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890Y1 - 자동차 크러쉬 패드의 로워 사이드 패널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크러쉬 패드의 로워 사이드 패널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890Y1
KR920003890Y1 KR2019900012102U KR900012102U KR920003890Y1 KR 920003890 Y1 KR920003890 Y1 KR 920003890Y1 KR 2019900012102 U KR2019900012102 U KR 2019900012102U KR 900012102 U KR900012102 U KR 900012102U KR 920003890 Y1 KR920003890 Y1 KR 9200038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side
side panel
crush pad
drive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2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338U (ko
Inventor
남진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2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890Y1/ko
Publication of KR9200043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3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8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55Padded or energy-absorbing fittings, e.g. seat belt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3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크러쉬 패드의 로워 사이드 패널 장착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 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자동차 운전석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종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크러쉬 패드 10 : 로워 사이드 패널
20 : 보강재 30, 30' : 고정브라켓
33, 33' : 고정 스크류 40 : 양면 접착 패드
본 고안의 자동차 크러쉬 패드(Crush Pad)의 로워 사이드 패널(Lower Side Pade)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로워 사이드 패널의 내측에 설치되는 보강재를 금속제에서 폴리 스티렌 폼(Poly Styrene Foam)제로 대체하여 중량다운 및 원가절감과 안전도를 향상시키리 수 있도록한 자동차 크러쉬 패드의 로워 사이드 패널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잘알려진 바와같이 자동차 크러쉬 패드에 있어서의 로우 사이드 패널(10)은 제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크러쉬 패드(C)의 운전석측 저부 즉, 스티어링 쉬라우드(Steering Shroud)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크러쉬 패드의 운전석측 하부를 은폐 부호함으로써, 미관을 좋게 함과 동시에 자동차의 충돌 사고시 완충역확을 수행하여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요즘 제작 판매되고 있는 고급 승용차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와같이 로워 사이드 패널(10)을 장착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로워사이드 패널(10)을 지지플레이트(50)의 외측면에 우레탄 폼(Urethan Foam)(51)을 부착한 후 그 내측에 금속제인 보강판(52)을 개재시켜 도시하지 않은 고정 스크류로써 크러쉬 패드(C)에 장착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로워 사이드 패널(10)에 있어서는 2장의 금속판을 상하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스폿트 용접한 금속제를 사용하였는바, 중량이 무겁고 생산 원가가 상승되며 성형시에도 많은 까다로움이 뒤따름은 물론 충격 흡수효과가 좋지 못하여 안전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중량 및 생산원가를 저하시키고 충격 흡수면에서도 안전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개량한 자동차 크러쉬 패드의 로워 사이드 패널 장착구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로워사이드 패널의 내측으로 개재되는 보강재를 중량이 가볍고 단가가 저렴하며 충격 흡수 효과가 양호한 폴리스티렌을 폼으로 발포화하여 제작사용하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로워 사이드 패널(10)이 적용되는 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승용차 운전석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로워 사이드 패널(10)은 크러쉬 패드(C)의 운전석측 하부에 장착되어져 계기패널(G)에 인입되는 각종 배선과 이 부분을 통과하는 히터 및 에어콘 덕트등을 은폐 보호하여 줌으로써, 미관을 좋게하고 자동차의 충돌 및 추돌 사고시 운전자를 부호하기 위한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로서, 부호 10은 로워 사이드 패널이며 이의 구성은 공지와 같이 일측 상부에 후측으로 요입되는 요입부(11)가 형성되며 타측단에는 전방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판(12)이 일체로 형성된다.
부호 20은 보강재로서 폴리스티렌을 폼화한 것으로 일측 상부에는 상기 로워 사이드 패널(10)의 요입부(11)와 대응하는 요입부(21)가 형성되어 그 전측으로 도시하지 않는 스티어링 샤프트가 지나가게 되며, 전측부의 형상은 크러쉬 패드(C)의 하부측 공간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지되, 그의 양단은 후측으로 요입시켜 후술하는 고정브라켓(30), (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고정 브라켓(30), (30')은 "ㄱ"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측에는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타발한 첨예돌기(31), (31')를 형성하여 이 첨예 돌기(31), (31')가 보강재(20)에 파고들면서 보강재(20)에 고정되도록 하였으며, 하측부는 그 중간부에 절곡부를 두고 그 하단부를 상방으로 절곡시켜 이에 고정공(32), (32')을 천공함으로써, 로워 사이드 패널(10)과의 결합시 로워 사이드 패널(10)의 내면 양측으로 형성된 보스(12)와 고정스크류(33), (33')로 체결 고정토록 하였다.
부호 40은 양면 접착 패드(40)로서 상기의 로워 사이드 패널(10)과 보강재(20)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관련부품(10), (20), (30), (30'), (40)들의 결합시에는 먼저 보강재(20)의 전측 양단부에 고정 브라켓(30), (30')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보강재(20)의 전면에 양면 접착 패드(40)를 부착한 후 로워 사이드 패널(10)을 부착한다.
그런다음 고정 스크류(33), (33')로써 고정브라켓(30), (30')과 로워 사이드 패널(10)의 양보스(12)를 체결하면 제3도와 같이 결합되어져 하나의 조립체로 결합되어진다.
이와같이 하나의 조립체로 로워 사이드 패널(10)를 결합한 후에 조립라인상에서 크러쉬 패드(C)의 운전석측 하부에 장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크러쉬 패드의 운전석측 하부에 장착되는 로워 사이드 패널을 장착함에 있어서, 그의 보강재를 폴리스티렌 폼으로 대체 함으로써 중량 및 원가가 절감되고 제작 성형이 용이하며 충격 흡수효과 매우 좋아 충돌 및 추돌사고시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 크러쉬 패드(C)의 운전석측 하부에 위치하는 로워 사이드 패널(10)을 장착함에 있어서, 보강재(20)를 폴리스티렌 폼(Foam)화 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그 양측에 고정된 고정브라켓트(30), (30')을 이용하여 로워사이드 패널(10)의 내면 양측에 형성된 보스(12)와 고정 스크류(33), (33')로써 결합하여 크러쉬 패드(C)에 장착하되, 상기 보강재(20)와 로워 사이드 패널(10) 사이에 양면 접착 패드(40)를 개재시켜 상호 견고하게 부착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크러쉬 패드와 로워 사이드 패널 장착구조.
KR2019900012102U 1990-08-10 1990-08-10 자동차 크러쉬 패드의 로워 사이드 패널 장착구조 KR9200038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2102U KR920003890Y1 (ko) 1990-08-10 1990-08-10 자동차 크러쉬 패드의 로워 사이드 패널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2102U KR920003890Y1 (ko) 1990-08-10 1990-08-10 자동차 크러쉬 패드의 로워 사이드 패널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338U KR920004338U (ko) 1992-03-25
KR920003890Y1 true KR920003890Y1 (ko) 1992-06-12

Family

ID=19302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2102U KR920003890Y1 (ko) 1990-08-10 1990-08-10 자동차 크러쉬 패드의 로워 사이드 패널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8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338U (ko) 199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9057A (en) Vehicle body side structure
US4998761A (en) Reinforced impact bar for a bumper assembly
KR920003890Y1 (ko) 자동차 크러쉬 패드의 로워 사이드 패널 장착구조
US5954389A (en) Reinforced front part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cabins/bodies for vehicles
JP3744063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19980043336A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 흡수장치
JPH0585226A (ja)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KR200247112Y1 (ko) 자동차용 차체의 보강구조
KR0178912B1 (ko) 자동차의 프론트 범퍼 보강구조
JPS62113653A (ja) 自動車のカウル構造
JPH10119825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支持構造
KR930001084Y1 (ko) 자동차 안테나 설치부위의 패널(panel)보강구조
JP2513499Y2 (ja) 自動車のニュ―プロテクタ
KR200144105Y1 (ko)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패널 보강구조
JPH0986171A (ja) 自動車ドア用インパクトビーム
KR19980031341A (ko) 차량의 백도어 보강구조
KR200147650Y1 (ko) 자동차용 리어범퍼
KR200161928Y1 (ko) 자동차 센터필라 보강구조
KR200152943Y1 (ko)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
JPH045382Y2 (ko)
KR970015362A (ko) 자동차의 차체 강성 보강장치
KR0117610Y1 (ko) 라디에이터 서포트 로워 멤버(radiator support lower member)의 단면구조
JPH045381Y2 (ko)
KR930008315Y1 (ko) 자동차의 후론트 사이드부재
KR0137506Y1 (ko) 차량의 후방차체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