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046B1 - 광정보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광정보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046B1
KR920005046B1 KR1019880002764A KR880002764A KR920005046B1 KR 920005046 B1 KR920005046 B1 KR 920005046B1 KR 1019880002764 A KR1019880002764 A KR 1019880002764A KR 880002764 A KR880002764 A KR 880002764A KR 920005046 B1 KR920005046 B1 KR 920005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optical information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2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770A (ko
Inventor
유우지 아라이
에미꼬 하마다
유아끼 신
타카시 이시구로
Original Assignee
타이요오 유우덴 가부시끼가이샤
카와다 미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요오 유우덴 가부시끼가이샤, 카와다 미츠구 filed Critical 타이요오 유우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8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7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 G11B7/257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consisting essentially of organic materials
    • G11B7/257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consisting essentially of organic materials resi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protective topcoat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protective topcoat layers
    • G11B7/25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protective topcoat layers consisting essentially of organic resi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s only, e.g. ablative layers
    • G11B2007/24302Metals or metalloids
    • G11B2007/24312Metals or metalloids group 14 elements (e.g. Si, Ge, S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s only, e.g. ablative layers
    • G11B2007/24302Metals or metalloids
    • G11B2007/24316Metals or metalloids group 16 elements (i.e. chalcogenides, Se, 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 G11B7/247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methine or polymethine dyes
    • G11B7/247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methine or polymethine dyes cyanin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 G11B7/24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porphines; azaporphines, e.g. phthalocyan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9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 G11B7/253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comprising resins
    • G11B7/253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comprising resins polycarbonates [P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0Radiation imagery chemistry: process, composition, or product thereof
    • Y10S430/146Laser be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0Radiation imagery chemistry: process, composition, or product thereof
    • Y10S430/151Matting or other surface reflectivity altering material

Landscapes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정보 기록매체
제1도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두께 방향을 확대하여 나타낸 광정보 기록매체의 종단면도.
제1도의 (b)는, 제1도의 (a)의 A부분의 확대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두께 방향을 확대하여 나타낸 광정보 기록매체의 종단면도.
제5도의 (a) 내지 (b)는, 광기록의 개념을 나타낸 요부의 종단면도.
제6도는, 광정보 기록매체의 종래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두께 방향을 확대한 요부의 종단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2 : 광기록층,
3 : 보호층, 4 : 피트(Pit),
5 : 공극, 8 : 스페이서(Spacer),
11 : 기판, 12 : 광기록층,
13 : 보호층, 16 : 접착제,
17 : 완충층, 18 : 반사 방지층.
본 발명은, 광기록층이 보호층으로서 덮여진 광정보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 광정보 기록매체는, 도너츠 형상의 유리원판이나 플라스틱 원판등의 기판위에, Te, Bi, Mn등의 금속층이나, 시아니, 메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 등의 색소층으로 이루어지는 광기록층을 형성하고, 이 표면을 상기 광기록층의 오염이나 손상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층으로서 덮은 것이다. 이들의 광정보 기록매체로서의 신호의 기록은, 제5도의 (a)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기판(1)측에서 광기록층(2)에 레이저 비임(hυ)을 조사하여, 광기록층(2)을 부분적으로 증발 또는 승화시키고, 그의 흔적에 직경 1μm전후의 피트(Pit)(4)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행한다. 또한, 상기 기록의 재생시에는, 픽업(Pickup)(도시생략함)에서 기판(1)을 통하여 기록시 보다 낮은 에너지의 레이저 비임을 광기록층(2)에 조사하고, 이 기록층(2)과 피트(4)와의 반사율이 서로 다르게 되는 것에 의하여 재생신호를 얻는다.
한편, 색소폴리머나 금속탄화물로서 광기록층을 형성하고, 레이저 비임의 조사에 의하여, 광기록층을 변형시켜서, 피트를 형성하는 방식의 광정보 기록매체도 개발되어져 있다. 예를들면, 제5도의 (b)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레이저 비임의 조사에 의하여, 광기록층(2)의 표면을 볼록형상(또는 요입형상)으로 변형시키거나, 또는, 제5도어의 (c)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미리 미세한 요입볼록부가 형성된 광기록층(2)의 표면을 국부적으로 평탄하게 하고, 그곳을 피트(4)로 하는 것이다. 후자의 광정보기록 매체는, 전자에서와 같이, 피트(4)룰 형성하는 구멍의 둘레부의 변형이나 날아 흩어지는 물체에 의한 노이즈가 적어, 양호한 기록특성이 얻어진다.
이와같은 광정보 기록매체에서는, 제5도에서 점선의 화살표로서 표준형식적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재생시에 피트(4)를 통과한 레이저 비임(hυ)의 일부가 보호층(3)에서 반사되고, 이것이 다시 피트(4)를 통과하여 검지된다. 이로인하여, 피트에서 검지되는 광량과, 그것 이외의 부분에서 검지되는 광량과의 차이가 적어서, 얻어지는 재생신호의 C/N(Carrier to noise)이 작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광기록층(2)의 표면을 변형시키는 후자의 방식의 광정보 기록매체에서는, 광기록층(2)의 표면에 보호층을 밀착시킨 경우에, 광기록층(2) 표면의 충분한 변형이 행하여지지 않으므로, 기록감도 그 자체가 저하된다. 이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의 디스크 형상의 광정보 기록매체에서는, 제6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스페이서(Spacer)(8)를 사이에 두고 2매의 기판(1)을 포개어 쌓는 것에 의하여, 광기록층(2)의 사이에 공극(5)을 개재시킨, 소위 에어 샌드위치(Air Sandwich) 방식이라 불리우는 적층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 구조로서는, 디스크가 상당히 두껍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1.5mm이하의 두께의 디스크를 얻을 수 없고, 이것으로는 종래의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ompact disk Player)를 공용할 수가 없으므로, 콤팩트 디스크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규격을 만족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의 제1의 목적은, 높은 기록감도, 재생특성을 얻으면서, 보호층에 의한 광기록층의 보호가 가능한 광정보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그의 제2의 목적은, 상기의 제1의 목적을 달성하면서, 보다 더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한 광정보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즉, 상기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레이저광의 입사쪽이 되는 투광성 기판(11)위에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하여 증발 또는 승화하는 색소 재료로 이루어진 광기록층(12)이 형성되고, 이 층(12)에 레이저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방지 수단이 실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의 발명에 의한 광정보 기록매체로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의 목적은, 레이저광의 입사쪽이 되는 투광성 기판(11)위에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하여 증발 또는 승화하는 색소 재료로 이루어진 광기록층(12)이 형성되고, 이 층(12)이 보호층(13)으로서 덮여진 광정보 기록매체에 (13)과 광기록층(12)과의 사이에 완충층(17)이 개재되고, 보호층(13)과 완충층(17)의 적어도 어느쪽인가의 한쪽에 레이저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수단이 실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의 발명에 의한 광정보 기록매체로서 달성된다.
상기 제1의 발명에 의한 광정보 기록매체에 있어서, 특히 레이저 비임에 의하여, 광기록층(12)에 구멍을 뚫어서 피트를 형성하는 방식의 광정보 기록매체로서는, 픽업에서 기판(11)을 통하여 광기록층(12)에 레이져 비임(hυ)을 조사하여, 기록 데이타를 읽어 낼때에, 상기 반사 방지수단에 의하여, 이 광기록층(12)에 형성된 피트를 통과한 빛이 광기록층(12) 측에로 반사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하여, 광기록층(12)의 피트와 그 이외의 부분에서 검지되는 반사광량의 차이가 커지므로, C/N가 높은 재생신호가 얻어진다. 또한, 광기록층(12)의 표면을 변형시켜서 피트를 형성하는 방식의 광정보 기록매체에 있어서도, 기록시나 재생시에, 광기록층(12)을 통과한 레이져 비임이 보호층(13)에서 반사되는 일이 없으므로, 노이즈가 낮은 재생신호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제2의 발명의 광정보 기록매체에 의하면, 후자의 방식의 광정보 기록매체에 있어서, 광기록층(12)에 레이저 비임(hυ)을 조사하여, 그의 표면을 변형시켜서, 피트를 형성할때에, 완충층(17)이 광기록층(12) 표면의 변형을 흡수하기 때문에, 피트 형성의 장해가 없으므로, 높은 기록감도가 얻어진다. 또, 이 완충층(17)을 통하여 보호층(13)을 광기록층(12)의 표면에 포개어 쌓을 수가 있기 때문에, 종래의 에어 샌드위치 방식에 비하여, 디스크의 두께를 대폭적으로 얇게 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1도 내지 제3도를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투명한 기판(11)의 표면에 금속이나 유기색소로써 광기록층(12)을 형성하고, 이 표면측을 보호층(13)으로서 덮음과 동시에, 이 보호층(13)의 적어도 광기록층(12)에 면하는 측에 반사방지 수단을 실시한다. 또한, 제2의 발명으로 이루어지는 광정보 기록매체에서는, 상기 광기록층(12)과 보호층(13)과의 사이에 완충층(17)을 형성하고, 이들 완충층(17)과 보호층(13)의 적어도 어느쪽인 가의 한쪽에 상기와 동일한 반사방지 수단을 실시한다. 기판(11)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판, 폴리메틸메타 크릴레이트 판, 에폭시판 또는 유리판등, 투명한 도너츠 형상의 디스크가 사용된다. 또한, 보호층(13)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 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또는 유리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완충층(17)은, 유동성이 있는 기체, 액체; 분말체등 이외에 탄성 변형, 또는 소성변형이 가능한 고체를 사용하고 있다. 예를들면, 젤라틴, 고무, 엘라스토머, 니트로 셀룰로오스, 초산 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콜로디은, 아크릴수지,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 부티랄, 발포우레탄, 입자직경 1 내지 20μm의 세라믹 분말, 입자 직경 1 내지 20μm의 수지분말, 다공질 고분자 재료, 및 이들의 결합체와 프롬가스, 공기, 질소가스, 알곤가스 등이다. 어느 것으로 하더라도, 안정성이 있는 동시에 유동, 변형이 용이한 것이 좋다. 상기 완충층(17)으로서 고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예를들면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광기록층(12)을 형성한 기판(11)과 보호층(13)과의 사이에 완충층(17)을 삽입하여 밀착하는 수단에 의하여, 디스크 형상의 광정보 기록매체를 제조할 수가 있다.
한편, 완충층(17)으로서, 유체나 분말체를 사용할 경우에는, 제1도 또는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기판(11)의 안쪽 바깥쪽 둘레를 보호층(13)으로서 시일(Seal)하고, 완충층(17)을 기판(11)과 보호층(13)과의 사이에 지지하는 수단을 취한다. 반사방지 수단은, 기판(11)에서 광기록층(12)을 통하여 입사하는 레이져 비임(hυ)을, 완충층(17)이나 보호층(13)의 내부에 흡수하여, 산란시키거나, 또는 보호층(13)중에 투과시키는 것이다. 완충층(17)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 반사방지 수단을 완충층(17)에, 이것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호층(13)에 실시하지만, 전자의 경우, 완충층(17)이 투광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완충층(17)과 보호층(13)의 양쪽, 또는 보호층(13)에만 반사 방지수단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반사 방지수단은, 그 수단이 특질등에 따라서, 보호층(13)[또는 완충층(17)]의 전체에 실시하는 것도, 또한,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보호층(13)[또는 완충층(17)]의 광기록층(12)에 면한측에만 실시하는 것도 있다. 예를들면, 레이저광을 흡수하는 반사 방지수단을, 반사 방지층(18)으로서 완충층(17)이나 보호층(13)의 표면에 형성할 경우에는, 벨벳 코오팅(Velvet conting) 도료나 카아본 블랙(Carbon black) 도료등에 의하여, 완충층(17)이나 보호층(13)의 광기록층(12)과 면하는 측을 반사 방지 도장(塗裝)하는 수단, 또는 흑색 정전식모등, 반사방지처리를 한 필름을 완충층(17)이나 보호층(13)의 광기록층(12)과 면하는 측에 첩부수단등에 의하여 행할 수가있다. 완충층(17)이나 보호층(13) 전체를 반사 방지층으로 하는 경우에는, 카아본 블랙, 또는 반도체 레이져 파장 대역에서 광 흡수성을 가지는 시아닌 염료, 프탈로 시아니, 나프토퀴논, 티탄블랙등의 염료를, 보호층(13) 중에 분산시키는 수단에 의하여 행할수가 있다. 또한, 레이저광을 산란시키는 반사 방지층(18)을 완충층(17)이나 보호층(13)에 형성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들면, 이들 중의 광기록층(12)측으로 향한 표면을 꺼칠게 하는 수단등을 채옹할 수가 있다.
또한, 레이저 비임을 완충층(17)이나 보호층(13)의 내부에 투과시키는 반사 방지층(18)을 형성하는 수단으로서는, 이들 층의 광기록층(12)에 면한 측에서 그의 다른면 속으로 향함에 따라서, 굴절율이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높게 되도록한 굴절율의 경사 내지는 변화를 형성하는 수단을 채옹할 수가 있다. 이들의 굴절율의 변화는 굴절율이 다른 물질층을 대립시키거나, 적층성장, 또는 광학 유리의 굴절율의 조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속화합물의 부분적인 첨가등의 수단에 의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완충층(17) 이나 보호층(13)의 표면층과 이것에서 심층부분의 굴절율의 비는, 1/
Figure kpo00002
부근이고, 표면층의 두께가 λ/4n(n : 표면층의 굴절율, λ : 반도체 레이저의 파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이저 구멍의 흡수, 산란 및 투과의 수단은, 가능한한 적절이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레이저광의 흡수 수단을 구비한 완충층(17) 이나 보호층(13)의 표면을 거칠게하고, 이 표면에서 빛을 산란시키는 반사 방지수단, 또는, 완충층(17)이나 보호층(13)의 표면측에 레이저광의 투과수단을 실시하고, 그의 심층부에 레이저광의 흡수 수단을 실시하며, 표면에서 투과시킨 레이저광을, 보호층(13)의 심층부에서 흡수하는 수단등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시아니계 색소의 하니인 3-메틸-2-[7-(3'-메틸-2'-벤조티아조틴)-1-3-5-헵타트리에닐]-벤조티아졸 페클로 레이트를, 페타놀에 2중량 %용해 하였다. 이 용액을 스피너(Spinner)법에 의하여, 바깥지름이 120mm, 두께가 1.2mm인 도너츠 형상의 플리그루우브가 마련된 폴리메닐메타 크릴레이트 기판(11)위에 도포하여 건조시켜, 두께가 약 60mm인 광기록층(12)을 형성하였다. 또한, 두께가 75μm, 폭이 150mm인 길아가 긴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면에 벨벳 코우팅 막(스미도모 3M 사제품 2010)을 그라비아 코우트(Gravure coat)하여 반사 방지층(18)을 형성하고, 이것을 바깥지름이 120mm, 안쪽지름이 38mm인 도너츠 형상으로 잘라내었다.
그리고, 이것을 반사 방지층(18)이 광기록층(12)측에 면하도록 상기 기록층(12)위에 포개어두고, 그의 안쪽 바깥쪽 둘레를 기판(11)에 고정 부착하여, 보호층(13)으로 하였다. 이와같이 하여, 제1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은 구조를 가지는 광정보 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이 광정보 기록매체는, 보호층(13)의 반사 방지층(18)측이 광기록층(12)에 밀착하여 있지 않고, 단순히 접촉되어 있는 정도이며, 그 사이의 근소한 공기층이 완충층(17)으로 된다. 또한, 상기 반사 방지층(18)에 있어서의 레이저 비임(hυ)의 적분 반사율은 1%이었다.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파장이 78nm인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하여, 선속도가 1.4m/sec, 기록주파수가 500KHz인 레이저 비임(hυ)을 기판(11) 측에서 광기록층(12)에 조사하고, 상기 광기록층(12)에 피트를 형성하여, 기록을 행하였다. 이때에, 기록면에서 측정, 확인된 상기 레이저 비임(hυ)의 가장 적절한 기록 파워는 4.0mW이었다. 또한, 기록후에, 광기록층(12)에 출력이 0.3mW인 레이저 비임(hυ)을 부딪쳐서, 기록면의 C/N을 측정하였더니, 43dB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벨벳 코우팅 막에 의한 반사 방지층(18)의 형성 수단에 대신하여, 카아본 블랙과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페이스트를 스프레이 법으로서 도포한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과 조건에서 광정보 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반사 방지층(18)에 있어서의 레이저 비임의 적분 반사율은 4%이었다. 또한,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기록과 재생을 행한다. 기록파워는 4.0mW, 재생신호의 C/N은, 42dB이었다.
[실시예 3]
색소로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3-메틸-2-[7-(3'-메틸-2'-벤조 티아조린)-1-3-5-헵타트리에닐]-벤조 티아졸 피클로레이트를 사용하고, 이것을 에타놀에 3중량 %을 용해하였다. 또한, 기판(11)으로서, 바깥지름이 130mm, 안쪽지름이 30mm, 두께가 1.2mm인 도너츠 형상의 플레그 투우프가 마련된 폴리카아보네이트 기판(11)을 사용하고, 이 한쪽면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의 수단으로서 두께가 약 60nm인 광기록층(12)을 형성하였다. 또한, 두께가 150μm, 폭이 150mm인 길이가 긴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면에 반사 방지층(18)을 형성하고, 이것을 바깥지름 13mm, 안쪽지름이 38mm인 도너츠 형상으로 잘라내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이것에서 광기록층(12)을 덮어서, 보호층(13)을 형성하였다. 또한, 반사 방지층(18)에 있어서의 레이저 비임(hυ)의 적분 반사율은 1%이었다.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의 광기록층(12)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단, 레이저 비임의 선속도는 1.4m/sec, 기록 주파수는 450KHz임)으로서 피트를 형성하여, 기록을 행하였다. 이때에, 기록면에서 측정, 확인된 상기 레이저 비임(hυ)의 가장 적합한 기록파워는, 4.0mW이었다. 도한, 기록부에, 마찬가지로 하여 기록면의 C/N을 측정한바 45dB이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과 동일 종류의 기판(11)을 사용하고, 이 표면에 30mm/분의 막을 형성하는 속도로서 Te 합금을 진공증착하여, 두께가 45nm인 광기록층(12)를 형성하였다. 이 광기록층(12)의 표면에 카아본 블랙을 분산한 에라스토머 도료를 스프레이 하여, 약 2μm두께의 완충층(17)을 형상하였다. 이 완충층(17)위에 벨벳 코우팅(스미도모 3M 사제품 2010)을 스프레이 코우트하여, 미리 반사 방지층(18)을 형성한 후에, 진공증착에 의하여 알루미늄층을 형성하고, 또한 아크릴하드 코우팅을 실시하여, 보호층(13)을 형성하였다. 이것에 의하여, 제2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은 구조을 가지는 광종보 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하여 실시예 3과 동일의 방법으로서 기록과 그의 재생을 행하였다. 이때의 가장 적합한 기록파워는 5.5mW, 재생신호의 C/N은 48dB이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3에 있어서, 보호층(12)을 형성하는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대신하여, 반사 방지층(18)으로서 흑색 정전식모를 실시한 알루미나 세라믹 시이트를 사용하여, 제1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은 구조를 가지는 광정보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반사 방지층(18)의 적분 반사율은 1.2%이었다.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하여 실시예 3과 동일의 방법으로서 기록과 그의 재생을 행하였다. 이때의 가장 적합한 기록파워는 4.1mW, 재생신호의 C/N은 42유이었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4에 있어서, 반사 방지층(18)을 형성하는 벨벳 코우팅막에 대신하여, 티탄 블랙과 실리카겔을 주성분으로 한 다공성 반사 방지 아크릴도료 스프레이막을 사용하여, 제2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은 구조를 가지는 광정보기록 매체에 대하여 실시예 3과 동일의 방법으로서 기록과 그의 재생을 행하였다. 이때의 가장 적합한 기록파워는 5.0mW, 재생신호의 C/N은 46dB이었다.
[실시예 7]
폴리그루우브를 실시한 두께가 1.2nm인 폴리카아보네이트 기판(11)위에, 나프토을 그린 염료로서 염색한 에폭시수지를 스피니법에 이하여, 도포하여, 두께가 약 100nm인 광기록층(12)을 형성하였다. 또한, 두께가 약 200nm, 굴절율이 1.59인 투명한 카아보네이트 필름에, 굴절율이 1.38인 MgF2를 진공증착법으로서, 130nm의 막 두께로 막을 형성하고, MgF2막 측을 상기 광기록층(12)위에 포개어 쌓고, 그의 안쪽 바깥쪽 둘레를 기판(11)에 고정 부착하였다.
이상에 의하여, 디스크 형상의 광정보 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하여, 파장이 700nm인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하고, 선속도가 1.4m/sec, 기록 주파수가 500KHz인 레이저 비임(hυ)을 기판(11)측에서 부터 광기록층(12)에 조사하여, 기록을 행하였다. 이때의 가장 적합한 기록 레이저 파워는, 4.3mW이었다. 그후에, 광기록층(12)에 출격 0.3mW의 레이저 비임(hυ)을 부딪쳐서, 기록면의 C/N을 측정한바, 45dB이었다. 또한, 광정보 기록매체의 두께는 1.4mm이었다.
[실시예 8]
프리 피트를 실시한 유리기판(11)의 표면에 프탈로 시아닌 코발트염을 아크릴수지로 분산한 것을, 스핀코우트법에 의하여 100nm의 두께로 막을 형성하고, 또한 이것을 20nm두께의 유리층으로서 오우버 코우트하여, 광기록층(12)을 형성하였다. 이것을 질소가스의 기류층에 도입하고, 상기 광기록층(12)의 표면에 카아본 블랙을 함유시켜서 반사 방지처리를 실사한 폴리메틸메타 크릴레이트 필름을 포개어 쌓아서 보호층(13)으로하고, 기판(11)의 안쪽 바깥쪽 둘레를 시일하고, 그충에 질소가스를 봉입하여, 완충층(17)을 형성하였다. 이것에 의하여 제1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은 광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기록과 재생을 행한바, 재생신호의 C/N은, 45dB이고, 가장적합한 기록파워는 4.2mW이었다. 또한, 광정보기록 매체의 두께는, 이 경우에도 1.45mm이었다.
[실시예 9]
미리 표면에 미세한 요입볼록부를 형성한 두께가 1.2mm인 에폭시 기판의 표면에, Te 합금을 50nm의 두께로 진공중착하여, 광기록층(12)을 형성하였다. 또한, 카아본 블랙을 분산시킨 폴리비닐 알코올 위에 아크릴하드 코우트를 실시하여, 상기 광기록층(12)위에 완충층(17)과 보호층(13)과를 형성하였다. 이것에 의하여,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광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기록과 재생을 행한바, 재생신호의 C/N은, 46dB이고, 가장 적합한 기록파워는 5.4mW이었다. 또한, 광정보 기록매체의 두께는, 1.4mm이었다.
[실시예 10]
시아니 색소계의 하나인 1-1'-디 부틸-3-3-3'-3'테트라 메틸 4-5-4'-5'- 디벤조 인드 디 카아보 시아닌 퍼클로레이트를 그 중량%, 및 Ni-비소(트리클로로벤젠 디티오올) 테트라(t-부틸) 암모늄(미츠이도오아츠파인 사제품의 PA-1006)을 0.6중량 %, 메틸에틸 케톤에 용해하였다. 투명한 아크릴계 UV 경화수지를 도포한 후에, 경화한 바깥지름이 120mm, 두께가 1.2mm인 도너츠 형상의 폴리그루우브가 마련된 폴리카아보네이트 기탄(11)위에, 상기 용액을 스피너법에 의하여 도포하여 건조시켜, 두께 약 70nm의 광기록층(12)을 형성하였다. 또한, 히이트 시일란트(Heat sealant)와 알루미늄을 라미네이트한 두께가 두께 200μm, 폭이 150mm인 길이가 긴 폴리카아보네이트 필름의 한쪽면에, 카아본을 분산한 우레탄계 도료를 바깥지름이 11.8mm, 안쪽지름이 40mm인 도너츠 형상으로 스프레이 도장하였다. 이 필름을, 상기 도너츠 형성의 도장을 동심원으로 하는 바깥지름이 120mm, 안쪽지름이 38mm안 도너츠형상으로 잘라내고, 이것을 상기의 도장면이 광기록층(12) 측에 면하도록, 중심을 맞추어서 그위에 두고, 안쪽 바깥쪽 둘레를 기판(11)에 히이트 시일하였다. 이것에 의하여, 보호층(13)과 반사 방지층(18)을 가지며, 두께가 1.45mm인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광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의 반사 방지층(18)에 있어서의 레이저 비임(hυ)의 적분반사율은 1%이었다.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파장이 780nm인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하고, 선속도 1.45m/sec로서 레이저 비임(hυ)을 기판(11)측에서 부터 광기록층(12)으로 조상하여, EFM 신호를 기록하였다. 기록부에, 광기록층(12)에 0.3mW의 레이저 비임을 부딪쳐서, 상기 신호를 재생한바, 양호한 아이패턴(eye pattern)이 얻어지고, 이때의 지터(fitter)는 26.5nS이었다.
[실시예 11]
바깥지름이 120mm, 안쪽지름이 38mm, 두께가 1.2mm인 유리기판(11)의 표면에 pb5Te87Se8을 3원중착하여서, 광기록층(12)을 형성하였다. 또한, 보호층(13)으로서, 바깥지름이 120mm, 안쪽지름이 30mm, 두께가 225μm인 얇은 유리판을 사용하고, 이 표면에 MgF2를 진공중착하여, 상기의 얇은 유리판 보다 굴절율이 낮은 얇은 막을 형성하고, 반사 방지층(18)으로서, MgF2얇은 막을 형성하였다. 이 MgF2얇은 박속의 적분 반사율은, 0.8%이었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MgF2얇은 막속을 광기록층(12) 측에로 향하여서, 얇은 유리판(11)위에 포개어 쌓고, 안쪽 바깥쪽둘레를 접착제(16)로서 접착하여, 제4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은 광정보 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상기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실험을 실시한바, 대략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12]
시아니계 산소인 것중의 1-1'-디 에틸 3-3-3'-3' 테트라 메틸 인드트리 카아보 시아닌 아이 오다이드를 4중량 %에타놀에 용해하였다. 투명한 아크릴판에 UV 경화수지로서 폴리그레이브층을 실시한 바깥지름이 120mm, 두께가 1.2mm인 도너츠 형상의 기판(11)위에, 상기 용액을 스피너 법에 의하여 도포하여 건조시켜, 두께가 약 70nm인 광기록층(12)을 형성하였다. 또한, 카아본 블랙을 분산한 아크릴 필름의 표면을 샌드브라스트(Sandblast)하여 적당한 표면의 굵기로한 바깥지름이 120mm, 안쪽지름이 30mm인 도어츠 필름을 준비하여, 이것을 샌드브라스트한 면이 광기록층(12)측에 면하도록, 중심을 포개어서 기판(11)위에 두고, 안쪽 바깥쪽둘레를 고온 용융성의 접착제로서 기판(12)에 접착하였다. 이것에 의하여 반사 방지처리를 실사한 보호층(13)을 가지는 두께가 1.4mm인 광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4 염화탄소에, 그 중량의 3%에 상당하는 니트로 셀룰로오스를 용해시킨 용액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하여 기판(1)위에 형성한 광기록층(2)을 침지하고, 이 광기록층(2)위에 다공질 니트로 셀룰로오즈막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층(3)을 형성하여,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광정보 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과 조건에서 시험을 행한바, 가장 적합한 기록파워는 4.2mW이고, 재생신호의 C/N은, 32dB이었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3에 있어서, 보호층(13)을 형성하는 길이가 긴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반사 방지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광정보 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하여 실시예 3과 동일의 방법과 조건에서 시험을 행한바, 가장 적합한 기록파워는 4.0mW이고, 재생신호의 C/N은 34dB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3에 있어서, 반사 방지층(18)을 형성하는 반사 방지아크릴 도료에 대신하여, 광택의 흑색도료를 사용하여 광정보 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이 경우의 보호층(13)의 광기록층(12)과의 경제면측의 적분 반사율은 6.2%이었다.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하여 실시예 3과 동일의 방법과 조건에서 시험을 행한바, 가장 적합한 기록파워는 3.8mW이고, 재생신호의 C/N은, 36dB이었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6에 있어서, 다공질 반사 방지아크릴 도료에 티탄 블랙을 첨가하지 않고, 광정보 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이 경우의 보호층(13)의 광기록층(12)과의 경계면측의 적분반사율은 10.5%이었다. 상기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하여 실시예 3과 동일의 방법과 조건에서 시험을 행한바, 가장 적합한 기록파워는 5.0mW이고, 재생신호의 C/N은, 34dB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7에 있어서, 광기록층(12)위에 MgF2층을 형성하지 않고, 기판(11)위에 형성한 기록층(12)위에, 두께가 약 200μm인 폴리카아보네이트 필름을 포개어 쌓고, 그의 안쪽 바깥쪽둘레를 기판(11)에 고정부착하여서, 광정보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 광정보 기록매체에 대하여, 파장이 780nm인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하고, 선속도가 1.4m/sec, 기록 주파수가 500khz인 레이저 비임(hυ)을 기판(11)측에서 부터 광기록층(12)으로 조사하여, 상기 광기록층(12)에 기록을 행한바, 가장 적합한 기록파워는 4.5mW이고, 재생신호의 C/N은, 35dB이었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0에 있어서, 보호층(13)의 표면에 카아본을 분산한 우레탄계 도료를 도장하지 않고, 그 밖에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정보 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한 시험을 실시한바, 아이 패터언이 명료하지 않고, 지터가 39.0nS이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1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반사 방지수단에 의하여, 광기록층(12)을 통과한 레이저 비임이 반사되고, 다시 피트를 통과하여 픽업측에서 검지되지 않는 것이어서, C/N이 높은 재생신호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의 발명에 의하면, 특히,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하여 광기록층(12)을 국부적으로 변형시켜서 기록을 행하는 방식의 광정보 기록매체에 있어서, 완충층(17)이 광기록층(12) 표면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기록강도를 하락 시키지 않고, 보호층(13)에 의하여 광기록층(12)이 보호되고, 또한 종래의 이와같은 방식의 겟에 비하여 보다 더 얇은 광정보 기록매체를 얻을수가 있다.

Claims (13)

  1. 레이저광의 입사쪽이 되는 투광성 기판(11)위에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하여 증발 또는 승화하는 색소재료로 이루어진 광기록층(12)이 형성되고, 이 광기록층(12)이 보호층(13)으로 덮여진 광정보 기록매체에 있어서, 광기록층(12)과 접하는 보호층(13)의 안쪽면에, 맞부딪힌 레이저광을 산란 시키는 반사 방지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수단이, 레이저광을 보호층(13) 측으로 투과 시키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광정보 기록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사익 반사 방지수단이, 레이저광을 흡수하는 수단, 레이저광을 산란 시키는 수단 및 레이저광을 투과 시키는 수단의 적어도 어느 것인가 2개의 수단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광정보 기록매체.
  4. 레이저광의 입사쪽이 되는 투광성 기판(11)위에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하여 증발 또는 승화하는 색소 재료로 이루어진 광기록층(12)이 형성되고, 이 광기록층(12)이 보호층(13)으로서 덮여진 광정보 기록매체에 있어서, 이 보호층(13)과 광기록층(12)와의 사이에 완충층(17)이 개재되고, 보호층(13)과 완충층(17)의 적어도 어느것인가 한쪽에 레이저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매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수단이 레이저광을 보호층(13) 또는 완충층(17)으로 흡수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광정보 기록매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수단이 보호층(13) 또는 완충층(17)에 맞부딪힌 레이저광을 산란 시키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광정보 기록매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수단이 레이저광을 보호층(13) 또는 완충층(17)에 투과 시키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광정보 기록매체.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수단이 레이저광을 흡수하는 수단 레이저광을 산란 시키는 수단 및 레이저광을 투과 시키는 수단의 적어도 어느것인가 2개의 수단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광정보 기록매체.
  9. 제4항 내지 제8항중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17)이 기체로 이루어지는 광정보 기록매체.
  10. 제4항 내지 제8항중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17)이 액체로 이루어지는 광정보 기록매체.
  11. 제4항 내지 제8항중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17)이 탄력성체로 이루어지는 광정보 기록매체.
  12. 제4항 내지 제8항중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17)이 소성체로 이루어지는 광정보 기록매체.
  13. 제4항 내지 제8항중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17)이 분말체로 이루어지는 광정보 기록매체.
KR1019880002764A 1987-11-23 1988-03-16 광정보 기록매체 KR920005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94965A JP2542647B2 (ja) 1987-11-23 1987-11-23 光情報記録媒体
JP62-294965 1987-1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770A KR890008770A (ko) 1989-07-12
KR920005046B1 true KR920005046B1 (ko) 1992-06-25

Family

ID=17814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2764A KR920005046B1 (ko) 1987-11-23 1988-03-16 광정보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20359A (ko)
EP (1) EP0317696B1 (ko)
JP (1) JP2542647B2 (ko)
KR (1) KR920005046B1 (ko)
DE (1) DE3874294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651B1 (ko) * 2004-12-02 2006-1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소자용 구조물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4090A (en) * 1987-01-24 1993-06-29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Optical recording member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5328816A (en) * 1988-09-13 1994-07-1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 recording medium
US5256506A (en) * 1990-10-04 1993-10-26 Graphics Technology International Inc. Ablation-transfer imaging/recording
US5501938A (en) * 1989-03-30 1996-03-26 Rexham Graphics Inc. Ablation-transfer imaging/recording
US5171650A (en) * 1990-10-04 1992-12-15 Graphics Technology International, Inc. Ablation-transfer imaging/recording
EP0404521A3 (en) * 1989-06-21 1991-05-02 Hitachi Maxell Ltd.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5023167A (en) * 1990-03-08 1991-06-11 Hoechst Celanese Corp. Optical information card
US6249509B1 (en) * 1994-09-29 2001-06-19 Tdk Corporation Optical device with protective cover
ATE171298T1 (de) 1995-01-10 1998-10-15 Hi Tech Developments Ltd Halbpermanentgehäuse für optisches datenspeichermedium
US5728441A (en) * 1995-12-01 1998-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ordable/replayable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method therefor
KR100230448B1 (ko) * 1996-10-10 1999-11-15 윤종용 광기록매체
KR100230449B1 (ko) * 1996-10-10 1999-11-15 윤종용 광기록매체
DE10020360A1 (de) * 2000-04-26 2001-10-31 Service John Comp Multimedia-Speicher
JP4746782B2 (ja) * 2001-07-10 2011-08-10 中電技術コンサルタント株式会社 応力の測定方法および応力測定装置
TWI308749B (en) * 2002-03-07 2009-04-11 Fuji Corp Optically information-recording medium
TWI317516B (en) * 2002-06-07 2009-11-21 Fujifilm Corp Photo-data recording media
JP3961466B2 (ja) * 2002-09-05 2007-08-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情報記録媒体の保持方法
JP4887636B2 (ja) * 2005-02-28 2012-02-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ホ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6272654A (ja) * 2005-03-28 2006-10-12 Fuji Xerox Co Ltd ホログラム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1874A (en) * 1973-08-29 1976-07-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information storag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it
DE2358859C3 (de) * 1973-11-26 1981-08-06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Aufzeichungsträger zum optischen Aufzeichnen von Informationen mittels sequentieller Signale
US3911444A (en) * 1974-04-04 1975-10-07 Bell Telephone Labor Inc Metal film recording media for laser writing
US4000492A (en) * 1974-04-04 1976-12-28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Metal film recording media for laser writing
FR2271617B1 (ko) * 1974-05-15 1976-10-15 Thomson Brandt
US3889272A (en) * 1974-05-30 1975-06-10 Bell Telephone Labor Inc Metal film recording media for laser writing
FR2368779A1 (fr) * 1976-10-22 1978-05-19 Thomson Brandt Support thermosensible destine a l'enregistrement d'information et procede d'enregistrement d'information sur un tel support
JPS5452518A (en) * 1977-10-04 1979-04-25 Canon Inc Recording medium
US4278756A (en) * 1979-07-06 1981-07-14 Drexler Technology Corporation Reflective data storage medium made by silver diffusion transfer
JPS5699951A (en) * 1980-01-11 1981-08-11 Toshiba Corp Red color luminous fluorescent material
JPS58121153A (ja) * 1982-01-13 1983-07-19 Fujitsu Ltd 光学式情報媒体
JPS5990248A (ja) * 1982-11-15 1984-05-24 Sony Corp 情報記録媒体
US5051978A (en) * 1982-11-30 1991-09-24 Burroughs Corporation Coated media for optical recording
EP0143992A1 (en) * 1983-11-02 1985-06-12 Ricoh Company,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S59162092A (ja) * 1984-01-20 1984-09-12 Canon Inc 記録媒体
JPS60243836A (ja) * 1984-05-17 1985-1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情報担体デイスク
JPS6199950A (ja) * 1984-10-19 1986-05-19 Hitachi Ltd 光学記録部材
JPS61123033A (ja) * 1984-11-20 1986-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保護膜構造体
JPH0685236B2 (ja) * 1985-07-15 1994-10-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記録デイス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651B1 (ko) * 2004-12-02 2006-1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소자용 구조물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17696B1 (en) 1992-09-02
JP2542647B2 (ja) 1996-10-09
EP0317696A1 (en) 1989-05-31
DE3874294T2 (de) 1992-12-24
JPH01137440A (ja) 1989-05-30
US4920359A (en) 1990-04-24
KR890008770A (ko) 1989-07-12
DE3874294D1 (de) 1992-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046B1 (ko) 광정보 기록매체
EP0353393B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CA1332466C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950005035B1 (ko) 광정보 기록 매체
CA1331807C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medium
EP1069556A1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H07107755B2 (ja) 光情報記録カード
US5292616A (en) Optical card of closed type
JP2527476B2 (ja) 光情報記録媒体
JP2511453B2 (ja) 光情報記録媒体
JP2515579B2 (ja) 光記録媒体
JPH07134880A (ja) 光記録媒体
JPS6047247A (ja) 記録媒体
JPH04265541A (ja) 光記録媒体
JP2741101B2 (ja) 光情報記録媒体
JPH01137439A (ja) 光情報記録媒体
JPH0442199B2 (ko)
JPH0587895B2 (ko)
JPH0935335A (ja) 光ディスク製造方法
JP2793516B2 (ja) 光情報記録媒体とその再生方法
JPH02183442A (ja) 情報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0150244A (ja) 光学式情報記録担体
JP2001093187A (ja) 光記録媒体
JPH0685236B2 (ja) 光記録デイスク
JP2002245670A (ja) 光記録媒体および光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