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530B1 - 포크 리프트의 포크훅크 - Google Patents

포크 리프트의 포크훅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530B1
KR920004530B1 KR1019900003525A KR900003525A KR920004530B1 KR 920004530 B1 KR920004530 B1 KR 920004530B1 KR 1019900003525 A KR1019900003525 A KR 1019900003525A KR 900003525 A KR900003525 A KR 900003525A KR 920004530 B1 KR920004530 B1 KR 920004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hook
fork hook
dam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899A (ko
Inventor
요시히로 신도
마사나오 고바야까와
고오이찌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또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00017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크 리프트의 포크훅크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포크 훅크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포크 훅크의 평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포크 훅크의 정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포크 훅크의 측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포크 훅크의 사시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포크 훅크의 정면도.
제 7 도는 제 5 도의 포크 훅크의 측면도.
제 8 도는 종래 포크 훅크의 사시도.
제 9 도는 종래 포크 훅크의 정면도.
제 10 도는 종래 포크 훅크와 포크의 용접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 11 도는 종래 포크 훅크와 포크의 용접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측면도.
제 12 도는 종래 포크 훅크의 훅크와 포크의 용접 상태의 측면도.
제 13 도는 종래 포크 훅크의 계합핀의 측면도.
제 14 도는 종래 포크 훅크의 보수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포크 훅크 10 : 핀 구멍
11, 21 : 모떼기부 12, 22 : 포크 훅크 모재의 상면
120, 121, 221 : 댐
본 발명은 포크 리프트에 있어서 특정 형상의 개방 선단부를 갖는 포크 훅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포크 훅크(5)는 제 8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접용의 접합부에 있어서는 전 주위 가장자리가 모떼기 되고 개방 선단부(51)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개방 선단부(51)에 있어서 코너부(510)는 제 9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의 구면 형상이다.
또한 용접할 포크에 면접하는 평탄 상면(52)은 상기 개방 선단부(51)에 의해 감싸인 상태로 이루어져 있음과 동시에 거의 중앙에 설치된 핀 구멍(50)과 인접하여 핀 구멍 주위 가장자리(511)가 형성되어 있다(제 9 도).
그래서 상기 포크 훅크(5)는 제 10 도 및 제 11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크(6)의 배면에 용접(4)에 의해 고착된다.
즉 포크 훅크(5)에 있어서 평탄 상면(52)이 포크(6)의 배면 상단면(61)에 맞대인 상태에서 그 주위 가장자리의 개방 선단부(51)에 용접(4)이 덩어리져 있다.
그래서, 포크(6)에 부착된 포크 훅크(5)는, 제 12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프트 브라켓(9)의 전방 상단에 부착된 훅크 받침 계지부(91), 및 전방 하단에 부착된 하부바(92)와 계합한다. 그래서, 제 10 도 및 제 12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포크 훅크(5)의 상단에는 보스(7)를 설치하고, 이 보스(7)에는 계지핀(8)을 착탈이 가능하게 감삽한다.
상기 계지핀(8)은, 제 13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손잡이(81), 중간부에 스토퍼(82)를 갖는다. 또한 보스(7)는, 제 14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70) 및 스토퍼 홈(71)을 갖는다. 그래서, 상기 계지핀(8)은 보스(7)의 관통 구멍(70)내에 삽입되고, 스토퍼(82)는 상기 보스(7)의 스토퍼 홈(71)내에 감착한다. 이때, 계지핀(8)은 상기 훅크 받침 계지부(91)의 계합 구멍(910)내에도 삽입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포크 훅크(5)에는, 다음의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포크 훅크(5)를 포크(6)에 용접할 때, 상기 코너(510) 및 핀 구멍 주위 가장자리(511)에서 핀 구멍(50)등으로 용접 비드의 늘어짐이 발생하기 쉽다. 그래서, 핀 구멍(50)의 측벽에 비드가 부착하면, 상기 보스(7)의 설치가 불충분해짐과 동시에, 계지핀(8)의 삽입도 불가능해진다.
더욱이, 용접은 평탄한 상면(52)의 가장자리를 따라 끊어짐이 없이 행해주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용접의 적정위치를 정하는 것이 곤란하며, 비드의 느러짐(E 방향)이 발생함과 동시에, 나아가서는 비드의 느러짐의 방지를 도모하려는 느러진 방향을 감안하여 포크 훅크를 중력에 대해서 용접중에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며, 적정한 용접 작업 자세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개선부에서 용접 비임의 느러짐이 생기지 않는 또한 용접 작업도 용이한 포크 리프트의 포크 훅크를 제공할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계지핀(8)의 삽입을 위한 핀 구멍(10)을 가지며, 포크(6)의 배면에 용접되는 포크 리프트의 포크 훅크(1)에 있어서, 상기 포크 훅크(1)의 상면에 모떼기가 형성된 모떼기부(11)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핀 구멍(10)과 모떼기부(11)와의 사이에는 댐(120)을 설치하며, 상기 댐(120)은 그 높이를 포크 훅크(1)의 상면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리프트의 포크 훅크에 있다.
상기 개방 선단부는, 상기 훅크에 있어서 용접 비임의 응어리를 형성하도록 테이퍼면을 형성한 부분을 말한다(제 3 도 내지 제 6 도 참조).
또한, 상기 포크 훅크는, 상기 포크의 배면 상단부에 용접에 의해 접합하는 핀 구멍을 갖는다. 또한, 상기 코너는 상기 개방 선단부에 있어서, 개방 선단의 모떼기와 모떼기가 교차하는 4모서리 부분이다.
상기 포크 훅크 모재의 상면은, 포크 훅크의 모재가 포크에 맞대이는 상단면 부분을 말한다. 또한, 상기 댐이란, 용접 비드가 느러뜨러지지 아니하도록 하기위한 흐름 방지용돌출 부분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 포크(6)의 배면에 용접되는 포크 리프트의 포크 훅크(1)에 있어서, 상기 포크 훅크(1)의 상면에 모떼기가 형성된 모떼기부(11)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모떼기부(11)가 서로 인접하는 코너부에 댐(121)을 설치하며, 상기 댐(121)은 그 높이를 포크 훅크(1)의 상면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리프트의 포크 훅크에 있다.
여기서의 포크 훅크에는 핀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코너, 포크 훅크 모재의 상면 및 댐의 의미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다.
제 1 실시예에 발명에 따르는 포크 훅크에 있어서는, 상기 핀 구멍의 주위 가장자리에 댐을 설치해, 이 댐의 높이를 포크 훅크 모재의 상면의 높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크 훅크를 포크에 용접할때에, 비드가 상기 핀 구멍내에 느러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용접후에 있어서 핀 구멍내의 끝마무리 작업의 능률이 향상되어, 또는 이 작업을 간략화 할 수가 있다.
또는, 포크 훅크에 있어서는, 코너에 댐을 설치하고, 이 댐의 높이를 포크 훅크 모재의 상면의 높이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포크 훅크를 포크에 용접하는 때에, 비드가 코너의 외측 주위 가장자리로 느러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특히 코너에 있어서는 용접의 적정 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가 있다.
또한, 용접 작업시에 있어서, 적정한 자세를 확보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개방 선단부의 코너 및 핀 구멍 주위 가장자리보다 용접 비드의 늘어지지 않는 포크 리프트의 포크 훅크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개방 선단부의 코너보다 용접 비드의 느러지지 않는 포크 훅크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본 예의 포크 훅크에 대해, 제 1 도 내지 제 4 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본 예의 포크 훅크(1)는, 핀 구멍(10)을 갖는 포크 훅크(1)를 포크(6)에 용접하기 위한 개구부에 있어서, 이 개방 선단부에는 그 개방 선단의 모떼기부(11)가 서로 인접하는 코너에 댐(121)을 설치해, 이 댐(121)은 그 높이를 포크 훅크 모재의 상면(12)의 높이에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핀 구멍(10)의 주위 가장자리에도 댐(120)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핀 구멍(10)은, 제 2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의 반원통 형상의 모양이며, 보스부(제 14 도 참조)를 감합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댐(120)은 상기 핀 구멍(10)의 주위 가장자리에 설치한다. 즉, 이 댐(120)은 포크 훅크(1)를 포크(6)의 배면 상단에 용접하는 때에 비드가 핀 구멍(10)쪽으로 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댐(121)은, 포크 훅크(1)를 포크(6)에 용접하기 위한 포크 훅크(1)의 개방 선단부에 있어서, 개방 선단의 모떼기부(11)와 모떼기부(11)가 서로 인접하는 코네에 댐(121)을 설치한다. 즉, 이 댐(121)은, 용접의 비드가 코너보다 늘어지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양 댐(120, 121)은 어느 것이나 그 높이를 포크 훅크 모재의 상면(12)의 높이로 형성한다. 곧, 양 댐(120, 121)은, 위 모떼기부(11)를 형성함에 있어서, 핀 구멍(10)의 주위 가장자리와 코너를 포크 훅크 모재의 위면(12) 그대로, 모떼기하지 않고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댐(120)은, 상기 핀 구멍(10) 사이에 일정한 폭(예를들면 2.5mm)을 갖이고, 상기 위면(12)과 같은 높이로 되도록 형성한다.
한편, 댐(121)은, 제 3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크 훅크(1)의 코너에 있어서 포크 훅크 모재의 상면(12)으로부터 코너로 향해서 방사 형상으로 연재하는 상태로, 일정한 폭을 갖이고 형성한다.
또한, 상기 훅크(1)는, 제 2 도 및 제 4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크 훅크 모재로서 일정한 판 두께 t(예를들면 2.5mm)를 갖이고, 일단에 있어서 곡면(13)을 갖는다.
다음에, 본 예의 포크 훅크(1)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즉, 본 예의 포크 훅크(1)에 있어서는, 상기 핀 구멍(10)의 주위 가장자리에 댐(120)을 설치해, 이 댐(120)의 높이를 상면(12)의 높이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포크 훅크를 포크에 용접할 때에, 비드가 상기 핀 구멍(10)내에 늘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용접후에 있어서 핀 구멍(10)내의 끝마무리 작업의 능률이 향상하고, 또한 이 작업을 간략화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포크 훅크(1)에 있어서는, 코너에 댐을 설치해, 이 댐의 높이를 상면(12)의 높이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포크 훅크를 포크에 용접할때에, 비드가 코너의 외부 주위 가장자리로 늘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특히 코너에 있어서는, 용접의 적정위치를 용이하게 정할 수가 있다.
또한, 용접 작업시에 있어서, 적정한 자세를 확보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예에 의하면, 개방 선단부의 코너 및 핀 구멍 주위 가장자리로부터 핀 구멍(10)등으로 용접 비드의 느러지지 않는, 포크 리프트의 포크 훅크(1)를 얻을 수가 있다.
본 예의 포크 훅크(2)에 대해, 제 5 도 내지 제 7 도를 써서 설명한다.
본 예의 포크 훅크(2)는, 포크의 배면 하단에 용접으로 부착하는 것이다. 즉, 본 예의 포크 훅크(2)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포크 훅크에 있어서, 상기 핀 구멍이 없는 것이다.
본 포크 훅크(2)는, 포크(6)에 용접하는 이 훅크(2)의 개방 선단부에 있어서, 이 개방 선단부에는 그 개방 선단의 모떼기부(21)와 모떼기부(11)가 교차하는 코너에 댐(221)을 설치해, 이 댐(221)은 그 높이를 포크 훅크 모재의 상면(22)의 높이로 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포크 훅크(2)는, 그 거의 중앙에 있어서, 테이퍼면(23)으로부터 돌출한 계지부(20)를 갖는다.
그래서, 본 예의 포크 훅크(2)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크 훅크를 포크(6)에 용접할 때에는, 비드가 외측 주위 가장자리로 늘어지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특히 코너에 있어서는, 용접의 적정 위치를 용이하게 정할 수가 있다.
또한, 용접의 작업시에 있어서, 적정한 자세를 확보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개방 선단부의 코너로부터 용접 비드의 늘어지지 않는, 포크 리프트의 포크 훅크(2)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2)

  1. 계지핀(8)의 삽입을 위한 핀 구멍(10)을 가지며, 포크(6)의 배면에 용접되는 포크 리프트의 포크 훅크(1)에 있어서, 상기 포크 훅크(1)의 상면에 모떼기가 형성된 모떼기부(11)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핀 구멍(10)과 모떼기부(11)와의 사이에는 댐(120)을 설치하며, 상기 댐(120)은 그 높이를 포크 훅크(1)의 상면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리프트의 포크 훅크.
  2. 포크(6)의 배면에 용접되는 포크 리프트의 포크 훅크(1)에 있어서, 상기 포크 훅크(1)의 상면에 모떼기가 형성된 모떼기부(11)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모떼기부(11)가 서로 인접하는 코너부에 댐(121)을 설치하며, 상기 댐(121)은 그 높이를 포크 훅크(1)의 상면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리프트의 포크 훅크.
KR1019900003525A 1989-05-17 1990-03-16 포크 리프트의 포크훅크 KR920004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896 1989-05-17
JP1-56896 1989-05-17
JP1989056896U JPH02147498U (ko) 1989-05-17 1989-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899A KR900017899A (ko) 1990-12-20
KR920004530B1 true KR920004530B1 (ko) 1992-06-08

Family

ID=13040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525A KR920004530B1 (ko) 1989-05-17 1990-03-16 포크 리프트의 포크훅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44869A (ko)
EP (1) EP0398302B1 (ko)
JP (1) JPH02147498U (ko)
KR (1) KR920004530B1 (ko)
DE (1) DE6900268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6095A1 (en) * 1991-03-04 1992-09-17 Motorola, Inc. Shielding apparatus for non-conductive electronic circuit package
US5329859A (en) * 1993-07-12 1994-07-19 Acf Industries, Incorporated Increased strength railway tank for underframe construction and method with center sill pocket and weld support for pooling welding material
US6386641B2 (en) * 1999-04-22 2002-05-14 Kennametal Pc Inc. Weld joint design for corner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64617A (en) * 1926-02-03 1930-06-17 Ford Bruce Burned or puddled joint structure
US2813333A (en) * 1955-04-04 1957-11-19 Lukens Steel Co Method of uniting metals and pack for same
DE2037664A1 (de) * 1970-07-29 1972-02-03 Linde Ag, 6200 Wiesbaden Gabelzinke für Gabelstapler
US4136811A (en) * 1972-08-21 1979-01-30 Kajima Corporation H-shaped steel column base member and welding thereof
US3750266A (en) * 1972-08-25 1973-08-07 Atomic Energy Commission Flow control of filler alloy
DE2246937A1 (de) * 1972-09-25 1974-04-11 Linde Ag Gabelzinke fuer einen gabelstaple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vorrichtung zur ausuebung des verfahrens
US4208563A (en) * 1977-05-16 1980-06-17 Caterpillar Tractor Co. Welding method using a break away flux dam
US4349717A (en) * 1980-05-30 1982-09-14 Caterpillar Tractor Co. Flux dam assembly and method
JPS5812598A (ja) * 1981-07-15 1983-01-24 Yanmar Diesel Engine Co Ltd 高過給デイ−ゼル発電機の運転方法
DE3340286C1 (de) * 1983-11-08 1985-05-15 Carl Falkenroth Söhne GmbH & Co KG, 5885 Schalksmühle Gabeltraeger fuer insbesondere Hubstapler
DD243017A1 (de) * 1985-11-26 1987-02-18 Robotron Bueromasch Lastaufnahmehaken fuer gabelzinken, insbesondere fuer hubstapler
DE3710573C2 (de) * 1987-03-30 1996-01-18 Vetter Kg Arnold Tragvorrichtung für ein Stapel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02683D1 (de) 1993-09-16
EP0398302B1 (en) 1993-08-11
DE69002683T2 (de) 1993-12-09
KR900017899A (ko) 1990-12-20
EP0398302A1 (en) 1990-11-22
US5044869A (en) 1991-09-03
JPH02147498U (ko) 199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27945C (en) Connecting head for scaffold
KR920004530B1 (ko) 포크 리프트의 포크훅크
JP3758479B2 (ja) 棚の支柱と梁材との連結構造
US5658085A (en) Toggle securing device for toggle joints in chain conveyors and the like
JPH05155598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フォークフック
JP2509373Y2 (ja) 足場用敷板
EP0197038A1 (en) SHOVEL TOOTH.
EP0180260B1 (en) Coupling system for detachably coupl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onstruction member to and between a pair of uprights, in particular a railing to a scaffold
KR0138321Y1 (ko) 스프링 너트
JP3643466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間隔保持具
EP3967830B1 (en) Windproof head for a support of raised floors
CN211443584U (zh) 一种新型集装箱锁头
JP7477100B2 (ja) 配筋支持具、及び配筋支持具を用いた基礎の打設方法
RU2786272C1 (ru) Режущая пластина и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набженный такой пластиной
JP2604894Y2 (ja) プラスチックリベット
JP2695055B2 (ja) 自動販売機用転倒防止板
JPH0516005U (ja) スローアウエイチツプ
JP2963838B2 (ja) 木造建築用接合金具
JPS5942237Y2 (ja) スカラツプを必要としないh形鋼溶接用裏当材
KR200143186Y1 (ko) 작업용 공구 걸이구
JP2543643B2 (ja) 足場用建枠
JPS5913366Y2 (ja) ピンの抜け止め兼回り止め装置
JPH0624461Y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接合用工具係止部構造
JPH0719676Y2 (ja) 溶接用エンドタブ
KR920000556Y1 (ko) 테이블 곤로의 가아드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