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181B1 - 가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가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181B1
KR920005181B1 KR1019880008227A KR880008227A KR920005181B1 KR 920005181 B1 KR920005181 B1 KR 920005181B1 KR 1019880008227 A KR1019880008227 A KR 1019880008227A KR 880008227 A KR880008227 A KR 880008227A KR 920005181 B1 KR920005181 B1 KR 920005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urniture
fixed
wall surfac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187A (ko
Inventor
치요카즈 히가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오
무라코시 마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오, 무라코시 마사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오
Publication of KR890006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구 고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가구고정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낸 붙임고정상태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평면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4도는, 가구본체의 전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구본체 2 : 벽면
3 : 측판 4 : 천정판
5 : 뒤판 6 : 관통구멍
11 : 가구고정장치 12 : 고정장치 본체
13 : 고정부재 14,23 : 붙임고정편부
15,24 : 안내편부 16 : 베이스
17 : 붙임고정구멍 18 : 나사
19 : 보스 20,32,33 : 나사구멍
21 : 개구부 22 : 제1의 가로이동부재
25,26,27 : 조정홈 28 : 안내테두리부
29 : 안내홈 30,34 : 고정나사
31 : 제2의 가로이동부재 35 : 전,후 이동부재
36 : 나사축 37 : 회동조작부
38 : 받침부재 39 : 연결축
40 : 연결구멍
본 발명은, 벽면에 뒷면을 향해 배치하는 가구본체를 그의 벽면에 대하여 고정하는 가구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양복장, 식기선반 및 책장 등의 가구본체는, 방의 벽면에 뒤면을 향해 배치되는데, 예를들면 지진의 경우등으로 앞쪽으로 넘어지는 위험이 있다.
여기서, 종래의 대략 "L"자 형상의 고정브라켓트의 각 고정편부를 가구본체의 위면과 벽면과에 각각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가구 본체를 벽면에 고정하여, 가구본체의 뒤집힘을 방지하도록 한 가구고정구가 있다.
상기와 같은 가구 고정구는 대략 "L"자 형상의 고정브라켓트를 가구본체의 위면과 벽면과에 각각 나사로 고정하여 가구본체를 고정하는데, 예를들면 나사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구본체의 위면과 벽면과의 나사를 고정하는 고정구멍을 미리형성하여 놓아도, 고정브라켓트를 가구본체 위면 및 벽면에 맞춘경우에 고정브라켓트의 나사를 통하게 하는 각 관통구멍과 상기 각 고정구멍과는 일치하지 않아, 가구본체의 위치를 틀어비키어 놓아서 조정할 필요가 생기거나, 나사고정이 곤란한 경우도 있었다.
또한, 청소등에 의하여 가구본체의 위치를 일단 비키어 놓도록 할 경우에, 고정브라켓트를 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나사를 풀어 빼내면되지만, 청소 등의 후에, 가구본체를 본래의 위치로 되돌려도, 고정브라켓트의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편부와 벽면과의 간격 및 고정 브라켓트의 관통구멍과 벽면의 고정구멍과를 일치시키는 것은 용이하지는 않다.
또한, 나사를 풀고 조이기를 반복하면, 벽면이 콘크리이트 등의 경우에 고정구멍의 내벽이 붕괴되어 나사 붙임을 할 수 없게 되기쉬워, 고정브라켓트의 가구 본체 및 벽면으로의 나사고정위치를 바꿀 필요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감안하여 된 것으로, 가구본체쪽과 벽면의 고정위치와에 다소 어긋남이 생겨 있어도 가구본체를 벽면에 고정할 수가 있고, 또한 가구본체와 벽면과의 고정 및 고정해제가 용이하고 또한 반복 사용가능한 가구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벽면(2)에 뒤면을 향하게 배치하는 가구본체(1)를 그의 벽면(2)에 대하여 고정하는 가구 고정장치(11)로써 상기 가구본체(1)에 고정되는 베이스(16)에 전, 후 이동부재(35)를 전, 후 이동 조정가능하게 형성하고, 이 전,후 이동부재(35)에 상기 벽면(2)에 대향하게 받침부재(38)를 형성하며, 또한 이 받침부재(38)에 대향하여 상기 벽면(2)에 고정부재(13)를 붙임고정한 것이고, 상기 받침부재(38)와 고정부재(13)의 어느 한쪽은 마그넷을 가짐과 동시에 다른쪽은 그의 마그넷에 흡착되는 자성 부재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가구본체(1)에 붙임 고정한 베이스(16)에 대하여 전, 후 이동부재(35)를 전, 후 이동조정하고, 이 전, 후 이동부재(35)의 받침부재(38)를 벽면(2)에 붙임고정한 고정부재(13)에 접합시킴으로써, 이 받침부재(38)와 고정부재(13)가 마그넷에 의한 흡인력으로써 고정붙임되어, 가구본체(1)가 벽면(2)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도에 있어서, (1)은 양복장 등의 가구본체로써, 뒤면이 벽면(2)에 향하게 배치되고, 그리고, 가구 고정장치(11)에 의하여 벽면(2)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구고정장치(11)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구본체(1)에 붙임 고정되는 고정장치 본체(12)와, 벽면(2)에 붙임고정된 고정부재(13)로써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장치 본체(12)는, 상기 가구본체(1)의 양쪽의 측판(3)과 내측면의 천정판(4) 및 뒤판(5)에 근접한 위치에 붙임고정되어 있고, 가구본체(1)의 측판(3)에 접합되는 붙임 고정편부(14)와 뒤판(5)에 접합되는 안내편부(15)로 이루어진 대략 "L"자형상의 베이스(16)를 가지고 있다.
이 베이스(16)는, 붙임고정편부(14)의 네모퉁이부에 형성된 나사붙임고정 구멍(17)을 통하여 둥근접시나사(18)가 측판(3)에 나사조임에 의하여 가구본체(1)에 고정되어 있고, 그리고, 붙임고정편부(14)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보스(19)가 튀어나와 형성됨과 동시에 나사구멍(20)이 형성되고, 또한, 안내편부(15)에는 중앙부위에 직사각형상의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6)의 붙임 고정편부(14)에는 그의 붙임고정편부(14)에 대하여 평행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조정 가능하게한 제1의 가로이동부재(22)가 붙임고정되고, 이 제1의 가로이동부재(22)는, 상기 베이스(16)와 같은 형태로 붙임고정편부(23)와 안내편부(24)로써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붙임고정편부(23)에는, 상기 보스(19) 및 나사구멍(20)의 위치에 대응하여 1쌍의 조정홈(25), (26)이 상, 하 방향을 따라 긴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안내편부(24)에는, 붙임고정편부(23)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긴홈 형상의 조정홈(27)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하의 태두리부에서 베이스(16)의 안내편부(15)로 향해 안내테두리부(28)가 형성되어, 그 안내테두리부(28) 사이에 안내홈(2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의 가로이동부재(22)는, 한쪽의 조정홈(25)이 상기 보스(19)에 끼워 맞춤되고, 다른쪽의 조정홈(26)에 상기 나사구멍(20)에 나사붙임되는 고정나사(30)가 삽입되어, 이 고정나사(30)가 헐거운 상태에서 베이스(16)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고정나사(30)를 체결고정 함으로써 베이스(16)에 고정된다.
상기 제1의 가로이동부재(22)의 안내홈(29)에는 그 안내홈(29)를 따라 좌, 우 방향으로 이동조정 가능하게 한 제2의 가로이동 부재(31)가 형성되고, 이 제2의 가로이동부재(31)는, 상기 베이스(16)의 안내편부(15)와 제1의 가로이동부재(22)의 안내편부(24)와의 사이의 안내홈(29)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 형성되며, 그의 이동방향을 따라 1쌍의 나사구멍(32),(33)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의 가로이동부재(31)는, 한쪽의 나사구멍(33)에 제1의 가로이동부재(22)의 조정홈(27)을 통하여 고정나사(34)가 나사붙임되고, 이 고정나사(34)가 헐거운 상태에서 베이스(16) 및 제1의 가로이동부재(22)에 대하여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고정나사(34)를 체결 고정함으로써 제1의 가로이동부재(22)에 고정된다.
상기 제2의 가로이동부재(31)에는 전, 후 방향으로 이동 조정가능하게 하는 전, 후 이동부재(35)가 붙임고정되고, 이 전, 후 이동부재(35)는, 제2의 가로이동부재(31)의 이미 한쪽의 나사구멍(32)에 나사맞춤한 나사축(36)으로써 이루어지고, 이 나사축(36)의 한쪽끝단부는 제1의 가로이동부재(22)의 조정홈(27)을 통하여 돌출됨과 동시에, 다른 끝단부는 베이스(16)의 개구부(21) 및 가구본체(1)의 뒤판(5)에 형성된 관통구멍(6)를 통하여 벽면(2)을 향해 돌출하고, 그의 한쪽 끝단면에는 플러스(+)형 또는 (-)형의 드라이버가 결합가능한, 또한 수동용의 집게로써 회전가능한 회동조작부(37)가 형성되고, 다른 끝단부에는 받침부재(38)가 붙임고정되어 있다. 이 받침부재(38)는, 마그넷에 의하여 흡착가능하게 하는 자성부재로써 이루어지고, 나사축(36)의 끝단면으로부터 튀어나와 형성된 연결축(39)을 통하게 하는 연결구멍(40)을 가지며, 그리고, 연결축(39)을 연결구멍(40)에 통하게 한 상태에서 연결축(39)의 앞끝단부가 찌그러뜨림 가공되어, 나사축(36)에 대하여 머리부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재(13)는, 마그넷을 가지고 있고, 전체를 마그넷으로한 구성 또는 마그넷을 케이스로 덮은 구성으로 되고, 벽면(2)에 대하여 나사 또는 양면 테이프, 접착제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가구고정장치(11)에 의하여 가구본체(1)를 벽면(2)에 고정함에는, 가구본체(1)의 측판(3)에 붙임고정된 고정장치 본체(12)의 위치에 대응하여 벽면(2)에 고정부재(13)를 나사 또는 양면 테이프,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붙임 고정하며, 가구본체(1)의 뒤면을 벽면(2)에 맞춘다.
그리고, 고정장치 본체(12)를 조작하여, 전, 후 이동부재(35)의 나사축(36)을 회동시키어 받침부재(38)를 고정부재(13)에 접근시키고, 그들을 접촉시키기 전에 받침부재(38)와 고정부재(13)와의 위치를 확인하고, 위치의 어긋남이 생긴 경우에는, 제1 및 제2의 가로이동부재(22), (31)로서 조정한다.
즉 상·하 방향의 위치가 어긋나있는 경우에는, 제1의 가로 이동 부재(22)를 베이스(16)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나사(30)를 헐겁게하여, 그 고정나사(30) 및 보스(19)에 끼워맞춤하는 조정홈(25), (26)을 개재하여 제1의 가로 이동부재(22)를 상·하로 이동시키어 받침부재(38)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고, 그 조정후에 고정나사(30)를 체결고정하여 제1의 가로이동부재(22)를 베이스(16)에 고정한다.
한편, 좌, 우 방향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제2의 가로이동부재(31)를 제1의 가로이동부재(22)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나사(34)를 헐겁게하고, 제1의 가로이동부재(22)의 안내홈(29)내에서 제2의 가로이동부재(31)를 좌, 우로 이동시키어 받침부재(38)의 좌, 우 위치를 조정하며, 그의 조정 후에 고정나사(34)를 체결 고정하여 제2의 가로이동부재(31)를 제1의 가로이동부재(22)에 고정한다.
이어서 전, 후 이동부재(35)의 나사축(36)을 회동하여 받침부재(38)를 고정부재(13)에 접촉시켜, 이 고정부재(13)로써 받침부재(38)를 흡착시킨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받침부재(38)의 위치를 조정한 후에, 그 받침부재(38)를 고정부재(13)에 흡착시킴으로써, 받침부재(38)의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지만, 받침부재(38)를 고정부재(13)에 흡착시킨후에 받침부재(38)의 위치조정을 행하여도 좋다.
그리고, 받침부재(38)를 고정부재(13)에 접합시킨 상태에서는, 그 받침부재(38)가 머리부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되어있기 때문에, 벽면(2)이 평행하게되어 있지 않거나 베이스(16)의 붙임고정이 어긋나 있어도, 받침부재(38)는 고정부재(13)와 평행하게 변위하여 접촉하며, 고정부재(13)에 견고하게 흡착되어, 지진등에 의한 가구본체(1)의 앞쪽으로의 뒤집힘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청소 등의 경우에 가구본체(1)를 이동시킴에 있어서는, 전, 후 이동부재(35)의 나사축(36)을 회동조작하여 앞쪽으로 이동시키어, 받침부재(38)를 고정부재(13)의 흡인력에 대항하여 떨어지게 하므로써 가구본체(1)는 벽면(2)과의 고정이 해제되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청소를 한후, 가구본체(1)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벽면(2)에 고정하는 경우, 받침부재(38)와 고정부재(13)와의 위치의 어긋남이 생겨도,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의 가로 이동부재(22), (31)를 조정함으로써, 받침부재(38)를 고정부재(13)에 대하여 위치를 맞출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는, 고정장치 본체(12)를 가구본체(1)의 측판(3)의 안쪽면에 붙임고정하였지만, 측판(3)의 바깥면, 천정판(4)의 아래면 또는 위면에 붙임 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받침부재(38)가 자성부재로써 이루어지고, 벽면(2)에 붙임고정되는 고정부재(13)가 마그넷을 가지는 구성이지만, 받침부재(38)가 마그넷을 가지며, 고정부재(13)가 그 마그넷에 의하여 흡착되는 자성부재로 되도록 구성하여도 좋은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구본체쪽의 받침부재와 벽면에 붙임고정되는 고정부재가 마그넷에 의한 흡인력에 의하여 고정붙임되어 가구본체가 벽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가구본체의 배치상태나 고정부재의 붙임고정위치등에 따라서 받침부재와 고정부재와에 다소의 어긋남이 생겨도 가구본체를 벽면에 고정할수가 있고, 또한 가구본체의 벽면으로의 고정 및 고정해제를 용이하게 또한 반복하여 행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벽면(2)에 배면을 향하게 배치하는 가구본체(1)를 그의 벽면(2)에 대하여 고정하는 가구고정장치(11)로써, 상기 가구본체(1)에 고정되는 베이스(16)와, 이 베이스(16)에 대하여 전, 후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전, 후 이동부재(35)와, 이 전, 후 이동부재(35)에 상기 벽면(2)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받침부재(38)와, 이 받침부재(38)에 대향하여 상기 벽면(2)에 붙임고정되는 고정부재(13)와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부재(38)와 고정부재(13)와의 어느 한쪽은 마그넷을 가짐과 동시에 다른쪽은 그 마그넷에 흡착되는 자성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 후 이동부재(35)는, 베이스(16)의 붙임고정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또한 전, 후 이동부재(35)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제1의 가로 이동부재(22) 및 베이스(16)의 붙임고정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제2의 가로이동부재(31)를 개재하여 베이스(16)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고정장치.
KR1019880008227A 1987-10-15 1988-07-02 가구 고정장치 KR920005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260395 1987-10-15
JP260395 1987-10-15
JP62260395A JPH01101920A (ja) 1987-10-15 1987-10-15 家具固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187A KR890006187A (ko) 1989-06-12
KR920005181B1 true KR920005181B1 (ko) 1992-06-29

Family

ID=1734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227A KR920005181B1 (ko) 1987-10-15 1988-07-02 가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1101920A (ko)
KR (1) KR9200051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91749B2 (ja) * 2017-09-21 2021-06-18 コクヨ株式会社 取付板、及びガイド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65162B2 (ko) 1991-10-09
KR890006187A (ko) 1989-06-12
JPH01101920A (ja) 198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9736B2 (ja) 板材収納枠
US20140238947A1 (en) Shelving System
KR920005181B1 (ko) 가구 고정장치
KR920005180B1 (ko) 가구 고정장치
US5271591A (en) Bracket for cantilever mounting of flat shelf plates
JPS61181408A (ja) 調節式前板用取付装置
JP2630900B2 (ja) 衝立立設装置
JP2594371Y2 (ja) 机上パネルの取付構造
KR20190080096A (ko) 착탈식 책상 칸막이보드 결합용 고정클램프
JP2517095Y2 (ja) パチンコ機の固定具
JPH04132514A (ja) 加熱調理器の固定装置
JP2541854Y2 (ja) 机、カウンター等の卓上ユニット取付装置
JPH0535717Y2 (ko)
JPH079297Y2 (ja) スタンド用固定金具
JPH0546661Y2 (ko)
JPS5840573Y2 (ja) 保持装置
JPH04123196U (ja) コーナー棚
JPH062302Y2 (ja) 電気機器の取付構造
JPH0112010Y2 (ko)
JPH0735986Y2 (ja) 外装材の取付け装置
JPH0338492Y2 (ko)
JPH077677Y2 (ja) 取付アタッチメント
JPS63115347U (ko)
JP3471481B2 (ja) 間仕切り用パネルにおける幅木取付け構造
JP2656001B2 (ja) スタンド型電話器台の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