)에 의해 개폐되게한 구조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차량이 경사길로 접어들면 운전자가 경사길에서의 제동행위를 예상하고 일단 본 고안을 가동시키기 위하여 브레이크 페달과 엑셀페달에서 발을 떼고 전원스위치(SW1)을 ON한다.
이때는 엑셀페달에 연결된 스위치(SW2)가 접촉되어 있고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된 스위치(SW3)가 접촉되어 있음으로 전원은 파이럿 램프(PL1)을 점등시킴과 동시 리레이(RY1)을 통전시키고 그 접점(RY1)이 접촉되어 마그네틱밸브(10)가 작동, 공압이 공압밸브(9)내의 피스턴(A)를 밀게하고 피스턴(A)는 스프링(S1)을 탄축하면서 리레이밸브(4)로 가는 에어출구를 폐쇄하며 동시에 피스턴(A)내부의 피스턴(B)의 브레이크 밸브(1)에 나오는 공압입구를 내부 스프링(S2)을 약간 누르면서 탄력적으로 차단하고 있는 상태로 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경사길을 주행키위하여 엑셀페달을 밟으면 스위치(SW2)는 단락되게 되어 있어 이와 연동되는 스위치(SW4)는 이상황을 알리고져 파이럿 램프(PL2)를 점등시키지만 리레이(RY1) 및 그 접점(RY1)이 단락되어 마그네틱밸브(10)가 차단된다.
그러므로 공압밸브(9)내의 공압은 지탱력이 벗어 피스턴(B)와 함께 피스턴(A)은 스프링(S2)의 힘으로 원위치하게 된다.
즉 전원만 본 고안의 회로부에 인가되어 있는 상태로 된다. (이것은 주행중 즉 엑셀페달을 밟고있는 상태에서 스위치(SW1)를 ON시킨 경우와 같다.)이때 제동을 걸 경우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공압이 브레이크밸브(1), 공압밸브(9) 및 리레이밸브(4)를 통과, 정상적인 공압라인으로 제동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단락되는 접점인 스위치(SW3)는 단락되고 바대로, 엑셀페달에서는 발이 떼어진 관계로 스위치(SW2)는 접촉하게 된다.
여기에서 다시 재출발할 경우 브레이크 페달을 떼고 순간적으로 엑셀페달을 밟으면 문제가 없지만 미숙련자는 브레이크 페달에서 엑셀페달을 교차하여 밟는데 시차기 있을 경우에 본 고안이 작동하는데 즉, 엑셀페달을 밟기 위하여 브레이크 페달을 일단 떼면 브레이크밸브(1)에서의 공압, 공급은 차단되어라도 스위치(SW2)가 접촉된 상황에서 순간적으로 스위치(SW3)가 접촉되어 리레이(RY1) 및 그 접점(RY1)이 작동, 마그네틱밸브(10)가 동작함으로서 상기한 대로 공압밸브가 공압의 배기를 억제함으로서 차량은 아무것도 밟지 않은 상태에서 제동상태를 유지하는 것이고 이때 시차가 있더라도 다시 출발을 위한 엑셀페달을 밟으면 스위치(SW2)가 단락되면서 리레이(RY1)과 접점(RY1)이 단락, 미그네틱밸브(10)가 폐쇄, 피스턴(A)(B)이 후퇴하여 공압밸브(9)의 공압라인의 억제를 해제하여 일반 공압 제동라인 및 다음의 경사길 제동, 재출발시의 역진방지를 위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운전 숙련을 요하는 경사길도 미숙련자가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에어컴프레셔(3), 에어탱크(2), 브레이크밸브(1) 및 리레이밸브(4)로 구성되어 에어마스타(5) 또는 파워챔버(7)이 휠실린더(6)의 휠브레이크(8)을 제동시키는 통상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브레이크밸브(1)에서 나온 라인을 바로 리레이밸브(4)에 연결하지 아니하고 공압밸브(9)의 피스턴(B)측 입구에 연결하며 피스턴(B)은 스프링(S1)이 탄설된 피스톤(A)내부에 스프링(S2)으로 탄입하며 에어탱크(2)의 다른 라인에 마그네틱밸브(10)을 연결하여 그 출구를 공압밸브(9)의 피스턴(A)측 입구에 연결하고 공압밸브(9)의 피스턴(A)측 출구에서 리레이밸브(4)에 연결시켜 놓고 마그네틱밸브(10)은 전원에서 스위치(SW1) 및 엑셀스위치(SW2), 브레이크스위치(SW3)의 ON, OFF에 의한 리레이(RY1)에 의해 개폐되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사길 정차후 재출발시의 역진방지장치.
KR2019900013083U 1990-08-29 1990-08-29 차량의 경사길 정차 후 재출발시의 역진방지장치 KR920005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083U KR920005204Y1 (ko) 1990-08-29 1990-08-29 차량의 경사길 정차 후 재출발시의 역진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083U KR920005204Y1 (ko) 1990-08-29 1990-08-29 차량의 경사길 정차 후 재출발시의 역진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323U KR920004323U (ko) 1992-03-25
KR920005204Y1 true KR920005204Y1 (ko) 1992-07-30

Family

ID=19302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3083U KR920005204Y1 (ko) 1990-08-29 1990-08-29 차량의 경사길 정차 후 재출발시의 역진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2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323U (ko) 199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1056B (fi) Automatisk styrkrets foer en bromsstyranordning i ett fordon.
US4590406A (en) Automatic brake control system
KR920005204Y1 (ko) 차량의 경사길 정차 후 재출발시의 역진방지장치
KR0130389B1 (ko) 진공 배력식 안전 브레이크
KR100243582B1 (ko) 자동차의 비상제동장치
KR960008534B1 (ko) 트럭자동제동장치
KR0127708Y1 (ko) 4륜 로크 브레이크장치
JP2550556Y2 (ja) 作業用動力の制御回路
KR100187164B1 (ko) 에어컨 콤프레셔를 이용한 보조 브레이크 시스템
JPH04169344A (ja) 東両のストップランプ装置
JPS63532Y2 (ko)
KR0118016B1 (ko) 브레이크의 제동력 유지장치
KR200155095Y1 (ko) 자동차용 비상브레이크장치
JPS6211696B2 (ko)
KR0132050Y1 (ko) 전동차의 주차제동회로
JPH0544739U (ja) 車両の非常ブレーキ装置
US5259665A (en) Brake control apparatus
KR200160855Y1 (ko) 브레이크 압력에 따라 자동 작동되는 해저드 램프와 배기 브레이크 장치
KR920011016B1 (ko) 자동차의 전,후륜 주차 제동 제어장치
KR960005365Y1 (ko) 대형차량의 안전제동장치
KR20080009338A (ko) 자동차용 전기식 주차브레이크
KR19990052018A (ko) 주차후 차량 밀림 방지 장치
JPS6230829Y2 (ko)
US3016888A (en) Waste condensation tube and stoplight warning device
KR970006291Y1 (ko) 주차브레이크조작시 브레이크등 점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