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632Y1 - 오토바이 도난 경보기 - Google Patents

오토바이 도난 경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632Y1
KR920004632Y1 KR2019900004516U KR900004516U KR920004632Y1 KR 920004632 Y1 KR920004632 Y1 KR 920004632Y1 KR 2019900004516 U KR2019900004516 U KR 2019900004516U KR 900004516 U KR900004516 U KR 900004516U KR 920004632 Y1 KR920004632 Y1 KR 920004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inverter
circuit
motorcycle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4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208U (ko
Inventor
송기택
Original Assignee
송기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택 filed Critical 송기택
Priority to KR2019900004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632Y1/ko
Publication of KR9100182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2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6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2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indicating unauthorised use, e.g. acting on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토바이 도난 경보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 2 도는 센서의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버터회로 20 : 센서오동작방지회로
30 : 감지회로 1 : 해제기능단자
2 : 센서 PB : 푸쉬버튼스위치
3 : 동판전극 4 : 쇠구슬
Ry : 릴레이 S1, S2: 릴레이(Ry)의 접점스위치
I1∼I6: 인버터 TR1:트랜지스터
D1∼D9: 다이오드 C1∼C3: 콘덴서
R∼R9: 저항 OSC : 발진증폭기
본 고안은 오토바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도난 경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센서종류는, 스프링에 의한 진동방식과 빛에 의한 포토커플러 방식 및 자력에 의한 진동감지방식등을 채택하고 있다.
첫째, 스프링 진동방식은 스프링 고정부위로부터 떨어진 끝부분에 접점을 달아 진동에 의하여 접점이 접촉하는 방식으로 장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을 유지해야하고 일정한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져야 하며, 또 주변온도차에 의하여 스프링의 변화가 오동작을 일으킬 우려가 있고, 아울러 스프링의 탄력은 심히 움직이는 차체의 진동을 오래 견디지 못하고 변형되거나 끊어지는 결과가 발생한다.
또 접점 부위가 심한 진동에 의하여 마찰되므로 접점 부위의 금속이 마모되며, 금속 불순물이 발생하여 오동작에 원인이 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결점을 갖고 있다.
둘째, 빛에 의한 포토커플러방식은 생산원가 부담이 크다는 점과 수광과 발광을 차단하는 장치가 온도변화 및 재질의 변화에 의하여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다.
셋째, 자력에 의한 진동감지식은 주지한 바와같이 스프링 진동방식과 포토커플러방식을 보완한 방식으로서 철심에 스프링 및 강판을 이용하여 진동계자를 전기의 힘으로 바꾸어 경제성 및 감지기능에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순한 경보기능만을 갖춘 경보기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재래식 전원스위치를 타인으로부터 노출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토바이를 도난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경보기능, 경보해제기능, 엔진시동정지기능, 센서오동작방지기능등을 갖는 오토바이 도난 경보기로서, 오토바이가 충격을 받게되면 경보기능은 진동이 멈출때까지 계속 경보음을 울리게 함과 동시에 엔진시동도 정지되어 타인으로부터 오토바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도난 경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해제기능단자(1) 및 푸쉬버튼 스위치(PB)와, 해제기능키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의 온, 오프(ON.OFF)에 의하여 해제기능단자(1)에 인가되는 펄스신호를 반전시키기 위한 다이오드(D1∼D4), 저항(R), (R1), 인버터(I1), (I2)로 구성된 인버터회로(10)를 상기 푸쉬버튼스위치(PB)와 연결하고, 상기 인버터회로(10)의 접속점(G),(H)에는 설정동작시 오토바이의 충격에 의하여 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D5),(D6), 인버터(I3), 저항(R2), 콘덴서(C1)로 구성된 설립시 센서오동작방지회로(20)를 연결구성하며, 오토바이의 충격에 의하여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2)와, 밧데리 전원단자(B+1)에는 인버터(I4), (I5), 다이오드(D7), (D8), 콘덴서(C2)(C3), 저항(R3∼R5)으로 구성된 간지회로(30)와, 센서(2)동작에 따라 다이오드(D8)을 온시키기 위한 지연회로(T)를 연결하고, 상기한 인버터회로(10), 센서오동작방지회로(20), 감지회로(20)의 출력단자는 인버터(I6)를 통해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측에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측은 접지되고 콜렉터측은 릴레이(Ry)의 코일(L)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스위치(S1), (S2)의 접점단자(a), (b), (c), (d)를 각각 통하여 엔진부와 발진증폭기(DCS) 및 스피커(SP)에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제 1 도 및 제 2 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제 1 도와 도시한 바와같이 센서(2)의 구조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 2 도에서와 같이 센서(2)는 밀폐된 용기속에 (+)와 (-)를 갖는 분리된 동판전극(3)을 여러개 이용하여 약 14m/m정도의 둥근쇠구슬(4)을 동판전극(3)에 접촉되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동판의 접점간극은 약 0.5m/m정도로 가까우므로 타인으로부터 오토바이에 작은 충격을 주게되면 둥근쇠구슬(4)이 동판과 동판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주지한 바와같이 둥근쇠구슬(4)이 동판과 동판사이를 이동할 때 동판의 두전극에 의해 펄스가 발생된다.
이때 센서(2)에서 발생된 펄스의 전위가 저항(R3)의 양단에 걸리는 전위보다 크기 때문에 접속된(A)에는 하이(H)전위가 제공되고 콘덴서(C2)에 충전된다.
인버터(I4)의 입력단에는 콘덴서(C2)에 의해 (-)전위가 제공되기 때문에 인버터(I4)의 출력은 하이(H)전위로 반전되고, 반전된 히이전위는 다이오드(D7)를 거쳐 콘덴서(C3)에 가해지므로 콘덴서를 충전시킨다.
콘덴서(C3)에 충전된 양(+)전위가 인버터(I5)에 제공됨으로써 인버터(I5)의 출력은 로우전위된다.
이때 밧데리(B+1)전원에 의하여 콘덴서(C4)에 방전된 전하가 다이오드(D8)에 가해져 다이오드(D8)은 온상태가 된다.
그리하여 상기 인버터(I5)에서 반전된 로우신호는 다이오드(D8) 및 저항(R7)을 통하여 인버터(I8)에 의해 하이신호로 반전됨과 동시에 저항(R8)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측에 바이어스전압이 가해지므로 트랜지스터(TR1)가 도통하게 되고 이에 따라 릴레이(Ry)도 구동되어 릴레이(Ry)의 스위치(S1)는 (b)접점으로 접속되고, 스위치(S2)는 (c)접점으로 접속됨에 따라 밧데리(B+1)의 전원은 스위치(S1)의 접점단자(b) 및 발진증폭기(OSC)를 통하여 스피커(SP)에 인가되어 경보음을 발함과 동시에 엔진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해제기능키 스위치(도면에 도시생략됨)을 온시키면 푸쉬버튼 스위치(PB)는 오프상태가 되고 해제기능단자(1)에는 하이신호가 인가된다.
인가된 하이신호는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인버터(I1)에 의해 로우신호로 반전되고, 다시 인버터(I2)에 의하여 하이신호로 반점됨과 동시에 저항(R2)을 통하여 (I1)에 의하여 로우신호로 반전되고, 반전된 로우신호는 인버터(I2)에 의하여 하이신호로 반전됨과 동시에 다이오드(D4)를 통하여 출력되어 지므로 접속점(E)에는 인버터(I5)를 통한 하이신호에 의하여 로우전위로 된다.
이 로우전위는 다시 인버터(I8)에 의하여 하이신호로 반전된다.
이렇게 반전된 하이신호는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가해지므로 트랜지스터(TR1)가 도통하게되고, 따라서 릴레이(Ry)도 구동되어 릴레이(Ry)의 스위치(S1)는 (a)접점단자로 다시 접속되고, 이와동시에 스위치(S2)는 (d)접점단자로 다시 접속되므로서 엔진부에는 전원이 공급되고 따라서 경보음을 멈추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한 부호중 20은 설정시기 즉, 저항(R2), 콘덴서(C1)의 지연시간동안 오토바이의 진동을 방지해주기 위해 구성한 오동작 방지회로로서, 푸쉬버튼스위치(PB)를 터치할 때 스위치(PB)에 의해 발생된 로우신호는 다이오드(D2),(D3)를 통하게 되고 다이오드(D2)를 통한 로우신호는 인버터(I6)에 의하여 하이신호로 반전되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측에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1)가 도통하게 되고, 따라서 릴레이(Ry)도 구동됨과 동시에 릴레이(Ry)의 스위치(S1)는 (b)접점단자로 스위치(S2)는 (c)접점단자로 각각 접속되므로 스피커(SP)로부터 경보음이 출력되게 된다.
한편, 해제기능키 스위치를 오프시켜도 인버터(I2)에 의하여 반전된 하이신호는 저항(R1)을 통하여 궤환되어 다시 인버터(I1)에 의해 로우신호로 반전되고, 반전된 로우신호는 인버터(I2)에 의하여 하이신호로 반전됨과 동시에 다이오드(D4)를 통하여 접속점(E)에 하이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센서(2)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출력시키지 못하므로서 트랜지스터(TR1)는 부도통 상태가 되고, 따라서 릴레이(Ry)이 동작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푸쉬버튼 스위치(PB)를 온시키면 역방향다이오드(D2)에 의하여 접속점(E)에는 로우신호가 인가됨과 동시에 인버터(I6)에 의하여 하이신호로 반전되어 트랜지스터(TR1)를 구동시키고, 따라서 릴레이(Ry)도 구동되게 된다.
또한, 역방향 다이오드(D3)에 의하여 인버터(I1)의 입력단에는 로우신호가 인가되고 이 로우신호는 인버터(I1)에 의하여 하이신호로 다시 인버터(I2)에 의하여 로우신호로 반전됨과 동시에 저항(R1)을 통하여 궤환되고, 궤환된 로우신호는 인버터(I1)에 의해 하이신호로 다시 인버터(I2)에 의하여 로우신호로 반전된다.
이때 다이오드(D4)는 오프상태가 되므로 접속점(E)에서는 센서(2)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다리게 되어 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센서기능과 해제기능 및 경보 기능등을 사용함으로써 차체가 타인으로부터 충격을 받게되면 경보음이 진동이 멈출때까지 계속 울리게함과 동시에 엔진시동을 정지시켜 주므로써 타인으로부터 오토바이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릴레이(Ly)에 의해 구동되어 전원(B+2)을 경보음발생수단과 엔진부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수단들 및 상기 릴레이(RY)를 구동시키는 트랜지스터(TR1)를 포함하는 오토바이 도난방지기에 있어서, 밀폐된 용기속에 (+)와 (-)가 분리된 복수의 동판전극(3)과 쇠구슬(4)로 구성되고 오토바이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상기 쇠구슬(4)이 상기 복수의 동판전극(3)위에서 이동하게 되어 소정의 펄스를 발생시키는 센서(2)와, 누름동작에 의해 온상태와 오프상태가 반복되는 푸쉬버튼 스위치(PB)와, 상기 푸쉬버튼스위치(PB)에 의해 해제 기능단자(1)로 인가되는 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회로(10)와, 상기 인버터회로(10)의 접속점(G)와(H)에 연결되고 저항(R2)과 콘덴서(C1)에 의한 지연시간 동안 상기 센서(2)가 오동작되는 것을 막는 센서오동작 방지회로(20)와, 상기 센서(2)의 출력을 감지하여 상기 센서(2)의 출력에 상응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회로(30)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후에 상기 감지회로(30)내의 다이오드(D8)를 온시키는 지연회로(T)와, 상기 인버터 회로(10)와 상기 센서오동작방지회로(20) 및 상기 감지회로(30)의 출력들을 반전시켜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버터(I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도난경보기.
KR2019900004516U 1990-04-13 1990-04-13 오토바이 도난 경보기 KR920004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4516U KR920004632Y1 (ko) 1990-04-13 1990-04-13 오토바이 도난 경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4516U KR920004632Y1 (ko) 1990-04-13 1990-04-13 오토바이 도난 경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208U KR910018208U (ko) 1991-11-28
KR920004632Y1 true KR920004632Y1 (ko) 1992-07-10

Family

ID=1929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4516U KR920004632Y1 (ko) 1990-04-13 1990-04-13 오토바이 도난 경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6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208U (ko) 199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536A (ko) 차량용 전원장치
ITMI990602A1 (it) Dispositivo automatico per l'interruzione di corrente per situazioni di emergenza
KR920004632Y1 (ko) 오토바이 도난 경보기
ATE2057T1 (de) Elektronische diebstahlsicherung fuer kraftfahrzeuge.
KR920007865B1 (ko) 차량용 에어백 점화 제어 시스템
JPH0354046A (ja) 車輌用安全装置
US4594573A (en) Reverberation sound generator
GB2270798A (en) Switch for stopping an engine
GB1579487A (en) Anti-theft device for motor vehicles
US4651127A (en) Safety belt prompt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US4425535A (en) Erroneous start preventing device for battery-powered vehicle
JP2500088B2 (ja) 電池有無検出装置
JPS61200045A (ja) 電気式警音器
CN216942878U (zh) 车辆启动警示控制系统及车辆
JP2545532Y2 (ja) エアバツグ点火装置
CN2263815Y (zh) 多功能电子式电喇叭
CN2298982Y (zh) 地磁开关报警装置
KR100201909B1 (ko) 차량의 도난경보회로
KR960039528A (ko)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JPH026506Y2 (ko)
KR870003376Y1 (ko) 경보용 전화 호출회로
SU863440A1 (ru) Устройство тревож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GB149057A (en) Electric switch for the prevention of stealing of motor vehicles while left standing
EP0119277B1 (en) Reverberation sound generator
KR890002007Y1 (ko) 자동차 도난 방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