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777B1 - 에이코사펜타엔산과 그 에스테르의 분리정제 방법 - Google Patents

에이코사펜타엔산과 그 에스테르의 분리정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777B1
KR920003777B1 KR1019900007747A KR900007747A KR920003777B1 KR 920003777 B1 KR920003777 B1 KR 920003777B1 KR 1019900007747 A KR1019900007747 A KR 1019900007747A KR 900007747 A KR900007747 A KR 900007747A KR 920003777 B1 KR920003777 B1 KR 920003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ter
epa
carbon atoms
acid
si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952A (ko
Inventor
김영학
임건빈
Original Assignee
고려합섬 주식회사
이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합섬 주식회사, 이상운 filed Critical 고려합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07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777B1/ko
Publication of KR910019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7/00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57/02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only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unsaturation
    • C07C57/03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12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adsorption, i.e. 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hydrocarbons with the aid of solids, e.g. with ion-exchang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에이코사펜타엔산과 그 에스테르의 분리정제 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원료에 대한 가스크로마토그람이고
제 2 도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분취용 액체크로마토그람이며
제 3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리정제한 가스크로마토그람이다.
본 발명은 에이코사펜타엔산과 그 에스테르의 분리정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이코사펜타엔산(이하 EPA라 약칭함)을 함유하고 있는 시료로부터 액체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EPA를 분리정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EPA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중에서 오메가 3계열의 하나이며, 특히 등푸른 생선에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현재 이러한 EPA는 혈중 중성지질의 감소, 혈중 총 콜레스테롤의 감소, 혈소판 응집능의 저하, 혈액점도의 저하, 적혈구 변형능의 증가에 효과가 있고, 뇌경색 방지, 심근경색방지작용 및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어서, 최근에는 혈전증 예방, 치료제, 콜레스테롤 저하제, 지질 개선제 또는 건강식품으로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EPA를 분리정제하는 종래의 방법을 예시하면, 일본특개소 56-115736호에서는 알킬기를 실리카에 화학결합시켜서 액상 분배형 충전제와 테트라히드로 퓨란-저급알카놀(또는 아세토니트릴)-물(또는 초산수용액)계 용리액을 이용하는 방법에 제안되고 있고, 또 일본특개소 58-88339호에서는 상기의 액상 분배형 충전제와 아세톤-메틸알코올-물계 수용액을 이용하는 방법에 제안되어 있으며, 일본특개소 58-109444호에는 실라카겔 또는 합성고분자계 액상 분배 크로마토용 담체에 옥타데실기를 실란을 결합에 의해 유지시키는 실리카겔 담체 또는 옥타데실기를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유지시키는 합성 고분자계 담체와 물-저급 알코올-지방족 케톤(또는 초산 에틸, 아세토닐트릴)계 용리액을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가 물을 필수성분으로 함유하는 용리액을 사용함으로써 시료의 용해도가 작게되고, 1회의 분취량이 작으며, 용리액의 회수나 재사용에 있어서 보다 많은 에너지가 소요될 뿐아니라 복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모노비닐 방향족 모노머 단위와 폴리비닐 방향족 모노머 단위를 함유하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계 공중합체 칼럼 충전재와 이 칼럼 충전재 보다도 극성이 큰 용매와 작은 용매를 용리액으로 하는 액체크로마토그라피 처리를 임의의 순서로 조합시켜서 EPA를 분리정제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도 1회의 액체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한 고순도의 분리정제가 어렵고 또 비교적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의 달리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혼합물로부터 EPA를 액체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분리정제하되 1회의 분취량이 많고 용리액의 회수나 재사용이 간단한 조작으로도 가능하면서 고순도로 분리, 정제할 수 있도록 하는 EPA와 그 에스테르의 분리정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EPA를 함유하고 있는 지방산 알킬에스테르 혼합물로부터 액체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EPA를 분리정제함에 있어서, 칼럼 충전재로서 8-28개의 탄소수를 가진 알킬기가 실리카에 화학 결합된 것을 사용하고, 용리액으로서 극단 단일 용매를 사용하여서 EPA와 그 에스테르를 분리정제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칼럼 충전재는 실리카에 화학결합되어 있는 알킬기가 8개 내지 28개의 탄소원자를 가지고 있는 것이 좋으며, 12-2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킬기는 전체 충전제에 대해 5-30 중량%로 화학결합되어 있는 것이 적당하며, 특히 10-25중량%로 결합되어 있으면 더욱 좋다.
본 발명에서는 실리카에 화학결합된 알킬기와 이동상인 용리액과의 사이에서 고도 불포화 지방산들이 분배작용을 일으켜서 EPA가 분리정제 되는데, 상기 용액으로서는 극성 단일용매를 사용한다.
이때, 본 발명의 극성단일 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4개의 저급 알코올이 단일하게 사용되며, 특히 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료의 용해도가 크고, 1회의 분취량이 클뿐아니라, 용리액의 회수나 재사용에 있으서도 종래보다 훨씬 용이한 잇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1분자당 20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가지고 있으며 3개 이상의 2중결합을 가지고 있는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지방산 혼합물을, 8-28개의 탄소원자를 가지고 있는 알킬기를 실리카에 화학 결합시킨 액상분배형 충전재가 충전된 칼럼을 이용해서 분리정제하되 그 용리액으로서 저급 알코올을 사용하므로써 고순도의 EPA를 매우 효율적으로 분리정제할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8-28개의 탄소원자를 가지고 있는 알킬기가 화학 결합된 실리카 충전재는 간단히 재생시켜 사용할 수 있는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며, 그 일련의 공정도 간단하여 대량의 공업적 규모로 이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사용된 원료로서는 생선기름을 에틸에스테르화시킨 후 진공증류시킨 고농축 EPA 에틸에스테르 70%와 도코헥산에틸에스테르 12%을 함유한 원료로 사용하고 고속 액체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단리했다.
그리고, 원료 및 생산물의 가스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 칼럼 : Shimadzu hicap CBP-1
* 온도 : 1) 칼럼 초기 온도 : 200℃
2) 주입구 온도 : 320℃
3) 검출구 온도 : 320℃
4) 온도 증가율 : 5℃/min
5) 칼럼 최종온도 : 300℃
* 검출기 : 불꽃 이온화 검출기
* 이동가스 : 질소 (속도 30ml/min)
본 발명에 사용된 상기 원료의 가스 크로마토그람은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 시료 4g을, 실리카에 탄소수 18개의 알킬기를 화학 결합시킨 충전재 칼럼(5cm
Figure kpo00001
×50cml)을 이용해서 메탄올 25ml/분으로 전개했다. 그후 칼럼으로부터 용출액을 자외선 검출기에 의해 분석하였는 바, 제 2 도는 용출액의 크로마토그람이다. 제 2 도에서 A라고 표시된 부분을 분획해서 분리했다. 분취된 조성을 가스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측정하니, EPA에 에스테르 함유량은 99.5%였다. 얻어진 EPA 에스테르물은 2.66g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 사용된 농축 생선유 에틸에스테르 시료 4.5g을 실리카에 탄소수 18개의 알킬기를 화학결합시킨 충전재칼럼(5cm
Figure kpo00002
×50cml)을 이용해서 메탄올 30ml/분으로 전개했다.
칼럼으로 분획한 용액을 가스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분석하니(제 3 도) EPA 에스테르 함유량은 99.2%이었다. 얻어진 EPA 에스테르물은 2.99g이었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 대한 요약은 다음표 1과 같다.
Figure kpo00003
* EPA : 에이코사펜타엔산
* DHA : 도코헥사엔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혼합물로부터 고도 불포화 지방산인 EPA를 액체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액상모드로 용이하게 분리정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1회의 분취량이 많고 단순한 공정으로 고순도의 분리정제를 할 수 있으며, 용리액은 단일 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회수 및 재사용이 간단한 조작으로도 가능하다.

Claims (3)

  1. 에이코사펜타엔산을 함유하고 있는 지방산 알킬에스테르 혼합물로부터 액체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에이코사펜타엔산을 분리정제함에 있어서, 칼럼 충전제로서 8-24개의 탄소수를 가진 알킬기가 실리카에 화학결합된 것을 사용하고, 용리액으로서 극성 단일용매를 사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코사펜타엔산과 그 에스테르를 분리정제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8-28개의 알킬기는 상기 충전재 전체에 대해 5-30중량%로 실리카에 화학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코사펜타엔산과 그 에스테르의 분리정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단일 용매로서는 탄소수 1-4개의 저급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코사펜타엔산과 그 에스테르의 분리정제 방법.
KR1019900007747A 1990-05-29 1990-05-29 에이코사펜타엔산과 그 에스테르의 분리정제 방법 KR920003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7747A KR920003777B1 (ko) 1990-05-29 1990-05-29 에이코사펜타엔산과 그 에스테르의 분리정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7747A KR920003777B1 (ko) 1990-05-29 1990-05-29 에이코사펜타엔산과 그 에스테르의 분리정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952A KR910019952A (ko) 1991-12-19
KR920003777B1 true KR920003777B1 (ko) 1992-05-14

Family

ID=1929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747A KR920003777B1 (ko) 1990-05-29 1990-05-29 에이코사펜타엔산과 그 에스테르의 분리정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7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952A (ko) 199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3330B1 (en) Processes of selectively separating and purifying eicosapentaenoic and docoshexaenoic acids or their esters
Houx et al. Purification and analysis of synthetic insect sex attractants by liquid chromatography on a silver-loaded resin
US6433201B2 (en) Process for separating and purifying eicosapentaenoic acid or its ester
KR20060133534A (ko) 불포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82701B1 (ko) 다-단 분리 공정
US20160193546A1 (en) Method for separating fat-soluble substance by simulated moving bed chromatography - and device for same
WO1993009210A1 (en) Process for producing high-purity eicosapentaenoic acid or ester thereof
KR102289886B1 (ko) 고도 불포화된 지방산의 제조를 위한 크로마토그래피 방법
Dillon et al. Purification of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from fish oil using silver-thiolate chromatographic material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KR970002037B1 (ko) 들깨유로부터 α-리놀렌산(ALA)을 분리, 정제하는 방법
KR102289238B1 (ko) 지방산의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방법
JPH08218091A (ja) 高純度の高度不飽和脂肪酸およびその誘導体の製造方法
JPS5888339A (ja) エイコサペンタエン酸又はそのエステルとドコサヘキサエン酸又はそのエステルの分離精製方法
WO2016194359A1 (ja) 高純度・高収率な高度不飽和脂肪酸の製造方法
EP2994523B1 (en) Chromatographic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ighly purifie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KR920003777B1 (ko) 에이코사펜타엔산과 그 에스테르의 분리정제 방법
KR102289237B1 (ko)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에 의한 지방산 정제
JPH1095744A (ja) 高度不飽和脂肪酸又はそのアルキルエステルの製造方法
Holman et al. Displacement Analysis of Lipids. VI. Separation of Unsaturated Acids1a
JPS63112536A (ja) γ−リノレン酸の濃縮精製方法
JPH0633088A (ja) 高純度ドコサヘキサエン酸またはそのエステルの 製造方法
JPS6137752A (ja) 高度不飽和長鎖脂肪酸またはそのエステルの分離精製法
EP2801604A1 (en) Chromatographic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ighly purifie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Smuts et al. Simple thin-layer chromatographic purification procedure for the determination of cholesterol ester fatty acid compositions
JPH01180849A (ja) ドコサペンタエン酸またはそのエステルの濃縮分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0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