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164B1 - 에어컨 콤프레셔를 이용한 보조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컨 콤프레셔를 이용한 보조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164B1
KR100187164B1 KR1019960064889A KR19960064889A KR100187164B1 KR 100187164 B1 KR100187164 B1 KR 100187164B1 KR 1019960064889 A KR1019960064889 A KR 1019960064889A KR 19960064889 A KR19960064889 A KR 19960064889A KR 100187164 B1 KR100187164 B1 KR 100187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pressure
conditioner compressor
valve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6530A (ko
Inventor
김현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64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7164B1/ko
Publication of KR19980046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2Arrangements of pumps or compressor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3Brake assis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 브레이크의 유압 실린더에 압력센서를 설치하고, 에어콘 장치와 브레이크장치의 일측에 밸브를 각각 개재시키고, 상기 두 밸브를 서로 연통시킴으로써, 주 브레이크 유압실린더의 고장 유무가 상기 압력센서를 통하여 검출될 경우 에어콘 콤푸레샤의 압력을 사용하여 자동차를 제동시키는 에어콘 콤푸레샤를 이용한 보조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주브레이크의 고장시 대응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차 안전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Description

에어컨 콤프레셔를 이용한 보조 브레이크 시스템
본 발명은 보조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 브레이크의 유압 실린더에 압력센서를 설치하고, 에어콘 장치와 브레이크장치의 일측에 밸브를 각각 개재시키고, 상기 두 밸브를 서로 연통시킴으로써, 주 브레이크 유압실린더의 고장 유무가 상기 압력센서를 통하여 검출될 경우 에어콘 콤푸레샤의 압력을 사용하여 자동차를 제동시키는 에어콘 콤푸레샤를 이용한 보조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동장치는 주행하는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중요한 장치이며, 마찰력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운동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그것을 대기속으로 방출시켜 제동작용을 하는 마찰식 브레이크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같은 제동장치는 주행할 때 주로 사용하는 주 브레이크와 자동차를 주차할 때 사용하는 주차 브레이크가 있는데, 특히 상기 주 브레이크는 뒷바퀴 제동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유압식인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평소의 점검소홀이나 운행중 고장으로 인하여 상기 주브레이크의 유압실린더가 고장났을 경우 핸드브레이크나 엔진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자동차를 제동시키지만, 순간적인 제동이 어렵기 때문에 교통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부분의 자동차에 설치된 에어콘 장치가 콤프레서를 사용하고 있는데 착안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주 브레이크장치의 고장시 이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상기 에어콘 장치의 콤프레서 압력을 사용하여 주 브레이크장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자동차를 제동시키는 보조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브레이크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자제어장치11 : 유압실린더
12 : 에어콘 콤푸레샤13 : 제1 밸브
14 : 제2 밸브15 : 디스크 휠
16 : 슈라이닝17a : 제1 가스관
17b : 제2 가스관17c : 제3 가스관
17d : 제4 가스관17e : 제5 가스관
S1 : 압력센서RY1 : 릴레이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유압이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와, 그 유압을 받아 슈라이닝을 드럼에 밀착시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휠실린더와, 디스크 휠, 제1 내지 제5 파이프로 구성된 주 브레이크 장치와 ; 카에어콘 장치의 순환 사이클중 공기를 압축시키기 위한 에어콘 콤푸레샤를 포함하는 에어컨 콤프레셔를 이용한 보조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와 ;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검출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일 경우 출력단에 연결된 릴레이를 자화시켜 상기 에어콘 콤푸레샤를 턴온시키고, 제1 밸브 및 제2 밸브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오픈시켜 에어콘 콤푸레샤의 압력으로써 주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는 전자제어장치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브레이크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브레이크 페달을 밟음에 따라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실린더(11)와, 이 유압실린더(11) 내부에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S1)가 전자제어장치(1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11)는 제2 파이프(17b)와 연통된 채로 제2 밸브(14)의 일단과 접속되고, 그 타단은 디스크 휠(15)과 제1 파이프(17a)를 통하여 연결될 뿐만 아니라, 또 다른 타단은 제3 파이프(17c)를 통하여 제1 밸브(13)와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밸브(13)는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냉방시켜주는 에어콘 장치의 순환 라인중 에어콘 콤푸레샤(12) 근처에 설치된 밸브이고, 상기 제2 밸브(14)는 자동차의 부브레이크 장치중 유압실린더(11)와 디스크 휠(15)을 연통시키는 파이프의 일측에 설치된 밸브이다. 또한, 주브레이크가 정상적일 경우 상기 제1 밸브(13)는 제4 파이프(17d)에서 제5 파이프(17e)로 연통되며, 상기 제2 밸브(14)도 제2 파이프(17b)에서 제1 파이프(17a)로 연통되지만, 주브레이크의 고장일 경우 상기 제1 밸브(13)는 제4 파이프(17d)에서 제3 파이프(17c)로 연통되고, 상기 제2 밸브(14)도 제3 파이프(17c)에서 제1 파이프(17a)로 연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제어장치(10)는 상기 압력센서(S1)를 통하여 주브레이크 장치의 고장이 확인되면, 상기 전자제어장치(10)의 출력단에 연결된 릴레이(RY1)를 자화시켜 경보등(L1) 및 에어콘 콤푸레샤(12)를 턴온시키고, 제1 밸브(13) 및 제2 밸브(14)의 연통상태를 바꿔준 후, 에어콘 콤푸레샤(12)의 압력으로써 상기 디스크 휠(15)의 슈라이닝(16)을 드럼에 밀착시켜 자동차를 제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밸브(13) 및 제2 밸브(14)는 일반적인 체크 밸브를 사용하여도 좋고, 별도로 제조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여도 좋으나 상기 전자제어장치(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세갈래로 연통된 파이프간에 빠르고, 정확한 응답을 가질수록 좋다.
그리고, 운전석 앞쪽에 설치하여 운전자에게 주브레이크 장치의 고장을 알려주는 경보등(L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LED를 사용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주브레이크의 고장시 대응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차 안전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Claims (1)

  1.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유압이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Master cylinder)와, 그 유압을 받아 슈라이닝(16)을 드럼에 밀착시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휠실린더와, 디스크 휠(15), 제1 내지 제5 파이프(17a-17e)로 구성된 주 브레이크 장치와 ; 카에어콘 장치의 순환 사이클중 공기를 압축시키기 위한 에어콘 콤푸레샤(12)를 포함하는 에어컨 콤프레셔를 이용한 보조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S1)와 ; 상기 압력센서(S1)로부터 검출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일 경우 출력단에 연결된 릴레이(RY1)를 자화시켜 상기 에어콘 콤푸레샤(12)를 턴온시키고, 제1 밸브(13) 및 제2 밸브(14)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오픈시켜 에어콘 콤푸레샤(12)의 압력으로써 주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는 전자제어장치(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콤프레셔를 이용한 보조 브레이크 시스템.
KR1019960064889A 1996-12-12 1996-12-12 에어컨 콤프레셔를 이용한 보조 브레이크 시스템 KR100187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889A KR100187164B1 (ko) 1996-12-12 1996-12-12 에어컨 콤프레셔를 이용한 보조 브레이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889A KR100187164B1 (ko) 1996-12-12 1996-12-12 에어컨 콤프레셔를 이용한 보조 브레이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530A KR19980046530A (ko) 1998-09-15
KR100187164B1 true KR100187164B1 (ko) 1999-04-01

Family

ID=19487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889A KR100187164B1 (ko) 1996-12-12 1996-12-12 에어컨 콤프레셔를 이용한 보조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7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6404A1 (ko) * 2020-04-07 2021-10-14 전광석 자동차용 비상제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050B1 (ko) * 1999-11-26 2002-03-27 류정열 브레이크 유압라인 이상발생시를 대비한 보조 브레이크시스템
KR20040018802A (ko) * 2002-08-27 2004-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브레이크의 제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6404A1 (ko) * 2020-04-07 2021-10-14 전광석 자동차용 비상제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530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1750A (en) Arrangement for preventing a vehicle from rolling away
US6705683B2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emergency braking capability of an electrohydraulic braking system
JP2000506804A (ja) 自動車のエアブレーキ装置のためのトレーラ制御弁を備えたトレーラ制御モジュール
KR100187164B1 (ko) 에어컨 콤프레셔를 이용한 보조 브레이크 시스템
JPS61102336A (ja) 車両の制動装置
KR100273709B1 (ko) 차량의 유압식 주브레이크 고장 진단장치
KR0130389B1 (ko) 진공 배력식 안전 브레이크
KR100369034B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100250051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자동 작동 장치
JPS5836614Y2 (ja) 車両用動力ブレ−キ装置
KR960008534B1 (ko) 트럭자동제동장치
JPS6211696B2 (ko)
KR20000060165A (ko) 자동차의 풋 브레이크 고장시 배기 브레이크의 자동 작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S6236675Y2 (ko)
JPS6226939B2 (ko)
KR100303035B1 (ko) 비상브레이크장치
KR0155123B1 (ko) 자동차 전륜 더블브레이크
KR100356658B1 (ko) 에어컨 압축기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제동력을 증대시키는방법
KR100203159B1 (ko) 전기자동차의 제동배력장치
KR19980061198A (ko) 공압 브레이크 장치
JP3339092B2 (ja) ブレーキ故障警報装置
KR100224427B1 (ko) 보조 브레이크 장치
KR200160855Y1 (ko) 브레이크 압력에 따라 자동 작동되는 해저드 램프와 배기 브레이크 장치
KR200235742Y1 (ko) 자동차용공기브레이크의미끄럼방지장치
KR100222317B1 (ko) 유압식브레이크씨스템의 유압단속장치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